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255B1 - 전자적으로 작동되는 자카드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적으로 작동되는 자카드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255B1
KR0156255B1 KR1019910015616A KR910015616A KR0156255B1 KR 0156255 B1 KR0156255 B1 KR 0156255B1 KR 1019910015616 A KR1019910015616 A KR 1019910015616A KR 910015616 A KR910015616 A KR 910015616A KR 0156255 B1 KR0156255 B1 KR 0156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er
dock
hook
elements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5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6557A (ko
Inventor
로트 요세프
Original Assignee
칼 마이어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마이어,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칼 마이어
Publication of KR920006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2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03C3/20Electrically-operated jacq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Loom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전자적으로 작동되는 자카드 제어 장치는, 리프터 요소(16)에 제각기 결합되어 아마츄어(21)를 지닌 전자석(19)을 제각기 갖춘 복수개의 제어 요소를 포함한다. 그 장치에는 또한, 각각의 작업 사이클에서 휴지 위치에서 작업위치로 리프터 요소(16)를 리프트시키고 이후 다시 하강되는 리프터 플레이트(7)가 제공됨으로써, 그 리프터 요소는 전자석의 작동 조건에 의존하여 작업위치에 유지되거나 유지 위치로 복귀된다. 각각의 리프터 요소(16)는 예정된 높이에 지지된 카운터 후크와 함께 작동하는 후크(26)를 포함한다. 각각의 아마츄어(21)는 축(24)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그것의 회전운동에 의해 카운터 후크를 리프터 요소의 후크의 경로 내, 외로 변환시킨다. 리프터 플레이트(7)는 작업위치를 지나 예정된 영역내로 리프터 요소를 리프터시킬 수 있다. 또한 리프터 플레이트(7)는, 리프터 요소가 상술된 예정 영역에 배치되면 적절한 전자석(19)에 대해 아마츄어를 스윙시키는 독 플레이트(29)를 지지한다. 이같은 모드의 구조는 비교적 각은 자기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작은 자석이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적으로 작동되는 자카드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카드 장치의 측면도.
제2도 내지 4도는 각각 다른 상태의 작동 영역의 상세한 측면도.
제5도 내지 7도는 제2-4도에서 설정된 3개의 상이한 작동 위치를 예시하는, 각각의 실시예의 측면도.
제8도 내지 10도는 제2-7도에서 설정된 3개의 상이한 작동 위치의 또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리프터 플레이트 16 : 리프터 요소
19 : 전자석 21 : 아마츄어
26 : 후크 27 : 카운터 후크
29 : 독 플레이트 32 : 노즈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제어요소를 지니며 전자(電磁)적으로 작동되는 자카드 제어장치(jacquard control arrangement)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제어요소가 리프터(lifter) 요소에 연결되는바, 그 각각의 요소는 아마츄어(armature)를 갖는 전자석 및 리프터 플레이트(lifter plate)를 지닌다. 각각의 작업 사이클에 있어서, 리프터 플레이트는 휴지위치에서 작업위치로 리프터 요소를 이동시키며 아마츄어가 전자석에 끌린후 다시 하강됨으로써, 리프터 요소는 전자석의 작동조건에 따라 작업위치에 유지되거나 휴지위치로 복귀된다.
이같은 유형(ketten #2/88 제11 및 12페이지)의 공지된 자카드 제어 장치에 있어서, 리프터 요소들이 아마츄어에 연결되있음으로써, 그 리프터 요소가 작업 위치로 이동되면 아마츄어는 적절한 전자석과 접촉하도록 이동되야 한다. 이같은 참조예에 있어서, 통사(harness cord)상의 하향 작동력에도 불구하고 상부위치에서 아마츄어를 유지시키기위해서는 반드시 충분한 전자기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더 강하고 큰 전자석이 필요하다.
EP OS 108 700호에 있어서, 통사들이 후크(25a)에 의해 상부위치에 기계적으로 보지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편으로는 아마츄어가 가용성판 스프링으로 형성되며 다른 한편 후크(25a)가 활주하는 경사 표면(18c)이 마찰력을 발생시킴에따라 아마츄어(25)와 전자석(27) 사이에 공적(air space)을 회피할 수 없기때문에 강한 전자석들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에 개시된 형태의 전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자카드 제어장치이지만 더 작은 전자석으로 작동될수 있도록 정련되어 더 콤팩트한 구조의 자카드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을 예시하는 실시예에 따라, 기계내로 실을 취하게 하기위해 전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자카드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그 제어장치는 실들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위한 복수개의 제어요소를 지닌다.
