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0759B1 - 전동 유압공구 - Google Patents

전동 유압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0759B1
KR0160759B1 KR1019890012806A KR890012806A KR0160759B1 KR 0160759 B1 KR0160759 B1 KR 0160759B1 KR 1019890012806 A KR1019890012806 A KR 1019890012806A KR 890012806 A KR890012806 A KR 890012806A KR 0160759 B1 KR0160759 B1 KR 0160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pump
tool
hydraulic
motor
fl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2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395A (ko
Inventor
타다시 야수이
마사유키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스에마츠 켄 쇼오
닙뽄덴치가부시끼 가이샤
이즈미 쥰지
가부시끼 가이샤 이즈미 세이기 세이사구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에마츠 켄 쇼오, 닙뽄덴치가부시끼 가이샤, 이즈미 쥰지, 가부시끼 가이샤 이즈미 세이기 세이사구쇼 filed Critical 스에마츠 켄 쇼오
Publication of KR900015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0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075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동 유압공구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동 유압공구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전동 유압공구의 모터 내지 캠 크랭크기구를 나타낸 요부를 단면으로 한 구조도.
제3도는 제2도의 캠 크랭크기구의 종단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제1도 전동 유압공구의 유압펌프부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단면도.
제6도는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전동 유압공구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전동유압공구 2 : 구동기구
3 : 유압펌프부 4 : 공구헤드
9 : 휴대용 전지 15 : 모터
22 : 캠 크랭크 기구 48 : 가동다이스
58 : 고정다이스 70 : 압착단자
71 : 소형전지
본 발명은 전선을 접속하기 위한 압착단자나 슬리브를 압지하는 등의 전기설비공사에 사용하는 것으로, 특히 휴대할 수 있는 전지를 전원으로하여 구동시키는 전동 유압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을 부설하는 등의 전기 설비공사에서는 전선을 접속하려고 압착단자나 슬리브를 압지하고 또 전선을 절단하는 각종 유압공구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상기한 종류의 유압공구로서는 지상 등에 엔진 또는 모터로서 구동되는 유압펌프를 설치해 놓고 그 유압펌프와 가선의 부설등 높은 장소에서 작업하는 장업자가 갖는 공구헤드와의 거리를 내압호스로 접속하는 형서의 것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형식의 유압펌프는 지상 등에 설치한 유압펌프로부터 내압호스를 연결시켜 높은 장소등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손에 있는 공구헤드에 유압을 급속하고 그 공구헤드에 의하여 슬리브를 압지하여 전선의 상호간을 접속시키는 등의 전기설비공사를 하는 것이다.
본출원인에 있어서도 이 종류 형식의 유압공구로서 일본국 특허원 소화60-13912호(공개특허공보 소화61-173866호)와 같은 공구를 이미 제안하였다.
또 유압펌프를 내장한 파지형식의 유압공구도 알려진 바 있다. 이 유압펌프 내장형 유압공구는 작업자가 조작레버를 번복하여 손으로 눌러서 조작하는 것으로 유압펌프의 플랜저를 왕복시키어 이것에 의하여 공구헤드가 압착단자를 압자하여 전선을 접속하는 등의 전기설비공사를 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유압공구중 전자의 것에 있어서는 별도로 설치하는 유압펌프와 높은 장소 등 다른 장소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갖는 공구헤드와의 사이를 내압호스로 접속하는 형식이므로 내압호스가 작업의 방해요소가 되고, 또 내압호스로 인하여 작업자의 이동이 힘들며 작업장소를 바꿀 때 마다 중량있는 별도로 설치된 유압펌프도 운반하여야 하는 일이 자주 있어 작업성이 대단히 불량한 것이다.
한편, 후자의 유압공구는 내압호스등 작업할 때 방해되는 것은 없으나 압착단자 등을 압지하기 위해서는 공구헤드에 강한 압력을 요하게 되며, 이에 따라 조작레버를 조작하는 힘도 그다지 작지는 않기 때문에 작업회수가 많아질수록 작업자에게 필가 가중되는 등의 심각한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별도 설치된 유압펌프와 높은 장소등 별도 떨어진 위치의 작업장소에 있는 공구헤드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내압호스나 전원코드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작업성이 대단히 양호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이동도 전혀 제약받는 일 없이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취급상 편리성있는 전동 유압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 것이며, 휴대용 전지를 전원으로하여 모터를 구동시키어 구동기구에 의하여 편심축울 회동시키면 그 편심축은 플랜저와 일체인 감입부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편심축의 회동에 따라 플랜저가 왕복운동하여 유압펌프부를 동작시키고 공구헤드의 고정자에 대하여 가동자를 가동시키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전동 유압공구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5도는 전동 유압공구(A)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부호 1은 플라스틱 케이스, 부호 2는 구동기구, 부호 3은 유압펌푸브, 부호 4는 공구헤드이다.
