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157B1 - Refrigerator having the function of making drinking coffee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having the function of making drinking coffe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157B1
KR0153157B1 KR1019960023058A KR19960023058A KR0153157B1 KR 0153157 B1 KR0153157 B1 KR 0153157B1 KR 1019960023058 A KR1019960023058 A KR 1019960023058A KR 19960023058 A KR19960023058 A KR 19960023058A KR 0153157 B1 KR0153157 B1 KR 0153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spring
milk
refrigerator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30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80003420A (en
Inventor
이명희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23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3157B1/en
Publication of KR980003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4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157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05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using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4Position of the cold storage material in relationship to a product to be cooled
    • F25D2303/0842Position of the cold storage material in relationship to a product to be cooled inside the beverage contained in a bottle, can, drinking glass, pitcher or disp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음용 기능을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사용자가 직접 커피 음료를 준비하거나 별도로 되어있는 커피 믹서기를 부가적으로 구입 및 설치해서 이용하여야 함으로서 이러한 차 종류의 음용에 따라 비용적, 시간적 및 공간적인 문제점들이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having a coffee drinking function. In the past, a user has to prepare a coffee beverage directly or purchase and install a separate coffee blender to use the coffee blender. And spatial problems were disadvantageous.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커피 음용기능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 워터 디스펜서 등의 개방부에 설치 되어져 있으면서 커피/밀크 재료통 및 물통 등으로부터 투입된 재료와 물을 컵측으로 배출하는 분배 노즐과, 커피 믹서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 되어져서 각종 재료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재료 버튼들과, 상기 분배 노즐 상부측에 배치되어져서 재료 버튼의 누름에 따라 커피 또는 물 등을 공급하는 커피/밀크 재료통과 물통이 구비되어져 있는 커피 믹서기 본체와; 이 커피 믹서기 본체내에 내설되어져서 재료 버튼의 누름에 따라 정량의 재료를 분배 노즐측으로 제공하는 정량 배출 장치와의 관련구성으로 이뤄져 있는 커피 음용 기능을 갖는 냉장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 function of drinking coffee, which is provided in an opening portion of the water dispenser or the like, and discharges the material and water introduced from the coffee / milk material container and water container to the cup side A plurality of material buttons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coffee blender body for selectively discharging various materials, and a plurality of material buttons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ensing nozzle, A coffee mixer main body provided with a coffee / milk material passing water bottle to be supplied; And a quantitative discharge device which is placed in the main body of the coffee blender and supplies a predetermined amount of material to the dispensing nozzle side in accordance with the pushing of a material button.

Description

커피 음용 기능을 갖는 냉장고 시스템Refrigerator system with coffee drinking function

제1도는 종래 냉장고의 전면부를 나타낸 참고 사시도.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portion of a conventional refrigerator. FIG.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커피 배출 수단을 갖는 냉장고의 참고 사시도.FIG. 2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having a coffee discharg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제3도는 제2도에서 커피 배출 수단을 발췌하여 나타낸 개략 사시도.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ffee discharging means taken in FIG. 2; FIG.

제4도는 제3도에서 재료 버튼과 관련된 정량 배출 장치를 나타낸 참고도.4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metered dose dispensing device associated with a material button in FIG. 3;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2 : 커피 믹서기 14a : 밀크 재료통12: Coffee blender 14a: Milk material container

14b : 커피 재료통 16 : 물통14b: coffee material bucket 16: bucket

18 : 커피 믹서기 분체 20a : 밀크 버튼18: Coffee blender powder 20a: Milk button

20b : 커피 버튼 20c : 물 버튼20b: coffee button 20c: water button

28 : 노브 30 : 스트링 가압 레버28: knob 30: string pressing lever

32a : 제1스프링 32b : 제2스프링32a: first spring 32b: second spring

34a,34b : 스프링 리테이너 36 : 랙34a, 34b: spring retainer 36: rack

38 : 피니언 42 : 정량 토출부38: Pinion 42: Quantitative discharge part

52 : 정량 배출 장치52: Quantity discharge device

본 발명은 커피등 별도의 액상 또는 분말형의 차 재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냉장고에서 직접 커피 등의 재료를 물과 섞어 먹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냉장고의 용도를 새롭게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capable of drinking a separate liquid or powder-like tea material such as coffe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in which materials such as coffee can be directly mixed with water in such a refrigerator, So that it can be newly expanded.