복수개의 리프터 요소들은 각각 그같은 제어요소중 상응요소에 연결된다.
이같은 리프터 요소들은 각각 후크 요소를 지닌다. 복수개의 전자석들은 각각 리프터 요소들중 상응 요소에 연결된다. 복수개의 아마츄어는 기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또한, 전자석의 기부에 있을때는 하나의 대응 전자석에 의해 보지되는 크기로 된다. 리프터 구조가 기계내에서 왕복할 수 있어 리프터 요소들을 휴지 위치로부터, 아마츄어들이 전자석들이 접촉하는 작업위치로 리프트시킨다. 리프터 구조는, 리프터 요소들을 작업위치를 지나 예정된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리프터 구조에 커플연결된 독(dog)부재는, 리프터 요소들이 예정된 영역에 배치되면 전자석에 대해 아마츄어들을 회전시킬 수 있다. 후크 요소들중 상응 요소에 계합되는 형태로된 복수개의 후크 부재들이 예정된 높이 근처에 장착되며 또한, 리프터 요소들의 후크 요소들의 경로내, 외 위치 사이에서 아마츄어에 의해 변위되도록 배치된다. 후크 부재들이 후크 요소들의 경로에 있을 때 후크 요소들을 구속 및 보지할 수 있음으로써, 리프터 요소들은 전자석들의 작동조건에 의존하여 작업위치에 체류하거나 리프터 구조가 하강하면 휴지위치로 복귀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달성된다. 특히, 각각의 리프터 요소는 작업위치에서 예정된 높이에 배치된 카운터 후크에 관련하여 작동하는 후크가 제공된다. 각각의 접촉자는 축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바, 그 회전작동은 카운터 후크를 리프터 요소의 경로 내외로 변환시킨다. 리프터 요소의 리프터 플레이트는 작업위치를 벗어나 예정된 위치로 이동하며, 리프터 요소가 예정된 위치에 배치되면 적절한 전자석들에 대해 아마츄어들을 회전시키는 독 플레이트 장치를 지지한다.
이같은 구조에 있어서, 리프터 요소 및 아마츄어들이 상호 이격된다.
통사상의 리프터 요소에 작용하는 초기하중(pretension)은 예정된 높이에 배치된 카운터 후크에 의해 흡수된다. 이 초기하중은 아마츄어에 충격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낮은 자기력이 필요한바; 전자석들은 더 작게 만들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하에서, 다수의 병렬 유니트로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그 아마츄어는 전자석에 대해 한정된 위를 지니는바, 이는 아마츄어가 더 작은 회전운동을 수행할수 있을 뿐이고 상기 축에 의해 위치가 유지되기 때문이다. 이는 또한 필요한 자기력을 감소시킨다. 다른한편, 후크와 카운터 후크간의 확실한 분리를 획득한데는 작은 회전 운동으로도 충분한 것으로 이해된다. 독 플레이트는, 아마츄어와 리프터 요소의 분리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전자석들에 대한 모든 아마츄어들의 확실한 접촉이 보장될 것을 확보한다.
독 플레이트가 스프링 요소의 삽입을 통해 아마츄어상에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작은 불규칙부를 펼 수 있다.
적절하게는 독 플레이트가 리프터 요소에 후속하여 연장되는 수직 빔(beam)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공간이 경제적인 형태의 구조를 제공하며 또한 리프터 플레이트의 견고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장점으로, 전자석이 리프터 플레이트 상부에 배치 됨으로써 독 플레이트가 대체로 아마츄어 중앙에 계합되며, 또한 후크의 이동 경로가 측방으로 연장되는 장점이 있다. 이같은 구조에 있어서, 아마츄어들의 단부들, 즉, 아마츄어에의해 지지된 레버는 후크의 이동경로에 수직하게 배치됨으로써 아마츄어 방향으로의 공간이 절약되는 구조로된다.
