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950B1 - 플라즈마 확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확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950B1
KR0155950B1 KR1019950025125A KR19950025125A KR0155950B1 KR 0155950 B1 KR0155950 B1 KR 0155950B1 KR 1019950025125 A KR1019950025125 A KR 1019950025125A KR 19950025125 A KR19950025125 A KR 19950025125A KR 0155950 B1 KR0155950 B1 KR 0155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wall
magnetic field
diffusion chamb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5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3093A (ko
Inventor
지경구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25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5950B1/ko
Priority to JP8224499A priority patent/JPH09172002A/ja
Priority to TW085109836A priority patent/TW324880B/zh
Priority to US08/698,362 priority patent/US5772772A/en
Publication of KR970013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093A/ko
Priority to US09/042,730 priority patent/US58638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2Diffusion of impurity materials, e.g. doping materials, electrode materials, into or out of a semiconductor body, or between semiconductor regions; Interactions between two or more impurities; Redistribution of impurities
    • H01L21/223Diffusion of impurity materials, e.g. doping materials, electrode materials, into or out of a semiconductor body, or between semiconductor regions; Interactions between two or more impurities; Redistribution of impurities using diffusion into or out of a solid from or into a gaseous ph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43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eactor
    • H01J37/32623Mechanical discharge contro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43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eactor
    • H01J37/3266Magnetic control means
    • H01J37/32688Multi-cusp f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Technology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 ing And Chemical Polishing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플라즈마 에칭 장치내의 플라즈마 확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개시한다. 플라즈마 확산 챔버벽에 평행한 방향으로 자력선이 생기도록 평행한 전류가 흐르는 여러개의 전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확산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선들은 균등한 간격으로 확산 챔버주변에 위치시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선의 방향은 플라즈마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선은 얇고 넓은 띠 모양의 도체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확산 챔버 내벽에서 내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자장이 형성되어, 이자장에 의해 플라즈마가 챔버벽쪽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 경우는 국소적으로 강한 자장이 작용하는 영역은 존재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확산챔버 내벽의 폴리머가 국소적으로 많은 양이 증착되는 현상을 해결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확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제1a도 와 제1b도는 종래의 플라즈마 확산 제어 챔버의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제2도에서는 종래의 방식을 사용한 경우의 챔버벽에 부착된 폴리머의 양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제3a도 와 제3b도는 전선에 전류가 흐를 때 전선 주변의 자장의 모양을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제4도 여러개의 평행하게 인접한 전선에 같은 방향의 전류가 흐를 때 형성되는 자장의 모양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해 인접한 여러개의 평행한 전선을 확산 챔버의 외벽 주변에 둥글게 감아서 장착한 장치의 사시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해 12개의 평행한 전선이 둘러싼 플라즈마 확산 제어 챔버의 단면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해 12개의 전선에 전류를 흘릴 때 챔버내 자장의 세기를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변화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라즈마 에칭 장치내의 플라즈마 확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를 가공하는 에칭설비 가운데는 별도의 플라즈마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플라즈마원 영역에서 플라즈마를 먼저 생성하고, 이와같이 만들어진 플라즈마를 가공하려는 웨이퍼 위치까지 확산에 의해 이동시켜서 웨이퍼 표면위의 막질을 에칭하는 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고집적 소자에 이용되는 에칭 설비 가운데는 저압, 고밀도 플라즈마 설비로서 전자 사이크로트론 공명 에칭 설비(Electron Cyclotron Resonance Etcher), 유도 결합형 플라즈마 에칭 설비(Inductively Coupled Plasma Etcher), 헬리콘파 플라즈마 에칭 설비(Helicon Wave Plasma Etcher)등은 모두 이 확산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별도의 플라즈마원으로부터 생성된 플라즈마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확산시키는 경우, 고밀도의 플라즈마를 생성하였다고 하더라도 플라즈마를 확산시킴에 따라서 가공하려는 웨이퍼 근처에서는 플라즈마 밀도가 급격히 낮아지게 된다. 또한, 확산시 전자의 이동성(mobility)이 이온의 이동성 보다 103배이상 크기 때문에 플라즈마로부터 손실되는 전자의 수가 손실되는 이온의 수보다 많게 되어 플라즈마 전위가 더불어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확산 챔버에 다중 영구자석을 설치하여 플라즈마 밀도를 보존하는 것이 종래의 방법이다.
