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1644B1 - 트랙터 경작기의 파종기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 경작기의 파종기 설치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1644B1
KR0151644B1 KR1019950006932A KR19950006932A KR0151644B1 KR 0151644 B1 KR0151644 B1 KR 0151644B1 KR 1019950006932 A KR1019950006932 A KR 1019950006932A KR 19950006932 A KR19950006932 A KR 19950006932A KR 0151644 B1 KR0151644 B1 KR 0151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or
frame
operating unit
planter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6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224A (ko
Inventor
셀리 알프레도
Original Assignee
셀리 알프레도
셀리 에스. 피.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셀리 알프레도, 셀리 에스. 피. 에이 filed Critical 셀리 알프레도
Publication of KR960033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1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16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01B49/065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the soil-working tools being actively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Sowing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 경작기의 파종기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트랙터(M)에 의해 견인되며, 경지를 정지하는 기능과 파종기능을 수행한다.
이 첫째 작동유니트(2)는 낱알을 준비시키기 위한 기계안에 구성되어 있으며, 두번째 작동유니트(3)는 파종기에 구성되어 있다. 이 유니트들은 서로가 일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장치(4)가 장치되어서 파종기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하며, 기계(1)가 작동하지 않거나 이동시에는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첫째 작동유니트(2)의 위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트랙터 경작기의 파종기 설치장치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한실시예를 구현한 것으로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현 가능한 기계를 예시한 것으로서 작동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기계가 이동할때를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파종기가 들어 올려져서 파종지를 정지하는 경작기의 윗부분에 위치한 것을 나타낸다.
제3도는 본 기계가 어떻게 트랙터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여 주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트랙터 경작기에 볍씨와 같은 종자의 파종기를 설치하여 경작과 파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한 트랙터 경작기의 파종기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재배단계에 있어서 초기의 파종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의 재배는 볍씨를 뿌리거나 모를 이식하므로써 시작될 수 있다. 모의 이식은 전적으로 수동적인 방법이나 이미 보급된 이앙기로 토양에 심을 수가 있다. 이러한 이식은 상대적으로 느리고 비싼 기계를 사용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적절한 파종기계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유리하다.
벼의 경우에 있어서 이랑에 씨를 뿌리기 위해 원심력을 이용하거나 유압으로써 작동하는 기계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명세서는 기계적인 파종기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는데, 즉 종자들을 잘 배열시키고 일정한 주어진 간격으로 주어진 깊이의 땅에 파종되는데 파종기가 전진함에 따라 전체적인 논밭에 열을 맞추어 파종되도록 고안된 기계장치를 지닌 것이다.
기계적인 파종기는 바퀴와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호퍼(파종지지대), 호퍼에 안착되어 있는 한세트의 파종구, 그리고 이와 연관된 한쌍의 파종구, 그리고 이와 연관된 한쌍의 리스터(파종을 위해 두둑을 만들어 주는 경작기)나 보습기가 있어서 파종할 종자의 숫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한 장치가 되도록 각 부분의 역할이 연계되어 있다.
종래의 벼는 담수 논의 중앙 모판에서 자라나서 어느정도 자라면 모판이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 벼는 모판에서 길러진다. 즉, 다시 말하면 논은 벼가 어느 정도 성장하기까지는 항상 물을 대어야 하는 것이다. 게다가 모판을 이식하기 위한 이앙기는 땅에 구멍을 내는 식의 파종장치를 가져야 한다.
그렇게 해야만 땅에 한쌍의 모가 심어져서 자랄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파종방식은 항상 모판을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며 경작방식도 쟁기질과 써래질을 해야 만이 딱딱한 땅을 갈아 엎고 으깨어서 발아된 연한 모판이 심겨질 수 있는 것이다.
현재 모판을 준비하는 방식이 로타리 경작기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이 로터리는 트랙터에 견인되는 기계장치들로써 분쇄기와 로타리를 장착하고 있으며 트랙터에서 나오는 동력장치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축으로 회전하는 무수히 돋아 있는 날들의 작동으로 땅을 파고 분쇄하는 것이다.
