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0608B1 - 비트고정에 의한 가변장부호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트고정에 의한 가변장부호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0608B1
KR0160608B1 KR1019920003330A KR920003330A KR0160608B1 KR 0160608 B1 KR0160608 B1 KR 0160608B1 KR 1019920003330 A KR1019920003330 A KR 1019920003330A KR 920003330 A KR920003330 A KR 920003330A KR 0160608 B1 KR0160608 B1 KR 0160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oding
coefficients
block
blocks
coeffic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3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028A (ko
Inventor
홍민석
Original Assignee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진구
Priority to KR1019920003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0608B1/ko
Publication of KR930019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0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06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가변장부호화방법 및 장치는 이산여현변환에 의한 압축방식에 있어서, 화질에 영향을 많이 끼치는 계수순으로 부호화가 이루어지도록 부호화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소정의 부호화단위로 인가되는 디지털영상신호에 대하여 복수의 블록단위로 나누어 이산여현변환한 계수를 양자화하기 위한 양자화과정; 양자화과정에서 양자화된 이산여현변환계수중 DC계수를 복수의 블록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부호화하기 위한 DC부호화과정; DC부호화과정이 완료되면, 부호화단위내의 복수의 블록을 각각 지그재그스캔하여 각 블록에 있어서 DC계수 다음의 AC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AC계수를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부호화하기 위한 제1AC부호화 과정; 제1AC부호화과정이 완료되면, 복수의 블록에 대하여 그 다음의 지그재그스캔에 의하여 검출되는 AC계수를 블록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부호화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반복과정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부호화중단시 대부분 고주파 성분이 부호화되지 않으므로 화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트고정에 의한 가변장부호화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종래의 가변장부호화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장부호화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
제3도는 DCT변환에 따른 블록내의 성분분포도.
제4도는 양자화된 DCT계수의 일예와 이에 따른 종래의 가변장부호화 순서 및 본 발명에 따른 가변장부호화순서를 도시한 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색신호 분리 및 블록분할수단
20 : DCT(Discrete Cosine Transform)기
30 : 양자화기
40 : DPCM(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기
50 : 지그재그스캔수단 60 : 연속영길이(Zero Run Length) 부호화기
70 : 가변장부호화기 80,80' : 제어부
90 : AC 전용부호화기 91 : FLU(Fixed Length Unit)버퍼
본 발명은 영상압축방식에 있어서 비트고정에 의한 가변장부호화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호화순서를 제어하여 출력비트량 고정에 의한 화질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가변장부호화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압축방식은 기록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인가되는 영상을 압축하는 것으로, 국제표준화기구인 JPEG(Joint Photography Expert Group)에서는 DCT가변장부호화방식을 압축표준화방식으로 권고하고 있다. DCT가변장부호화방식은 화상의 복잡성에 따라 출력되는 비트량을 가변시켜 부호화하는 것으로, 화상의 복잡도가 높으면 출력되는 비트량이 많고 화상의 복잡도가 낮으면 출력되는 비트량이 적게 된다.
이로 인해 기록매체에 기록시 화상이 복잡한 경우에는 출력되는 비트량이 많기 때문에 그 다음의 화상이 실리는 영역까지 기록되게 될 뿐 아니라 이와 같이 기록된 경우에는 일반 재생시에도 정상적인 재생이 이루어지지 않고 고속서치나 특수재생시에는 더욱 큰 문제가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부호화단위당 출력되는 비트에 대한 허용비트량을 설정하여 출력비트량을 고정시킬 필요가 있었다.
이로 인하여 비트량을 고정시키는 기술들이 대거 발표되었다.
제1도는 종래의 비트고정에 의한 가변장부호화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로서, 이를 통해 종래의 가변장부호화에서의 비트고정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색신호분리 및 블록분할수단(10)는 인가되는 R, G, B 색신호를 Y, R-Y, B-Y의 신호로 변환하고 소정의 블록단위로 블록을 분할한다. 보통은 8×8방식으로 블록을 분할하나 여기서는 4×4방식으로 블록을 분할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이 분할된 블록은 매크로 블록단위로 부호화를 할 수 있도록 DCT기(20)로 인가된다. 이때 매크로 블록(Macro Block) 단위가 4:1:1인 경우에는 휘도신호에 해당되는 4개의 4×4블럭을 순차적으로 부호화를 하고 나머지 두 색차신호에 대하여 각각 1개의 블록을 부호화하는 것을 하나의 부호화단위로 한다.