제1a도 와 제1b도는 종래 방식의 플라즈마 확산 챔버의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참조번호 10은 확산 챔버벽을 나타내고, 12는 챔버벽에 부착된 다중 영구 자석이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의 경우, 참조 번호 14의 위치에서는 자장의 방향이 챔버벽에 평행하게 진행하여 자장에 의한 플라즈마의 반사가 잘 이루어지는 반면, 16의 위치에서는 표면에 수직인 방향의 자속이 매우 강하게 형성되어 이 자속의 방향을 따라서 플라즈마가 진행하여, 챔버벽에 폴리머의 부착이 가속된다. 제2도에서는 종래의 방식을 사용한 경우의 챔버벽에 부착된 폴리머의 양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와같이 챔버벽에 부착된 폴리머는 에칭 공정 진행시 먼지의 근원이 되어 가공된 소자의 수율을 떨어뜨리고, 설비의 가동률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수명을 단축 시키는 주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방법의 문제점들을 해결 할 수 있는 플라즈마 확산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확산 제어 방법을 적용한 플라즈마 확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류에 의한 자력선을 이용하여 플라즈마 에칭장치의 플라즈마 확산 챔버벽에 평행한 방향으로 자력선이 생기도록 다수의 평행한 전류가 흐르는 여러개의 전선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확산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전선들은 균등한 간격으로 확산 챔버주변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선의 방향은 플라즈마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라즈마 확산 챔버벽에 평행한 방향으로 자력선이 생기도록 평행한 전류가 흐르는 여러개의 전선을 확산 챔버의 외벽 주변에 배치하여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확산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선들은 균등한 간격으로 확산 챔버주변에 위치시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선의 방향은 플라즈마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선은 얇고 넓은 띠 모양의 도체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확산 챔버 내벽에서 내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자장이 형성되어, 이자장에 의해 플라즈마가 챔버벽쪽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경우는 국소적으로 강한 자장이 작용하는 영역은 존재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확산챔버 내벽의 폴리머가 국소적으로 많은 양이 증착되는 현상을 해결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3a도 와 제3b도는 전선에 전류가 흐를 때 전선 주변의 자장의 모양을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제3a도에서와 같이 직류전류 I가 곧은 전선(18)을 따라 흐를 때, 전선 주변에 유도되는 자장은 전선에 수직한 평면위에서 전선을 중심으로 동심원 방향으로 생성되며(제3b도), 이때의 자장의 세기 b는,
로 부터
로 주어진다. 여기서 r은 전선 중심 부터으로 부터의 거리, c는 광속으로서 3×1010㎝/sec이다. 같은 방법으로 생각하여서, 여러개의 평행한 전선을 인접하게 위치 시키고 같은 방향으로 전류를 흘릴 때 주변에 형성되는 자장 모양은 제4도와 같이 나타난다. 참조 번호 20, 22, 24, 26, 28은 전류가 흘러 자장이 형성된 전선이다. 이 경우 영구자석을 배치한 종래의 방식과는 다르게 상반되는 방향의 자장이 만나는 부분은 존재하지 않게 되어 전체적으로 자장의 세기의 변화가 완만하며, 국소적으로 강한 자장이 작용하는 영역은 존재하지 않는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해 인접한 여러개의 평행한 전선을 확산 챔버의 외벽 주변에 둥글게 감아서 장착한 장치이다. 참조번호 30은 플라즈마 확산 챔버벽, 32는 플라즈마 생성 영역, 34는 전류가 흐르는 전선이다.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선으로 전선을 연결한 것은 전류의 흐름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도면과 같이 장착한 경우, 확산 챔버내에서 내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자장이 형성되어, 이자장에 의해 플라즈마가 챔버벽쪽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경우는 국소적으로 강한 자장이 작용하는 영역은 존재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확산챔버 내벽의 폴리머가 국소적으로 많은 양이 증착되는 현상을 해결 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전류가 흐르는 다수의 평행한 전선을 확산 챔버 외벽에 배치함으로써 국소적으로 강한 자장이 형성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챔버벽에 평행하게 형성된 자력선에 의해 자계 플라즈마 차폐막이 형성되어 진다.