초기 단계에서 벼경작을 최적화시키기 위해서는 모판이 준비되는 대로 즉시 파종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두개의 트랙터가 요구된다. 첫째는 경작기를 끄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모판을 준비하기에 적합한 기계장치이다. 이것은 첫번째 트랙터가 지나간 길을 따라 준비된 모판 위에 파종기를 견인하는 두번째 트랙터이다.
그러나 그러한 방식은 높은 비용을 가져온다. 왜냐하면 일련의 단순동작을 위해 두대의 트랙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해결방법은 두개의 기계를 일렬로 연결시키는 것인데 경작기를 트랙터와 파종기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배열은 연결된 기계의 안정성 면에서 상당한 결점을 드러낸다. 앞으로 전진할때는 트랙터가 튀어 오르거나 전복당할 경우에 연결된 차량의 길이때문에 그리고 앞뒤의 중식부분의 불일치 때문에 안정성에 심각한 문제를 들어낸다.
그러한 결점은 특히 바퀴식의 트랙터일 경우에 두드러진다. 논의 경계의 경사진 면을 통과해 가는 경우에는 앞쪽의 바퀴에는 부하가 없어지고, 따라서 트랙터는 뒷축에 대해 축방향 회전을 하면서 앞쪽은 땅에서 들어 올려진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두 기계를 일렬로 연결해 사용하는 것은 적합치가 않다.
더 큰 단점은 재래식의 경작기와 파종기가 일렬로 연결되어 있을 때 진행방향에서 직각방향으로 가로질러 움직일 때 안정성에 큰 약점이 있다.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경작기가 트랙터에 바로 부착되어 있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파종기가 경작기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즉 두개의 하부 멤버 및 셋째 혹은 상부 멤버가 하부 두 멤버에 인접하여 바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간략히 말하면 이 세가지의 연결을 일체형으로 배열하는 것이다. 그러나 트랙터와는 달리 경작기의 뒷링크는 제한된 힘만을 허용한다. 그래야만 두개의 하부 링크 사이에 불충분하게 넓은 면적 사이에서는 작동할 수 있는 공간을 줄 수가 있다.
땅이 평평하지 않거나 대량의 하중이 걸릴 경우에는 이러한 단점이 심각하게 대두된다.(예를 들면 3m 넓이의 파종기와 800∼900Kg의 파종씨의 무게가 있을 경우)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어 질 수 있는 농기계의 설비를 통해서 위에서 언급한 단점들을 극복하는데 있다. 그러한 설비들은 파종할 논밭을 정지하고, 연속 동작으로 파종을 수행함으로써 하나의 장비로써 파종지를 정지하는 첫번째 작업과 씨를 파종하는 두번째 작업을 연달아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연속적인 작업을 위해서 각 기계들이 일렬로 안정되게 연결되어서 정지작업을 위한 첫번째 작동유니트가 사용되지 않거나 이동중일 경우에는 효과적으로 들어 올려져서 위에 위치시킴으로써 장비의 이동을 안전하고 용이롭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계장치로써 유리한 점은 파종지를 정지하는 작업과 씨를 파종하는 작업이 단일 트랙터를 사용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더군다나, 두번째 작동유니트가 첫번째 작동유니트 위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을 함으로써 안정성을 극대화시켰으며 경작지의 경계선들을 이동할때에 기계가 잘 적응되도록한 것이다.
그리고 모든 경우에 있어서 방해물이나 위험의 노출시, 예를 들어 뚝이나 논밭의 경계선이나 소규모 경작지역 등에 직면하였을때도 잘 적용될 수가 있다.
위에 언급한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의 기능들은 첨부한 청구범위들의 내용에서 명확히 구별될 수 있으며, 다음에 상세히 기술하는 도면 설명에서 상대적인 이점들이 명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가능한 구현으로써 한가지 예를 든 것에 불과한 것으로써, 벼나 이와 유사한 작물의 경작기에 필요한 기계(1)에 관련되어 있다.
