KR0161210B1 - Ascent/descent and opening/shutting blackboard - Google Patents

Ascent/descent and opening/shutting black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1210B1
KR0161210B1 KR1019960008931A KR19960008931A KR0161210B1 KR 0161210 B1 KR0161210 B1 KR 0161210B1 KR 1019960008931 A KR1019960008931 A KR 1019960008931A KR 19960008931 A KR19960008931 A KR 19960008931A KR 0161210 B1 KR0161210 B1 KR 0161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lifting
gas spring
blackboard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89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64979A (en
Inventor
장창호
Original Assignee
장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창호 filed Critical 장창호
Priority to KR1019960008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1210B1/en
Priority to JP9074872A priority patent/JPH1014690A/en
Publication of KR970064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9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1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1210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01Wall mounting or suspension arrangement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판서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승하강 개폐칠판에 관한 것으로, 승강균형수단(50)은 소정의 승강목적을 양옆의 수납공간(32)내에 1개의 기본도르레롤러와 다른 1개의 변환도르레롤러를 운동전달부재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승강변환단위체를 N회에 걸쳐서 반복적으로 일련구성하고, 상기 승강변환단위체 가운데서 최종회차의 승강변환단위체를 구성하고 있는 최말단의 변환도르레롤러(53)를 가스스프링(51)의 로드 일단부에 설치하므로서 상기 가스스프링(51)의 상하 신축작용과 응동될 때 상기 가스스프링(51)이 가용스트로크를 상기한 승강목적물의 실제이동거리의 (1/2)N배로 감축되도록 조정하는 기능을 보유토록 하므로서 가스스프링의 전체 스트로크 중에서 극히 일부만을 사용하도록 하여 칠판을 힘들이지 않고 승강시킬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ing opening and closing blackboard that can adjust the writing positio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elevating balancing means 50 converts a predetermined elevating purpose into one basic pulley roller and another one in the storage space 32 on both sides. A series of elevating conversion units formed by connecting the pulley rollers to the exercise transmission member is repeatedly formed N times, and the last transforming rollers 53 forming the final elevating conversion unit among the elevating conversion units are gas. (1/2) N of the actual moving distance of the lifting object when the gas spring 51 makes an available stroke when the gas spring 51 reacts with the vertical stretching action of the gas spring 51 by being installed at one end of the rod of the spring 51. It has the function of adjusting to double the ship, so that only a small part of the entire stroke of the gas spring can be used to lift and lift the board without effort. All.

그리고, 이 승강균형수단을 보조부재의 뒷쪽에 형성된 수납공간으로 간단히 설치될 수 있어 팩케이지되고 콤팩트한 제품을 생산, 유통시킬 수 있으며, 특히 설치가 간편해진다.In addition, the lifting balance means can be simply installed into the storage space formed on the back of the auxiliary member to produce and distribute a packaged and compact product, and in particular, the installation becomes simple.

Description

승하강 개폐칠판Elevation opening and closing blackboard

제1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1 to 8 show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도는 승강균형수단과 위치결정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정면도.1 is a partially cutaway front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lifting balance means and the positioning means are installed.

제2도는 본 발명의 보조부재를 분해시킨 상태 요부사시도.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assembled.

제3도는 승강목적물이 상승된 상태를 보인 요부도.3 is a main diagram showing the elevation of the lifting object.

제4도는 승각목적물이 하강된 상태를 보인 요부도.4 is a main diagram showing a state where the elevation object is lowered.

제5도는 승강균형수단의 개념적 구성을 보인 요부 장치도.5 is a main part diagram showing a conceptual configuration of the lifting balance means.

제6도는 승강목적물의 위치결정수단을 보인 일부분해 정면도.6 is a partial front view showing the positioning means of the lifting object.

제7도는 레버에 의한 위치결정수단의 동작상태를 보인 저면도.7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ositioning means by the lever.

제8도는 제6도의 요부 횡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메인칠판 20 : 틀체부10: main blackboard 20: frame body

30 : 보조부재 40 : 승강가이드수단30: auxiliary member 40: lifting guide means

50 : 승강균형수단 51 : 가스스프링50: lifting balance means 51: gas spring

53, 55 : 제 1, 2변환도르레롤러 56, 57 : 기본도르레롤러53, 55: 1st, 2nd conversion roller 56, 57: basic pulley roller

54, 58 : 제 1, 2운동전달부재 150 : 위치결정수단54, 58: first and second motion transfer member 150: positioning means

본 발명은 레일을 타고 좌우이동하거나 또는 1지점의 선회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한 각종의 개폐칠판을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판서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승하강 칠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칠판의 각 부분중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상하로 소정거리 만큼 실제로 승강시킬 수 있는 『메인칠판이 부착된 중앙틀체』 (이하 승강목적물이라고 칭함)를 짧은 행정을 갖는 실린더 타입의 가스스프링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승강 높이로 위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승하강 개폐칠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개폐칠판은 일종의 보조교육부재로서 그 동작상태를 기준으로 레일형과 같이 좌우로 직선운동되는 미닫이식, 힌지등에 의해서 1점을 축으로 회동하는 여닫이식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개폐방식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리켜 개폐칠판이라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ing blackboard having a variety of opening and closing blackboards that can be moved left and right by a rail or rotate about one pivotal axis, and which can adjust the writing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he center frame body attached to the main board (hereinafter referred to as "elevation object"), which can be actually lifted up and dow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s required by the user using a cylinder-type gas spring with a short stroke. It relates to a lift opening and closing blackboard to be adjusted to the position to the lifting height. The opening and closing blackboard is a kind of auxiliary education member, and is divided into a sliding type pivoting about one point by a sliding type, a hinge, etc., which is linearly moved left and right like a rail type based on its operation state. Point and open the blackboard.

종래, 판서용으로 사용하는 중앙의 메인칠판과 그 양옆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보조부재(또는 게시판)로 분할하고, 상기의 메인칠판 및 이 메인칠판을 지지하는 중앙틀체를 합쳐서 된 승강목적물의 중량과 같게 무게균형을 이루는 균형추를 설치하여 승강균형수단으로 채용한 것이 제안된 바 있다.Conventionally, the main object board used for writing is divided into auxiliary members (or bulletin boards) positioned at the borders on both sides thereof, and the weight of the lifting object obtained by combining the main board and the center frame supporting the main board. It has been proposed to equip the balance weights to achieve the same weight balance as the lifting balance means.