특히 단순한 모드의 구조에 있어서, 아마츄어는 독 레버의 하나의 아암으로써 제공되며 카운터 후크는 다른 아암에 제공된다. 회전축은, 그 회전축이 리프터 요소의 훅과 함께 작동할 때 후크를 예정된 높이에 보지시킬수 있다. 독 레버의 다른 아암이 하향으로 연장되고 후크가 리프터 요소에 제공되면, 전자석의 작동은 카운터 후크로하여금 리프터 요소를 자유롭게 한다. 독레버의 다른 아암이 상향으로 펼쳐지며 후크가 스프링 요소를 경유하여 리프터 요소에 연결되면, 전자석의 작동은 리프터 요소를 작업위치에 보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단순한 형태의 구조에 있어서, 지지요소는 독 레버이며 아마츄어는 아암중 하나에 부착되며 아암중 다른 아암에는 카운터 후크가 부착된다. 따라서 회전축은, 카운터 후크가 리프터 요소의 후크와 함께 작용하면 카운터 후크를 예정된 높이에 보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독 레버의 다른 아암이 하향으로 연장되고 후크가 리프터 요소상에 제공되면, 전자석의 작동은 리프터 요소에서 카운터 후크를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독 레버의 다른 아암이 상향으로 연장되고 후크가 스프링 요소에 의해 리프터 요소에 연결되면, 전자석들의 작동은 리프터 요소를 작업위치에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카운터 후크에는 스프링 요소가 제공되는바, 그 스프링은 카운터 후크 상부에 고정되어 캐리어 요소의 회전운동에의해 변환가능하다. 이같은 구조에 있어서, 리프터 요소상에 작용하는 모든 힘들은 스프링요소의 부착 지점에의해 흡수된다.
따라서, 아마츄어는 다른 아암이 스트라이커 또는 멈추개를 형성하는 캐리어 요소를 형성하는 독 레버의 하나의 아암에 부착될 수 있다.
전자석의 하나의 극과 아마츄어 사이에 해제 스프링을 제공함으로써 잔여 자기이력력이 자석에 접촉자의 고착을 유도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마츄어가 캐리어 요소에 부착되고 전자석들의 전극들 사이에 위치한 축에 대해 회전가능하게된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은 전극 표면들에 대한 아마츄어의 자동 설치를 제공한다.
제1도에는 수직 가이드 로드(2, 3)를 갖는 프레임(1)뿐만아니라 편심 캠(6)을 갖는 샤프트(5)용 베어링(4)이 예시되있다. 리프터 플레이트(7 : 리프터 구조물로써 표시되기도함)는 캠(6)이 둘레에서 윈도우(8)를 지닌다. 리프터 플레이트(7)는 또한 롤러 베어링(9, 10)을 지니는바, 그 리프터 플레이트(7)는 그 베어링에의해 가이드바(2, 3)상에 지지되다. 캠(6)이 회전하며, 리프터 플레이트(7)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다.
하나의 니이들 공간에 의해 자카드 가이드(도시되지 않았음)를 변환시키는 변환 페그(peg) 또는 변환 싱커(sinker) 형태의 제어요소(11)들은 바(12)에 장착되어 스프링(13)에 의해 바이어스된다. 제어요소(11)들은 통사(14)를 거쳐 장력 후크(15)에 연결되었는바, 그 장력 후크(15)는 리프터 요소(16)에 부착되며 또한 리프터 플레이트(7)를 관통한다. 제어 요소(11)들 및 그들의 적절한 리프터 요소(16)는, 그 리프터 요소가 필터 플레이트(7)의 좌대(17)에 좌치된 휴지 위치(제1도의 우측), 또는 제어요소(11) 및 적절한 리프터 요소(16)가 상승된 작업위치(제1도의 좌측)를 점유할 수 있다. 이같은 위치들은, 후기에 개시된 설명으로써 명백해질 전자기 장치(18)의 도움으로 달성될수 있다. 4개의 평행홈들은, 예켠대 256개의 리프터 요소들이 제공될수 있는 좌치대 역할을 할수 있다.
제2도 내지 4도에는, U자형 코어 및 권선(20)을 갖춘 전자석(19)뿐아니라 아마츄어(21)를 갖는 자기장치(18)를 포함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아마츄어 자기장치(18)를 포함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아마츄어(21)는 독 레버(23)상의 아암(22)에 피보트 부착되며 또한 축(25)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리프터 요소(16)는 독레버(23)의 다른 아암(28)상의 카운터 후크(27 : 또한 후크 부재로 표시됨)와 함께 작동하는 상부 후크(26 : 또한 후크 요소로 표시됨)를 갖는 가요성 요소(25)를 지지한다.