DCT(20)기는 상술한 6개의 블록을 한 단위로 하여 순차적으로 블록데이타가 인가되면, 블록내의 각 화소간의 상관성에 따라 직교변환하여 각 화소가 갖고 있는 성분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즉 다음과 같은 변환식에 의하여 변환을 한다.
여기서, C(u), C(v) =1/√2 (u, v0)
f(i, j) : 공간영역의 입력화소
F(u, v) : 변환영역의 DCT계수
DCT 변환에 따른 블록내의 성분들에 대한 분포는 제3도와 같이 이루어진다. 즉 DC성분으로부터 멀수록 계수는 고주파성분이며, 가까울수록 저주파성분이다. 그리고 인간의 시각특성상 저주파성분의 계수가 화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DCT변환된 값의 크기도 고주파에 비해 월등히 크게 나타난다.
양자화기(30)는 DCT기(20)로부터 인가되는 DCT 계수를 ISO/CCITT에서 추천하는 양자화행렬값과 양자화 정수(SF)에 의하여 선형양자화한다. 즉 양자화간격 Q(u, v)는 양자화행렬 (QM(u, v))×양자화인수(SF, Scale Factor)로 제어된다. 여기서 양자화행렬은 인간의 시각특성을 감안하여 저주파성분이 고주파성분에 비해 간격이 소밀하도록 되어 있다. 이처럼 양자화는 상술한 부호화단위내의 복수의 블록에 대하여 각 블록단위로 양자화를 행한다.
제어부(80)는 양자화기(30)에서 양자화된 블록내의 DC계수는 DC전용 부호화기인 DPCM기(40)로 인가되도록 하고 AC계수는 AC전용부호화기(90)로 인가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이에 따라 제어용스위치(SW)는 스위칭 되어 양자화기(30)에서 인가되는 신호가 DC계수인 경우에는 기준접점(S0)을 제1접점(S1)에 접속하고, AC계수인 경우에는 기준접점(S0)을 제2접점(S2)에 접속한다.
즉 제4(a)도와 같이 양자화된 DCT계수가 양자화기(30)에서 출력될 때 우선 블록A에 대한 DC 및 AC계수가 출력된 뒤 블록 B 및 C, D의 양자화된 DCT계수가 각각 출력된다.
예를 들어 블록A의 DC값인 4가 양자화기(30)에서 출력될 때에는 제어용스위치(SW)는 제1접점(S1)에 접속되어 다음단의 DPCM기(40)로 출력되고, 블록의 마지막 AC계수가 출력될 때까지 제어용스위치(SW)는 제2접점에 접속된다. 이하 블록에 대하여서 마찬가지로 동작된다.
DPCM기(40)는 DC계수에 대한 전용부호화기로서 DC값이 인가되면 DC값이 갖는 이웃 블록간의 상관성을 고려하여 부호화를 한다. 즉 바로 전의 DC값과 다음 블록의 DC값의 차에 의한 예측오차를 부호화한다.
또한 부호화된 예측오차와 부호화대상이 된 원래의 값을 구분할 수 있는 부가비트를 예측오차와 함께 다음의 가변장부호화기(70)로 출력한다.
부가 비트가 인가되는 것을 공지된 바와 같이 예측오차값을 소정의 분류로 나누어 적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 부류마다 오차의 발생확률값이 다르므로 부가 비트를 이용하여 실질적인 값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4도를 통해 좀더 살펴보면, DPCM기(40)로 인가되는 DC계수는 제4(a)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4, 6, 5, 2이다.
그러나 DPCM에 의한 예측부호화로 가변장부호화기(70)로 인가되는 DC계수는 제4(c)도와 같이 4, 2, -1, -3이 된다. 여기서 부가 비트를 생략하기 위하여 오차값만 표현한다.