그러한 기계장치는 트랙터에 의해 견인될 수 있으며 그러한 기계장치는 필수적으로 트랙터(M)에 바로 연결되어 있는 첫째 작동유니트(2)를 가지고 있으며 이 장치는 파종지를 정지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두번째 작동유니트(3)는 파종기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작동유니트(2)는 경작기일 수 있으며, 도면에서 기술적으로 나타내진 바와 같으며, 파종기는 씨를 땅에 심는 파종장치일 수 있으며, 도면에 나타내진 바와 같다.
두번째 작동유니트는 연결장치(4)를 통해서 첫째 작동유니트에 일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위치를 마음대로 변경할 수 있으며, 그 연결장치를 통해 파종기는 첫째 작동형태에서 작업위치에 놓일 수 있으며, 둘째 작동형태에서는 땅에서 올려져서 첫째 작동유니트(2)의 꼭대기 위에 위치할 수 있다.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본 기계장치는 제1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작동형태와 제2도에서와 같이 이동형태 사이에서 변환될 수 있다.
다음은 첫째 작동유니트(2)와 파종기를 서로 연결시켜 주는 연결장치(4)와 다른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써 도면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다.
첫째 작동유니트(2)는 연결구조물(23)에 연결되어 있는 전면 부분의 첫째 프레임(20)을 나타내 보인다. 이 구조물은 첫째 작동유니트(2)가 트랙터(M)에 연결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제1도와 제2도에서 중심회선으로 그려진 블록에 의해 도식적으로 그려져 있다.
첫째 프레임(20)은 파종기를 연결할 목적으로 첫째 마운팅 세트를 제공하는데 다음에 설명된다.
이 첫째 마운팅 세트는 첫째 프레임에서 제공하는데 이는 수평축 방향으로 일치하도록 장치되어 있다.
첫째 수평축(X)은 첫째 축높이(HX)에 위치하며, 파종기를 향해 있는 첫째 작동유니트(2)의 측면과 일치하여 있다.
둘째 수평축(K)은 보조구조물(25)과 일치하여 있는데 첫째 축높이(HX)보다 더 높은 두번째 높이(HK)에 위치해 있다.
네번째 수평축(W)(첨부한 청구범위의 번호에 맞추기 위해 네번째라고 부른다)은 첫째 프레임(20)의 위에 위치해 있으며, 그 뒤에 있는 위쪽부분(21)에 일치하여 있다.
실제에 있어서 이러한 수평축들은 연결장치(4)가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위해 적절한 소켓에 힌지핀이 끼워져 있으며, 볼 베어링과 유사한 축운동을 할 수 있는 앵커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두번째 작동유니트(3)는 둘째 프레임(30)을 가지고 있는데 이로써 두번째 마운팅 세트가 장착될 수 있게 한다.
첫째 프레임(20)의 경우에서와 같이 수평축 방향으로 일치되어 있다.
두개의 두번째 마운팅 세트는 한쌍으로 되어 있으며, 세번째 수평축(Z)과 일치해 있는 전면을 향하고 있는 부분(31)이 장착될 수 있게 해 준다.
두번째 프레임(30)은 파종기의 폭에 따라 확장되어 있는 가로대, 사각형 파이프관이 있다. 반면, 전면으로 향하고 있는 부분(31)이 있어서 파이프 관(34)을 클램프로 지지하기 위한 클램프장치(31a)(31b)가 부착되어 있는 견고한 플랜지가 있다.
클램프장치(31a)(31b)는 구현에 있어서 재래식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너트와 볼트로 연결되어 있는 두개의 블래킷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한 방법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파종기가 첫번째 작동유니트(2)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혹은 트랙터(M)에 바로 연결되어 쓸 수도 있다.
또한 두번째 프레임(30)의 전면부에 고정아암(32)이 연결되어 있는데 그 끝(33)은 세번째 마운팅 세트를 지지하고 있다. 이 마운팅 세트는 앞에 언급한 두번째 마운팅 세트중의 하나로써 세번째 수평축(Z)의 높이(HZ)보다 더 높은 높이(HJ)의 높이에 위치한다. 이 두번째 세트의 셋째 마운팅은 다섯번째 수평축(J)에 일치하여 있다.