플라스틱 케이스(1)의 파지부 하단에는 코넥서(5)가 있으며, 상기 코넥터(5)에 접속코드(6)의 플러그(7)를 삽입하도록 되어 있고, 접속코드(6)의 다른 단은 플로그(8)에 의하여 휴애용 전지(9)에 접속하도록 되어 있으며, 휴대용 전지(9)는 A.C 에뎁터 겸용 충전기(10)로 수시 충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휴대용 전지(9)는 숄더벨트(11)가 취부되어 있으며, 그 숄더벨트(11)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어깨에 걸치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코넥터(5)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스위치(12)를 개재시키어 코드(13)(14)에 의하여 구동기구(2)의 모터(15)에 접속시키고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12)는 리턴스프링(16)에 의하여 탄성력을 갖는 트리거(17)를 조작하면 온,오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동기구(2)는 모터(15)와 모터(15)의 출력축(15a)에 연결한 감속기(18)로서 이루어지고 감속기(18)는 태양기어(18a)와 상기 태양기어(18a)에 치합되는 3개의 유성기어(18b)와 각 유성기어(18b)가 치합되는 내치기어(18c)로서 이루어지는 주지 구성의 유성기어 장치를 3단 조합한 것이다. 감속기(18)의 출력단에는 캠 크로랭크기구(22)의 편심축(19)을 취부하도록 되어 있다. 이 취부는 최종단의 유성기어장치(18b)가 회동되게 지지되는 링형상의 기판(20)의 스플라인 구멍(21)에 편심축 일단의 스플라인부(19a)를 끼워맞춤으로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편심축(19)은 회동되게 지지되어 있고, 한쪽의 축받이(23)는 감속기(18)의 케이싱(18d)에 취부되어 있으며, 또 다른 쪽의 축받이(24)는 캠 크랭크기구(22)의 케이싱(22a)에 취부되어 있다.
케이싱(22a)은 유압펌프부(3)에 고정, 설치하고 또 상기 모터(15), 감속기(18) 및 캠 크랭크 기구(22)는 상기 플라스틱 케이스(1)내에 고정시키어 두는 것은 물론이다. 편심축(19)의 편심축부(19c)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니들 베어링(25)을 개재시키어 캠플랜저(26)의 링 형상의 감입부(26a)에 끼워 넣어 결합 되어 있다. 니들 베어링(25)는 편심축부(19c)에서 캠플랜저(26)의 감입부(26a)에 전달되는 동력이 크기 때문에 편심축부(19c)와 감입부(26b)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캠플랜저(26)의 플랜저부(26b)는 유압펌프부(3)의 제1실린더실(27)내에 왕복 운동되게 결합 되어 있다. 유압펌프부(3)는 플라스틱 케이스(1)내에 고정 되어 있으며,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28)의 후부에 오일 탱크(29)가 있으며, 상기 오일 탱크(29)가 오일 필터(30) 및 역지변(31)이 개재된 공급로(32)로서 제1실린더실(27)내에 연통 시키고 있다.
또 제1실린실(27)는 공급로(33) 및 역지변(34)을 거쳐 제2실린더실(35)내에 연통 되고 제2실린더실(35)내에 피스톤(36)을 장착 한다. 제1실린더실(27)의 내경과 제2실린더실(35)의 내경과의 비율은 캠플랜저(26)에 의한 제1실린더실(27)의 유압에 대하여 제2실린더실(35)의 유압이 소망하는 수치, 즉 설정 출력치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제2실린더실(35)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규제변 겸용 강제복구기구(37)가 개재된 복귀로(38)를 거치어 상기의 오일탱크(29)내에 연통시키고 있다. 압력규제변 겸용 강제복구기구(37)는 장착구멍(39)내에 왕복운동 자유자재되게 결합되어 복귀로(38)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스템(40)이 있으며, 또 장착구멍(39)의 구멍입구에 나사결합된 조절나사(41)의 밸브스템(40)과의 사이에 압력 규제용 스프링(42)을 개재 시키고 있다.
