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1926B1 - 재수화성 제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재수화성 제품 및 그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1926B1
KR0151926B1 KR1019950704210A KR19950074210A KR0151926B1 KR 0151926 B1 KR0151926 B1 KR 0151926B1 KR 1019950704210 A KR1019950704210 A KR 1019950704210A KR 19950074210 A KR19950074210 A KR 19950074210A KR 0151926 B1 KR0151926 B1 KR 0151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electrode
layer
hydratable
sheets
dry hydrog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4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비. 로이드 린제이
이. 베크 조
제이. 페테렌쯔 토마스
Original Assignee
토마스 엠. 파킨스
이오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마스 엠. 파킨스, 이오메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토마스 엠. 파킨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1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19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30Apparatu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or catapho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48Drug reservo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AREA)

Abstract

수화성 이온삼투 바이오전극은 이온화된 유체와 접촉할 때 유체를 흡수하고 보유할 수 있는 다수의 물질층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강하게 교차결합된 건조 하이드로겔의 층이 제2의 약하게 교차결합된 건조 하이드로겔의 층과 함께 사용된다. 약하게 교차결합된 건조 하이드로겔 층이 이온삼투시 피부와 접촉하게 놓여지면, 약품이온은 피부와 인접한 곳에 농축된다. 강하게 교차결합된 층이 도전성부재 다음에 위치하면, 도전성 부재의 부식 또는 가수분해의 나쁜 영향이 줄어든다. 다른 실시예에서, 수화 속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인접한 층들은 설탕 또는 불용해성 입자 또는 셀룰로스와 같은 스페이스 성분의 층 사이에 배치하거나 3차원 패턴을 형성하여 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재수화성 제품 및 그 제조방법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이온삼투 바이오전극 시스템(iontophoretic bioelectrode system)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재수화성(rehydratable) 제품 또는 멤브레인에 관한 것이며, 재수화성 멤브레인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약품을 사람의 피부 또는 조직내로 주입하는 피하주사기를 대신해 사용하는 이온삼투 바이오전극은 습윤성 장벽 또는 미공성 멤브레인이 한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주머니 또는 유사한 인클로우져를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4,250,878호; 제4,419,092호; 제4,477,971호 참조. 사람의 피부 또는 조직내로 전달될 이온을 포함하는 약물은 피하 주사바늘, 주사기 등등을 통하여 주머니내로 주입된다. 습윤성 장벽 또는 멤브레인이 사람의 피부에 놓여지고 전류가 약물에 공급되면, 이온들이 약물에서 습윤성 장벽 또는 멤브레인을 통하여 피부내로 이동하게 된다.
전술한 이온삼투 바이오전극과 연결되어 사용되는 제2바이오전극은 약품 이온의 용액을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에, 제2바이오전극은 (일반적으로 이온삼투 바이오전극에 근접한) 사람의 피부 또는 조직과 접촉하기 위한 소자만을 포함하는데, 이는 접촉소자를 통하여 사람의 피부 또는 조직 사이에 (이온삼투 바이오전극에 공급되는 전류와 반대 극성의) 전류가 제2전류원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비독성 전해질 함유 습윤성 장벽 또는 멤브레인과 같은 것이다.
앞서 언급한 이온삼투 바이오전극에서, 장벽 또는 멤브레인은 주머니내에 용액(약물)을 보유하는 한편 이온들이 통과해 이동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상기한 장벽 또는 멤브레인은 또한 피부가 젖는 것을 막아주므로, 용액이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상당한 정도로 이온들의 이동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용액을 담고 있는 주머니 또는 유사한 인클로우져를 사용하기 때문에, 약물이 주입될 수 있는 인클로우져상의 매카니즘 또는 구조가 필요하다. 이러한 구조는 통상적으로 플러그를 가진 구멍을 포함하며, 그 안으로 피하주사 바늘 또는 주사기 튜브가 삽입되어 구멍을 통해 용액이 인클로우져의 내부로 전달되는 한편, 일클로우져내로 주입된 후에는 용액이 흘러나오지 못하게 한다. 이러한 용액 수용 매카니즘 또는 인클로우져의 설치는 바이오전극의 비용을 증가시키고 잠재적인 누설 가능성이 생기게 한다.