종래에는 사용자가 직접 커피 재료, 밀크 재료 및 물을 혼합하거나 별도의 커피 제조 기기인 커피 믹서기 또는 커피 자동 판매기 등을 이용하여야만 커피 등의 음료를 마련하여 음용할 수 있었다.Conventionally, a user can prepare a drink such as coffee by mixing a coffee material, a milk material and water directly, or using a coffee blender or a coffee vending machine, which is a separate coffee making machine.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커피를 혼합하여 음용하는 경우에를 물을 끓이고 컵에 재료를 적당히 넣은 다음 물을 넣고 투입된 재료를 적당히 섞어야 하는 등의 커피 제조 시간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고, 독립된 커피 믹서기나 커피 자동 판매기등의 이용에 있어서는 부가적인 비용이 소용되며 주방에서 커피 믹서기를 설치하기 위한 부가적인 공간을 필요로 하였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directly mixes coffee and drinks, it takes a considerable time to make coffee, such as boiling water, appropriately putting the material into the cup, mixing water with the introduced ingredients, In addition, additional costs are avail- able in the use of coffee vending machines and the like, and additional space is required for installing a coffee blender in the kitchen.

한편, 종래 냉장고에서는 상용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다수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유형의 전형적 형태는 제1도와 같이 나타내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refrigerator, many techniques for drinking a commercial drink are known, and a typical form of this type is shown as the first diagram.

여기서는 냉장고(2)의 본체(10)내의 저장물을 꺼낼 수 있도록한 냉동실 도어(4)와 냉장실 도어(6)가 설치 되어져 있고, 이 냉장실 도어(6)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컵 등을 밀어넣어 상용 음룡를 공급 받을 수 있도록 한 워터 디스펜서(Water Dispenser) 개방부(8)가 누름 스위치(8a)와 함께 구비 되어져 있다.A freezing compartment door 4 and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6 are provided for taking out the stored contents in the main body 10 of the refrigerator 2. A user puts a cup or the like in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6, A water dispenser opening portion 8 is provided together with a push-button switch 8a so as to receive a commercial sounding instrument.

그리고, 이러한 냉장고 사용자는 물을 먹기 위해서는 누름 스위치(8a)측에 컵을 대고 밀면 냉장고 내의 물통으로부터 물이 공급되어 물을 음용할 수 있는 것이었다.When the user pushes the cup on the side of the push switch 8a in order to consume water, the user of the refrigerator can supply water from the water reservoir in the refrigerator to drink water.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서는 냉장고 외부에서 사용자가 상용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져 있으나 커피 등의 분말/액상 재료들을 자동으로 섞어먹을 수 있는 수단이 강구되어져 있지 않아 바람직한 것이 못되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refrigerator, there is a means for the user to drink a commercial drink outside the refrigerator, but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means for automatically mixing powder and liquid materials such as coffee are not provided.