제6도는 플라즈마 확산 제어 챔버를 둘러싼 12개의 평행한 전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r은 확산챔버 중심으로부터 임의의 지점 까지의 거리이고 R은 확산 챔버 중심으로부터의 확산 챔버 외벽까지의 반경이다. 참조번호 40은 전류가 흐르는 전선이고, 42는 확산 챔버로서, 상기 평행한 전선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계 플라즈마 차폐막이 형성된 플라즈마 확산 제어 챔버이다. 상기 12개의 전선 각각에 전류가 10 암페어가 흐르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10 암페어는 3×1010esu /sec의 전하량의 흐름에 해당하며, 전류를 흘리는 각 전선의 직경을 0.2㎝라고 할 때, 하나의 전선의 위치로부터 챔버중심방향으로의 자장의 세기 변화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계산하여 보면, 제7도와 같이 나타난다.
여기서 r/R은 정규화된 반경(normalized radius)으로 챔버 반경에 대한 챔버중심으로 부터의 거리를 상대적인 양으로 나타낸 값이다. 이 그래프를 살펴 보면, 챔버 내벽의 바로 표면에서는 자장의 세기가 40 가우스(gauss)이상으로서 확산하려는 플라즈마를 차폐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자장을 형성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챔버벽의 표면으로부터 챔버의 중심부분으로 이동하면서 자장의 세기의 변화를 관측하여보면, 챔버벽의 표면으로부터 약간만 떨어져도 자장의 세기는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류에 의한 자계 플라즈마 차폐막의 자장은 챔버 내벽의 표면 근처에만 효과적으로 존재하며 플라즈마를 차폐하며, 챔버의 중심 부분에서는 자장의 영향이 무시될 수 있을 정도로 작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에칭 공정 진행시 우려되는 자장의 영향에 의한 소자의 특성 변화나 에칭손상(etching damage)등에는 큰 영향이 없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확산 챔버 내벽에서 내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자장이 형성되어, 이 자장에 의해 플라즈마가 챔버벽쪽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경우는 국소적으로 강한 자장이 작용하는 영역은 존재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확산챔버 내벽의 폴리머가 국소적으로 많은 양이 증착되는 현상을 해결 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결국 확산 챔버의 오염을 줄여 설비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Claims (7)

  1. 플라즈마 확산 챔버에 있어서, 플라즈마 확산 챔버벽에 평행한 방향으로 자력선이 생기도록 전류가 흐르는 여러개의 전선을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확산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들은 균등한 간격으로 확산 챔버주변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확산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방향은 플라즈마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확산 제어 방법.
  4. 플라즈마 확산 챔버에 있어서, 플라즈마 확산 챔버벽에 평행한 방향으로 자력선이 생기도록 전류가 흐르는 여러개의 전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확산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들은 균등한 간격으로 확산 챔버주변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확산제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전선의 방향은 플라즈마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확산 제어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은 얇고 넓은 띠 모양의 도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플라즈마 확산 제어 장치.