본 명세서에 그 내용이 참고되어 있는 특허 제5,087,242호 및 계류중인 1991년 1월 23일자 출원 제07/645,028호에는 수화성 바이오전극이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특별한 용액수용 구조 또는 매카니즘이 생략되어 있다. 이러한 바이오전극은 수용액을 흡수하고 보유하기 위한 재질의 층과, 상기 재질층에 인접 배치된 전하 수용을 위한 도전성 소자를 포함하여, 유체내의 이온들이 도전성 소자쪽으로 또는 도전성 소자에서 나오는 쪽으로 상기 재질층으로부터 또한 상기 재질층으로 이동되게 하며, 상기 재질층 및 도전성 소자가 장착되는 지지 베이스를 포함한다. 재질층은 중합체와, 수화성 중합체가 스며든 또는 뒤섞인 섬유의 매트릭스, 또는 유사한 이온용액 흡수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이오전극 구조는 간단하고 값싸며 사용하기 편리한 이온삼투 전달 매카니즘을 제공한다.
특허 제5,087,242호 및 계류중인 특허출원 제07/627,714호; 제07/645,028호가 수화성 바이오전극을 제조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고 있지만, 이온삼투요법 분야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수화성 바이오전극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기술보다 좀더 발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발명의 개요]
바이오전극은 이온화된 약품 수용액과 접촉할 때 이를 흡수하는 건조한 수화성 소자와, 전류를 수용하여 전기장을 발생시키고 이온화된 약품이 수화성 소자로부터 바이오전극이 놓여진 피부 또는 조직내로 이동되게 하는 수화성 소자에 인접하여 설치된 도전성 소자와, 수화성 소자를 도전성 소자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수화성 소자는 건조한 하이드로겔(dry hydrogel; 이하 DH로도 인용됨)의 인접한 시이트를 분리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분리수단은 인접한 DH 시이트 사이에 배치된 과립 또는 섬유와 같은 분리성분을 구비하며, 상기한 과립 또는 섬유는 예를 들어 설탕결정, 셀룰로스 섬유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DH 시이트는 분리성분에 의해 서로 떨어져 유지될 수 있도록 비교적 뻣뻣하게 형성되므로, 시이트들이 약품을 흡수하도록 노출될 때 약품과 접촉하는 DH 시이트의 표면적이 넓어져서 더욱 빠르게 완전하고 균일한 흡수가 이루어진다. 다른 대안으로는 시이트상에 3차원 패턴을 형성하는 것과 같이 시이트 사이에 유체 채널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이한 수용액 흡수특성을 가진 DH 층들을 사용하고 있다. 친수성 중합체들이 상이한 정도로 교차결합될 수 있다. 교차결합을 통해 중합체 분자가 네트워크로 결합되는데, 이 네트워크에는 수용액이 완전히 분산되지 않은 상태로 들어차서 팽창될 수 있다. 이렇게, 불용해성 하이드로겔이 형성된다. 하이드로겔의 팽창 및 다공성(porosity)의 정도는 교차결합의 수에 따른다. 강하게 교차결합된 친수성 중합체 네트워크(이하, HCDH(highly crosslinked dry hydrogel)로도 인용됨)는 동일한 중합체의 약하게 교차결합된 네트워크(LCDH) 보다 수용액에서 낮은 정도로 팽창되며 이온들을 이동시키는 기공이 더 적다. 그러므로, DH에 함유된 이온들의 이동속도는 DH내의 교차결합의 정도를 조절하여 제어될 수 있다.
LCDH의 층은 도전성 소자와 접촉되게 놓여지고 HCDH의 층은 그 다른 측에 부착되므로, 친수성이 작은 중합체가 환자 또는동물의 피부 또는 다른 조직에 놓여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도전성 부재와 연관된 바람직하지 않은 가수분해물 또는 부식물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전성 부재가 HCDH와 접촉되게 놓여지고 친수성이 큰 중합체가 피부와 접촉하게 놓여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피부와 가까운 영역에 약품이 농축되게 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과 연관하여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을 보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제1도(1a 및 1b도로 구성됨)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수화성 바이오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제2도는 제1도에 설명된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출발물질의 측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만들어진 이온삼투 바이오전극의 측면도.
제4도는 적층될 때 인접한 시이트 간에 분리될 수 있도록 3차원 패턴이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사이트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전극의 평면도.
제5도는 상이한 수용액 팽창특성을 가진 두 개의 중합체 층으로 형성된, 제4도와 유사한 바이오전극의 측단면도.