이러한 승하강 칠판의 선행기술은 판서위치가 불변인 일명 정치식(定置式) 칠판과 비교해 볼 때 장신이거나 단신의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중앙에 위치해 있는 승강목적물을 상, 하 방향으로 직접 승강시켜 가면서 판서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거나, 그밖에 O.H.P 기구를 사용하기 위한 보조배경막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도 조사각도(照射角度)나 조사거리 등을 조절시킬 필요에 따라서 승강목적물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등의 교육적, 상업적 효과를 향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ior art of the elevating blackboard is a tall or short user who directly elevates the elevating object located in the cente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s needed, compared to a stationary blackboard where the writing position is immutable. Even if the writing position can be freely adjusted or used as an auxiliary backdrop for using the OHP mechanism, the position of the lifting object can be adjust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adjusting the irradiation angle and the irradiation distance. In other words, it is intended to enjoy a commercial effect.

그러나 이와같은 선행기술은 그 기본적인 승강수단이 중량물인 균형추와 와이어로프의 이동거리의 상승적에 의한 힘의 모우멘트 방식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었다.However, this prior art has been composed of the moment of the force by the ascending of the moving distance of the balance weight and the wire rope, the basic lifting means are heavy.

따라서 승강목적물의 총 중량을 보조부재(게시판)뒷쪽의 수납공간에 위치하는 2개의 대향하는 평형추에서 각각 1/2씩 부담하여 승강목적물과 균형을 이루도록 형성하므로서 전체의 중량이 필요이상으로 많아지게되어 제작 및 이동, 설치작업시에 많은 불편을 초래하였던 것이다.Therefore, the total weight of the lifting object is borne by 1/2 each of two opposing counterweights located in the storage space behind the auxiliary member (bulletin board), so as to be balanced with the lifting object, so that the total weight becomes more than necessary. It has caused a lot of inconvenience during manufacturing, moving, and installation work.

또, 승강목적물을 소정위치로 변환시키는 경우, 정지시점에서 발생하는 정지에너지를 승강수단의 각 구성부분에 반동(反動)시키므로서 기구자체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도 있다는 우려를 낳게 되었다.Moreover, when converting a lifting objec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re is a concern that the life of the mechanism itself can be shortened by reacting the stop energy generated at the stop point to each component of the lifting means.

본 발명은 승하강 칠판의 상기 선행기술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승강목적물의 중량에 비하여 수배(數倍)범위의 압축하중을 보유하는 가스스프링에다가 가스스프링의 고유스트로크를 축소변화시키는 승강변환수단을 연계시켜서 가스스프링의 고유스트로크의 극히 일부만을 사용하면서도 상기 승강목적물을 얼마든지 원하는 이동거리 만큼 움직일 수 있도록 한 승강균형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적은 수납공간에서 그 설치가 이루어지게 함과 아울러, 아주 작은 외력을 가하는 것 만으로도 승강목적물을 쉽게 유동없이 움직일 수 있도록 된 승하강 개폐칠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solve the drawbacks of the prior art of the elevating board, the gas spring having a compressive load of several times the range of the lifting object is reduced to the inherent stroke of the gas spring By linking the elevating conversion means to configure the elevating balance means to move the elevating object as much as desired movement distance while using only a small part of the unique stroke of the gas spring, the installation is made in a small storage space 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n elevating opening and closing blackboard that can move the lifting object easily without flow even by applying a very small external force.

주지하는 바와 마찬가지로 가스스프링은 실린더 내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압축된 가스 〔주고 질소(N)가스〕에 의하여 힘이 발생되고, 가스스프링의 로드(Rod)가 이 압축된 질소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바깥방향으로 밀려나가게 되는 현상을 응용한 등속직선운동체이다.As is well known, the gas spring generates a force by the gas [given nitrogen (N) gas] compressed to a predetermined pressure in the cylinder, and the rod of the gas spring is moved outside by the pressure of the compressed nitrogen gas. It is a constant velocity linear body that applies the phenomenon of being pushed in the direction.

따라서 이러한 가스스프링만을 승강평형수단으로 채택할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가스스프링의 제원(諸元)이 승강목적물의 승강조건(예컨대 중량 및 이동거리)과 1:1의 평형조건을 가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승강목적물을 소정거리만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승강균형수단(또는 가스스프링) 역시 그와 동등한 스트로크를 이행(移行)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장신자와 단신자의 최대 신장편차를 600m/m로 정하고, 이를 상기 승강목적물의 최대이동거리로 하는 경우 가스스프링의 스트로크도 600m/m가 되어야 하며, 이 경우 가스스프링의 전체 스트로크를 전부 소비해야만 승강목적물의 최대이동거리 만큼 이행(移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adopting only such a gas spring as the lifting balance means, as a result, the specifications of the gas spring must be in the equilibrium condition of 1: 1 with the lifting conditions (for example, weight and moving distance) of the lifting object. In order to move the target objec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lifting balance means (or gas spring) was also required to perform the equivalent stroke. Therefore, from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mum extension deviation of the elders and the single person is set to 600m / m, the stroke of the gas spring should also be 600m / m in this case the maximum travel distance of the lifting object, and in this case Only when the entire stroke has been consumed is it possible to make the transition by the maximum travel distance of the lifting object.

따라서 로드가 압축될 때 그 스트로크의 시작점으로부터 종료점에 걸쳐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압축비를 갖는 가스스프링의 특성상 상기 승강목적물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로드의 수축길이에 비례하여 더 많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되는 불편이 뒤따르게 되었다.Therefore, when the rod is compressed, it is inconvenient to require more force in proportion to the contraction length of the rod in order to move the lifting object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gas spring having the compression ratio gradually increasing from the start point to the end point of the stroke. Was followed.