한편 AC전용 부호화기(90)는 1블럭(블럭A)의 DC값이 인가된 후, 바로 제어용스위치(SW)의 제2접점을 통해 상술한 DC계수 이후의 AC계수인 5부터 0까지의 데이터를 지그재그스캔(Zig-Zag Scanning)부(50)로 인가한다. 지그재그스캔부(50)는 인가된 제4(a)도와 같은 블록의 형태를 AC계수에 한하여 제4(b)도와 같이 2차원 배열을 하여 출력한다.
이하 블록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동작한다. 여기서 제4(b)도의 지그재그스캔 결과에서는 제4(c) 및 (d)의 가변장부호화순서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DC계수를 포함시켰다.
연속영길이(Zero Run Length) 부호화기(60)는 지그재그스캔수단(50)에서 출력된 양자화된 DCT계수에서 0이 연속될 경우에 연속되는 0의 개수를 계수하고 그 다음에 존재하는 0이 아닌 AC계수를 표기하므로서 그 다음에 오는 AC계수의 블록내에서의 위치를 알려준다. 즉 예를 들어 제4(a)도의 블록A에 대한 제4(b)도의 블록A의 경우에 2차원으로 배열된 수 중 4번째에 위치한 1이 연속영길이부호화기(60)로 인가되면, 제4(c)와 같이 (1/1)로 부호화되어 가변장부호화기(70)로 출력된다.
즉 (/)을 중심으로 표기된 숫자는 연속되는 영의 개수이고 하단에 표기된 숫자는 실질적인 AC계수이다. 이와 같이 부호화된 값은 제4(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다음 단의 가변장부호화기(70)로 출력된다.
가변장부호화기(70)는 제4(c)와 같은 순서로 인가되는 DCT계수를 상술한 바와 같은 허용비트수(또는 목표비트수나 할당비트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부호화를 행하고 초과하는 DCT계수에 대한 부호화는 중지하고 다음의 부호화단위내의 블록에 대하여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부호화를 행한다. 그러나 이 때 화상의 복잡도가 심하여 가변장부호화기(70)로 인가된 DCT계수가 할당된 비트수를 많이 초과한 경우에는 부호화가 중단되어, 부호화되지 못하는 블록들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제4(c)에서 C블럭의 (1/1)지점이 허용비트수에 도달하는 지점일 경우에는 (0/-1)지점부터 D영역의 (1/1)지점까지는 부호화가 중지되고 바로 D영역의 EOB지점을 부호화한 뒤 다음의 블럭단위에 대한 부호화를 제어하게 되므로 D영역의 부호화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부호화순서에 의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블록단위의 DCT계수가 부호화되지 않으면 전체적인 화면에서 블록현상이 두드러지게 발생되어 화질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부호화단위 내의 복수의 블록에 대한 부호화순서가 부호화단위내의 블록의 순서를 반복적으로 회전하면서 블록내의 계수의 성분별로 이루어지도록 부호화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비트고정에 의한 가변장 부호화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정의 부호화단위 내의 복수의 블록에 대한 부호화순서가 허용비트에 도달할 때까지 DC계수를 블록의 순서에 따라 부호화한 뒤 지그재그스캔에 의한 각 블록의 0이 아닌 AC계수들을 블록의 순서에 따라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부호화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비트고정에 의한 가변장부호화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영상신호를 압축하기 위한 이산여현변환의 가변장부호화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부호화단위로 인가되는 상기 디지털영상신호에 대하여 복수의 블록단위로 나누어 이산혀현변환한 계수를 양자화하기 위한 양자화과정; 상기 양자화과정에서 양자화된 이산여현변환 계수중 DC계수를 상기 복수의 블록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부호화하기 위한 DC부호화과정; 상기 DC부호화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부호화단위내의 복수의 블록을 각각 지그재그스캔하여 각 블록에 있어서 상기 DC계수 다음의 AC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AC계수를 상기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부호화하기 위한 제1AC부호화 과정; 상기 제1AC부호화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복수의 블록에 대하여 그 다음의 지그재그스캔에 의하여 검출되는 AC계수를 상기 