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389B1 - 요소를 함유한 단백질 사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요소를 함유한 단백질 사료 및 그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389B1
KR0155389B1 KR1019920012944A KR920012944A KR0155389B1 KR 0155389 B1 KR0155389 B1 KR 0155389B1 KR 1019920012944 A KR1019920012944 A KR 1019920012944A KR 920012944 A KR920012944 A KR 920012944A KR 0155389 B1 KR0155389 B1 KR 0155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protein
weight
present
u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2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1808A (ko
Inventor
왕종근
Original Assignee
안운재
주식회사한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운재, 주식회사한얼 filed Critical 안운재
Priority to KR1019920012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5389B1/ko
Publication of KR940001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3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05Aliphatic or ali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23K20/147Polymeric derivatives, e.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25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extrus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백질 사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로는 요소(urea)와 전분질 사료류를 함유한 단백질 사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요소 10~20중량%, 전분질 사료를 50~7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필요에 따라서 유황을 4~6중량%, 단백질 사료류를 10~35중량%, UGF 함유사료를 4~6중량% 더욱 더 첨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원료를 분쇄, 배합한 후, 온도 125~130℃, 압력 400~450 psi의 조건에서 무수 압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제를 사료에 첨가하게 되면 동일한 량의 단백질을 급여할 경우에, 착유우에서는 대두박 단백질을 급여할 경우 보다 유지방 및 산유량이 현저히 증가하며, 비육우에서는 본 발명제가 첨가되지 아니 한 사료만을 급여할 경우 보다 사료효율 및 증체량이 월등히 증가하게 된다.

