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7617B1 - 온도 응답 바이패스밸브가 구비된 셀프블록킹 가스스프링 - Google Patents

온도 응답 바이패스밸브가 구비된 셀프블록킹 가스스프링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7617B1
KR0157617B1 KR1019900016169A KR900016169A KR0157617B1 KR 0157617 B1 KR0157617 B1 KR 0157617B1 KR 1019900016169 A KR1019900016169 A KR 1019900016169A KR 900016169 A KR900016169 A KR 900016169A KR 0157617 B1 KR0157617 B1 KR 0157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ypass
piston
valve
compartmen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6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8375A (ko
Inventor
디. 스테톤 리챠드
지. 젬벨리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알프레트 크라인, 로란트 울브릭트
스타비루스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레트 크라인, 로란트 울브릭트, 스타비루스 게엠바하 filed Critical 알프레트 크라인, 로란트 울브릭트
Priority to KR1019900016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7617B1/ko
Publication of KR920008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7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76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Abstract

가스 스프링은 피스톤이 외부쪽으로 이동할 경우 액체가 피스톤을 바이패스하게 하는 단방향 밸브를 가진 제1바이패스와 피스톤이 결합 가스 스프링 및 스프링 편이 밸브력을 초과하는 힘으로 내부쪽으로 밀렸을 경우 유체가 피스톤을 바이패스하게 하는 스프링 편이 밸브를 가진 제2바이패스와 가스의 온도가 선택된 레벨을 초과할 경우 외에만 로드가 밀어들여질 경우 유체가 피스톤을 바이패스하게 하는 온도 응답 밸브를 가진 제3바이패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도 응답 바이패스 밸브가 구비된 셀프블록킹 가스 스프링
제1도는 일 실시예의 축선방향 단면도.
제2도 및 제3도는 첵 밸브 바이패스 모드 및 온도 응답 바이패스 모드 각각을 나타낸 제1도의 실시예에서 피스톤부의 축선방향 단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첵 밸브 모드 및 온도 응답 바이패스 모드 각각에서 제2실시예의 피스톤부의 축선방향 단면도이다.
가스 스프링은 승용차, 스테이션 왜건, 화물차량 등에 있어서의 엔진실 후드, 트렁크 덮개, 후면창 및 뒷문 등에 대한 개방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이들이 완전한 개방 위치에서 그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균형을 잡아주는 용도로 널리 사용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가스 스프링 의 출력은 가스의 온도에 따라 변한다(보일의 법칙). 즉 저온에서 가스 스프링 은 고온에서 발생된 힘 보다 현저히 작은 힘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30℃ 정도로 적절히 선택된 저온에서도, 후드, 트렁크 덮개(이하 부하라 칭함)을 개방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가스 스프링 이 충분한 힘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요구된다(종래의 가스 스프링 은 가령 -30℃에서 개방위치에 있는 부하에 대해 약 1 내지 5파운드의 힘을 발생시키도록 설계되었다). 