블록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부호화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반복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영상신호를 압축하기 위하여 이산여현변환의 가변장 부호화를 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산여현변환에 의한 계수를 소정의 블록단위로 선형양자화하기 위한 양자화기; 상기 양자화기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부호화단위내의 복수의 블록의 양자화된 이산여현변환계수 중 DC값만을 블록순서에 따라 예측부호화하기 위한 DC전용부호화기; 상기 양자화기에서 출력되는 상기 복수의 블록에 대하여 상기 DC값에 가장 가까운 AC계수부터 블록순서에 따라 블록간의 회전을 반복하면서 순차적으로 검출하여 부호화하기 위한 AC전용부호화기; 상기 소정의 부호화단위에 대한 가변장부호화의 허용비트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DC전용부호화기에서 출력되는 상기 DC계수의 예측오차값을 부호화한 뒤, 상기 AC전용부호화기에서 출력되는 상기 AC계수들을 부호화하기 위한 가변장 부호화기와; 상기 AC전용부호화기를 제어하여 상기 양자화기에서 출력되는 복수블럭에 대한 DC 및 AC계수의 순서를 상기 가변장부호화기에서 이루어지는 부호화순서대로 상기 가변장부호화기로 인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장부호화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로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영상신호로 이루어진 R, G, B 색신호가 인가되면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로 분리하고 분리된 휘도신호와 색차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사이즈로 블록을 분할하기 위한 색신호분리 및 블록분할수단(10)과, 색신호분리 및 블록분할수단(10)에서 출력되는 블록단위의 신호를 2차원 이산여현변환하기 위한 DCT기(20)와, DCT기(20)에서 출력되는 DCT계수가 인가되면 약정된 양자화행렬과 양자화정수에 의하여 선형양자화하기 위한 양자화기(30)와, 양자화기(30)에서 출력되는 신호중 DC계수에 대한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예측부호화하기 위한 DPCM기(40)와, 양자화기(30)에서 출력되는 양자화된 DCT계수에서 AC계수에 대한 부호화를 하기 위한 AC전용부호화기(90')와, 양자화기(3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기준접점에 접속하고 DPCM기(40)의 입력단을 제1접점에 접속하고 AC전용부호화기(90')의 입력단에 제2접점을 접속한 제어용스위치(SW)와, 제어용 스위치(SW)의 스위칭을 제어하고 AC계수의 부호화순서를 제어하기 위하여 AC전용부호화기(90')의 제어신호입력단에 출력단을 접속한 제어부(80')와, DPCM기(40)의 출력단과 AC전용 부호화기(90')의 출력단에 입력단을 접속한 가변장부호화기(70)로 구성된다. 여기서 AC전용부호화기(90')은 AC전용부호화기(90')의 입력단을 통해 블록내의 AC계수영역의 정보가 인가되면 지그재그방법으로 스캔하기 위한 지그재그스캔수단(50)과, 지그재그스캔수단(50)의 출력단에 입력단을 접속하고 제어부(80')의 출력단에 제어신호입력단을 접속한 고정길이 단위버퍼(91)와, 고정길이단위버퍼(91)의 출력단에 입력단을 접속하고 가변장부호화기(70)의 일측 입력단에 출력단을 접속한 연속영길이 부호화기(60)로 구성된다.
제3도는 DCT변환에 따른 블록내의 분포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4도는 양자화된 DCT계수의 예시도와 이에 따른 종래의 가변장부호화순서 및 본 발명에 따른 가변장부호화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로서, (a)는 양자화된 DCT계수이고, (b)는 지그재그스캔 결과이고, (c)는 종래의 가변장부호화순서이고, (d)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장부호화순서이다.
그러면 제2도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색신호분리 및 블록분할수단(10)과 DCT기(20), 양자화기(30) 및 DPCM기(40) 및 가변장부호화기(70)는 공지된 기술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인가되는 R, G, B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색신호분리 및 블록분할수단(10)에서 Y, R-Y, B-Y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임의의 사이즈로 분할하여 출력한다. 이때 색차신호는 저역통과여파기(도면에 예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신호간의 앨리어싱(Aliasing)의 발생을 방지한 후, 수평과 수직의 각 방향으로 2:1 부표본화 한다.