즉 스트로크의 시작점(로드가 완전히 상태)으로부터 스트로크의 종료점(로드가 완전히 수축된 상태)에 도달하기 까지 생성되는 압축비계수는 1.3 이며 시작점과 종료점간에는 결국 30%에 달하는 하중의 격차가 생기게 되므로, 칠판을 움직이는데 있어서 이러한 하중의 증가분을 칠판 사용자가 전적으로 감당해야 하는 만큼 실용적차원에서 그 하중의 부담을 경감시켜 주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게 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compression ratio coefficient generated from the start point of the stroke (completely loaded) to the end point of the stroke (completely retracted) is 1.3 and there is a 30% difference in load between the starting and ending points. As the board users must bear the increase of these loads in the movement, the necessity to reduce the burden of the loads becomes practic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처럼 큰 이동거리를 갖는 승강목적물을 1:1의 평형조건을 갖는 가스스프링을 이용하여 승강시키는 경우를 가정해 보면, 가스스프링이 완전히 신장된 상태의 길이는 총스트로크의 2배를 초과하는 길이(예컨대 1300m/m)가 되며, 이는 통상적인 칠판의 높이(1200m/m)를 벗어나게 되어 승강평형수단을 승하강칠판의 내부공간에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assuming that the lifting object having a large moving distance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evated by using a gas spring having an equilibrium condition of 1: 1, the length of the gas spring fully extended is 2 of the total stroke. It becomes a length exceeding a ship (for example, 1300 m / m), which is beyond the height of a conventional blackboard (1200 m / m), making it impossible to install the elevating balancing means in the inner space of the elevating blackboard.

만일 이러한 승강평형수단을 외부로 노출시킬 경우, 주위 환경조건에 취약점을 드러낼 것 임은 두말할 나위도 없으며, 별도의 설치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까닭에 칠판주변의 기설치물들과 간섭하게 되는 폐단이 생길 수 있고, 또 외관상으로도 아름답지 못하여 상품성이 저하되는 등의 결점이 뒤따르게 되는 것이다.Needless to say, exposing the lift balancing means to the outside will expose the vulnerabilities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since it occupies a separate installation space, it will interfere with the installations around the blackboard. It may occur, and it is not beautiful in appearance, resulting in defects such as deterioration of commerciality.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스프링의 압력비(K=1.3)에 관계없이 균일하고도 작은 힘만으로 승강목적물을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승하강 개폐칠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ing opening and closing blackboard which can move an elevating object in an up and down direction with a uniform and small force regardless of the pressure ratio (K = 1.3) of the gas spr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목적물의 최대 이동거리보다 작은 스트로크를 갖는 가스스프링을 이용해 승강균형수단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승하강 개폐칠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ing opening and closing blackboard to achieve an elevating balancing means using a gas spring having a stroke smaller than the maximum moving distance of the elevating objec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스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승강균형수단을 칠판의 수납공간내에 장착하여 콤팩트한 상태로 제작 및 유통될 수 있도록 한 승하강 개폐칠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ft opening / closing blackboard that can be manufactured and distributed in a compact state by mounting a lift balance means made of a gas spring in a storage space of a blackboard.

이한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강의실 등의 전방을 향하여 설치되는 메인칠판(10)과, 이 메인칠판(10)의 양옆으로 설치되는 수납공간(32)을 차폐하는 보조부재(30)와, 상기 각 구성부분중 소정의 승강목적물을 상하로 승강이동시키는 승강가이드수단(40)과, 상기 승강목적물이 승강가이드수단(40)에 의해 소정의 위치로 승강되어 그 위치를 유지토록 하는 승강균형수단(50)이 구비된 승하강개폐칠판에 있어서, 상기 승강균형수단(50)은 상기한 승강목적물 양옆의 수납공간(32)내에서, 1개의 기본도르레롤러와 다른 1개의 변환도르레롤러를 운동전달부재로 연결시켜서 이루어지는 승강변환단위체를 N회에 걸쳐서 반복적으로 일련구성하고, 상기 승강변환단위체 가운데서 최종회차(最終回次)의 승강변환단위체를 구성하고 있는 최말단의 변환도르레롤러(53)를 가스스프링(51)의 로드(52)일단부에 설치하여 상기 가스스프링(51)의 상하신축작용과 응동될 때 상기 가스스프링(51)의 가용스트로크가 상기한 승강목적물의 실제이동거리의 (1/2)N배로 감축 조정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in blackboard 10 installed toward the front of the lecture room and the like, an auxiliary member 30 for shielding the storage space 3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lackboard 10, and a predetermined one of the components Elevation guide means 40 for moving the elevating object up and down of the lifting object, and elevating balance means 50 for elevating the elevating object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elevating guide means 40 to maintain its position In the elevating opening / closing blackboard, the elevating balancing means 50 is an elevating device formed by connecting one basic pulley roller and another conversion pulley roller with an exercise transmission member in the storage spaces 32 on both sides of the lifting object. The final conversion pulley roller 53, which constitutes the last lifting lift conversion unit among the lifting conversion units, is repeatedly formed in series and repeated N times, and the gas spring 51 is loaded. (5 2) installed at one end so that the available stroke of the gas spring 51 can be reduced by (1/2) N times the actual travel distance of the lifting object when the gas spring 51 reacts with the vertical axis action of the gas spring 51;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여기서 N은 승강변환 단위체의 구성회수, 즉 행정(行程)운동변환회수를 나타내는 자연수(1,2......)이다.Where N is a natural number (1, 2, ...) representing the number of times of the lifting conversion unit, that is, the number of strokes of the movement conversion.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승강목적물을 메인칠판(10) 이거나, 또는 메인칠판(10)이 부착되는 중앙틀체(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object is made to include the main frame 10, or the center frame 21 to which the main board 10 is attach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부언하건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칠판(10)을 소정의 승강 높이로 이동시키더라도 2단(또는 2회)에 걸친 승강변환단위체의 구성(도르레 구성)에 의해 상기 가스스프링(51)은 그 1/4에 해당되는 길이의 스트로크만 동작되는 작동예가 기재되어 있으며, 이로써 보조부재(30)의 뒷쪽으로 한정된 크기로 형성되는 수납공간(32)에 상기 도르레롤러를 이용한 승강균형수단(50)을 수납시켜 팩케이지된 제품을 생산, 보급할 수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main blackboard 10 is moved to a predetermined lifting height, the gas spring 51 may be configured by a configuration (a pulley configuration) of two steps (or two). An operation example in which only a stroke corresponding to a quarter of the length is operated is described. As a result, the lifting balance means 50 using the pulley roller in the storage space 32 formed in a size limited to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member 30 is described. It is possible to produce and distribute packaged products by storing them.