특히, 종래 냉장고에서는 커피 등의 차 재료를 직접 음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이들을 음용하기 위해서는 직접 사용자가 해당 재료를 타서 먹거나 전용 제조기를 통하여 음용하여야 하는 불편한 것이었다.Particularly, in the conventional refrigerator, it is inconvenient to directly drink the coffee or other tea material because it can not be consumed directly by the user.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워터 디스펜서 개방부에 컵을 놓은 후 냉장고 도어측에 구비시킨 재료 버튼을 누름으로서 자동으로 정량의 재료가 물과 함께 투입될 수 있도록 되어 이러한 냉장고에서 직접 커피 등을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dispenser which is capable of automatically dispensing a quantitative material with water by pressing a material button provided on a door of a refrigerator after placing a cup in a conventional water dispenser opening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receive coffee directly from the refrigerator.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커피 등의 차 재료 믹서기와 냉장고가 일체로 되어져 있기 때문에 별도의 커피 믹서기를 설치하기 위한 비용 및 공간을 절약하고 사용자가 직접 커피 음료를 준비하는 시간을 절하며, 커피 준비 재료가 냉장고 내에 보관되게 되어 별도의 커피 보관 장소가 요구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ffee maker and a refrigerator which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to save cost and space for installing a separate coffee blender, The material is stored in the refrigerator so that no separate coffee storage space is requir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워터 디스펜서 등을 개방부에 설치되어져 있으면서 커피/밀크 재료통 및 물통 등으로부터 투입된 재료와 물을 컵측으로 배출하는 분배 노즐과, 커피 믹서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 되어져서 각종 재료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재료 버튼들과, 상기 분배 노즐 상부측에 배치 되어져서 재료버튼의 누름에 따라 커피/밀크 또는 물 등을 공급하는 커피/밀크 재료통과 물통이 구비 되어져 있는 커피 믹서기 본체와; 이 커피 믹서기 본체 내에 내설 되어져서 재료 버튼의 누름에 따라 정량의 재료를 분배 노즐측으로 제공하는 정량 배출 장치와의 관련구성으로 이뤄져 있는 커피 음용 기능을 갖는 냉장고 시스템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ffee machine comprising: a dispensing nozzle installed in an opening portion of a water dispenser or the like for discharging a material and water introduced from a coffee / milk material container and a water container to a cup side; There are provided a plurality of material buttons for selectively discharging various materials and a coffee / milk material through-water reservoir arranged above the dispensing nozzle to supply coffee / milk or water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material button A coffee blender body; And a quantitative discharge device which is placed in the main body of the coffee blender and supplies a predetermined amount of material to the dispensing nozzle side in accordance with the depression of the material button, is characterized by a refrigerator system having a coffee drinking function.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상기 정량 배출 장치가 상기 다수의 재료 버튼과 각각 접촉되는 노브와, 이 노브에 연결 되어 제1스프링을 가압하기 위한 바 형태의 스프링 가압 레버와, 일단부가 상기 스프링 가압 레버의 스프링 지지단부에 연결되어져 있고 타단부는 정량 토출부를 회전 구동하는 랙의 일단부에 연결되어져 있는 제1스프링, 상기 제1스프링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하나의 단부와 제2스프링의 일단부에 연결되어지는 타단부를 가지며 중앙에 적당한 길이의 랙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랙과, 일단부가 상기 랙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어져 있고 타단은 커피 믹서기 본체에 고정되어져 있는 제2스프링과, 상기 랙과 접촉되게 되어지면서 정량 토출부를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피니언을 일측에 가지며 커피/밀크 재료통(14b,14a)으로부터 커피/밀크(26b,26a)를 수납하도록 상기 커피/밀크 재료통(14b,14a)의 하측에 위치되어 있는 정량 토출부(42)를 포함하고 있는 구성의 커피 음용 기능을 갖는 냉장고에 있는 것이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ering device includes a knob for contacting the plurality of material buttons, a bar-shaped spring biasing lever connected to the knob for biasing the first spring, And one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spring and one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spring,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spring, A second spring having one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ack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main body of the coffee blender, and a second spring connected to the rack, (26b, 26a) from the coffee / milk material container (14b, 14a) with a pinion on one side for rotating the fixed quantity discharge portion Will in the refrigerator having the coffee / milk material tube (14b, 14a) of the coffee drink functional configuration that includes a metering discharge portion 42 that is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at lea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라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봄으로써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다른 워터 디스펜서(8)가 구비되어 있는 냉장고를 도시한다.FIG. 1 shows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water dispenser 8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커피 배출 수단을 갖는 냉장고를 도시한다.Figure 2 shows a refrigerator with coffee discharge mea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여기에서, 상기 워터 디스펜서 등의 개방부에 설치 되어져 있으면서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커피/밀크 재료통(14b,14a) 및 물통(16)등으로부터 투입된 재료와 물을 컵측으로 배출하는 분배 노즐(21)과, 커피 믹서기(12) 본체(18)의 전면에 설치되어져서 각종 재료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재료 버튼(20a,20b,20c)들이 냉장고 외부로 배치 되어져 있다.Here, the dispensing nozzle (not shown) for discharging the material and water introduced from the coffee / milk material container 14b, 14a and the water container 16, etc., which are installed in the opening portion of the water dispenser or the like, And a plurality of material buttons 20a, 20b, and 20c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8 of the coffee blender 12 so as to selectively discharge various materials are disposed outside the refrigerator.