DCT기(20)는 인가되는 블록의 순서에 따라 블록내의 저주파 및 고주파성분들의 분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2차원 직교변환하여 출력한다. 양자화기(30)는 DCT기(20)에서 분포성분이 분석된 DCT계수값이 제3도와 같은 분포도를 갖고 인가되면 양자화행렬값과 양자화인수에 의하여 선형양자화를 한다. 이때 양자화행렬값은 상술한 제1도의 설명에서와 같이 저주파성분이 고주파성분에 비해 양자화간격이 소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과정은 하나의 부호화단위인 매크로 블록단위로 이루어진다. 즉 여기서 매크로블럭단위가 상술한 제1도에서와 같이 4:1:1이라 하면 4개의 휘도신호에 대한 소정사이즈의 블록이 양자화까지 이루어진 뒤, 그 다음의 두 색차신호에 대한 블록이 각각 1개씩 양자화가 이루어지고, 그 다음의 부호화단위에 해당되는 블록을 상술한 비율로 부호화를 행할 수 있도록 제어용스위치(SW)는 양자화기(30)에서 출력되는 양자화된 DCT계수를 제어부(80')에 의해 제어되어 DPCM기(40) 및 AC전용 부호화기(90')로 각각 전달한다. 즉 제1도와 같이 DC계수는 DPCM기(40)로 전달하고 AC계수는 AC전용부호화기(90')로 전달한 것으로 제1도에서와 같이 이루어진다.
DPCM기(40)는 종래와 같이 DC계수전용부호화기로서, 인가되는 DC계수에 대하여 인접 블록단의 예측부호화를 행하여 다음의 가변장부호화기(70)로 출력한다. 예측부호화결과는 제4도의 (c), (d)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이전 블록과 현재 블록간의 차값이 된다. 즉 제4(a)도의 블록A∼D에서 DC계수는 각각 4, 6, 5, 2가 된다. 그러나 예측부호화를 거치게 되면 각각 4, 2, -1, -3이 된다.
한편 AC전용 부호화기(90')는 제어용스위치(SW)로부터 인가되는 각 블록단위의 AC계수를 지그재그스캔수단(50)을 통해 종전과 같이 지그재그스캔하여 2차원배열로 출력한다. 즉 제5(a)도의 블록의 형태를 제5(b)와 같이 배열하여 출력한다.
고정길이단위버퍼부(90')는 지그재그스캔수단(50)에서 출력되는 지그재그스캔 결과를 제어부(80')에 제어되어 블록단위내의 블록순서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각 블록마다 0이 아닌 AC계수의 출력순서를 동일하게 배열하여 출력한다. 즉 제4(a)도와 같이 4개의 블록을 하나의 부호화단위로 할 경우에, 우선 각 블록에 대해서 0이 아닌 첫 번째 AC계수가 먼저 출력되도록 배열하고, 두 번째 0이 아닌 AC계수가 출력되도록 배열하는 등 이와 같은 기준으로 각 블록에 대한 출력되는 AC계수의 순서를 제어하여 출력시킨다. 이 때 제4(a)도의 블록B와 같이 0이 아닌 AC계수가 다른 블록에 비해 별도 존재하지 않을 때(이 경우는 아주 간단한 화상의 경우이다), AC계수가 존재할 때까지 부호화를 하고 존재하는 AC계수가 없을 때부터는 제외시키고 부호화를 행한다. 다시 말해서 제4(a)도의 블록B의 경우에는 DC계수이후 0이 아닌 AC계수가 한 개뿐이므로 블록A에서 블록D까지 링과정으로 회전하는 블록의 순서에서 두 번째 AC계수dp 대한 부호화시 블록B의 마지막을 알리는 EOB를 부호화한 뒤 세 번째 AC계수부호화시 블록B는 건너 뛰도록 부호화를 한다.
연속영길이부호화기(60)는 고정길이단위버퍼부(90')에서 출력되는 AC계수중 0이 아닌 AC계수만을 출력시키면서 블록내에서의 AC계수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연속되는 영의 숫자를 계수하여 함께 다음단의 가변장부호화기(70)로 출력한다.