도면에서 제1도는 틀체부(20)를 포함한 메인칠판(10)의 양측으로 위치되는 보조부재(30)뒷쪽의 수납공간(32)으로 승강균형수단(50)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1 shows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balance means 50 are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32 behind the auxiliary member 30 located at both sides of the main blackboard 10 including the frame part 20.

본 발명에서 승강균형수단(50)이 상기 승강목적물과 일체로 응동되기 위하여서는 제1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상기 가스스프링(51)의 몸체는 측부틀체(22)의 내측 일단부에 고정시키고, 로드(52)이 선단부는 자유상태로 상하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한다.In order to elevate the lifting balance means 50 integrally with the lifting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body of the gas spring 51 is fixed to an inner end of the side frame body 22, The rod 52 is installed so that the tip end can be freely moved up and down.

이 승강균형수단(50)은 수납공간(32)의 어느 1개소에만 설치하여도 무방하지만, 양측에 각각 승강목적물의 중량을 반분(半分)하도록 각각 1개소씩 설치하여 양측에서 균형을 이루도록 복수로 대칭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vating balancing means 50 may be provided only at any one of the storage spaces 32, but a plurality of elevating balancing means 50 are provided on each side so that the weight of the elevating object can be divided by half, so as to balance on both sides. It is preferable to install symmetrically.

전자(前者)의 경우에는 승강목적물의 중량이 1곳에 집중작용하는 까닭에 가스스프링(51)의 내부압축하중은 승강목적물의 중량의 2N배에 해당하는 크기의 것을 사용해야 하며, 후자(後者)의 경우에는, 상기 가스스프링(51)의 내부압축하중은 상기 승강목적물의 중량의 N배에 해당하는 크기의 것을 사용할 것이 요구된다.In the former case, since the weight of the lifting object is concentrated in one place, the internal compression load of the gas spring 51 should be about 2N times the weight of the lifting object. In this case, the internal compression load of the gas spring 51 is required to use a size corresponding to N times the weight of the lifting object.

상기 승강균형수단(50)의 수납공간(32)내에는, 중앙틀체(21)와 측면틀체(22)의 경계인접부에 슬라이드부재(42)가 포스트(41)에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승강가이드수단(40)을 설치하므로서, 상기 승강목적물이 원활하게 직선 이동하게 되는 데, 이때 슬라이드부재(42)의 내측에는 소정의 윤활부재를 설치하여 승강시 마찰계수를 최소화 하도록 배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torage space 32 of the elevating balancing means 50, the slide member 42 is guided to the post 41 at the boundary adjacent to the center frame 21 and the side frame 22 to move up and down. By installing the elevating guide means 40 made so that the lifting object moves smoothly and linearly,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predetermined lubrication member inside the slide member 42 to minimize the friction coefficient during the lifting. desirable.

이 윤활부재로는 상기 슬라이드부재(42)내측으로 설치되는 슬라이드베어링이나 리니어베어링등이 적합하다.As the lubricating member, a slide bearing, a linear bearing, or the like provided inside the slide member 42 is suitable.

상기의 승강균형수단(50)에서 제1, 2기본도르레롤러(57), (56)는 측부틀체(22)상에 고정상태로 설치되며, 제1, 제 2변환도르레롤러(55), (53)는 수납공간(32)내에 상하이동상태로 설치된다. 제1회차(또는 제1단계)의 승강변환단위체는 제 1기본도르레롤러(57)와 제1변환도르레롤러(55) 및 제 1운동전달부재(58)로 이루어지며, 제2회차(또는 제2단계)의 승강변환단위체는 제2기본도르레롤러(56)와 최말단의 제2변환도르레롤러(53) 및 제2운동전달부재(54)로 구성된다.In the elevating balance means 50, the first and second basic pull rollers 57 and 56 are installed on the side frame body 22 in a fixed state, and the first and second conversion pulley rollers 55 and ( 53 is installed in the shank east state in the storage space (32). The lifting conversion unit of the first turn (or the first step) is composed of a first basic pulley roller 57, a first transformed pulley roller 55, and a first motion transmitting member 58. Step 2) the lifting conversion unit is composed of a second basic pulley roller 56, the second end of the pulley roller 53 and the second motion transfer member (54).

상기 제2운동전달부재(54)는 일단이 측부틀체(22)상에 고정되고, 제2변환도르레롤러(53)와 하부측 제2기본도르레롤러(56)를 거쳐 그 타단이 제1변환도르레롤러(55)이 축지지부재(59)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토록 한다.One end of the second movement transmitting member 54 is fixed on the side frame body 22,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movement transmitting member 54 passes through the second conversion pulley roller 53 and the lower side basic pulley roller 56. The roller 55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aft support member 59.

그리고, 이 제2변환도르레롤러(53)는 가스스프링(51)의 로드(52)단부에 회동 자유롭게 설치하여 가스스프링(51)의 승강에 따라 제1변환도르레롤러(55)가 2배의 행정거리를 가지고 이동토록 설치하는 것이다.The second conversion pulley roller 53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rod 52 of the gas spring 51 so that the first conversion pulley roller 55 doubles as the gas spring 51 moves up and down. It is to be installed to move with distance.

상기 제1운동전달부재(58)는 측부틀체(22)의 상단에 고정된 상태로 제1변환도르레롤러(55)와 제1기본도르레롤러(57)를 거쳐 승강가이드수단(40)의 슬라이드부재(42)에 고정된다.The first movement transmitting member 58 is a slide member of the elevating guide means 40 via the first conversion pulley roller 55 and the first basic pulley roller 57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ide frame body 22. It is fixed at 42.

또, 상기 제1변환도르레롤러(55)의 이동거리의 2배에 해당하는 행정거리로 상기 슬라이드부재(42)가 상하 이동될 수 있는 데, 상기 슬라이드부재(42)가 메인칠판(10)에 고정 설치된 상태이므로 상기 메인칠판(10)은 제1변환도르레롤러(55)의 2배 행정으로 상하 승강되는 것이다. 도르레롤러의 직경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경우, 각각의 회전비를 비교해 보면, 제 1 기본도르레롤러(57)의 회전비를 1로 할 때 제 1 변환도르레롤러 및 제 2 기본도르레롤러(56)의 회전비는 1/2, 제 2 변환도르레롤러(53)의 회전비는 1/4이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lide member 42 may be moved up and down at a stroke distance corresponding to twice the moving distance of the first conversion pulley roller 55, and the slide member 42 is moved to the main blackboard 10. Since the main blackboard 10 is fixedly installed is to be moved up and down by a double stroke of the first conversion pulley roller 55. Assuming that the diameters of the pulley rollers are the same, comparing the rotational ratios, when the rotational ratio of the first basic pulley roller 57 is 1, the rotation ratio of the first conversion pulley roller and the second basic pulley roller 56 is The rotation ratio of 1/2 and the 2nd conversion pulley roller 53 becomes 1/4.