개방을 유지하는 위치에서 요구되는 힘의 출력은 저온에서 보다 고온에서 증가(가령 50파운드 정도) 할 수 있고, 이것은 그 부하를, 개방을 유지하는 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이동시키는데 요구되는 힘이 50파운드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부하를 다루는 데 드는 힘이 많이 요구되는 것은 분명히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위온도가 높고 낮음에 따라 부하를 다루는데 드는 힘의 차이가 종래에 공지된 가스 스프링과 비교하여 현저히 감소되는 가스 스프링 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폐쇄단 구획실(compartment)에서 로드단 구획실로의 유체 유동에 대한 가스 스프링 피스톤을 횡단하는 바이패스를 폐쇄하는 스프링 편이 첵 밸브(spring-biased check valve)를 가진 종류의 가스 스프링 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 종류의 가스 스프링 에 있어서, 부하의 폐쇄에 대향하는 가스 스프링 의 힘은 스프링 편이 밸브를 개방하는데 필요한 힘과 피스톤 로드(정상 가스 스프링력(normal gas spring force))에 작용한 가스압으로 인한 힘의 총합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챔버를 형성하는 실린더 부재, 실린더의 일단에 있는 클로져, 이 클로져로부터 앞뒤로 이동 가능하고 실린더 부재의 타단에 있는 실린더 부재에 밀폐상태로 수용된 피스톤 로드와 실린더의 일단에 인접한 내부구획실과 실린더의 타단에 인접한 외부구획실내로 챔버를 분리하고 챔버내의 피스톤 로드에 고정된 피스톤을 가진 가스 스프링 이 제공된다. 이 구획실의 용적은 피스톤의 위치에 따라 변한다. 구획실은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하에서 액체 및 가스를 포함한다. 제1바이패스는 피스톤 및 로드가 외부 방향으로 로드상에 가해진 힘에 대하여 외부구획실의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외부구획실에서 내부구획실로 액체 및 가스가 유동하게 한다. 단방향 밸브는 그를 통하는 액체 및 가스의 유동이 내부구획실에서 외부구획실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바이패스를 폐쇄한다. 제2바이패스는 내부구획실을 향하는 로드부재의 이동에 따라 내부구획실에서 외부구획실로 가스 및 액체가 유동하게 하고, 제2바이패스와 관련된 스프링 편이 단방향 밸브는 내부구획실의 유체와 외부구획실의 유체 사이에 소정의 압력차가 없을 경우 그를 통하는 유동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가스 스프링 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 보다 낮을 경우 페쇄하고, 가스 스프링 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 범위보다 높을 경우 개방하기 위한 제3바이패스와 관련된 온도 응답 밸브와 내부구획실에서 외부구획실로 액체 및 가스를 유동시키기 위한 제3바이패스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온도 응답 밸브는 선택된 온도로 포트를 폐쇄하는 바이메탈 포트클로져 엘레멘트(bimetal port-closure element)와 가스 스프링 의 폐쇄단이나 내부구획실로 개방하는 제3바이패스의 포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바이패스가 피스톤에 인접하는 피스톤 로드의 일부를 통하여 연장하고 포트 오리피스는 피스톤 로드에 부착된 컵형 밸브지지체 내에 있고 바이메탈 엘레멘트는 지지체의 플랜지부상에 장착된 디스크이다. 제3바이패스는 디스크와 포트 사이의 지지체 일부에 있는 지지체의 최소한 하나의 개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잇어서, 밸브체가 내부구획실에 대면하는 피스톤의 측면과 결합하고, 제3바이패스는 밸브체의 일면의 포트에 개방되는 밸브체와 피스톤을 통하는 통로를 포함하고, 온도 응답 밸브수단은 포트에 인접한 밸브체의 표면에 대하여 밀폐상태로 안착되어 위치하는 타단에 시일 엘레멘트를 가지며 포트에서 떨어진 위치에 밸브체의 일단에 고정된 연장 밴드의 형태로 바이메탈 엘레멘트를 포함한다. 밸브체의 표면에 대하여 시일 엘레멘트 시트가 실린더 부재의 축선에 경사지게 향하고 실린더 부재의 일측에 근접 위치되며, 바이메탈 엘레멘트가 실린더 부재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지게 실린더 부재의 거의 직경방향으로 연장한다. 제3바이패스는 외부구획실에서 내부구획실로의 유체 유동을 방지하게 배열된 단방향 밸브를 포함한다. 제2바이패스는 내부구획실의 밸브체 벽에 있는 포트의 밸브체 개구와 피스톤을 통하는 통로를 포함하고, 스프링 편이 단방향 밸브는 밸브체 내의 통로 일부내에 수용된다.
가스 스프링 은 온도 응답 밸브가 개구하는 것보다 낮은 온도에서 부하를 풀 경우 가스 스프링력은 스프링편이 단방향 밸브가 개구하는데 필요한 힘과 정상 가스 스프링력의 총합이다. 온도 응답 밸브가 개구할 경우(설계상 소정 온도에서) 제3바이패스는 액체 및 가스를 내부구획실에서 외부구획실로 비교적 자유로이 유동하게 한다. 가스 스프링력은 가스압만에 의한 힘(정상 가스 스프링력)이고, 스프링 편이 첵 벨브는 둘러싸여 있다.