부가적으로, 빔 형태의 독 플레이트(29 : 또한 독 부재로 표시됨)가 플레이트(7) 상부의 리프터 요소(16) 후속으로 수직하게 연장한다. 그 독 플레이트는, 탄성요소(30)의 삽입물을 통해 아마츄어(21) 및 아암(22)상에서 전자석(19)에 대해 중심적으로 작동한다. 또한 전자석(19)이 작동되지 않으면 아마츄어가 밀려지는 것을 확보하도록, 전자석(19)의 전극 표면들중 한곳에 해제 스프링(31)이 제공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노즈(32)는 회전 운동의 극단 위치를 결정하는 스트라이커 또는 멈추개를 형성한다.
탄성 스프링 요소(30)의 형성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가능성이 존재한다. 예컨대, 탄성 재료 레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별적 아마츄어에 예컨대 압축 스프링과 같은 별개의 특정 스프링이 제공될 수 있다.
제2도에는, 휴지위치를 지나 예정된 영역내로 연장되는 최상부 위치에서의 리프터 플레이트(7)가 도시되었다. 제3도 및 4도에는 최하부 위치에서의 스트라이커 플레이트(7)가 도시되었다. 제3도에는 리프터 요소(16)가 휴지 위치에 있으며, 제4도에는 작업위치에 있다.
예컨대, 전자석(19)이 제2도의 위치에서 작동되지 않으면, 리프터플레이트(7)의 하향행정중, 카운터 후크(27)는 제3도에 도시된 위치내로 경사짐으로써 리프터 요소(16)는 리프터 플레이트(7)와 함께 개시 위치로 복귀한다.
다른한편, 잔자석(19)이 작동되면 카운터 후크(27)가 제2도에 도시된 위치에 머무르게 됨으로써 후크(26)는 카운터 후크와 함께 작동할수 있으며 리프터 요소(16)는 제4도의 작업위치에 유지된다.
제5도 내지 7도에는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있는바, 상응 부품들의 참조번호에 100이 더해져 표기된다. 2개의 아암으로된 독 레버(123)는 제1아암(122)상에서 아마츄어(121)를 지지한다. 제2내지 4도와의 차이점은 독레버(123)의 다른 아암(128)이 하방을 향함으로써, 카운터 후크(127)가 리프터 요소(116)상의 후크(126)에 포지티브하게 계합될수 있다는 것이다. 카운터 후크(127)를 리프터 요소(116)내로 용이하게 입장시키도록, 종방향 슬리트(133)가 제공된다.
이같은 슬리트는, 리프터 요서(116)가 전자석(119)의 작동중 휴지위치로 복귀되고(제6도) 전자석이 작동되지 않으면 작업위치에 유지되는(제7도) 기능적 차이를 나타낸다.
제8도 내지 10도의 작업위치에 있어서, 상응 부품들의 참조번호에 200이 더해져 표시된다. 카운터 후크(227)가 가요성 요소(234)의 단부에 배치되며 그 가요성 요소는 삽입 지점(235)에 고정된다. 이같은 스프링 요소(234)가 아마츄어(221), 특히 스프링 요소의 지지아암(222)을 대각선으로 하향 가압하면, 그때 전자석(219)이 작동된다.(제8도 참조).
그러나 필터 플레이트(207)가 하강되면, 리프터 요소(216)는 휴지 위치내로 종동된다(제9도 참조). 그러나 전자석이 작동되지 않으면(제10도), 카운터 후크(227)는 후크(226)상의 리프터 요소(216)를 작업 위치에 보지시킨다.