따라서, 상기 가스스프링(51)의 이동거리를 1로 볼 때 , 승강목적물인 상기 메인칠판(10)은 4배의 거리로 이동된다.Therefore, when the moving distance of the gas spring 51 is 1, the main board 10, which is the lifting object, is moved at a distance of four times.

이러한 수치를 감안하면 메인칠판(10)의 승강높이를 600m/m로 설정할 경우, 상기 가스스프링(51)의 실제 스트로크는 600/4=150m/m이므로, 이론상 적어도 150m/m 이상의 스트로크를 갖는 가스스프링(51)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되지만 실제로는 보다 커다란 스트로크를 갖는 가스스프링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Considering these values, when the lifting height of the main blackboard 10 is set to 600 m / m, since the actual stroke of the gas spring 51 is 600/4 = 150 m / m, the gas having a stroke of at least 150 m / m or more in theory. Although the spring 51 may be selected and used, it is better to select a gas spring having a larger stroke in practice.

그 이유는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목적중의 하나가, 가스스프링이 갖는 전체스트로크중의 극히 일부의 스트로크 만을 사용하도록 하는데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as described above, one of the most important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only a small part of the stroke of the entire stroke of the gas spring.

이를 가스스프링의 로드신축작용과 관련하여 다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가스스프링의 로드가 외력을 받아 점진적으로 수축할수록 압력비의 증가에 따른 반력(反力)도 점차 증가하게 된다.This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spect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action of the gas spring, in general, as the rod of the gas spring is gradually contracted by the external force, the reaction force is gradually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pressure ratio.

따라서 가스스프링의 전체스트로크를 전부 소비하도록 이루어진 기술구성에서는 가스스프링의 전체압력비(K=1.3)에 따른 외력의 중가분을 사용자가 전부 감당할 수밖에 없으므로 자연히 승강목적물을 반부하측으로부터 부하측으로 움직이는 데는 힘이 들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체스트로크의 일부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스트로크가 좀더 큰 가스스프링을 쓰거나 또는 승강변환단위체의 구성회차(N)를 늘려서 행정변환폭을 증가시키므로서 가스스프링의 가행스트로크를 더욱 단축시키는 방안도 검토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in the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consumes the entire stroke of the gas spring, the user has to bear the total weight of the external force according to the total pressure ratio (K = 1.3) of the gas spring. There is no choice but to lift it. Therefore, the use of gas springs with larger strokes to increase the stroke length of the lifting conversion units to increase the stroke length, so that the stroke of the gas springs can be further reduced. There will be.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승하강개폐칠판에서는 상기 메인칠판(10)의 승강 위치를 보조부재(30)의 위치와 일치되도록 고정하는 위치결정수단(150)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elevating opening and closing bla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itioning means 150 for fixing the lifting position of the main blackboard 10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member (30).

상기 위치결정수단(150)은 중앙틀체(21)에 부착되는 지지판(151)과, 이 지지판(151)에 회동 가능하게 축핀(153)이 힌지 결합되는 레버(152)와, 상기 레버(153)과 결합요소(154)로 결합되어 레버(152)이 회동조작에 따라 측부틀체(22)의 경계위치로 연장되어 대칭되게 응동되는 한쌍의 봉부재(155), 이 봉부재(155)의 양 끝에 일단이 힌지설치되어 지지대(157)의 중심핀(158)을 축으로 링크동작되는 링크부재(156)와, 이 링크부재(156)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는 로크핀(160)과, 상기 로크핀(160)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159) 및, 상기 로크핀(160)이 걸려지도록 상기 보조부재(30)와 메인칠판(10)의 높이가 일치되는 위치 내지는 이 위치의 상부 및 하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걸림공(171)(172)(173)을 각각 다단계로 형성한 수직후레임(170)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positioning means 150 includes a support plate 151 attached to the center frame 21, a lever 152 hingedly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151, and a lever 153. And a pair of rod members 155 coupled to the coupling element 154 so that the lever 152 extends to the boundary position of the side frame body 22 and rotates symmetrically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operation, both ends of the rod members 155. A link member 156 having one end hinged to link the center pin 158 of the support 157 to an axis, a lock pin 160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link member 156, and the lock pin. Spring 159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160 and the height of the auxiliary member 30 and the main blackboard 10 so that the lock pin 160 is caught, or a predetermined interval at the top and bottom of this position It consists of a vertical frame 170 formed in multiple stages of the engaging holes 171, 172, 173, respectively.

상기 틀체부(20)는 학교 및 강의실등의 전방에 위치되어 그 내부로 메인칠판(10) 및 보조부재(30)를 고정하거나, 이동을 안내토록 지지하는 외곽틀체로서, 이 틀체부(20)는 중앙에서 메인칠판(10)을 고정시킨 상태로 그 상, 하단을 지지하는 중앙틀체(21)와, 이 중앙틀체(21)의 양측에서 보조교육용 각종 보조부재(30)들을 지지하는 측부틀체(22)로 구분되며, 그 경계에서 분리되어 중앙틀체(21)가 상, 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frame part 20 is located in front of the school and classroom, etc. to fix the main blackboard 10 and the auxiliary member 30 therein, or to support the movement to guide the frame body, the frame part 20 The main frame 10 is fixed to the main board 10 in the center of the center frame body 21 to support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side frame body for supporting various auxiliary members 30 for auxiliary education on both sides of the center frame body 21 ( 22), and separated from the boundary, the center frame 21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상기 메인칠판(10)의 양측에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부틀체(22)에 고정지지되거나 동작되는 각종의 보조부재가 위치된다.On both sides of the main blackboard 10, as shown in FIG. 8, various auxiliary members fixed to or supported by the side frame body 22 are located.