제1도 내지 3도의 가스 스프링(10)은 캡(16)으로 일단이 폐쇄된 원통형 튜브(실린더)로 구성된다. 피스톤 로드(18)는 실린더의 로드단(21)의 시일 어셈블리(20)를 통하여 실린더(12)내로 연장한다. 부품(22 및 24)은 가스 스프링 을 자동차체 및 부하(후드, 트렁크 덮개 등)에 접속하기 위하여 각각 캡(16) 및 피스톤 로드(18)에 고정된다.
피스톤(26)은 실린더(12)내의 피스톤 로드의 단에 고정되고 실린더내의 챔버를 두 구획실로 나누며, 그 용적은 피스톤의 위치에 따라 변한다. 피스톤과 캡(16) 사이의 내부구획실(IC) 및 피스톤과 시일 어셈블리(20) 사이의 외부구획실(OC)이 있다.
피스톤(26)의 원주면은 실린더(12)의 내벽에 틈새가 있다. 링 그루브(ring groove)(28)는 실린더의 벽과 밀폐 결합하는 탄성재질의 피스톤 링(30)을 수용한다. 링(30)은 로드가 외부구획실(OC)을 향하여 밀어낼 경우 상부 슈울더 또는 랜드(28b)와 결합하여 이동하며 로드가 내부구획실(IC)을 향하여 밀어올릴 경우 그루브의 하부 슈울더 또는 랜드(28a)와 결합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를 가정하여 링 그루브(28)에서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링고 실린더 벽 사이의 마찰력으로 해서 그루브(28)에 상대적인 링(30)의 이동이 일어난다.
실린더 챔버의 자유 용적의 대부분은 약 300 내지 4500psi의 압력을 가진 공기나 질소를 함유한다. 나머지는 유압 브레이크 유체와 같은 액체를 포함한다. 몇개의 구멍(32)은 피스톤을 가로질러 링 그루브(28)내로 개방한다. 피스톤이 외부구획실(OC)의 용적을 감소시키도록 외부쪽으로 이동할 경우, 챔버내의 액체 및 가스는 피스톤을 측면으로 통과하고 외부구획실에서 내부구획실로 하부플랜지(26a)와 실린더 벽 사이의 환형 틈새, 슈울더(28a)와 피스톤 링(30) 사이의 개방공간 및 피스톤 상부플랜지(26b) 구멍으로 이루어진 제1바이패스를 통하여 유동한다.
가스 스프링 은 스프링 부하 단방향 첵 벨브(33)를 가지며, 이것은 탄성 시일링 링(34), 금속보강와셔(36), 피스톤 로드(18) 및 피스톤의 외부쪽에 위치된 편이 압축 스프링(38)으로 이루어져 있다. 시일링 링(34)은 피스톤의 외부쪽 플랜지(26a)의 구멍(32)을 폐쇄하고 구멍(32)에서 첵 밸브를 이탈시키는데 필요한 힘과 챔버내의 가스압으로 인한 힘의 총합보다 작은 힘으로 피스톤이 내부쪽으로 밀어졌을 경우 실린더 챔버내의 액체 및 가스가 외부플랜지(26a)내의 구멍(32)을 통하여 피스톤이 바이패스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력은 스프링(38)의 힘, 구멍(32)의 총면적 및 시일링 링(34)을 가로지르는 압력차 작용에 의한 힘이다.