상기 압력규제용 스프링(42)은 조절나사(41)의 나사결합 위치를 변경시키므로서 밸브스템(40)에 대한 탄성 부가세력을 조절하고 밸브스템(40)이 개방되는 압력치, 즉 압력단자의 압지등 가공시에 피스톤(36)에 가해지는 압력치가 미리 설정한 수치를 초과하려 할 때에 밸브스템(40)이 개방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밸브스템(40)은 조절나사(41)의 관통구멍으르 왕복운동자유자재로 삽통시키고 있다. 조절나사(41)은 록크너트(43)를 체결시키어 조절위치를 잠그도록 되어 있다. 밸브스템(40)의 기단에는 강제반환레버(44) 선단의 판홈(44a)을 끼워 넣어 더블너트(45)로 빼낼 수 없게 취부되며, 강제반환레버(44)는 실린더(28)에 대하여 □자형상의 레버받이금구(46)에 회전운동되게 축받이한다.
상기 피스톤(36)의 선단에는 취부구멍(47)이 있으며 취부구멍(47)에 공구헤드(4)중 가동자로서의 가동다이스(48)의 자루(48a)를 착탈되게 끼워 넣고 스프링 및 강구로서 되는 크리크스톱퍼기구(49)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가동다이스(48)의 자루(48a)에는 크리스스톱퍼기구(49)의 강구를 받는 요홈부(48b)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린더(28)의 두부에는 실린더헤드(50)를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며, 실린더헤드(50)와 피스톤(36)과의 사이에는 리턴스프링(52)을 개재시키고 있다. 실린더(28)의 선단면에는 적당한 간격을 두고 2개의 핀(63)을 끼워 설치한다. 한편 실린더헤드(50)의 나사구멍에 정지나사(64)를 나사결합 시켜두고 각 핀(63)을 정지나사(64)와 맞닿게 하므로서 실린더(28)에 대한 실린더헤드(50)의 자유회동을 180도 정도로 규제하고 있다. 실린더헤드(50)에는 □자 형상의 요크(53)를 회동에 의하여 개폐되게 축받이 시키고 있으며, 요크(53)의 다른단과 실린더헤드(50)에 설치한 정지구멍(54)(55)에 슬라이딩핀(56)을 착탈되게 꽂아 넣어 요크(53)의 패쇄위치를 잠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요크(53)에는 취부구멍(57)이 있고, 이 취부구멍(57)에는 가동다이스(48)와 동일하게 공구헤드(4)의 고정자로서의 고정다이스(58)의 자루(58a)를 꽂아 넣어 크리크스톱퍼기구(59)에 의하여 착탈,자유자재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실린더(28)에는 키링훅(60)을 나사결합하고 키링축(60)에 키링(61)이 취부된다.
키링(61)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숄더밸트(62)를 취부하도록 되어 있고 제4도에성의 부호 65-67 및 제5도에서의 68은 각각 오링이며 제5도에서의 69는 절연커버이다.
다음은 상기 구성의 전동식 유압공구(A)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사용에 즈음하여서는 숄더밸트(11)(62)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휴대용전지(9) 및 전동 유압공구(A)를 어깨에 매고 작업장소를 향하여 이동하는데 이때 휴대용 전지(9)와 전동 유압공구(A)와의 사이에는 접속코드(6)로 접속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요크(53)를 오픈하던가 제1도에 도시하는 압착단자(70)를 가동다이스(48)와 고정다이스(58)와의 사이에 삽입하고 트리거(17)를 조작하여 가동다이스(480)를 고정다이스(58)로 향하여 보내고 일단 압착단자(70)를 찌그러지지 않을 정도로 또 낙하불능하게 가동다이스(48)와 고정다이스(58)와의 사이에서 협지한다. 상기에서 트리거(17)를 조작하였을 때에는 마이크로스위치(12)가 온(ON)하면 휴대용전지(9)에서 접속코드(6)를 통하여 모터(15)에 전기 공급되어 상기 모터(15)가 구동하고 또 감속기(18)를 통하여 편심축(19)이 회동한다. 편심축(19)의 편심축부(19c)에는 캠플랜저(26)의 감입부(26a)가 끼워져 있으므로 인하여 편심축(19)의 회동에 따라 캠플랜저(26)가 왕복동작, 즉 피스톤운동을 하고 이것에 의하여 오일탱크(29)로부터 오일필터(30) 및 역지변(31)을 통하여 제1실린더실(27)내에 오일을 흡입하고 또 역지변(34)를 통하여 제2실린더실(35)에 압송된다.