Description

요소를 함유한 단백질 사료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단백질 사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로는 요소(urea)와 전분질 사료류를 함유한 단백질 사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 양 등과 같은 반추동물은 반추위 내에서 요소와 같은 비단백태 질소화합(Non-protein nitrogen compound)을 미생물 단백질로 합성하여 단백질로서 이용하는 특성을 가졌다. 비단백태 질소화합물인 요소는 열량과 광물질 및 비타민을 공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나, 단백질 당량이 높아 훌륭한 단백질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고가인 동·식물성 단백질사료(대두박, 면실박, 어분, 육분, 육골분, 혈분)로 반추가축의 단백질 요구량을 전량 공급하는 것 보다 일정 한도까지 요소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요소를 급여하는 경우에는 반추위 내의 요소가 과분해되어 암모니아의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면 미생물이 체단백질을 합성하는 데에 이용된다고 하더라도 상당량이 반추위벽을 통하여 체내로 흡수되어 암모니아 중독에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용하면서도 위험한 요소(urea)는 지금까지는 요소 단일제제 혹은 배합사료에 소량 혼합되어 사용되어 지고 있을 뿐이므로, 이러한 요소의 이용성을 높히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는 요소를 알팔파(alfalfa)와 혼합하여 펠렛팅(pelleting)함으로써 요소의 독특한 냄새를 희석시켜 기호성을 높히는 방법과, 요소와 전분을 혼합하여 압출(extruding)함으로써 요소를 전분에 분해 흡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요소를 알팔파(alfalfa)와 혼합하여 펠렛팅(pelleting)하는 방법은 반추가축, 특히 유우(乳牛)의 경우에는 후각이 매우 발달하였으므로 그 효과가 한계가 있고, 요소와 전분을 혼합하여 압출(extruding)하는 방법은 그 제조공정에 있어서 온도와 압력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요소의 완전흡착이 일어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온도를 높히고 생산성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하는 스팀으로 인하여 사료의 기호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암모니아 중독이 방지되고 체내 이용율이 높은 요소를 함유한 단백질 사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미생물의 합성에 필요한 에너지 및 기타 영양소를 공급함으로써 반추위 내 미생물의 단백질 합성 속도를 높히고, 요소의 분해속도를 저하시키게 되면 암모니아 중독이 방지되고 사료의 체내 이용율이 높아 짐을 밝혀 내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술한다.
본 발명은 요소를 에너지 원이며 당으로 전환되는 전분(starch)과 혼합, 특수가공(extruding)하여 요소의 분해속도를 지연시킴으로써 요소의 분해속도를 늦추고 미생물 단백질의 합성을 증대시켰으며, 아울러 NRC(National Reseach C ouncil) 사양 표준에 의거 반추동물의 단백질 이용형태에 따라 제1순위(반추위) 내에서 분해되어 미생물들이 이용할 수 있는 가해성 단백질과 제1위 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제4위 및 소장에서 흡수되는 불해성 단백질이 적정 비율로 조절되고, 필요에 따라 적정량의 유황 또는 미지성장 인자인 UGF를 첨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요 성분인 요소는 10~20중량%(이하 %로 약칭함) 정도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 데, 그 이유는 단백질 사료로 가장 흔히 사용되는 대두박의 단백질 함량과 유사하게 함으로써 대두박을 대체할 수 있으며, 또한 전분질과 혼합하여 압출할 경우에 요소의 분해흡착도와 전분의 α화(Gelatinization)정도가 가장 우수하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분질 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 하며, 그 적절한 사용량은 50~70%이다. 단백질 사료로는 대두박, 면실박, 어분, 육분, 육골분, 혈분 등을 사용하며, 그 적절한 사용량은 10~35%이다. 또한 알팔파 등과 같은 미지성장 인자인 UGF함유사료를 적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조실시예]
(단백질 사료의 제조)
아래의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그리고 제1도와 같은 제조공정으로 각 원료들을 분쇄, 배합, 압출가공하여 제재1~4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체중, 산차수, 비유시기 및 산유량이 유사한 홀스타인(Holstein) 착유우 50두를 표 2와 같이 각 10두씩 분리 배치한 후, NRC (1991) 유우 사양표준 중에서 체중 600㎏, 일당 산유량 20㎏, 유지율 4.0%를 기준으로 하여, 대조구에는 대두박이 12%, 육분이 1.5% 함유된 시판 착유 3호사료를 기본으로 하여 옥수수싸일레지와 생맥주박, 볏짚 등을 혼합하여 TMR방식으로 급여하였고, 시험구에는 시판 착유3호에서 대두박 12%를 제재1~2로 대체한 구와, 대두박 12%를 제재3~4로 대체함과 아울러, 육분 1.5%, 면실박 3%를 각각 소맥피로 대체한 구에 대하여 60일 동안 매일의 산유량과 매주일 단위의 유지율을 측정한 결과는 아래의 표 3과 같다.
[실시예 2]
체중과 연령이 비슷한 홀스타인 숫소 20두를 표 4와 같이 각 5두씩 4개군으로 분리 배치한 다음, 60일 후의 일당 사료섭취량과 일당중체량을 측정하였다.
급여한 시험사료의 영양소 요구량은 NRC(1991) 육우 사양표준 중에서 체중 460㎏, 일당 증체량 750g을 기준으로 하여 대조구는 단백질 함량이 11.5%인 시판 큰소비육 II사료 3㎏과 생맥주박, 야초 볏짚 등을 혼합하여 전체량이 20.7㎏, 건물량이 10.8㎏이 되도록 하여 TMR방식으로 급여하였고, 시험구는 본 발명 제재를 10% 함유하되 단백질 등 영양물질이 시판 큰소비육사료 II와 동일하게 함유된 배합사료를 같은 방식으로 동량 급여하였다. 사료섭취량의 조사는 전체 사료급여량에서 섭취하고 남은 잔량을 수거하여 무게를 측정하여 처리구당 소의 두수로 나누어 계산하였으며, 증체량은 종료시의 체중에서 개시시의 체중을 제하고 60일로 나누어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 5와 같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하여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제를 첨가하게 되면 동일한 량의 단백질을 급여할 경우에, 착유우에서는 대두박 단백질을 급여할 경우 보다 유지방 및 산유량이 현저해 증가하였으며, 비육우에서는 본 발명제가 첨가되지 아니 한 사료만을 급여할 경우 보다 사료효율 및 증체량이 월등히 증가하게 된다.