제6도는 제5도와 유사하지만 층의 순서가 바꿔져 있는 바이오전극의 측단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화성 바이오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의 한 실시예의 스탭들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제1도의 방법을 위한 출발물질은 제2도에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두 개의 선형 물질층(208,212) 사이에 샌드위치된 겔 물질 덩어리(204)를 포함한다. 두 개의 선형 물질(208,212) 사이의 겔 덩어리에는 일반적으로 그 중간에 스크림의 시이트(그물조직 물질)(216)가 배치된다. 제2도에 도시된 출발물질은 상처나 화상 등을 입은 피부에 대어주는 '네프라 인코포레이션' 제품인 STD-1 또는 WD-1와 같은 불활성 하이드로겔일 수 있다. 특히 양호한 하이드로겔로는, 예를 들어 전자빔 방사를 이용하고 화학적 수단을 통해 또는 감마선과 같은 다른 강력한 방사를 통해 교차결합된 폴리에틸렌 산화물 중합체를 구성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출발물질로는, 폴리비닐 알콜, PVA, 폴리-N-비닐 피롤리돈 또는 다른 적절한 피롤리돈, PVP,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와 같은 폴리아크릴아미드, NIPPAm, 폴리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PHEMA 또는 친수성 HEMA, 아가로스와 같은 다당류, 하이드록시 셀룰로스, HEC, 하이드록시에틸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에틸 셀룰로스, HPC,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스, 덱스트린, 변성된 전분, 변성된 콜라겐, 키산틴 검, 변성된 천연검, 폴리아크릴산과 같은 부분적으로 중화된 고분자전해질, 폴리이미드, 알긴산염 등등의, 습한 또는 건조한 교차결합된 시이트와 같은 다른 친수성물질도 가능하다. 또한, 어떤 경우에 전술한 것들의 공중합체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양호한 중합체는 이온화 성분을 많이 함유하지 않는 PEO, PVA, PPAm, HEC 등과 같은 비-이온성 또는 비-전해질 친수성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데, 그렇지 않은 경우 이온삼투방식으로 투약될 약품과 전하 캐리어로써 경합하게 된다.
제1도를 보면, 수화성 바이오전극을 제조하는 방법 또는 공정의 제1스탭은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출발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원재료로부터 예를 들면 6×13인치의 스트립이 통상적인 방식으로 절단되고(제1도의 (108)스탭), 테이블상에 평탄하게 놓여져서 상부 선형 시이트(208)를 벗겨낸다(제1도의 (112,116,120) 스탭). 제1도의 몇몇 스탭에서 사용된 PEO란 용어는 폴리에틸렌 산화물을 의미하며, WIP는 공정중의 작업물을 의미한다. 제1도의 박스(112,116,120)에 설명된 스탭들이 제2도의 출발물질의 상부 선형 시이트를 벗겨내는 좋은 방법이긴 하지만, 선형 시이트를 제거하기 위한 다른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선형이 아닌 출발물질이 제공되어 스탭(112,116,120)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도의 스탭(120)이 끝난 후, 겔 덩어리 또는 층(204)과 나머지 선형시이트(212)는 겔층(204)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롤러장치에 감겨진다. 공정의 다음 스탭은 불소플라스틱-코팅된 트레이를 냉각 테이블에 놓는 것인데, 트레이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진공상태로 놓여진다. 트레이가 예를 들어 화씨 18도의 일정상태 온도(겔층의 빙점 이하의 온도)에 도달하면(스탭(124)), 겔층이 감겨져 있는 롤러는 냉각된 트레이의 한 엣지를 따라 정렬되며 미리 정해진 제어된 속도로 롤링되어 바깥쪽으로 향한 또는 상부층의 겔 물질(204)이 얼게하며, 롤러가 계속 롤링함에 따라 얇은 상부층(스크림(216)에까지)이 롤러상의 겔의 나머지부분으로부터 벗겨져서 트레이에 얼어붙는다. 겔 덩어리(204)에 스크림(216)이 없다면, 트레이 온도 및 롤러의 롤링속도가 트레이에 얼어붙어 롤러로부터 벗겨지는 겔층의 두께를 결정한다. 여기서는 한 층이 트레이에 놓여지고, 스크림(216)과 선형시이트(212) 사이에 샌드위치된 다른 겔 층은 롤러에 남아있는다.
트레이상의 겔 층과 함께, 트레이는 약 섭씨 55도로 가열되는 대류 건조실에 놓여지는데(스탭(136)), 그 목적은 겔의 질저하를 야기하지 않는 온도(약 섭씨 60도)로 겔 층을 건조시키려는 것이다. 건조된 하이드로겔(DH) 층은 트레이에서 제거되어 스크린에 놓여지고 층의 평면성을 유지시키도록 클램프되며(스탭(144,148)), 스크린은 설탕과 같은 (뻣뻣하게 해주는) 보강재를 예컨대 리터당 50그램 함유한 팽창 수용액에 담겨진다. 보강재의 목적은 후술되겠다. DH층이 놓여진 스크린은 구멍이 뚫린 불소-코팅된 금속 시이트일 수 있으며, 상부의 또 다른 스크린은 겔층의 평탄성을 유지시키려는 것이다.