개폐칠판으로도 불리우는 위치변동가능한 보조부재는 좌우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보조부재(30b)를 일컫는다.The position changeable auxiliary member, also called an open / close blackboard, refers to a slide auxiliary member 30b that slides from side to side.

제 8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칠판(10)의 양측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드보조부재(30b)가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중앙틀체(21) 및 측부틀체(22)에는 레일(13)이 설치되게 된다.As shown in FIG. 8, the rails 13 are provided in the center frame 21 and the side frame body 22 so that the slide assisting member 30b can be moved in parallel while being positioned at both sides of the main blackboard 10. Will be installed.

따라서, 강의실등의 전방 양측에 고정되는 측부틀체(22)로부터 수평하게 메인칠판(10)쪽으로 슬라이드 보조부재(30b)들을 이동시킬 수가 있는 것이며, 이 측부틀체(22)의 사이에 위치되는 중앙틀체(21)는 필요시 승강가이드수단(40)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Accordingly, the slide auxiliary members 30b can be moved horizontally from the side frame body 22 fixed to both front sides of the lecture room toward the main blackboard 10, and the center frame body positioned between the side frame bodies 22. 21 is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by the elevating guide means 40 when necessary.

그리고, 슬라이드 보조부재(30b)가 메인칠판(10)의 전방면으로 슬라이딩 될 때 중앙틀체(21)와 측부틀체(22)의 높이를 일치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위치결정수단(150)이 설치되는 것이다.Then, the positioning means 150 is installed as a means for matching the height of the center frame body 21 and the side frame body 22 when the slide auxiliary member (30b) is sli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lackboard (10). .

따라서, 슬라이드 보조부재(30b)가 레이을 따라 슬라이드 동작되어 최적의 교육위치에서 교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slide auxiliary member 30b is operated to slide along the ray so that the slide assisting member 30b can be trained at the optimum training position.

즉, 메인칠판(10)을 사용자의 신체조건(키높이)에 따라 원하는 높이로 승강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강의하는 과정에서 필요에 의해 메인칠판(10)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슬라이드 보조부재(30b)를 중앙으로 옮겨서 사용코자 할 때, 중앙틀체(21)와 측부틀체(22)의 높이를 맞추어 레일수준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위치결정수단(150)에 의하여 위치고정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main blackboard 10 can be used by elevating it to a desired height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key height), and the slide auxiliary member 30b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main blackboard 10 as necessary in the course of lectures is centered. When moving to use, the position of the center frame body 21 and the side frame body 22 is to be fixed by the positioning means 150 in the state of matching the rail level.

이로서 슬라이드보조부재(30b)가 레일면을 따라 궤도이동하면서 중앙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보조부재(30b)의 전방에는 고정의 보조부재(30a)가 배치되게 된다. 이 보조부재(30a)는 메모용게시판 등으로 활용할 수도 있고 단순히 수납공간(32)을 가려주는 차폐수단 만으로 이용해도 무방하다.As a result, the slide assisting member 30b can move toward the center while orbitally moving along the rail surface. A fixed auxiliary member 30a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lide auxiliary member 30b. The auxiliary member 30a may be used as a memo bulletin board or the like, or may be simply used as a shielding means that covers the storage space 32.

이 위치결정수단(150)의 구성은 제6도 내지 제7도에서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is positioning means 150 is shown in detail in FIGS. 6 to 7.

제6도에 의하면, 중앙틀체(21)의 주로 하부측에 사용자의 손이 닿기 좋은 위치로 레버(152)를 외측으로 노출시킨 상태로 설치하여, 이 레버(152)의 회동조작으로 양측으로 각각 다단에 걸쳐서 메인칠판(10)의 위치를 변경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로크핀(160)이 걸림공(171)(172)(173)에 걸려지는 구성을 보이고 있다.According to FIG. 6, the lever 152 is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user's hand is easily accessible to the lower side of the center frame 21 in a state where the lever 152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lever 152 is rotated to both sides. Lock pin 160 has been shown to be caught in the engaging holes 171, 172 (173) to be fix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lackboard 10 over multiple stages.

이때, 레버(152)는 중앙틀체(21)의 대략 중앙측에 지지판(151)으로 결합되는 데, 중앙틀체(21)는 속이 빈 단면의 찬넬형상의 합성수지 및 알루미늄 압출물로 그 내부로 축핀(153)이 레버(152)와 연결된 상태로 위치되고, 상기 중앙틀체의 길이 방향으로 봉부재(155)가 연장되어 측부틀체(112)의 대략 경계부위치까지 설치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lever 152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151 on the approximately center side of the center frame 21, the center frame 21 is a hollow cross-section of the channel-shaped synthetic resin and aluminum extrusions into the shaft pin ( 153 is positioned in connection with the lever 152, the rod member 155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frame body to be installed to the approximately boundary position of the side frame body 112.

그리고, 레버(152)의 회전 조작으로 봉부재(155)가 응동하여 대칭되게 외측으로 벌어지거나 내측으로 오므라지는 신축동작을 위하여 결합요소(154)에 의해 축핀(153)과 봉부재(155)를 힌지 결합하게 된다.Then, the shaft pin 153 and the rod member 155 by the coupling element 154 for the stretching operation that the rod member 155 is symmetrically spread outwardly or contracts inwardly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152. Hinged.

제3도는 이 결합요소(154)의 일실시예로 봉부재(155)와 축핀(153)을 핀(154a)으로 힌지 결합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3 illustrates, as an embodiment of this coupling element 154, hinge coupling the rod member 155 and the shaft pin 153 with the pin 154a.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레버(152)를 회동시킬 때, 레버(152)에 연결된 축핀(153)이 함께 회동되며 봉부재(155)를 각각 양측에서 결합시킨 핀(154a)이 위치 이동되므로, 이 위치이동 거리와 상응하는 접선거리로 상기 한쌍의 봉부재(155)가 대칭되게 동작되는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lever 152 is rotated, the pin 153 connected to the lever 152 is rotated together, and the pins 154a for coupling the rod members 155 on both sides are moved. The pair of rod members 155 are symmetrically operated at a tangential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movement distance.

상기 봉부재(155)의 양끝에는 지지대(157)의 중심핀(158)을 축으로 링크동작되는 링크부재(156)가 힌지 결합된다.Both ends of the rod member 155 are hinged to the link member 156 which links the center pin 158 of the support 157 to the axis.