또, 상기 분배 노즐(21)상부측에 배치되어져 있는 재료 버튼(20a,20b,20c)들과 관련하여 이들의 누름에 따라 커피/밀크 또는 물 등을 공급하는 커피/밀크 재료통(14b,14a)과 물통(16)들은 제3도와 같이 좀더 구체적으로 나타내었다.The coffee / milk material containers 14b, 14a (14a, 14b) for supplying coffee, milk or wat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sing of the material buttons 20a, 20b, 20c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tribution nozzle 21 And the water basins 16 are shown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여기서는 커피 믹서기 본체(18)는 컵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요구부(23)와 상기 재료 버튼(20a,20b,20c)들이 설치 및 형성되어져 있고, 이 재료 버튼(20a,20b,20c) 등과 관련된 커피/밀크 재료통(14b,14a)과 물통(16)들을 수용 연결하기 위한 통 삽입부(a)가 구비 되어져 있으며, 이 커피 믹서기 본체(18)내에는 그 내부에 내설되어져서 재료 버튼(20a,20b,20c)들의 누름에 따라 정량의 재료를 분배 노츨(21)측으로 제공하는 정량 배출 장치가 구비되어져 있다.Here, the coffee blender main body 18 is provided with a request part 23 for accommodating cups and the like, and the material buttons 20a, 20b, 20c are installed and formed. The material buttons 20a, 20b, And a barrel inserting portion a for receiving and connecting the associated coffee / milk material containers 14b and 14a and the water containers 16 are provided in the coffee maker main body 18, (20a, 20b, 20c), a predetermined amount of material is supplied to the dispense lamp (21) side.

상기 정량 배출 장치는 제4도와 같이 상기 다수의 재료 버튼(20a,20b,20c)과 각각 접촉되는 노브(28)과, 이 노브(28)에 연결되어 제1스프링(32a)을 가압하기 위한 바 형태의 스프링 가압 레버(30)와, 일단부가 상기 스프링 가압 레버(30)의 스프링 지지 단부(30a)에 연결되어져 있고 타단부는 정량 토출부(42)를 회전 구동하는 랙(36)의 일단부(36a)에 연결되어져 있는 제1 스프링(32a)과, 상기 제1 스프링(32a)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하나의 단부(36a)와 제2 스프링(32b)의 일단부에 연결되어지는 타단부(36b)를 가지며 중앙에 적당한 길이의 랙 기어(36c)가 형성되어 있는 랙(36)과, 일단부가 상기 랙(36)의 타 단부(36b)에 연결되어져 있고, 타단은 커피 믹서기 본체(18)에 고정되어져 있는 제2 스프링(32b)과, 상기 랙(36)과 접촉되게 되어지면서 정량 토출부(42)를 일정각도 회전 시키는 피니언(38)을 일측에 갖고 있는 정량 토출부(42)와, 이 정량 토출부(42)상부에 설치 되어져 있으면서 정량 토출부(42)의 재료 투입홈(42a)에 재료를 투줄하여 주는 커피/밀크 재료통(14b,14a)들로 이루어져 있다.The dosing device includes a knob 28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material buttons 20a, 20b and 20c as shown in FIG. 4 and a knob 28 connected to the knob 28 to press the first spring 32a.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pring supporting end 30a of the spring pressing lever 30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ack 36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fixed amount discharging portion 42, A first spring 32a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spring 32a and one end 36a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spring 32a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spring 32b, A rack 36 having a rack 36c with a suitable length at the center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36b of the rack 36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ffee mixer body 18 A second spring 32b fixed to the rack 36, and a second spring 32b fixed to the rack 36, A fixed amount discharging portion 42 having one side of a nylon 38 and a coffee / coffee dispenser 42 provided on the fixed amount discharging portion 42 to feed the material into the material feeding groove 42a of the fixed amount discharging portion 42, And the milk material containers 14b and 14a.