Claims (19)

  1. 섬유기계에서 실을 다루기 위해 전자(電磁)적으로 작동되는 자카드(jacquard)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들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복수개의 제어 요소; 상기 제어 요소들중 상응하는 하나의 요소에 각각 연결되며, 각각 후크 요소를 지니는 복수개의 리프터 요소; 각각 상기 리프터 요소들중 상응하는 하나의 요소의 연결된 복수개의 전자석; 상기 섬유 기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섬유 기계의 기부에 있을때는 상기 대응하는 전자석에 의해 유지되는 크기로된 복수개의 아마츄어(armature); 상기 리프터 요소를 휴지 위치로부터 아마츄어가 전자석과 접촉하는 작업위치까지 리프트시키도록 상기 섬유 기계내에서 왕복운동하며, 그 리프터 요소들을 작업위치를 지나 예정된 영역내로 이동시킬수 있는 리프터 구조체; 상기 리프터 요소들이 상기 예정된 영역내에 위치되면 아마츄어들을 전자석들에 대해 회전시키도록 상기 리프터 구조체에 커플 연결된 독 부재(dog member) 및; 상응하는 각자의 후크 요소들에 계합되는 형상으로된 복수개의 후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재는 예정된 높이 근처에 장착되고 리프터 요소의 후크 요소의 경로 내, 외 위치 사이에서 아마츄어에 의해 변환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후크 부재들은 그 후크 부재가 후크 요소의 경로내에 있을때는 상기 후크 요소들을 계합 및 유시킬수 있음으로써, 전자석의 작동조건에 의존하여, 상기 리프터 요소들은 작업위치에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리프터 구조체가 하강되면 휴지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자석으로 작동되는 자카드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독 부재는 그 독 부재와아마츄어 사이에 배치된 탄성요소를 지니는 자카드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독 부재는 실제로 상기 리프터 요소들에 인접한 수직 연장 빔(beam)을 포함하는 자카드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 부재는 상기 리프터 요소에 인접한 직립 빔을 포함하는 자카드 제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전자석들은 리프터 구조체상에 배치되며, 독 부재는 아마츄어의 중심 근처에서 아마츄어와 계합되며, 후크형 요소들은 독 부재와 나란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자카드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전자석들은 리프터 구조체상에 배치되며, 독 부재는 아마츄어 중심근처에서 그 아마츄어와 계합되며, 후크 요소들은 독 부재와 나란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자카드 제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츄어중 상응하는 하나의 아마츄어를 지지하는 제1아암 및 상기 후크 부재들중 상응하는 하나의 후크 부재를 지지하는 제2아암을 각각 지니는 복수개의 독 레버를 더 포함하는 자카드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츄어중 상응하는 하나의 아마츄어를 지지하는 제1아암 및 상기 후크 부재들중 상응하는 하나의 후크 부재를 지지하는 제2아암을 각각 지니는 복소개의 독 레버를 더 포함하는 자카드 제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독레버의 제2아암은 하향으로 연장되며, 후크 요소들은 리프터 요소상에 제공되는 자카드 제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후크 부재는, 상향 연장 아암을 지니며 상기 아마츄어중 상응하는 하나의 아마츄어에 연관된 복수개의 독 레버 및; 상기 리프터 요소들과 상기 후크 요소들을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가요성 요소들을 포함하는 자카드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츄어들중 상응하는 하나의 아마츄어에 연결된 제1아암 및 멈추개로 구성된 제2아암을 각각 지니는 복수개의 독 레버를 더 포함하는 자카드 제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중 하나의 전극과 상기 아마츄어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복귀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자카드 제어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의 하나의 전극과 상기 아마츄어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복귀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자카드 제어 장치.
  14. 제6항에 있어서, 전자석중 하나의 전극과 상기 아마츄어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복귀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자카드 제어 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전자석중 하나의 전극과 상기 아마츄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복귀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자카드 제어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기계에 피보트 장착되는 복수개의 독 레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아마츄어는 전자석의 양 극(two pole)사이에 배치된 피보트 지점에서 상기 독 레버들중 상응하는 하나의 독 레버에 피보트 부착되는 자카드 제어 장치.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기계에 피보트 장착되는 복수개의 독 레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아마츄어는 전자석의 양 극 사이에 배치된 피보트 지점에서 상기 독 레버들중 상응하는 하나의 레버에 피보트 부착되는 자카드 제어 장치.
  1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기계에 피보트 장착되는 복수개의 독 레버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아마츄어들은 전자석의 양 극 사이에 배치된 피보트 지점에서 상기 독 레버중 상응하는 하나의 레버에 피보트 부착되는 자카드 제어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기계에 피보트 장착되는 복수개의 독 레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아마츄어는 전자석의 양 극사이에 배치된 피보트 지점에서 상기 독 레버들중 상응하는 하나의 레버에 피보트 부착되는 자카드 제어 장치.