DH층을 가진 스크린은 팽창용액에 충분한 시간동안 담겨져 있어서 층이 용액을 흡수하게 하며, 측방향으로 팽창한다(스탭(156)). 팽창된 겔층을 가진 스크린은 팽창용액에서 제거되어 젖은 채로 말려지며(스탭 (160)), 충분히 말려진 후, 겔층을 가진 스크린은 다시 대류 건조실로 들어가 겔층을 더 건조시키게 된다(스탭(168)). 팽창시키고 최종 건조스탭을 끝낸 후, DH층은 젖였을 때와 사실상 동일한 길이 및 폭을 갖지만 그 두께는 상당히 줄어든 시이트로 형성된다.
공정의 다음 단계에서는, 과립 또는 섬유들이 DH 시이트에 살포되어, 나중에 DH 시이트의 더미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인접한 DH 시이트들을 가능한 한 떨어져 있게 해주는 스페이서로 작용하게 된다. 개개의 DH 시이트들은 보강재가 가해진 팽창용액에 담구어져서 상당히 뻣뻣하므로, 설탕과 같은 과립 또는 섬유를 DH 시이트에 살포시키면 DH 시이트들이 쌓여져 더미를 이룰 때 스페이서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과 연관하여 유용한 과립을 형성할 수 있는 다른 물질로는 소금결정, 셀룰로스, 전분, 교차결합된 중합체 입자, 불용해성 중합체 방울, 알갱이 또는 이온교환수지 등이 포함된다.
과립 또는 섬유들을 DH 시이트에 살포하는 한 방법은 DH 시이트를 컨베이어 벨트상에 놓고 과립/섬유 분배기 밑으로 통과시키는 것이다(스탭(176)). DH 시이트들이 더미를 이룰때 개개의 시이트들이 떨어져 있게 하면, 이온삼투 약품과 수화될 때 약품이 시이트 사이로 흐를 수 있어서 최종 DH 시이트 더미에 의해 좀더 빠르고 균일하게 흡수될 수 있다.
스탭(180)에서는 미세한 수증기 또는 물안개가 DH 시이트에 인가되어 DH 시이트 표면에 과립 또는 섬유가 더 잘 붙어있게 한다.
수증기 또는 물안개는 설탕과 같은 과립을 부분적으로 용해시켜 이들이 DH 시이트에 들어붙게한다. 과립들이 완전히 용해될 정도로 너무 많은 수증기 또는 안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그렇게 될 경우 인접한 시이트들로부터 DH 시이트가 떨어져 유지되게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섬유의 과립을 DH 시이트에 고정시킨 다음, DH 시이트는 스크린에서 제거되고(스탭(184)), 다른 DH 시이트들과 함께 예컨대 총 28개 층의 더미로 배열된다(스텝 (186)). DH 시이트들이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이오전극에 설치될 때, 전류원(108)으로부터 전류를 수용하는 도전성부재(304)가 바이오전극이 놓여지는 사람의 피부 또는 조직에 하상을 입히지 않도록 충분한 수의 DH 시이트 층이 더미에 포함되어야 한다. 한편, 너무 많은 층으로 더미를 만들어 제조비용이 상승한다.
시이트들을 더미로 만든 다음, 시이트 더미는 롤러 프레스에 의해 압착절단되며(스탭(188)), 롤러 프레스는 더미를 예컨대 길이방향으로 절단하고 또한 그렇게 절단된 인접 엣지들을 클림프한다. 두 층을 함께 결합시키기 위한 대안적인 수단으로써 접착제(예를 들면, 시아노아크릴), 봉합재, 스탭플, 용접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3도는 클림프되고 절단된 DH 시이트 더미의 대향 엣지(312 및 316)를 보여주고 있다. 클림프된 엣지들은 클림프되지 않은 더미의 중앙부보다 훨씬 얇다. 스탭(190)에서, 더미는 스탭(188)에서 행해진 압착절단의 직각방향으로 절단되어 다수의 DH 시이트 더미를 제공하며, 이들 각각은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바이오전극 구조에 통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간단한 이온삼투 바이오전극이 제공되는데, 이온화된 약품은 바이오전극의 일부를 이루는 DH 시이트의 더미내로 흡수된다. 수화된 시이트들은 사람 또는 동물의 피부 또는 조직에 바로 접촉되어 약품을 처리하며, 겔 시이트가 직접 접촉되기 때문에 피부 또는 조직을 적셔주어 이온의 전달이 더욱 효율적으로 달성된다.