상기 커피 믹서기 본체(18)의 상부에 설치되어져 있는 밀크 재료통(14a)은 그 내부에 밀크 재료(26a)가 담겨져 있고 마찬가지로 커피 재료통(14b)에는 커피 재료(26a), 물통(16)에는 물(16a)이 제각기 담겨지는 것이며, 커피와 밀크등은 이들이 인삼차나 분말형 숭늉 재료등 다양한 차 재료를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져 있고, 이들은 통 삽입부(a)를 통하여 필요에 따라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져 있다.A milk material 26a is contained in the milk material container 14a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ffee blender body 18 and a coffee material 26a is stored in the coffee material container 14b, And the water 16a is contained in each of them. Coffee and milk can be selectively accommodated in a variety of tea materials such as ginseng tea and powdery sausage material. .

또, 상기 밀크 재료 버튼(20a) 및 상기 커피 재료 버튼(20b)은 자체의 눌리워진 거리에 따라 각각의 랄말 재료(26a,26b)의 토출량이 결정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요구부(23)상부에는 분배된 각각의 재료(26a,26b,16a)를 집결시키기 위한 호터(21a)가 분배 노즐(21)상부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요구부(23) 하부에는 컵을 지지하기 위한 컵 받침대(24)와, 상기 요구부(23)의 컵 받침대(24) 하부에서 부주의하게 떨어진 각각의 재료(26a,26b,16a)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도시되지 않음)등이 구비 되어져 있다.The milk material button 20a and the coffee material button 20b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discharge amounts of the respective raw material materials 26a and 26b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essed distance of the coffee material button 20b. A hopper 21a for collecting the dispensed materials 26a, 26b and 16a is located above the dispensing nozzle 21 and a cup support 24 for supporting the cup is provided below the dispensing nozzle 21 And a receiving space (not shown) for receiving the materials 26a, 26b and 16a which are inadvertently dropp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cup support 24 of the requesting part 23 are provided.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사용자가 제3도에 도시된 컵 받침대(24) 상부에 컵을 놓고 하나의 분배 버튼(20a 또는 20b)을 누르면 상기 하나의 분배 버튼(20a 또는 20b)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노브(28)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노브(28)에 연결되어 있는 스프링 가압 레버(30)는 자체의 스프링 지지단부(30a)에 연결되어 있는 제1스프링(32a)를 통해 랙(36)을 작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 스프링(32a)는 1조의 스프링 리테이너(34a,34b) 내에 안내되어 작동시 이탈이 방지되게 되며, 상기 1조의 리테이너(34a,34b)는 또한 상기 제1 스프링(32a)의 양 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있는 스프링 지지단부(30a)와 하나의 랙 기어 단부(36a)를 자체 내에 보유하여 상기 단부들(30a,36a)의 작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랙(36)는 자체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는 피니언(38)을 작동시켜 상기 피니언(38)의 중앙에 자체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피니언 샤프트(40)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정량 토출부(42)를 동시에 작동시키게 된다.When the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places a cup on the cup base 24 shown in FIG. 3 and presses one distribution button 20a or 20b, the one distribution button 20a or 20b is moved to a state shown in FIG. Thereby pushing the knob 28 shown. The spring biasing lever 30 connected to the knob 28 operates the rack 36 through the first spring 32a connected to the spring supporting end 30a of the spring biasing lever 30 itself. The first spring 32a is guided in a pair of spring retainers 34a and 34b so as to be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during operation and the pair of retainers 34a and 34b are also engaged with the first spring 32a A spring support end portion 30a and a rack gear end portion 36a to which the end portions are respectively connected are retained therein to guide the operation of the end portions 30a and 36a. The rack 36 operates the pinion 38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ack 36 a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inion shaft 40 having its one end fixed to the center of the pinion 38, (42).