따라서 가변장부호화(70)는 제4(d)와 같은 순서로 우선 DPCM기(40)에서 출력된 DC계수를 부호화한 뒤, 연속영길이계수부(60)로부터 출력되는 0이 아닌 AC계수를 부호화한다. 그리고 가변장 부호화는 상술한 제1도에서와 같이 미리 설정되어 있던 허용비트수에 도달할 때까지 부호화를 하고 허용비트수가 넘으면 그 다음에 인가되는 계수에 대해서는 종전과 같이 강제적으로 부호화를 하지 않는다. 여기서는 상술한 고정길이버퍼(91)에서 이루어진 AC계수의 배열에 의하여 제4(d)에 있어서 뒤로 갈수록 계수의 성분이 고주파성분이므로 강제적인 부호화중지 시에는 DC성분은 우선적으로 부호화를 행하였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 각 블록에서의 고주파성분들이 부호화중지의 대상이 되므로 화질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부호화된 정보에 대한 복호화는 부호화된 순서에 따라 각 블록의 DC계수를 복호하여 각 블록의 제3도의 위치로 복원시킨 뒤, AC계수도 각 블록순서에 따라 복호하여 연속영길이 보호화의 복호화에 따라 각 블록에 복호되는 위치에 의해 각 블록의 원 위치로 복원된다.
복호화시 블럭의 끝을 알리는 부호가 복호될 때 그 블록의 이후 계수는 0으로 채우고 다음 복호화시 부호화시와 같이 제외시키고 복호화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정의 블록단위에 대한 가변장부호화시 출력비트량을 고정시킬 경우 부호화순서를 화질에 영향을 많이 끼치는 계수순으로 부호화를 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출력비트량 고정에 따라 설정된 허용비트수의 초과로 인하여 강제로 부호화를 정지할 때 화질에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는 고주파성분의 계수만이 부호화되지 않으므로 화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디지털영상신호를 압축하기 위한 이산여현변환의 가변장부호화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부호화단위로 인가되는 상기 디지털영상신호에 대하여 복수의 블록단위로 나누어 이산여현변환한 계수를 양자화하기 위한 양자화과정; 상기 양자화과정에서 양자화된 이산여현변환계수중 DC계수를 상기 복수의 블록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부호화하기 위한 DC부호화과정; 상기 DC부호화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부호화단위내의 복수의 블록을 각각 지그재그스캔하여 각 블록에 있어서 상기 DC계수 다음의 0이 아닌 AC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0이 아닌 AC계수를 상기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부호화하기 위한 제1AC부호화과정; 및 상기 제1AC부호화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복수의 블록에 대하여 허용비트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복수의 블록에 대하여 블록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지그재그스캔에 의하여 검출되는 상기 제1AC부호화 과정의 0이 아닌 AC계수를 부호화하며, 상기 부호화 진행 중에 0이 아닌 AC계수가 존재하지 않는 블록이 발생되면 상기 블록의 끝을 알리는 비트를 부호화하고, 그 블록은 부호화에서 제외시키는 반복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장부호화방법.
  2. 디지털영상신호를 압축하기 위하여 이산여현변환의 가변장부호화를 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산여현변환에 의한 계수를 소정의 블록단위로 선형양자화하기 위한 양자화기; 상기 양자화기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부호화단위내의 복수의 블록의 양자화된 이산여현변환계수중 DC값만을 블록순서에 따라 예측부호화하기 위한 DC전용부호화기; 상기 양자화기에서 출력되는 상기 복수의 블록에 대하여 상기 DC값에 가장 가까운 AC계수부터 블록순서에 따라 블록간의 회전을 반복하면서 순차적으로 검출하여 부호화하기 위한 AC전용부호화기; 상기 소정의 부호화단위에 대한 가변장부호화의 허용비트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DC전용부호화기에서 출력되는 상기 DC계수의 예측오차값을 부호화한 뒤, 상기 AC전용부호화기에서 출력되는 상기 AC계수들을 부호화하기 위한 가변장 부호화기와; 상기 AC전용부호화기를 제어하여 상기 양자화기에서 출력되는 복수블럭에 대한 DC 및 AC계수의 순서를 상기 가변장부호화기에서 이루어지는 부호화순서대로 상기 가변장부호화기로 인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장부호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C전용부호화기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양자화기에서 출력되는 양자화된 AC계수를 지그재그스캔하기 위한 지그재그스캔수단과, 상기 지그재그스캔수단에서 2차원배열로 출력되는 각 블록의 AC계수중 가장 DC계수에 근접한 AC계수순으로 출력하기 위한 고정길이버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장 부호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C전용부호화기의 AC부호화경로제어에 있어서 상기 각 블록중 영이 아닌 AC계수가 없는 블록이 검출되면 해당되는 블록의 끝을 알리는 비트를 부호화하고 다음 부호화시 블록순서에서 제외시키도록 상기 고정길이버퍼와, 상기 고정길이버퍼에서 출력되는 AC계수에서 연속영의 숫자를 계수하고 계수된 값과 계수된 0에 바로 뒤따르는 0이 아닌 AC계수만을 출력시키는 연속영길이부호화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장 부호화장치.