또, 이 링크부재(156)의 타단에는 로크핀(160)이 스프링(159)에 의해 탄력 지지된 상태로 힌지결합된다.In addition, the lock pin 160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link member 156 while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159.

따라서, 상기 봉부재(155)가 레버(152)의 회동으로 대칭되게 직선운동할 때, 이 봉부재(155)의 말단부에 힌지 결합된 링크부재(156)가 시이소오와 같은 링크운동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로크핀(160)이 상기 수직후레임(170)에 형성된 걸림공(171)(172)(173)들에 걸려지거나, 또는 걸림이 해제되도록 동작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rod member 155 linearly symmetrically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152, the link member 156 hinged to the distal end of the rod member 155 performs a link movement such as a seesaw. As a result, the lock pin 160 is engaged with the locking holes 171, 172, 173 formed in the vertical frame 170, or is operated to release the locking.

상기 수직후레임(170)은 보조부재(30)들의 후면으로 설치되어 상기 링크부재 (156) 및 로크핀(160)등의 출몰동작이 외부에서는 관찰되지 않도록 구성된다.The vertical frame 170 is installed to the rear of the auxiliary member 30 is configured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link member 156 and the lock pin 160 is not observed from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수직후레임(170)에 다단계로 형성된 걸림공(171)(172)(173)들 중에 중간위치에 형성되는 걸림공(172)은 상기 메인칠판(10)과 보조부재의 높이가, 다시말해서 중앙틀체(21)와 측부틀체(22)의 레일수준이 같게 되도록 설계하여, 슬라이드되는 보조부재(30b)를 메인칠판(10)의 전방면위치로 수평이동 시켜놓고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ocking hole 172 formed at an intermediate position among the locking holes 171, 172 and 173 formed in multiple stages in the vertical frame 170 has the height of the main blackboard 10 and the auxiliary member again. In other words, the rail frame of the center frame body 21 and the side frame body 22 is designed to be the same, and the auxiliary member 30b to be slid is horizontally moved to the front surface position of the main board 10 so as to be used.

또한, 메인칠판(10)과 보조부재(30)의 높이를 일치시키는 지점의 걸림공(172)외에도 그 상부측과 하부측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다른 걸림공(171)(173)을 형성하므로서, 이 걸림공(171)(173)에 로크핀(160)이 걸려지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보조부재(30b)를 메인칠판(10)의 전방면으로 1차로 수평 이동시켜 중첩시킨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다시 2차 이동시켜서 희망하는 위치에 놓고 보조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 locking hole 172 at the point where the height of the main blackboard 10 and the auxiliary member 30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other locking holes 171 and 173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By locking the locking pins 160 to the locking holes 171 and 173, the slide auxiliary member 30b is first horizontally mov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ard 10 to be horizontally overlapped, and the vertical direction is increased. The secondary member can be moved back to the desired position and used in the desired position.

실험에 의하면, 상기 걸림공(171)(172)(173)들의 간격은 약 30cm 내외가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According to the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engaging holes 171, 172, 173 is about 30 cm.

한편, 레버(152)의 회동에 의해 로크핀(160)을 걸림공(171)(172)(173)들로부터 이탈시키면 메인칠판(10)의 승강이 자유롭게 되는 데, 로크핀(160) 이 걸림공(171)(172)(173)들의 걸림위치로부터 어긋난 상태로 승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후레임(170)에는 로크핀(160)의 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이동 안내토록 가이드홈(170a)을 상기 걸림공(171)(172)(173)사이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ock pin 160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holes 171, 172, 173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152,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main blackboard 10 is free, and the locking pin 160 is locked. The guide frame 170a is moved to the vertical frame 170 in a state where the end of the lock pin 160 is fitted in the vertical frame 170 to prevent the elevator from being lifted from the locking position of the (171), 172, and 173. It is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ver the engaging holes (171, 172, 173).

이와같이 로크핀(160)이 걸림공(171)(172)(173)들의 위치에 끼워 걸려지면 메인칠판(10)의 승강되거나 상, 하로 유동되지 못하고 위치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As such, when the lock pin 160 is fitted to the positions of the engaging holes 171, 172, 173, the main board 10 is not lifted or moved up and down, thereby fixing the position.

한편, 상기 메인칠판(10)은 그 형상이 평면형과, 중앙이 오목히 만곡되게 성형되는 곡면형으로 구분되는 데, 본 발명에 의한 승강위치결정장치를 실시함에 있어서는 어떤 형태의 것을 선택하여도 무방하며, 다만 피교육자의 시각적 피로의 감축효과면에서 곡면형이 선호되고 있을 따름이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blackboard 10 is divided into a planar shape and a curved shape that is formed to be concave in the center, the shape of the elevating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lected in any form. However, the curved surface type is preferred in terms of the reduction effect of the visual fatigue of the trainee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이 단수 또는 복수개의 가스스프링을 택일적으로 승강목적물에 취부하여 일체로 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그 구성부품수를 크게 감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등속이동운동을 가능하게 하여 그 동작이 정숙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mount the single or plural gas springs to the elevating object as an alternative, and to integrally rotate the same, so that the number of components can be greatly reduced, and the constant velocity movement The operation can be made quietly.

또, 소형으로 작은 스트로크를 갖는 가스스프링으로도 큰 하중과 균형을 유지할 수 있어 승강 동작 후, 정지시에 그 정지에너지를 본체에 반동시키지 아니하므로 승강장치를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even a gas spring having a small size and a small stroke can maintain a large load and balance, and since the stop energy is not recoiled to the main body at the time of stopping after the lifting operation, the lifting device can not be damaged.

그리고, 이 승강균형수단을 보조부재의 내부로 형성된 수납공간으로 간단히 설치할 수 있어 팩케이지되고 콤팩트한 제품을 생산, 유통시킬 수 있으며, 특히 설치가 간편해진다.In addition, the elevating balance means can be simply installed into the storage space formed inside the auxiliary member, so that a packaged and compact product can be produced and distributed, and in particular, the installation becomes simple.

또한, 본 발명은 중앙의 칠판과 그 양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보조부재(30b)의 높이를 일치시키는 작업이 일회의 조작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matching the height of the slide assisting member 30b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blackboard and the two sides can be done quickly and accurately in one operation.