연결장치(4)는 두개의 상호 평행으로 나와 있는 견고한 링크(40)를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있으며 그 링크의 반대편 끝은 첫째 및 셋째 수평축 X와 Z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길이 조정 가능한 구조물(42)가 두번째 수평축(K)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그 한쪽 끝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링크(40)의 중간부분(41)에 나머지 한쪽 끝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연결장치(4)의 형성부분은 링크로드(43)이며, 이것은 한쪽 끝은 앞서 언급한 첫째 프레임(20)의 윗부분(21)에 연결되어 있어서 네번째 수평축(W)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그 나머지 끝은 고정아암(32)의 끝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섯번째 수평축(J)에 대해서도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리하여, 한쌍의 길이 조정 가능한 구조물(42)을 늘였다 줄였다 함으로써 기계장치(1)가 첫째 작동위치와 두번째 작동위치 각각에서 서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한쌍의 길이 조정 가능한 구조물(42)은 유압실린더이거나 사용기술에 따라 상응하는 다른 요소일 수 있다.
한쌍의 길이 조정 가능한 구조물(42)의 각 끝부분에는 축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중간부분(41)이 링크(40)에 연결되어 있으며 여기에 슬롯(45)을 가진 지지대(44)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중간부분(41)은 핀(46)으로 지지되어 있어서 여섯째 수평축(Y)을 가지고 있어 슬롯(45)에 의해 미끄럼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기계장치(1)가 파종기의 첫째 동작형태에서 작업의 상태에 있을때는 이 한쌍의 길이 조정 가능한 구조물(42)은 최대의 길이로 나와 있게 된다. 즉, 이들이 나올 수 있는 최대의 길이로 뻗어 있음으로써 링크(40)가 기계가 전진할 때 땅에서 장애물이 부딪히거나 언덕을 만날 때 축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해준다.
링크로드(43)의 길이도 조정이 가능하다. 그래서 첫번째 프레임(20)의 상단부분(21)과 두번째 프레임(30)의 고정아암(32) 사이에서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이리하여 첫번째 작동유니트(2)에 연관하여 두번째 작동유니트(3)를 포함하는 파종기의 각도를 변경할 수가 있다.
제3도에서 도식적으로 나타나 있듯이 연결구조물(23)의 폭은 트랙터(M)에 연결되는 커플링 센터 사이의 거리에 따라 첫째 폭(L2)에 의해 나타난다. 문제의 이 폭은 종래의 세점 연결의 두 낮은 연결 끝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정해진다.
첫째 작동유니트(2)의 첫째 프레임(20)은 빔구조물(24)을 가지고 있으며, 이 빔구조물은 동일한 첫째 작동유니트(2)의 폭방향으로 가로 질러 있다. 이 빔구조물은 제1도와 제2도에서 나타낸 바대로 사각형의 빔구조물일 수 있다. 이 빔구조물(24)은 보조구조물(25)에 대해 앵커 역할을 한다. 이 보조구조물은 한쌍의 길이 조정 가능한 구조물(42)을 지지하고 있으며 한쌍의 길이 조정 가능한 구조물(42)의 한쪽 끝은 둘째 수평축(K)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조구조물(25)은 트랙터(M)의 링크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구조물(23)의 측면 끝을 분리시키는 거리 보다 더 큰거리에 분리되어 있는 클램프 플랜지 세트의 장치에 의해 사각형 구조물 빔에 안착되어 있다.
따라서, 두개의 견고한 링크(40)는 첫째 폭(L2)보다 더 큰 폭인 두번째 폭(L3)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것은 첫째 작동유니트와 파종기 사이의 연결상태의 견고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파종기의 안정성을 높여 준다.
이 두 견고한 링크(40)는 둘째 프레임(30)의 외부 끝에서 파종기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결과로써 두번째 폭(L3)이 링크(40)에 의해 지정된다. 이 폭은 둘째 작동유니트(3)의 전체 폭만큼이나 크다.