전술한 과립 또는 섬유 대신에 인접한 DH 시이트를 분리하기 위한 다른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3차원 패턴을 갖도록 각각의 시이트를 압착하고, 형성하고, 엠보싱하고, 가공하거나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미로 만들었을 때, 상기한 3차원 패턴이 인접한 시이트를 떨어뜨려 주므로 바이오전극의 사용 전에 약물이 인가될 때 신속하고 완벽한 수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4도는 신속한 수화가 이루어지도록 DH 시이트의 표면에 형성된 3차원 패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특정한 상황에서 존재할 수 있는 다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변형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두 개 이상의 인접한 층에 상이한 타입의 하이드로겔을 사용하거나 교차결합의 정도를 다르게 하여 상이한 친수성 특성을 가진 유사한 하이드로겔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폴리에틸렌 산화물(PEO)로 된 하나 이상의 LCDH 시이트의 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LCDH 층은 PEO, PHEMA 또는 전술한 다른 친수성 중합체이 하나 이상의 HCDH 시이트의 층에 부착될 수 있다.
상이한 겔 구조의 층들을 사용하는 실시예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수화성 소자는 PEO-베이스 LCDH의 층(502)과 PHEMA-베이스 HCDH의 층(504)을 포함한다. 층(502)은 바이오전극 사용시 환자의 피부에 놓여지고 층(504)은 도전성 소자(506)에 접촉하여 놓여진다. 전극을 환자에 부착시키는 수단으로 작용하도록 전체 조립체 위에는 접착부재(508)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합재는 수화성 소자를 도전성 소자에 고정시켜주는 수단으로 쓰여진다. 약물을 인가할 때, 제5도의 전극 구성에서는 환자의 피부에 가장 가까운 영역에 약품이 농축되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필요한 약품의 총량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약품의 균일한 분포 및 전달에도 도움을 준다.
대안적으로,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하게 교차결합된 층이 환자의 피부에 놓여지고 더 강하게 교차결합된 층이 도전성 소자와 접촉하도록 놓여질 수 있는데, 여기서 LCDH의 층(602)이 도전성 소자(606)에 인접하여 있고 HCDH의 층(604)이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위치에 놓여져 있다. 접착부재(608)는 전극을 환자에 부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며, 봉합재(610)는 수화성 소자를 도전성 소자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작용된다. 제6도의 구성은, 예를 들면 원치않는 전해물질(H+ 또는 OH-) 또는 도전성 소자 부식물이 형성되는 경우에 느슨한 그물구조(약하게 교차결합된 PEO)를 가진 영역에서 밀집한 그물구조의 강하게 교차결합된 겔 층으로 이동될 때 환산계수의 감소에 따라서 도전성 소자와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환자의 피부로의 상기한 원치않는 생성물의 통과를 느리게 하므로 유익한 것이다.
pH 변동을 제어하거나 원치않는 이온을 제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은 적당한 음이온(anion) 또는 양이온(cation) 교환수지를, 또는 이들의 결합물을 하이드로겔에 집어넣는 것이다. 유용한 음이온 교환수지의 예로는 아미노 또는 4급 아미노족을 사용하는 것이며, 양이온 교환수지의 예로는 카르복시 또는 설폭시족을 사용하는 것이다. PVA, 폴리에틸리민, 덱스트린, 키산틴 또는 알긴산염과 같은 천연 검, 콜라겐 등과 같은 물질도 각각 변형예에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겠다.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이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여러 가지 변형이나 대안을 고안할 수 있을 것이므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그러한 변형예를 망라하고 있는 것이다.

Claims (14)

  1. 이온삼투방식으로 약품을 사람 또는 동물의 피부 또는 조직에 공급하기 위한 바이오전극에 있어서, 이온화된 약품용액과 접촉할 때 용액을 흡수하기 위한 수화성 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수화성 소자는 강하게 교차결합된 건조 하이드로겔의 수평 배치된 층과 함께 쌓여진 약하게 교차결합된 건조 하이드로겔의 수평 배치된 층을 포함하며; 전류를 수용하여 전기장을 발생시키고 이온화된 약품이 수화성 소자로부터 바이오전극이 놓여진 피부 또는 조직내로 이동되게 하는 수화성 소자에 인접하여 설치된 도전성 소자와; 수화성 소자를 도전성 소자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바이오전극.
  2. 제1항에 있어서, 약하게 교차결합된 건조 하이드로겔의 층은 하나 이상의 약하게 교차결합된 건조 하이드로겔의 시이트를 구비하며, 강하게 교차결합된 건조 하이드로겔의 층은 하나 이상의 강하게 교차결합된 건조 하이드로겔의 시이트를 구비하는 바이오전극.