Claims (1)

10~20 중량%의 요소, 50~70 중량%의 전분질 사료 및 기타 유황, 단백질 사료, UGF 함유사료 등으로 구성된 단백질 사료의 제조에 있어서, 원료를 분쇄, 배합한 후, 100~130℃의 온도와, 400~450psi의 압력에서 무수 압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를 함유한 단백질 사료의 제조방법.
KR1019920012944A 1992-07-21 1992-07-21 요소를 함유한 단백질 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0155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2944A KR0155389B1 (ko) 1992-07-21 1992-07-21 요소를 함유한 단백질 사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2944A KR0155389B1 (ko) 1992-07-21 1992-07-21 요소를 함유한 단백질 사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1808A KR940001808A (ko) 1994-02-16
KR0155389B1 true KR0155389B1 (ko) 1998-10-01

Family

ID=19336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2944A KR0155389B1 (ko) 1992-07-21 1992-07-21 요소를 함유한 단백질 사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53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021B1 (ko) * 2021-12-24 2022-06-02 이안스(주) 갈파래를 이용한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1808A (ko) 199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ofgreen et al. The influence of protein source upon nitrogen retention by sheep
Cummins et al. Effect of isocarbon-4 and isocarbon-5 volatile fatty acids on microbial protein synthesis and dry matter digestibility in vitro
KR880001277B1 (ko) 반추동물용 사료조성물
KR100903865B1 (ko) 항생제가 첨가되지 않은 소사료 및 이를 이용한 소 사육방법
Ekholm et al. Transport of feed selenium to different tissues of bulls
Belal et al. Replacing dietary starch with pitted date fruit in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L.) feed
KR101414297B1 (ko) 젖소 또는 육우용 혼합-발효사료
Siddons et al. Protein degradation in the rumen of sheep and cattle
US4161543A (en) Feeding herbivorous animals
Ajagbe et al. Nutrient digestibility and nitrogen balance of growing West African Dwarf (WAD) goat fed nitrogen supplemented cassava peel meals
KR0155389B1 (ko) 요소를 함유한 단백질 사료 및 그 제조방법
Hulman et al. Comparison of Leucaena leucocephala and groundnut cake as protein sources for beef cattle fed ad libitum molasses/urea in Mauritius
CN1199579C (zh) 奶牛磷脂膨化饲料及其制备方法
Liu et al. Nutritional evaluation of bamboo shoot shell and its effect as supplementary feed on performance of heifers offered ammoniated rice straw diets
US2819966A (en) Feed composition
Olafadehan et al. Effect of replacement of soybean meal with urea or urea supplemented with sulphur on the performance of lambs
CN1229036C (zh) 一种饲料级调时缓释尿素复合物
Thang et al.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mixed cassava (Manihot esculenta) and legume (Phaseolus calcaratus) fodder on the rumen degradability and performance of growing cattle
Hussein et al. Effect of clay minerals supplementation on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parameters, and performance of buffalo calves
Etman et al. USING A NEW PROTEIN SOURCES IN FEEDING OF RUMINANTS 1-EFFECT OF FEEDING DIFFERENT LEVELS OF GUAR KORMA AS A SOURCE OF PROTEIN ON THE PRODUCTIVE PERFORMANCE OF EGYPTIAN BUFFALOES.
Aribido et al. GROWTH PERFORMANCE OF WEST AFRICAN DWARF GOATS FED DIETARY MODELS OF UREA TREATED CASSAVA PEEL MEAL FORTIFIED WITH CALCIUM-PHOSPHORUS SALT-MIX
Ibrokhim et al. Enrichment of a balanced feed composition through the rational use of food industry waste
Abdulaziz Hasan et al. Effect of Different Levels of Fast and Slow Hydrolyzed Urea on Some Blood Traits of Al-awassi Sheep
JPS58113135A (ja) 家きん成長増強法
US4959223A (en) Ruminant animal feedstuff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222 Remand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REMAND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