여기 고안된 발명에 대해 기본적인 개념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서 수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하다.
더군다나 상세한 내용은 적용되는 기술에 따라 다른 요소들로 대체될 수 있다.

Claims (10)

  1. 트랙터(M)에 직접 연결되어서 파종지를 정지하는 역할을 하는 첫째 작동유니트(2)와, 첫째 작동유니트(2)로부터 연결장치(4)에 의하여 파종기능을 갖는 둘째 작동유니트(3)를 일렬로 위치시킨 것과, 상기 둘째 작동유니트(3)를 파종지에 접한 작업위치와 첫째 작동유니트(2)의 수직 위로 들어 올린 비작업위치로 변환시킬 수 있는 수단과로 이루어진 트랙터 경작기의 파종기 설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첫째 작동유니트(2)와 파종기에 첫째 프레임(20)과 둘째 프레임(30)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이에 첫째 마운팅 세트와 둘째 마운팅 세트를 각각 구비하여 연결된 연결장치(4)와, 이 연결장치(4)에 대해 수평축 방향으로 일치되고 축방향운동을 할 수 있게된 첫째, 마운팅 세트 및 둘째 마운팅 세트와, 또 연결장치(4)가 적어도 다수의 견고한 링크로 구성되고 각 끝에서 첫째와 둘째 프레임이 축방향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며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장치를 가지고 있어서 왕복운동과 위치 이동을 할 수 있게 하고 적어도 다수의 견고한 링크와 첫째 프레임(20)과 둘째 프레임(30)중 하나 사이에서 작동할 수 있게한 트랙터 경작기의 파종기 설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첫째 마운팅 세트가 첫째 축높이(HX)에 위치해 있는 첫째 수평축(X)에 일치할 수 있도록 첫째 프레임 위에 위치되어 있고, 첫째 축높이 보다 더 높은 두번째 높이(HK)에 설치된 두번째 수평축(K)과, 두번째 마운팅 세트는 둘째 프레임(30)에 연결되어 있고 파종기의 전면을 향하고 있는 부분(31)과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장치(4)에 적어도 한쌍의 견고한 링크(40)가 구성되어 있고 첫째 수평축(X)에 대해 각각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그 반대방향 끝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세번째 수평축(Z)에 대해서는 축방향운동을 할 수 있고 한쌍의 길이 조정 가능한 구조물(42)과도 축으로 연결되어서 그 반대방향 끝에서 각각 축방향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둘째 수평축(K)에 대해서도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한쌍의 견고한 링크(40)의 중간부분(41)을 축으로 하여서도 회전할 수 있게 된 트랙터 경작기의 파종기 설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첫째 프레임(20)에 위쪽부분(21)을 형성하고 둘째 프레임(30)의 고정아암(32)에 그 끝(33)을 형성하되 이를 세번째 수평축(Z)의 높이(HZ)보다 더 높은 높이(HJ)에 위치시킨 것과, 연결장치(4)는 링크로드(43)를 가지고 네번째 수평축(W)에 대하여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그 끝에 축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위쪽부분(21)에 일치하여 있고 다섯번째 수평축(J)에 대해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고정아암(32)의 끝단에 일치되어 있는 트랙터 경작기의 파종기 설치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한쌍의 길이 조정 가능한 구조물(42)의 각 끝은 견고한 링크(40)의 중간부분(41)에 축으로 연결되어 있고 슬롯(45)이 있는 지지대(44)가 있고 중간부분(41)에 여섯번째 수평축(Y)과 일치점에 있는 핀(46)이 슬롯(45)내에서 미끄럼운동을 할 수 있게 하여 땅이 고르지 않은 상태를 당할 경우 회전하여 견고한 링크(40)가 움직이도록한 트랙터 경작기의 파종기 설치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첫째 프레임(20)의 위쪽부분(21)과 둘째 프레임(30)의 고정아암(32) 사이에 길이 조정이 가능한 링크로드(43)를 설치하여 첫째 작동유니트(2)에 관련하여 파종기의 각도가 상태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게 한 트랙터 경작기의 파종기 설치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트랙터(M)에 연결되는 연결구조물(23)의 폭은 트랙터(M)의 연결점들 사이의 거리인 첫째 폭(L2)과 같고 첫째 작동유니트(2)와 두번째 작동유니트(3) 사이에 연결되는 한쌍의 견고한 링크(40)를 가진 연결장치(4)의 폭은 첫째 폭(L2)보다 더 큰 두번째 폭(L3)과 같게 구성된 트랙터 경작기의 파종기 설치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첫째 