  3. 제2항에 있어서, 인접한 중합체 시이트들이 서로 떨어져 있게 하는 분리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온화된 약품용액에 수화될 때 약품용액이 수화성 소자에 신속히 흡수되게 되어 있는 바이오전극.
  4. 제3항에 있어서, 분리수단이 과립 또는 섬유를 구비하는 바이오전극.
  5. 제4항에 있어서, 과립 또는 섬유가 설탕결정, 전분, 교차결합된 중합체, 불용해성 중합체 방울, 알갱이 또는 이온교환수지를 구비하는 바이오전극.
  6. 제3항에 있어서, 분리수단이 중합체 시이트의 표면에 형성된 융기된 패턴을 가져서, 적층시 인접한 시이트들이 서로 떨어져서 놓여지게 되어있는 바이오전극.
  7. 제1항에 있어서, 도전성 소자는 약하게 교차결합된 건조 하이드로겔의 층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강하게 교차결합된 건조 하이드로겔의 층은 사용시 약품이 전달될 사람 또는 동물의 피부 또는 조직에 대하여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바이오전극.
  8. 제1항에 있어서, 도전성 소자는 강하게 교차결합된 건조 하이드로겔의 층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약하게 교차결합된 건조 하이드로겔의 층은 사용시 약품이 전달될 사람 또는 동물의 피부 또는 조직에 대하여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바이오전극.
  9. 제1항에 있어서, 수화성 소자는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건조 하이드로겔의 층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층은 수화성 소자의 나머지 수평 층들과 수평하게 쌓여지는 관계로 배치되는 바이오전극.
  10. 제1항에 있어서, 약하게 교차결합된 건조 하이드로겔은 약하게 교차결합된 폴리에틸렌 산화물이며, 강하게 교차결합된 건조 하이드로겔은 강하게 교차결합된 PHEMA인 바이오전극.
  11. 제1항에 있어서, 수화성 소자에 넣어지는 이온교환수지 또는 중합체를 더 포함하는 바이오전극.
  12. 제11항에 있어서, 이온교환수지 또는 중합체가 도전성 소자에 인접한 건조 하이드로겔 층에 넣어지는 바이오전극.
  13. 이온삼투방식으로 약품을 사람 또는 동물의 피부 또는 조직에 공급하기 위한 바이오전극에 있어서, 이온화된 약품용액과 접촉할 때 용액을 흡수하기 위한 수화성 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수화성 소자는 약품용액을 흡수할 수 있는 교차결합된 친수성 중합체로 된 적어도 두 개의 수평 배치된 시이트의 더미를 포함하며; 전류를 수용하여 전기장을 발생시키고 이온화된 약품이 수화성 소자로부터 바이오전극이 놓여진 피부 또는 조직 내로 이동되게 하는 수화성 소자에 인접하여 설치된 도전성 소자를 구비하며; 수화성 소자를 도전성 소자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며; 약품용액이 가해질 때 신속한 수화가 이루어지도록 인접한 시이트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떨어뜨려 주는 분리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시이트들의 표면에 형성된 융기된 패턴을 구비하여 적층시 인접한 시이트들이 서로 떨어져 놓여지게 하며; 시이트들을 더미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바이오전극.
  14. 이온삼투방식으로 약품을 사람 또는 동물의 피부 또는 조직에 공급하기 위한 바이오전극에 있어서, 이온화된 약품용액과 접촉할 때 용액을 흡수하기 위한 수화성 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수화성 소자는 약품용액을 흡수할 수 있는 교차결합된 친수성 중합체로 된 적어도 두 개의 수평배치된 시이트의 더미를 포함하며; 전류를 수용하여 전기장을 발생시키고 이온화된 약품이 수화성 소자로부터 바이오전극이 놓여진 피부 또는 조직내로 이동되게 하는 수화성 소자에 인접하여 설치된 도전성 소자를 구비하며; 수화성 소자를 도전성 소자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며; 약품용액이 가해질 때 신속한 수화가 이루어지도록 인접한 시이트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떨어뜨려 주는 분리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분리수단은 전분, 교차결합된 중합체, 불용해성 중합체 방울, 알갱이, 또는 이온교환수지를 구비하며; 시이트들을 더미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바이오전극.