이점에 대해 언급한 바와 같이, 가스 스프링(10)은 종래 기술에서 잘 알려졌다. 부하가 개방이 유지되도록 로드(18)가 연장될 때, 액체는 피스톤을 덮고 즉 가스 스프링 이 연장된 부하유지 조건으로 로드단이 하부에 있는 채 사용되게 설계된다(액체는 링(30 및 34)에 좋은 시일을 공급하는 반면, 가스는 누설되어 부하가 서서히 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부하를 들어올린 후에, 가스 스프링 에 의해 지지되면서 부하를 풀면 부하는 짧은 거리로 떨어지게 될 것이고, 로드는 충분히 멀리 떨어져 피스톤 링(30)에 관하여 피스톤(26)을 이동시키고(이것은 실린더 상의 벽과 마찰로 인하여 정지된다), 링 그루브의 하부 랜드(28a)상의 링(30)을 자리잡도록 피스톤을 이동시킴으로써 제1바이패스를 폐쇄한다. 그리고 피스톤 링은 이점에서 제1바이패스용 단방향 밸브를 구성한다. 이 점에서 구멍(32)을 포함한 피스톤을 가로지르는 제2바이패스는 스프링 편이 밸브(33)에 의하여 폐쇄된다. 부하는 로드 및 피스톤이 내부구획실(IC)의 압력증가 및 외부구획실(OC)의 압력강하를 일으키도록 실린더내로 충분히 멀리까지 이동해서 피스톤를 가로지르는 압력차가 외부력을 피스톤상에 가하고 로드가 부하와 가스 스프링력 사이의 차와 같을 때까지 계속해서 강하한다. 그리고 이 점에서 부하는 가스 스프링 에 의하여 완전히 균형을 이룬다.
스프링 편이 밸브(33)는 가스 온도가 선택한 저온(예를 들면 30℃)일 경우 로드에 가해진 힘이 다소(예를 들면 1 내지 5파운드) 부하를 초과할 때까지 폐쇄된 채 남아 있도록 설계된다. 저온 설계시 첵크된 위치에서 부하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조절부하는 초과치이다. 고온시 조절부하는 정상 가스 스프링력이 온도증가에 따라 증가하기 때문에 더 커지게 된다. 스프링 편이 된 바이패스 밸브에 의하여 추가된 증가된 힘(이하 밸브력이라 칭함)은 본질적으로 모든 온도에서 일정하다.
가스 스프링 의 총출력(밸브력+정상 가스 스프링력)을 극복하기 위하여 충분한 조절부하를 부하에 가할 경우 스프링 편이 밸브는 개방되고 액체 및 가스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패스 구멍(32)을 통하여 유동하게 한다. 가스 스프링 이 뜨거울 경우(태양이나 엔진열에 의해 가열되고 고온의 주위온도의 결과) 조절부하가 바람직하지 못하게 큰 것을 방지하도록 가스 스프링 이 선택된 값 이상의 온도로 가열된 경우 밸브력을 순환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제공한다.
피스톤(36)의 외부쪽의 일점으로 피스톤 로드의 내부쪽 단부에서 축선방향으로 구멍(40)이 천공되고 축선방향 구멍을 교차하여 하나 이상의 방사상의 구멍(42)이 천공된다. 이들 구멍(40,42)은 첵 밸브(33)로 제어된 제2바이패스와 기능적으로 평행한 내부 챔버(IC)와 외부 챔버(OC) 사이의 제3바이패스를 제공한다. 온도 응답밸브(44)는 제3바이패스에 설치된다. 이것은 컵형 지지체(46), 포트(52)에서 끝나는 통로(50)를 가지며 구멍(40)에 고정되고 수용된 장착 튜브(48), 시일링 가스킷(54) 및 지지체(46)의 플랜지부(46a)상에 분할 링(58)으로 적소에 지지된 바이메탈 디스크(56)로 구성된다. 지지체(46)의 베이스에 하나 이상의 구멍(60)이 디스크 내의 지지체 일부를 가스 스프링 챔버의 내부구획실(IC)로 연통한다.
바이메탈 디스크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 가스킷(54)과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편이 되도록 평평하거나 약간 접시 형상(제2도)을 띠고, 이 때문에 포트(52)를 폐쇄하고 액체 및 가스가 제3바이패스(통로(50,40,42))를 통하여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이 선택된 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될 경우, 제3도에 나타낸 반대 접시 형상으로 역전되고, 이것은 포트(52)를 개방하고 화살표로 나타낸 바이패스 통로를 따라 내부구획실의 액체가 외부구획실로 유입하게 한다. 온도 응답밸브(44)의 개방 조건에서 단지 가스 스프링력 만이 내부쪽 방향으로 피스톤 로드의 이동에 저항한다. 따라서 바이메탈 디스크(56)는 가스 스프링 의 온도가 충분히 높아서 가스 스프링력이 부하를 초과할 경우 포트를 개방하고 역전하도록 설계되어서 밸브 포트가 개방할 경우의 온도나 이 근처의 적당한 온도로 블록기능을 유지한다. 그러나 밸브력의 가스 스프링이 뜨거울 경우 사용자가 폐쇄를 위하여 부하를 제거하는데 드는 조절부하를 감소시킨다. 전형적으로 온도 응답 값은 대략 0℃에서 개방하도록 설계될 것이다.