프레임(20)의 전단부안에 트랙터(M) 연결용 연결구조물(23)이 형성되어 있고 첫째 프레임(20) 하측에 보조구조물(25)이 장치되어 있고 이는 첫째 작동유니트(2)의 폭에 가로 질러 있는 빔구조물(24)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이와함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42)가 축으로 연결된 트랙터 경작기의 파종기 설치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견고한 링크(40)가 파종기(3)의 외부 끝단 근처의 지점에서 연결되고 두번째 폭거리(L3)은 양링크(40)에 의해 정해지며 이는 파종전체의 폭과 거의 같게 구성된 트랙터 경작기의 파종기 설치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둘째 프레임(30)에 형성된 파이프 관(34)의 형태는 사각형 관 모양이고 파종기(3)의 폭방향으로 가로 질러 있으며 그곳을 전면을 향하고 있는 부분(31)이 견고한 플랜지로 구성되어 있고 클램프로 지지하기 위한 장치(31a)(31b)로 사각형 파이프 관(34)을 조여서 지지되어 있는 트랙터 경작기의 파종기 설치장치.
KR1019950006932A 1994-10-31 1995-03-29 트랙터 경작기의 파종기 설치장치 KR01516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BO940475A IT1274085B (it) 1994-10-31 1994-10-31 Macchina per la coltura del riso e piante similari
ITB094A000475 1994-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224A KR960033224A (ko) 1996-10-22
KR0151644B1 true KR0151644B1 (ko) 1998-09-15

Family

ID=11340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6932A KR0151644B1 (ko) 1994-10-31 1995-03-29 트랙터 경작기의 파종기 설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0151644B1 (ko)
IT (1) IT12740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229Y1 (ko) * 2009-12-29 2012-01-30 박종병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BO940475A0 (it) 1994-10-31
IT1274085B (it) 1997-07-15
KR960033224A (ko) 1996-10-22
ITBO940475A1 (it) 1996-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7371A (en) Coulter attachment for seed planting apparatus
US6216616B1 (en) Mid row banding coulter drill
US6431287B1 (en) Soil tiller assembly and method for tilling soil
US20130199807A1 (en) Tillage System with Interchangeable Modules
US4729435A (en) Subsoil tilling implement
US4679634A (en) Apparatus for extending the frame of a tractor
US3998275A (en) Earthworking implement and row guide apparatus
EP0198563B1 (en) An agricultural machine
US3528507A (en) Field tillage apparatus
US3335681A (en) Agricultural tillage unit
US3866552A (en) Roto sod seeder
CN112544152A (zh) 一种浅埋滴灌垄沟播种机
US4871026A (en) Trench forming device and guidance method
KR0151644B1 (ko) 트랙터 경작기의 파종기 설치장치
EP0337533A2 (en) A power-driven soil cultivating machine
US4216730A (en) Side hill bed shaper and planter
CA1237014A (en) Hinged cultivator frame
KR102185477B1 (ko) 쟁기로터리
EP0620962B1 (en) A soil cultivating machine
RU2638653C2 (ru) Сцепной узел и конструкция поперечной трубы дл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го орудия
CN215601861U (zh) 多功能免耕施肥播种机
GB2155745A (en) Soil cultivating implement
KR200227543Y1 (ko) 로터리용 트랙터 바퀴자국 메움장치
CZ291143B6 (cs) Zemědělský agregát
FI103470B (fi) Annostelulaitteella varustettu k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