KR1019950704210A 1993-03-29 1994-03-29 재수화성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01519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038,798 1993-03-29
US08/038,798 US5328455A (en) 1989-07-21 1993-03-29 Rehydratable product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PCT/US1994/003396 WO1994022527A1 (en) 1993-03-29 1994-03-29 Rehydratable product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1926B1 true KR0151926B1 (ko) 1998-10-01

Family

ID=219019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4210A KR960701677A (ko) 1993-03-29 1994-03-29 재수화성 제품 및 그 제조방법(rehydratable prodruct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KR1019950704210A KR0151926B1 (ko) 1993-03-29 1994-03-29 재수화성 제품 및 그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4210A KR960701677A (ko) 1993-03-29 1994-03-29 재수화성 제품 및 그 제조방법(rehydratable prodruct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328455A (ko)
EP (1) EP0693952B1 (ko)
JP (1) JP2800852B2 (ko)
KR (2) KR960701677A (ko)
AU (1) AU6526794A (ko)
CA (1) CA2158948C (ko)
DE (1) DE69426294T2 (ko)
ES (1) ES2152977T3 (ko)
NO (1) NO953710D0 (ko)
WO (1) WO19940225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59699A1 (en) * 1993-09-30 2005-07-21 Vyteris, Inc. Iontophoretic drug delivery device and reservoi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377847B1 (en) * 1993-09-30 2002-04-23 Vyteris, Inc. Iontophoretic drug delivery device and reservoi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547677A (en) * 1994-05-20 1996-08-20 Novavax, Inc. Antimicrobial oil-in-water emulsions
US5990179A (en) * 1995-04-28 1999-11-23 Alza Corporation Composition and method of enhancing electrotransport agent delivery
US5788666A (en) * 1995-06-15 1998-08-04 Empi, Inc. Iontophoresis electrode
US5840056A (en) * 1995-06-15 1998-11-24 Empi, Inc. Iontophoresis electrode
US5941843A (en) * 1996-07-12 1999-08-24 Empi, Inc. Iontophoresis electrode
US5857993A (en) * 1996-07-12 1999-01-12 Empi, Inc. Process of making an iontophoresis electrode
US5871461A (en) * 1996-07-12 1999-02-16 Empi, Inc. Method of making an iontophoresis electrode
US6018679A (en) * 1997-01-29 2000-01-25 Novartis Finance Corp. Iontophoretic transdermal delivery and control of adverse side-effects
US5846217A (en) * 1997-07-29 1998-12-08 Iomed, Inc. Iontophoretic bioelectrode and method of using same
US6038464A (en) 1998-02-09 2000-03-14 Axelgaard Manufacturing Co., Ltd. Medical electrode
US6112908A (en) * 1998-02-11 2000-09-05 Rentiers Machinery Pty, Ltd. Membrane laminate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US6275728B1 (en) 1998-12-22 2001-08-14 Alza Corporation Thin polymer film drug reservoirs
US6497887B1 (en) * 2000-04-13 2002-12-24 Color Access, Inc. Membrane delivery system
US6629968B1 (en) * 2000-06-30 2003-10-07 Vyteris, Inc. Shelf storage stable iontophoresis reservoir-electrode and iontophoretic system incorporating the reservoir-electrode
US6553255B1 (en) 2000-10-27 2003-04-22 Aciont Inc. Use of background electrolytes to minimize flux variability during iontophoresis
US7171276B2 (en) * 2001-06-29 2007-01-30 Abbott Laboratories Hydrogel and scrim assembly for use with electro-acupuncture device with stimulation electrodes
US20030065285A1 (en) * 2001-07-23 2003-04-03 Higuchi William I.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flux during reverse iontophoresis
JP2006116086A (ja) * 2004-10-21 2006-05-11 Tokuyama Corp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用作用極構造体及び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
US8197844B2 (en) 2007-06-08 2012-06-12 Activatek, Inc. Active electrode for transdermal medicament administration
US8862223B2 (en) 2008-01-18 2014-10-14 Activatek, Inc. Active transdermal medicament patch and circuit board for same
US20100072060A1 (en) * 2008-09-25 2010-03-25 Tyco Healthcare Group Lp Biomedical Electrode and Method of Formation Thereof
US20100075532A1 (en) * 2008-09-25 2010-03-25 Tyco Healthcare Group Lp Fluorescent Marker for Detecting Gel or Lack of Gel
BRPI1013399A2 (pt) 2009-02-26 2016-04-05 Liquidia Technologies Inc sistema de entrega de fármaco intervencional e métodos associado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2165A (en) * 1980-01-08 1982-12-07 Ipco Corporation Stable gel electrode