따라서, O.H.P등을 이용한 영상교육시에는 O.H.P의 위치에 상응하여 슬라이드 보조부재(즉 미닫이식개폐칠판)의 위치를 상하좌우로 조정할 필요가 큰 만큼. 상기한 승강목적물을 승강시켜 측부틀체와 일치시켜 레일면의 수준을 평활하게 유지시킨 상태에서 영상교육용 슬라이드 보조부재를 메인칠판의 전방에 위치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슬라이드 보조부재가 한시적으로 승강목적물의 범위에 포함되어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video education using O.H.P, etc.,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lide auxiliary member (ie sliding sliding door) up, down, left and righ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O.H.P. The slide auxiliary member is temporarily raised and lowered in the range of the lifting object only by positioning the slide auxiliary member for image education in front of the main board while keeping the level of the rail surface smooth by raising and lowering the lifting object. It is included to be able to adjust the position in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이처럼 메인칠판(10)과 슬라이드 보조부재(30b)의 높이가 일치되는 위치를 포함하여, 메인칠판(10)이 상승된 높이, 또는 하강된 상태로 각각 다단계로 착탈 자재하게 위치 고정시킬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In addition, including the positions where the heights of the main blackboard 10 and the slide auxiliary member 30b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main blackboard 10 may be fixed in a multi-stage detachable position in an elevated height or a lowered state, respectively. It is such a very useful invention.

Claims (2)

강의실 등의 전방을 향하여 설치되는 메인칠판(10)과, 이 메인칠판(10)의 양옆으로 설치되는 수납공간(32)을 차폐하는 보조부재(30)와, 상기 각 구성부분중 소정의 승강목적물을 상하로 승강이동시키는 승강가이드수단(40)과, 상기 승강목적물이 승강가이드수단(40)에 의해 소정의 위치로 승강되어 그 위치를 유지토록 하는 승강균형수단(50)이 구비된 승하강 칠판에 있어서, 상기 승강균형수단(50)은 상기 승강목적물 양옆의 수납공간(32)내에서, 기본도르레롤러와 변환도르레롤러를 운동전달부재로 연결시켜서 이루어지는 승강변환단위체를 N회에 걸쳐서 반복적으로 일련구성하고, 상기 승강변환단위체 가운데서 최종회차의 승강변환단위체를 구성하고 있는 최말단의 변환도르레롤러(53)를 가스스프링(51)의 로드(52)일단부에 설치하여 상기 가스스프링(51)의 상하신축작용과 응동될 때 상기 가스스프링(51)의 가용스트로크가 상기한 승강목적물의 실제이동거리의(1/2)N배로 감축조정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개폐칠판.(N은 승강변환 단위체의 구성회수, 즉 운동변환회수를 나타내는 자연수)An auxiliary member 30 for shielding the main blackboard 10 installed toward the front of the lecture room or the like, the storage space 3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lackboard 10, and a predetermined lifting object among the components. The elevating board 40 having elevating guide means 40 for elevating and moving up and down, and elevating balancing means 50 for elevating and elevating the elevating objec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elevating guide means 40. In the above, the elevating balancing means 50 is repeatedly connected to the elevating conversion unit formed by connecting the basic pulley roller and the conversion pulley roller to the motion transfer member in the storage space 32 on both sides of the lifting object repeatedly over N times. And a final conversion pulley roller 53 constituting the last conversion lifting unit among the lifting conversion units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rod 52 of the gas spring 51 to Who act shaft and elevating opening and closing the board,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to adjust the available stroke is (1/2) N-fold reduction of the desired product a lifting of the actual movement distance of the gas spring 51 when the responsive. (N is elevated The number of components of the conversion unit, that is, the natural number representing the number of motion convers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스프링(51)은 질소가스를 압축성유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개폐칠판.The elevating opening and closing blackboar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as spring (51) uses nitrogen gas as a compressible fluid.
KR1019960008931A 1996-03-28 1996-03-28 Ascent/descent and opening/shutting blackboard KR01612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8931A KR0161210B1 (en) 1996-03-28 1996-03-28 Ascent/descent and opening/shutting blackboard
JP9074872A JPH1014690A (en) 1996-03-28 1997-03-27 Lifting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8931A KR0161210B1 (en) 1996-03-28 1996-03-28 Ascent/descent and opening/shutting blackboa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979A KR970064979A (en) 1997-10-13
KR0161210B1 true KR0161210B1 (en) 1998-12-01

Family

ID=19454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8931A KR0161210B1 (en) 1996-03-28 1996-03-28 Ascent/descent and opening/shutting black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121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685B1 (en) * 2021-03-23 2021-09-10 소영순 Manual Elevating Blackboard with Improved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677B1 (en) * 2007-08-08 2009-01-13 주식회사 포스코 Locking apparatus of caliber roll in rolling mil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685B1 (en) * 2021-03-23 2021-09-10 소영순 Manual Elevating Blackboard with Improved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979A (en)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2839A (en) Container
US4790611A (en) Adjustable work surface
US7134442B2 (en) Umbrella
US4585212A (en) Lift device of the scissor-jack type
US5365636A (en) Apparatus for closing sliding doors
US8177174B2 (en) Monitor lift mechanism
KR0161210B1 (en) Ascent/descent and opening/shutting blackboard
JPH11502600A (en) Linear force actuators or related improvements
US6547216B1 (en) Multiple balls supported push actuator
US20090048041A1 (en) Vertically adjustable backboard
CN208323306U (en) A kind of height and the adjustable workbench of area
EP0337558B1 (en) Partition wall consisting of double-walled panels coupled pivotally to each other
FI86509B (en) TRAENINGSANORDNING.
KR100232862B1 (en) An ascent and descent blackboard
CN209984869U (en) Multifunctional fitness equipment
KR0159077B1 (en) Ascent and descent blackboard
KR0123185Y1 (en) Opening and shutting blackboard of ascent and descent
CN107792090B (en) Cover plate turnover mechanism and train operation platform with it
CN209073733U (en) The shoe chest of adjustable shoe rack
CN209422840U (en) Power-assisted chair regulating mechanism
KR970064494A (en) Ascending and descending board
EP1074686B1 (en) A movement and balancing mechanism for vertical sliding doors
KR100329399B1 (en) Lifting apparatus for blackboard
JPH09179503A (en) Elevator mechanism for moving display board
KR100193453B1 (en) Black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