그 자체로 알려진 바와 같이 캡에 인접한 실린더의 일부(14)(제1도)는 피스톤 링(30)의 O.D. 보다 직경이 커서 저온에서 제2바이패스를 순환시켜 액체 및 가스의 바이패스를 허용하고, 이로서 부하의 폐쇄에 가까운 밸브력을 제거한다. 고온에서 온도 응답 밸브는 제2바이패스를 순환시키고 피스톤의 전체 행정에 걸쳐 밸브력을 제거하며, 그래서 실린더의 확대 단면이 불필요하다. 사실상 본 발명은 다르게는 힘 방출장치가 요구되는 많은 경우에 클로져 근처의 이것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제4도 및 5도의 실시예는 제1도 내지 3도의 실시예와 기능적으로 거의 동일하지만 약간 다른 구조를 가진다. 피스톤 부재(102)와 와셔 부재(104)로 구성된 피스톤 어셈블리(100)는 링 그루브(110)내에 시일링 링(108)을 수용하고 피스톤 로드(106)의 단부상에 수용된다. 제1바이패스는 피스톤 로드가 실린더 부재의 외부로 이동하지만 시일링 링에 의해 다른 방향으로 유동하기 위해 폐쇄될 경우 유체가 외부구획실(OC)에서 내부구획실(IC)로 유동하게 하고 링 그루브(110)의 베이스내로 개방하는 피스톤 부재(102)의 면에 형성된 복잡한 그루브(112)이다. 피스톤 로드가 실린더 외부로 이동할 경우 시일링 링은 링 그루브의 상부쪽으로 이동하고, 그루브(112)의 입구단(114)으로 액체가 들어가게 한다. 그루브의 출구단은 내부구획실로 이끄는 와셔 부재의 구멍에 개방한다. 로드가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내로 이동할 경우, 시일링 링은 링 그루브의 하부 슈울더에 안착되고, 제1바이패스를 통하여 유체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복잡한 그루브에 기초한 바이패스는 그 자체로 잘 알려져 있고 이것이 로드 아웃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피스톤/로드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제공된다.
스프링 편이 단방향 밸브와 협동하는 제2바이패스는 피스톤 어셈블리와 내부구획실측의 피스톤 어셈블리에 부착된 밸브체(118)를 통하여 연장한 통로(116)이다. 밸브는 볼(120)과 스프링(122)으로 이루어진 스프링 부하 볼 첵 밸브이고, 밸브체(118)에 설치된다. 통로(116)에 압착 고정된 관형 포트부재(124)는 스프링용 시트를 제공하고 기계적으로 밸브체를 피스톤 어셈블리에 고정한다.
온도 응답 바이패스는 실린더의 축선에 경사진 방향의 밸브체의 표면(130)에 있는 포트(128)에 개방하는 피스톤 어셈블리 및 밸브체를 통하여 통로(126)를 구성한다. 스트립이나 밴드(132)의 형태로 된 바이메탈 엘레멘트는 예를 들면 나사(134)로 밸브체의 일단에 고정되고 밴드의 구멍내로 가압된 시일 엘레멘트(136)를 그 타단에 수용한다. 바이메탈 밴드(132)는 실린더를 거의 직경방향 및 경사지게 연장하고 이 장치는 밴드가 비교적 길게 하고 그 온도 응답시 매우 정확하게 설계된다. 통로(126)내에 수용된 관형 포트부재(138)는 피스톤 로드가 실린더 외부로 이동할 경우 밸브체가 제3를 통하여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방향 첵 밸브의 볼(140)을 유지한다. 포트부재는 피스톤과 밸브체의 구멍내로 압착 조립되고 기계적으로 밸브부재를 피스톤에 결합한다.