  5. 디지털영상신호를 소정의 부호화단위로 이산여현변환하고 이산여현변환에 의한 변환계수를 선형양자화한 변환계수로 구성된 상기 부호화단위내의 복수의 블록에 존재하는 각각의 DC값을 상기 블록의 순서에 따라 가변장 부호화한 뒤 가변장부호에 허용되는 비트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블록에 존재하는 상기 DC계수에 근접한 순서로 0이 아닌 AC계수를 블록의 순서에 따라 반복적으로 부호화되도록 부호화의 순서를 제어하여 부호화하기 위한 부호화회로; 상기 부호화회로에 의하여 부호화된 데이터를 부호화된 역순서에 따라 상기 각 블록의 DC 및 AC계수를 가변장 복호화하고 복원된 계수를 역양자화하여 얻어진 역양자화계수를 역이산여현변환하여 복원하기 위한 복호화회로; 상기 부호화회로 및 복호화회로는 상기 부호화 및 복호화에서 이루어지는 부호화 및 복호화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장부호화장치.
KR1019920003330A 1992-02-29 1992-02-29 비트고정에 의한 가변장부호화 방법 및 장치 KR0160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3330A KR0160608B1 (ko) 1992-02-29 1992-02-29 비트고정에 의한 가변장부호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3330A KR0160608B1 (ko) 1992-02-29 1992-02-29 비트고정에 의한 가변장부호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028A KR930019028A (ko) 1993-09-22
KR0160608B1 true KR0160608B1 (ko) 1999-01-15

Family

ID=19329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3330A KR0160608B1 (ko) 1992-02-29 1992-02-29 비트고정에 의한 가변장부호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06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028A (ko) 199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95490B1 (en) Video signal encoding apparatus
KR0150955B1 (ko) 비트고정을 위한 영상압축방법과 신장방법 및 그 장치
US5227878A (en) Adaptive coding and decoding of frames and fields of video
KR100946600B1 (ko) 무손실 방식으로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914160B1 (ko) 골롬-라이스를 이용하는 무손실의 프레임내 인코딩
EP1834487B1 (en) Method for improved entropy coding
KR100324609B1 (ko) 화상예측 복호화장치 및 방법
EP2285117A1 (en) Video coder providing implicit coefficient prediction and scan adaption for image coding and intra coding of video
US76305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coding digital image and audio data in a lossless manner
KR20140024451A (ko)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과 장치
CN1124045C (zh) 用在视频信号编码系统中的行程长度编码方法和装置
US5742342A (en) Apparatus for encoding an image signal using vector quantization technique
EP0519995B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including block edges filtering
KR0160608B1 (ko) 비트고정에 의한 가변장부호화 방법 및 장치
EP1465431A2 (en) Video coder providing implicit coefficient prediction and scan adaption for image coding and intra coding of video
KR0160622B1 (ko) 영상 압축방법 및 그 장치
KR960013232B1 (ko) 비트 고정을 위한 영상 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 방식
GB2599476A (en) Data encoding and decoding
KR0160616B1 (ko) 디지탈 영상 압축방법 및 그 장치
JPH06178287A (ja) 画像符号化装置
CN114788276A (zh) 图像数据编码和解码
EP1887804A2 (en) Video coder providing implicit coefficient predication and scan adaption for image coding and intra coding of video
JPH03238563A (ja) 画像データ符号化及び復元方法並びに装置
JPH09135418A (ja) 画像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