상기 정량 토출부(42)는 각각의 밀크 재료통(14a) 및 커피 재료통(14b)의 하부에 위치되어져 있으므로, 작동시 수납하고 있는 각각의 밀크 재료(26a) 및 커피 재료(26b)를 토출하여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호퍼(21a)를 통해 분배 노즐(21)로 배출시킨다.Since the constant quantity discharging portion 42 is located below each of the milk material container 14a and the coffee material container 14b, the milk material 26a and the coffee material 26b, And discharged to the distribution nozzle 21 through the hopper 21a shown in FIG.

사용자가 누르고 있던 분배 버튼(20a 또는 20b)에서 손을 떼게 되면 자체의 양 단부가 랙 기어 단부(36b) 및 커피 믹서기 본체(18)에서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2 스프링(32b)의 작동에 의해 랙(36)이 후퇴하게 되고 동시에 역 방향으로 작동되는 비워진 정량 토출부(42)내에 각각의 밀크 재료(26a) 및 커피 재료(26b)가 다시 충전되게 된다.When the user releases his or her hand from the dispensing button 20a or 20b which has been pressed by the user, the both ends of the rack are biase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pring 32b connected to the rack gear end 36b and the coffee blender body 18, So that each of the milk material 26a and the coffee material 26b is refilled in the empty fixed amount discharging portion 42 which is simultaneously oper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규한 커피 믹서기가 일체로 냉장고에 구비되어져 있으므로 사용자들에게 비용, 시간 및 공간을 절약하는 효과를 주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new coffee blender is integrally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it is possible to save cost, time, and space to users.

Claims (2)

워터 디스펜서 등의 개방부를 냉장고 도어에 갖고 있는 냉장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워터 디스펜서 등의 개방부에 설치 되어져 있으면서 커피/밀크 재료통(14b,14a) 및 물통(16)등으로부터 투입된 재료와 물(16a)을 컵측으로 배출하는 분배 노즐(21)과, 커피 믹서기 본체(18)의 전면에 설치되어져서 각종 재료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재료 버튼(20a,20b,20c)들과, 상기 분배 노즐(21)상부측에 배치 되어져서 재료 버튼(20a,20b,20c)의 누름에 따라 커피/밀크(26b,26a) 또는 물(16a) 등을 공급하는 커피/밀크 재료통(14b,14a)과 물통(16)이 구비 되어져 있는 커피 믹서기 본체(18)와; 이 커피 믹서기 본체(18)내에 내설 되어져서 재료 버튼(20a,20b,20c)의 누름에 따라 정량의 재료를 분배 노즐(21)측으로 제공하는 정량 배출장치(52)와의 관련구성으로 이뤄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음용 기능을 갖는 냉장고 시스템.And a water dispenser in the refrigerator door. The refrigerator system is provided with a water dispenser or the like, which is installed in an opening portion of the water dispenser or the like, and is made of a material introduced from a coffee / milk material container (14b, 14a) A plurality of material buttons 20a, 20b and 20c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ffee blender main body 18 for selectively discharging various materials; The coffee / milk material containers 14b, 14a (14a, 14b) which ar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tribution nozzle 21 and supply the coffee / milk 26b, 26a or the water 16a etc. in accordance with the pushing of the material buttons 20a, 20b, ) And a water bottle (16); And a fixed amount discharging device 52 which is placed in the coffee blender main body 18 and supplies a fixed amount of material to the dispensing nozzle 21 side in response to the pushing of the material buttons 20a, 20b and 20c The refrigerator having a function of drinking coffe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 배출 장치(52)는 상기 다수의 재료 버튼(20a,20b,20c)과 각각 접촉되는 노브(28)과, 이 노브(28)에 연결되어 제1스프링(32a)을 가압하기 위한 바 형태의 스프링 가압 레버(30)와, 일단부가 상기 스프링 가압 레버(30)의 스프링 지지 단부(30a)에 연결되어져 있고 타단부는 정량 토출부(42)를 회전 구동하는 랙(36)의 일단부(36a)에 연결되어져 있는 제1 스프링(32a)과, 상기 제1 스프링(32a)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하나의 단부(36a)와 제2 스프링(32b)의 일단부에 연결되어지는 타단부(36b)를 가지며 중앙에 적당한 길이의 랙 기어(36c)가 형성되어 있는 랙(36)과, 일단부가 상기 랙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어져 있고 타단은 커피 믹서기 본체(18)에 고정되어져 있는 제2 스프링(32b)과, 상기 랙(36)과 접촉되게 되어지면서 정량 토출부(42)를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피니언(38)을 일측에 가지며 커피/밀크 재료통(14b,14a)으로부터 커피/밀크(26b,26a)를 수납하도록 상기 커피/밀크 재료통(14b,14a)의 하측에 위치되어 있는 정량 토출부(42)를 포함하고 있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음용 기능을 갖는 냉장고 시스템.The dos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dosing device (52) comprises a knob (28)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material buttons (20a, 20b, 20c)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pring support end 30a of the spring press lever 30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rack (not shown)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fixed amount discharge portion 42 A first spring 32a connected to one end 36a of the first spring 32 and one end 36a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spring 32a and a second spring 32b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spring 32b, A rack 36 having a rack 36c having an appropriate length at the center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ack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ffee mixer body 18 A second spring 32b fixed to the rack 36 and a second spring 32b fixed to the rack 36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rack 36, Milk material (14b, 14a)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ffee / milk material container (14b, 14a) so as to receive coffee / milk (26b, 26a) from the coffee / milk material container (14b, 14a) (42). ≪ / RTI >
KR1019960023058A 1996-06-22 1996-06-22 Refrigerator having the function of making drinking coffee KR01531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3058A KR0153157B1 (en) 1996-06-22 1996-06-22 Refrigerator having the function of making drinking coffe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3058A KR0153157B1 (en) 1996-06-22 1996-06-22 Refrigerator having the function of making drinking coffe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420A KR980003420A (en) 1998-03-30
KR0153157B1 true KR0153157B1 (en) 1999-01-15