상기 제2실린더실(35)내에 오일이 급압됨에 따라 피스톤(36)이 이동되고 가동다이스(48)가 고정다이스(58)를 향하여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가동다이스(48)와 고정다이스(58)사이에 압착단자(70)를 고정시킨후, 그 압착단자(70)에 접속할 전선을 삽입하고 이어서 트리거(17)를 조작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모터(15)를 구동시키면 감속기(18)를 통하여 캠플랜저(26)가 피스톤운동을 하고 이것에 의하여 유압펌프부(3)를 동작시키어 가동다이스(48)를 압송하고 압착단자(70)를 가동다이스(48)와 고정다이스(58)로서 압지한다. 압착단자(70)의 압지가 종료도면 제2실린더실(35)내에 오일이 압송되어도 가동다이스(48)가 가동하지 않게 되므로 인해서 제2실린더실(35)내의 유압이 상승하고 압력규제변 겸용 강제반환기구(37)의 밸브스템(40)이 압력규제용 스프링(42)의 탄성 부가세력에 대항하여 개방되고 압력규제용 스프링(42)에 의한 설정치를 넣는 유압분 만큼 제2실린더실(35)부터 오일탱크(29)에 오일을 반환시킨다.
따라서 입착단자(70)의 압지 종료시에는 트리거(17)을 온(ON) 조작하고 있어도 가동다이스(48)가 압착단자(70)을 압지하지 않고 수위 공(空)작동을 한다. 이것에 의하여 전선 상호간은 접속한다. 그 후 강제변환레버(44)를 조작하여 압력규제용 스프링(42)의 탄성 부가세력에 대항하여 밸브스템(40)을 끌어올리면 복귀로(38)가 개방되므로 피스톤(36)이 리턴스프링(52)의 탄성 부가세력으로 귀환동작을 하고 이것에 따라 제2실린더실(35)내의 오일이 복구로(38)를 거쳐 오일탱크(29)내애 유입한다. 다음에 요크(53)를 열고 압착단자(70)의 압지로 상호간이 접속된 전선에서 전동유압공구(A)를 분리하면 전기설비작업이 종료된다.
상기 가동다이스(48) 및 고정다이스(58)는 접속할 선재의 지름 또 압착단자(70)의 종류나 기타의 사용할 접속부분의 종류에 따라 교환한다. 도 실린더헤드(50)나 요크(53) 등 공구헤드(4)의 모두도 커터 등의 용도에 따라 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휴대용 전지(9)가 사용에 의하여 소모 되었을 때에는 상용 전원이 A.C어댑터 겸용 충전기에 의해 휴대용 전지(9)를 충전하여 재사용한다. 또 상용 전원이 비교적 간단하게 얻어지는 장소에서의 전기설비 작업이라면 A.C어댑터 겸용 충전기(10)의 출력케이블(10a)를 직접 전동 유압공구(A)의 코넥터에 접속하여 상용 전원으로부터 A.C어댑터 겸용 충전기(10)를 거쳐 모터(15)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A.C어댑터 겸용 충전기(10)는 A.C어댑터로서 이용하는 것이다.
제6도는 전동유압공구(A)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전동유압공구(A)의 파지부 하단에 충전을 위하여 착탈되도록 한 소형전지(71)를 취부토록 하고 상기 소형전지(71)로부터 제1실시예의 마이크로스위치(12)를 거쳐 모터(15)에 전기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기타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전동유압공구에 의하면 전기설비공사에 즈음하여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쥐고 있는 공구헤드와 지상에 설치되는 엔진 또는 모터로 구동되는 유압펌프와의 사이를 내압호스 등의 접속부재로 접속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를 내압호스 등의 접속부재로 인해 작업자의 이동이 제약을 받는 일이 없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으며, 작업성이 대단히 양호하며, 더구나 종래의 펌프내장의 유압공구에 있어서와 같은 고출력임에 따라 유압펌프 조작레버의 조작력이 커져서 작업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피로도가 높아지고 조작레버의 조작이 힘들어진다는 일이 없으며, 핸디형식이고 또 고출력의 것이라 하여도 대단한 조작노력이 강요되는 일이 없이 사용이 대단히 편리하다.