KR1019950025125A 1995-08-16 1995-08-16 플라즈마 확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0155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5125A KR0155950B1 (ko) 1995-08-16 1995-08-16 플라즈마 확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8224499A JPH09172002A (ja) 1995-08-16 1996-08-07 プラズマ拡散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TW085109836A TW324880B (en) 1995-08-16 1996-08-13 Plasma diffu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08/698,362 US5772772A (en) 1995-08-16 1996-08-15 Plasma diffusion control apparatus
US09/042,730 US5863841A (en) 1995-08-16 1998-03-17 Plasma diffusion control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5125A KR0155950B1 (ko) 1995-08-16 1995-08-16 플라즈마 확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093A KR970013093A (ko) 1997-03-29
KR0155950B1 true KR0155950B1 (ko) 1998-12-01

Family

ID=19423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5125A KR0155950B1 (ko) 1995-08-16 1995-08-16 플라즈마 확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5772772A (ko)
JP (1) JPH09172002A (ko)
KR (1) KR0155950B1 (ko)
TW (1) TW3248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0019B1 (en) * 1998-06-11 2002-05-21 Applied Materials, Inc. Chamber having improved process monitoring window
US6193853B1 (en) 1999-02-25 2001-02-27 Cametoid Limited Magnetron sputtering method and apparatus
TR200200737T2 (tr) 1999-09-24 2002-08-21 Alcon, Inc. Siproflaksasin ve deksametazon içeren lokal süspansiyon formülasyonları
FR2799921B1 (fr) * 1999-10-19 2002-01-11 Metal Process Procede de production d'un plasma par decharges a barriere multipolaire de type capacitif,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un tel procede
US6673199B1 (en) 2001-03-07 2004-01-06 Applied Materials, Inc. Shaping a plasma with a magnetic field to control etch rate uniformity
US6761804B2 (en) 2002-02-11 2004-07-13 Applied Materials, Inc. Inverted magnetron
US20070051388A1 (en) 2005-09-06 2007-03-08 Applied Material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using high frequency chokes in a substrate deposition apparatus
US20090197015A1 (en) * 2007-12-25 2009-08-06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lasma uniformit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3123A (en) * 1968-10-28 1972-02-15 Trw Inc Plasma containment device
US4740268A (en) * 1987-05-04 1988-04-26 Motorola Inc. Magnetically enhanced plasma system
US5032205A (en) * 1989-05-05 1991-07-16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Plasma etching apparatus with surface magnetic fields
US5045166A (en) * 1990-05-21 1991-09-03 Mcnc Magnetr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high density ionic gas dischar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63841A (en) 1999-01-26
US5772772A (en) 1998-06-30
TW324880B (en) 1998-01-11
JPH09172002A (ja) 1997-06-30
KR970013093A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9828B1 (ko) 이온화 물리적 증착 방법 및 장치
KR920004912B1 (ko) 플라즈마 장치
JP3833900B2 (ja) エッチング装置およびエッチング方法
US7673583B2 (en) Locally-efficient inductive plasma coupling for plasma processing system
US6523493B1 (en) Ring-shaped high-density plasma source and method
EP0115119A2 (en) Shaped field magnetron electrode
KR100322962B1 (ko) 플라즈마 도핑 시스템과 플라즈마 도핑 방법
US514752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cessing uniformity in a magnetron
KR0155950B1 (ko) 플라즈마 확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76054A (ko) 플라즈마 에칭장치
JPH0585634B2 (ko)
JP3457401B2 (ja) プラズマから静電チャックを保護する磁石を有するプラズマ反応装置
KR20010040750A (ko) 플라즈마 처리 장치
US6653852B1 (en) Wafer integrated plasma probe assembly array
KR20000057263A (ko) 기판상에 균일한 밀도의 플라즈마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3613817B2 (ja) プラズマ処理装置
KR100689381B1 (ko) 애노드 레이어 입자 빔 장치
US20030183906A1 (en) Grounding cable an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H03177020A (ja) エッチング装置
JP4766793B2 (ja) 表面処理装置
JP3108556B2 (ja) プラズマ処理装置
JPS645878Y2 (ko)
JPH07161488A (ja) 高密度プラズマ生成装置
JPH07326314A (ja) ノイズ電流による荷電ビームの振動を除去する方法及び装置
JPS62229946A (ja) ドライエツチ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8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8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7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7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6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0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6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0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0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