Family

ID=19462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3058A KR0153157B1 (en) 1996-06-22 1996-06-22 Refrigerator having the function of making drinking coffe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315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717B1 (en) * 2006-08-04 2007-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A refrigerator having coffee-mak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717B1 (en) * 2006-08-04 2007-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A refrigerator having coffee-m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420A (en)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3539A (en) Combination bottled water and coffee dispenser
US7044336B2 (en) Multi-flavored hot beverage dispenser
US6419120B1 (en) Multi-flavored hot beverage dispenser
EP1699329B1 (en) A beverage maker incorporating multiple beverage collection chambers
US5685461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a uniform volume of granular material
US5588557A (en) Beverage dispenser
US4531658A (en) Measured charge dispenser, particularly for powdered material
US4444336A (en) Dispensing unit
US4059181A (en) Meal-service powdered foods dispenser
CA2760989A1 (en) Beverage machines with simplified servicing
US3915207A (en) High-speed, automatic, powdered food and heated water dispenser
RU2000103479A (en) REPLACEABLE CONTAINER FOR A DRINK DOSER AND A DOSING DEVICE FOR SUCH A CONTAINER
AU2003267023A1 (en) Dispensing device for drinks
CA2146114C (en) Ice dispenser with an ice flow regulator
US20070034084A1 (en) Beverage preparation device
JP2002136428A (en) Measuring instrument and dispenser provided with such instrument
US4958749A (en) Appliance for simultaneously dispensing both free-flowing and pourable substances
EA002797B1 (en) Food product cartridge
US20090250490A1 (en) Dispensing device
EP1254621B1 (en) Direct sugar dispensing system in automatic hot beverage vending machines.
KR0153157B1 (en) Refrigerator having the function of making drinking coffee
US4674657A (en) Dispenser for a beverage prepared from a granulated material
KR0131884Y1 (en) Coffee-making function lock apparatus in a refrigerator
US20030075237A1 (en)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of cleaning using said device
US3709408A (en) Beverage dispens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