Claims (1)

  1. 공구헤드(4)의 고정자에 대하여 공구헤드(4)의 가동자를 가동시키기 위한 유압펌프부(3)와, 상기 유압펌프부(3)에 부설되고 유압펌프부(3) 입력단을 왕복운동하는 플랜저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15) 및 감속기(18)를 구비한 구동기구(2)와, 유압펌프부(3)의 플랜저와 구동기구(2) 출력단의 회전축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플랜저 일단에 일체적으로 설치한 링 형상의 감입부(26a)를 가지고, 구동기구(2)의 회전축에 편심축(19)을 연결하며 편심축(19)을 플랜저의 감입부(26a)에 회동되도록 끼워 설치되는 캠크랭크기구(22)와, 구동기구(2)의 모터(15)에 전기, 공급하기 위한 휴대용 전지(9)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유압공구.
KR1019890012806A 1989-03-31 1989-09-05 전동 유압공구 KR01607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785489U JPH02130769U (ko) 1989-03-31 1989-03-31
JP1989-37854 1989-03-31
JP89-37854 1989-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395A KR900015395A (ko) 1990-10-26
KR0160759B1 true KR0160759B1 (ko) 1998-12-15

Family

ID=12509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2806A KR0160759B1 (ko) 1989-03-31 1989-09-05 전동 유압공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2130769U (ko)
KR (1) KR01607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7031B2 (ja) * 1990-11-30 1997-06-04 日本電池株式会社 変速機構付電動圧着工具
US5553478A (en) * 1994-04-08 1996-09-10 Burndy Corporation Hand-held compression tool
JP2976090B2 (ja) * 1994-12-09 1999-11-10 力夫 西田 油圧工具のヘッドとそれを装着した油圧工具
JP6909523B1 (ja) * 2020-12-17 2021-07-28 慎介 浦田 ケーブルの端子圧着工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508520U1 (de) * 1985-03-22 1986-07-17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Elektrisch betriebene Handwerkzeugmaschine mit einem abnehmbaren Gehäusete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395A (ko) 1990-10-26
JPH02130769U (ko) 199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1681A (en) Motor driven hydraulic tool
US5195354A (en) Cam crank mechanism and motor driven hydraulic tool
US8919176B2 (en) Hydrodynamic tool, a hydraulic pump and a mechanism for transforming a rotary motion into an oscillating translation motion for such a tool
US7267198B2 (en) Portable electric grease gun
US20070256554A1 (en) Hydraulic tool with wobble plate transmission
CN101435531B (zh) 用螺旋活塞与单螺杆泵相结合应用的双向电动黄油枪
KR0160759B1 (ko) 전동 유압공구
US7726950B2 (en) Fluid supply unit having an integral pressure generator and pressure booster
JP5495717B2 (ja) 取り外し可能なホース組立体を備える電気油圧プレス装置
US20230120099A1 (en) Portable hand-held hydraulic tools
AU2013334470B2 (en) Hydraulically actuated tool and valve assembly therefor
EP2043821A1 (de) Handwerkzeugmaschine mit einer schlagwerkeinheit
US5032067A (en) Lubricating - oil pump control
CN106106033A (zh) 油量供给调节装置及链锯润滑油自动供给系统
JP2529023Y2 (ja) 油圧工具のカムクランク機構
JPH04210386A (ja) 自動変速機構付電動圧着工具
KR100993313B1 (ko) 그리스 주입장치
CN107971559A (zh) 一种高功重比全电夹持装置
EP3053705B1 (en) Power unit and electric tool
CN213352264U (zh) 一种液压扳手
CN212900863U (zh) 一种电动黄油枪
CN220857186U (zh) 一种液压钳
CN217030736U (zh) 电池包内置式黄油枪
US20100064676A1 (en) The Operation of a Pressure Generator
KR102658310B1 (ko) 유압 구동부를 이용한 포터블 전선 절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