KR1019910015616A 1990-09-07 1991-09-07 전자적으로 작동되는 자카드 제어장치 KR0156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04028390 DE4028390C2 (de) 1990-09-07 1990-09-07 Elektromagnetisch arbeitende Jacquard-Steuervorrichtung
DEP4028390.9 1990-09-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557A KR920006557A (ko) 1992-04-27
KR0156255B1 true KR0156255B1 (ko) 1998-12-01

Family

ID=6413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5616A KR0156255B1 (ko) 1990-09-07 1991-09-07 전자적으로 작동되는 자카드 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H0627393B2 (ko)
KR (1) KR0156255B1 (ko)
CH (1) CH685017A5 (ko)
DE (1) DE4028390C2 (ko)
GB (1) GB22476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26899C1 (de) * 1992-08-14 1994-01-13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Jacquard-Steuerung
DE4316396C1 (de) * 1993-05-17 1994-09-15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mindestens einer Legebarre
DE4444822C2 (de) * 1994-12-15 1998-01-08 Liba 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auf einer Legebarre angebrachten, individuell bewegbaren Fadenführern
FR2736659B1 (fr) * 1995-07-13 1997-10-17 Tis Dispositif pour la selection de crochets dans une mecanique d'armure de metier a tisser
DE19651053C1 (de) * 1996-12-09 1998-06-10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Jacquard-Legebarre
DE19651190C1 (de) * 1996-12-10 1998-06-10 Mayer Textilmaschf Elektromagnetisch arbeitende Jacquard-Steuervorrichtung
GB9715480D0 (en) * 1997-07-23 1997-10-01 Bonas Machine Co Drive mechanism for a griffe frame
ES2279941T3 (es) * 2002-05-10 2007-09-01 Textilma Ag Dispositivo inalambrico de control del hil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35742A1 (fr) * 1982-11-04 1984-05-11 Verdol Sa Mecanique d'armure a selection perfectionnee des crochets
FR2587045B1 (fr) * 1985-09-06 1987-10-23 Staubli Verdol Dispositif pour la formation de la foule d'un metier a tisser comportant un crochet de retenue basculant
IT1216766B (it) * 1988-02-15 1990-03-08 Bobbio Benedetto Macchina di armatura a doppia levata, provvista di dispositivi perfezionati per il movimento degli arpin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245947A (ja) 1992-09-02
GB2247694B (en) 1994-04-06
CH685017A5 (de) 1995-02-28
DE4028390A1 (de) 1992-03-12
GB2247694A (en) 1992-03-11
KR920006557A (ko) 1992-04-27
JPH0627393B2 (ja) 1994-04-13
DE4028390C2 (de) 1994-06-09
GB9118354D0 (en) 1991-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9806A (en) Device for forming the shed in a weaving loom
JP4043570B2 (ja) 織成機構の選択装置及びスリーポジション式ジャカードの織成機構並びにそのような織成機構を備えた織機
JP4179646B2 (ja) 繊維機械用杼口形成装置
CN1020771C (zh) 全开梭口提花机的竖钩控制装置
KR0156255B1 (ko) 전자적으로 작동되는 자카드 제어장치
KR100403262B1 (ko) 개구형성기계의이동훅을선택하는방법,선택하는장치및이동훅이설치된쟈카드타입직기
JPH0362810B2 (ko)
US5275211A (en) Electromagnetically activated jacquard control arrangement
US35296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uating displaceable elements of a machine utilizing the jacquard principle of operation such as the lifting wires of jacquard machines or the punching needles of jacquard card cutters
CN101240472B (zh) 织造机构和配备有这种织造机构的提花机型织机
US4438791A (en) Weft thread-selection apparatus for a weaving machine
CN1070550C (zh) 提花机构
US5010927A (en) Hold-down device for Jacquard-controlled looms
US5743308A (en) Double lift weave system
RU2363782C2 (ru) Механизм зевообразования, трехпозиционная ремизоподъемная каретка и ткацкий станок, оснащенный такой кареткой
CS204981B2 (en) Apparatus for mechanical control of warp thread guides
EP0330624A2 (en) Double-doffing weaving machine provided with improved lifter driving devices
US4227553A (en) Weaving machine with heddle frames
US3669154A (en) Open shed double lift-jacquard machine
CN101580993B (zh) 能形成三个经纱位置的电子提花选纱装置
US6116293A (en) Electromagnetic shed forming apparatus for a jacquard machine
EP0439440A1 (en) Computer controlled modular electromagnetic device for driving warp yarns for making figured fabrics
US5676179A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shedding mechanism
EP0736621B1 (en) Three-position open-shed jacquard machine
US4296782A (en) Double-lift open-shed Jacquard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