US4383529A (en) * 1980-11-03 1983-05-17 Wescor, Inc. Iontophoretic electrode device, method and gel insert
US4416274A (en) * 1981-02-23 1983-11-22 Motion Control, Inc. Ion mobility limiting iontophoretic bioelectrode
JPS5810066A (ja) * 1981-07-10 1983-01-20 株式会社アドバンス イオントフオレ−ゼ用プラスタ−構造体
US4419092A (en) * 1981-11-06 1983-12-06 Motion Control, Inc. Iontophoretic electrode structure
US4731926A (en) * 1985-02-19 1988-03-22 Drug Delivery System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disposable and/or replenishable transdermal drug applicators
US4921475A (en) * 1983-08-18 1990-05-01 Drug Delivery Systems Inc. Transdermal drug patch with microtubes
US4747819A (en) * 1984-10-29 1988-05-31 Medtronic, Inc. Iontophoretic drug delivery
US4702732A (en) * 1984-12-24 1987-10-27 Trustees Of Boston University Electrodes, electrode assemblies, methods, and systems for tissue stimulation and transdermal delivery of pharmacologically active ligands
US4708149A (en) * 1985-06-14 1987-11-24 Jens Axelgaard Electrical stimulation electrode
US4867166A (en) * 1985-06-14 1989-09-19 Jens Axelgaard Electrical stimulation electrode
US4710191A (en) * 1985-12-16 1987-12-01 Jonergin, Inc. Therapeutic device for the administration of medicaments
US4915685A (en) * 1986-03-19 1990-04-10 Petelenz Tomasz J Methods and apparatus for iontophoresis application of medicaments at a controlled ph through ion exchange
US4684558A (en) * 1986-06-30 1987-08-04 Nepera Inc. Adhesive polyethylene oxide hydrogel sheet and its production
US4777954A (en) * 1986-06-30 1988-10-18 Nepera Inc. Conductive adhesive medical electrode assemblies
JPS63102768A (ja) * 1986-10-20 1988-05-07 山之内製薬株式会社 イオントフオレ−シス用の新規プラスタ−構造体
US4989607A (en) * 1989-03-30 1991-02-05 Preston Keusch Highly conductive non-stringy adhesive hydrophilic gels and medical electrode assemblies manufactured therefrom
US5236412A (en) * 1989-07-21 1993-08-17 Iomed, Inc. Rehydratable product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US5087242A (en) * 1989-07-21 1992-02-11 Iomed, Inc. Hydratable bioelectrode
US5084006A (en) * 1990-03-30 1992-01-28 Alza Corporation Iontopheretic delivery device
US5087241A (en) * 1990-07-24 1992-02-11 Empi, Inc. Iontophoresis electrode with reservoir and injection site
US5158537A (en) * 1990-10-29 1992-10-27 Alza Corporation Iontophoretic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hydrating same
JPH0611308B2 (ja) * 1991-04-19 1994-02-16 克弥 高須 脂肪吸引装置およびその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58948C (en) 2000-12-12
US5328455A (en) 1994-07-12
ES2152977T3 (es) 2001-02-16
EP0693952A4 (en) 1996-04-17
DE69426294D1 (de) 2000-12-21
KR960701677A (ko) 1996-03-28
EP0693952A1 (en) 1996-01-31
DE69426294T2 (de) 2001-05-23
WO1994022527A1 (en) 1994-10-13
NO953710L (no) 1995-09-20
JPH08504644A (ja) 1996-05-21
JP2800852B2 (ja) 1998-09-21
NO953710D0 (no) 1995-09-20
EP0693952B1 (en) 2000-11-15
CA2158948A1 (en) 1994-10-13
AU6526794A (en) 1994-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1926B1 (ko) 재수화성 제품 및 그 제조방법
US5281287A (en) Method of making a hydratable bioelectrode
US5236412A (en) Rehydratable product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US11224542B2 (en) Foam wound inserts with regions of higher and lower densities, wound dressings, and methods
KR102022587B1 (ko) 마스크팩에 장착되는 장치, 그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KR960701678A (ko) 이온삼투방식 전극(improved electrodes for iontophoresis)
CA1336921C (en) Hydratable bioelectrode
US4780212A (en) Ultrasound enchancement of membrane permeability
US5941843A (en) Iontophoresis electrode
CA1209003A (en) Wound dressing, manufacture and use
US5857993A (en) Process of making an iontophoresis electrode
WO2007041526A2 (en) Iontophoresis apparatus and method to deliver antibiotics to biological interfaces
AU5634090A (en) Device and method of iontophoretic drug delivery
US3855846A (en) Sample applicator
US5871461A (en) Method of making an iontophoresis electrode
US5724721A (en) Electrode mask application process for forming an electrolytic cell
JP2008531587A (ja) 皮膚および経皮物質放出システムで有用な吸収性材料の減衰特性を高める方法
WO1998002207A1 (en) Iontophoresis electr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