피스톤 로드가 부하력에 대하여 실린더의 외부로 이동할 경우 볼 밸브(120 및 140)는 제2 및 제3바이패스를 폐쇄하고, 유체는 피스톤을 지나서 복잡한 제1바이패스(112)를 통하여서만 외부구획실에서 내부구획실로 유동하고 이것은 유체 유동을 드로틀하고 로드의 로드 아웃 이동의 속도를 한정하도록 설계된다. 바이메탈 밴드(132)의 온도가 설계로 그것이 세워진 소정값으로 떨어진 경우 시일 엘레멘트(136)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체의 표면(130)에 대하여 지지되고, 이로서 피스톤 로드가 실린더내로 이동할 경우 제3바이패스를 통하여 내부구획실에서 외부구획실로 가스 스프링 내의 유체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면 시일을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로드가 실린더내로의 이동에 저항하는 힘은 가스로 발생된 힘과 밸브(120,122)를 개방하는데 필요한 힘의 총합이고 저온에서 전자를 보충하는 후자 힘은 유지-개방력을 제공한다. 바이메탈 밴드의 설계값 이상의 온도에서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 엘레멘트(136)는 표면(130)에서 제거되고 밴드(132)는 그 저온상태에서 역전하고 이로서 제3바이패스(통로(126))를 개방하고 유체가 이것을 통하여 내부구획실에서 외부구획실로 유동하게 한다. 제3바이패스를 통한 유동은 반드시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제2바이패스는 이동 정지되고 스프링 편이 밸브(120,122)의 힘은 피스톤 로드의 내부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Claims (8)

  1. 가스 스프링 에 있어서, 챔버를 형성하는 실린더 부재, 상기 실린더 부재의 일단에 있는 클로져, 상기 실린더 부재의 타단에서 실린더 부재에 밀폐상태로 수용되며 상기 클로져에 대하여 앞뒤로 움직일 수 있는 피스톤 로드, 상기 챔버내에서 상기 피스톤 로드에 부착되어 상기 챔버를 내부구획실과 실린더의 타단에 인접한 외부구획실내로 분리시키는 피스톤(상기 구획실들의 체적을 피스톤의 위치에 따라서 변함), 상기 챔버의 일부에 포함된 다량의 액체, 상기 챔버의 나머지부에 포함되며 대기압 보다 높은 압력하의 다량의 가스, 상기 피스톤 및 로드가 외부방향으로 로드상에 부가된 힘에 응답하여 외부구획실의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액체 및 가스가 외부구획실에서 내부구획실로 유동케하는 제1바이패스를 형성하는 수단, 액체 및 가스가 내부구획실에서 외부구획실로 상기 제1바이패스를 통하여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바이패스를 폐쇄시키는 단방향 밸브, 상기 로드가 내부구획실을 향하여 이동할 때 가스 및 액체가 내부구획실에서 외부구획실로 유동하게 하는 제2바이패스와, 내부구획실 및 외부구획실내에 있는 액체 및 가스 사이에 소정의 압력차가 없을 경우 상기 제2바이패스를 통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바이패스와 관련되는 스프링 편이 단방향 밸브를 포함하며, 액체 및 가스가 내부구획실에서 외부구획실로 유동케하는 제3바이패스와, 가스 스프링 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보다 낮을 경우 상기 제3를 폐쇄하고 가스 스프링 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 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제3바이패스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제3바이패스와 관련되는 온도 응답 밸브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스프링 .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바이패스는 포트에서 내부구획실내로 개방하고, 상기 온도 응답 밸브수단은 바이메탈 엘레멘트의 온도에 응답하고 상기 포트를 여닫도록 상기 포트와 관련되는 바이메탈 엘레멘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스프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바이패스는 피스톤에 인접한 피스톤 로드의 일부를 통하여 연장하며, 상기 포트는 제3바이패스의 단부에 잇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스프링.
  4. 제3항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에 부착된 컵형 밸브지지체 내에 포트 오리피스가 있으며, 상기 바이메탈 엘레멘트는 상기 지지체의 플랜지부에 장착된 디스크이고, 상기 제3바이패스는 상기 지지체내에서 디스크와 포트 사이의 일부에 최소한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스프링.
  5. 제1항에 있어서, 피스톤의 내부구획실로에 면하는 밸브체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3바이패스는 피스톤이 통하는 통로와 밸브체의 면에 있는 포트에서 개방하는 밸브체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응답 밸브수단은 연장된 밴드 형태의 바이메탈 엘레멘트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메탈 엘레멘트는 포트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밸브체에 그 일단부가 고정되며, 그 타단부에는 포트에 인접한 밸브체 표면에 대하여 밀폐상태로 안착되어 위치되는 밀폐 엘레멘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스프링.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엘레멘트가 놓인 곳에 대향하는 상기 밸브체 면은 상기 실린더 부재의 축선에 대해 경사져 있으며, 또한 상기 실린더 부재의 일측에 근접하여 놓여 있고, 상기 바이메탈 엘레멘트는 실린더 부재의 축선에 경사지게 실린더 부재의 거의 직경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스프링.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바이패스는 외부구획실에서 내부구획실로 액체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열된 단방향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스프링.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이패스는 피스톤이 통과하는 통로와 내부구획실의 밸브체의 벽에 있는 포트의 밸브체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편이 단방향 밸브는 지지체의 밸브체 부분내의 통로의 일부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3바이패스는 상기 지지체 내에서 디스크와 포트 사이의 지지체 일부에 최소한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스프링.
KR1019900016169A 1990-10-12 1990-10-12 온도 응답 바이패스밸브가 구비된 셀프블록킹 가스스프링 KR0157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6169A KR0157617B1 (ko) 1990-10-12 1990-10-12 온도 응답 바이패스밸브가 구비된 셀프블록킹 가스스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6169A KR0157617B1 (ko) 1990-10-12 1990-10-12 온도 응답 바이패스밸브가 구비된 셀프블록킹 가스스프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375A KR920008375A (ko) 1992-05-27
KR0157617B1 true KR0157617B1 (ko) 1998-10-15

Family

ID=19304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6169A KR0157617B1 (ko) 1990-10-12 1990-10-12 온도 응답 바이패스밸브가 구비된 셀프블록킹 가스스프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76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149B1 (ko) * 2001-03-20 2004-07-27 학교법인 동서학원 보리배지 및 이를 이용하여 시조필륨 코뮨으로부터베타-글루칸을 생산하는 방법
KR100907628B1 (ko) * 2007-09-04 2009-07-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진공 기체 헬륨 주입기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저온측정 프루브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375A (ko) 199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6065A (en) Self-blocking gas spring with temperature-responsive bypass valve
US5404972A (en) Self-blocking gas spring with temperature-responsive bypass valve
JPH04503560A (ja) 温度感応式バイパス弁を備えたセルフロッキング気体ばね
US4485899A (en) Shock absorber unit for vehicles
US6959921B2 (en) Temperature responsive valve assembly for a pneumatic spring
US4066279A (en) Pneumatic spring of adjustable length
US3963227A (en) Gas spring with dual damping arrangement
US5363945A (en) Control valve for shock absorbers
US3934426A (en) Thermostatic expansion valve for refrigeration installations
US5722643A (en) Temperature compensated safety gas spring
US5738276A (en) Valve
US5628496A (en) Pneumatic spring
CA1314450C (en) Valve operating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484720B2 (en) Temperature compensating valve assembly
US5988608A (en) Piston-cylinder unit having a sealing valve
US4560104A (en) Coolant temperature control system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0157617B1 (ko) 온도 응답 바이패스밸브가 구비된 셀프블록킹 가스스프링
US5131512A (en) Hydraulic telescopic damper
US4989700A (en) Gas spring with an anti-rattle piston assembly
US6092632A (en) Gas spring with temperature compensation
CA2049570C (en) Self-blocking gas spring with temperature-responsive bypass valve
US4254634A (en) Control valve to be employed for refrigerator and air conditioner
JPS5814939B2 (ja) シヨツクアブソ−バ
GB2193307A (en) Engine cooling systems
US5586952A (en) Hydraulic autotens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