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258B1 - 수동광통신망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 - Google Patents

수동광통신망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258B1
KR0150258B1 KR1019940034269A KR19940034269A KR0150258B1 KR 0150258 B1 KR0150258 B1 KR 0150258B1 KR 1019940034269 A KR1019940034269 A KR 1019940034269A KR 19940034269 A KR19940034269 A KR 19940034269A KR 0150258 B1 KR0150258 B1 KR 0150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ignal
data
flip
fl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4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518A (ko
Inventor
김효중
이석훈
강성수
Original Assignee
양승택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40034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0258B1/ko
Publication of KR960028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2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2Adaptations for optical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 H03K19/173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elementary logic circuits as components
    • H03K19/1733Controllable logic circuits
    • H03K19/1737Controllable logic circuits using multiplex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03K19/21EXCLUSIVE-OR circuits, i.e. giving output if input signal exists at only one input; COINCIDENCE circuits, i.e. giving output only if all input signals are identic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6Wired systems
    • H04H20/77Wired systems using carrier waves
    • H04H20/78CATV [Community Antenna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04N7/102Circuits therefor, e.g. noise reducers, equalisers, amplifiers
    • H04N7/104Switchers or spl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7Systems rendering the television signal unintelligible and subsequently intelligible
    • H04N7/1675Providing digital key or authorisation information for generation or regeneration of the scrambling sequ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CATV(Cable Television) 시스템에서 선로 종단과 망 종단인 가입자 사이의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한 망의 구조로 PON(Passive Optical Network)을 도입할 때 가입자로부터 발생하는 버스트 프레임의 형태를 항상 일정하게 하고 광수신기의 안정화시간을 확보하여 전송시의 신뢰도를 높이도록 한 PON에서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폴링신호에 따라 가입자로부터 발생되어 버스트(Burst) 형태로 입력되는 데이타를 무효 데이타와 함께 암호화하여 스크램블된 신호로 출력하는 데이타 송신부와, 상기 스크램블된 신호를 복호화하여 폴링신호 및 데이타별로 분리해내는 데이타 수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데이타 수신단에서 수신신호에 대한 안정화 시간을 확보하도록 하고, 송신단에서의 무효 데이타와 프레임워드를 제외한 가입자 신호를 암호화함으로써 송신단으로부터 발생하는 데이타가 없더라도 항상 일정한 형태의 데이타 프레임이 발생하도록 하여 수신단에서의 전압 레벨 상승으로 인한 재생 데이타의 에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의 결과로 전송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동 광통신망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
제1도는 종래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에 따른 타이밍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광통신망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의 일실시예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광통신망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의 동작 타이밍도.
제4도는 제2도의 스크램블러/디스크램블러의 일실시예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무효 데이타 생성부 12 : 상향 TDM-폴링부
14 : 논리합 게이트 17 : 디스크램블러
18 : 스크램블러 19 : 하향 TDM-폴링부
본 발명은 수동 광통신망(PON:Passive Optical Network)의 광 CATV(Cable Television) 시스템에서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비스 제공측인 선로 종단과 망 종단인 가입자 사이의 신호를 광선로를 통하여 송수신하는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광 CATV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와 선로 종단간에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해 PON(Passive Optical Network) 구조를 사용하여 양방향 데이타 전송을 실시할 경우, 필연적으로 가입자로부터 발생하는 데이타는 연속되지 못하고 버스트(Burst) 형태를 가지게 된다.
제1도는 종래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에 따른 타이밍도로서, 101은 폴링신호(#1,#2,#3), 102는 폴링신호(#1), 103은 상향 데이타(#1,#2,#3), 104는 상향 데이타(#1), 105는 상향 데이타(#1) 무데이타 106은 수신단 신호, 107은 수신단 재생신호임을 보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향 데이타(#1) 무데이타(105)는 가입자로부터 발생되는 상향 데이타 프레임에 가입자를 나타내는 프레임 워드만이 있고 데이타는 없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 데이타를 광송신기를 통해 전송한 후 다시 광수신기를 통해 받은 신호가 수신단 신호(106)이다.
그런데 광수신기의 특성상 수신 신호의 안정화 되는데 시간이 걸리고, 또한 논리적 '0' 값에서 전압레벨이 문턱값(Threshold level) 이상으로 높아짐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수신단 재생신호(107)에서 보듯이 광수신기의 수신단 신호의 왜곡으로 인하여 재생된 신호 또한 왜곡되어 가입자로부터 송신된 데이타와 다름을 볼 수 있다. 이는 데이타 전송의 신뢰성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상기 버스트 데이타를 전송하고 수신하기 위하여 특수하게 제작된 광송신기를 사용하게 되나 광송신기의 특성상 버스트 데이타 프레임의 형태에 따라 데이타 전송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동 광통신망의 광 케이블 텔레비젼 시스템에서 선로 종단과 망 종단인 가입자 사이의 데이타 전송시 고정된 형태의 데이타 프레임을 만들어 평균적인 직류 구간의 길이를 줄여, 광수신기에 의한 신호의 잘못된 복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데이타 전송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폴링(polling)신호에 따라, 가입자로부터 전달된 버스트(Burst) 형태의 데이타를 무효 데이타와 함께 스크램블링(scrambling)하여 스크램블링된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타 송신수단; 및 상기 데이타 송신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스크램블링된 신호를 디스크램블링(descrambling)하여, 디스크램블링된 신호에서 폴링신호 및 데이타들을 데이타별로 각각 분리하는 데이타 수신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암호화 기법(Scramble)을 사용하여 가입자로부터 발생하는 데이타가 없더라도 마치 가입자로부터 발생하는 데이타가 있는 것처럼 하여 데이타 프레임의 길이가 항상 일정하도록 함으로써 광송신기시의 데이타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고, 또한 버스트 데이타 프레임의 앞에 무효 데이타를 삽입함으로써 광송신기의 응답 시간을 확보하기에 용이하도록 한다.
이하 제2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광통신망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의 일실시예 블럭도이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는, 폴링(polling)신호에 따라 데이타 A, 데이타 B, 데이타 C를 프레임워드와 프레임화된 상향 데이타로 출력하는 상향 TDM-폴링부(12)와, 상향 TDM-폴링부(12)로부터 출력된 무효 데이타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무효 데이타를 생성하는 무효 데이타 생성부(11)와, 상기 무효 데이타와 상기 상향 TDM-폴링부(12)로부터 출력되는 스크램블링(scrambling) 되지 않은 신호를 논리합하는 논리합 게이트(14)와, 상기 논리합 게이트(14)의 출력신호와 상기 상향 TDM-폴링부(12)로부터 출력되는 스크램블(scramble)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스크램블링하는 스크램블러(scrambler)(18)와, 스크램블러(18)로부터 출력된 스크램블링된 신호가 광송신기(20)를 통해 송신되어 광수신기(13)에 수신되면 상기 스크램블링된 신호를 제2버퍼(16)를 통해 입력받아 프레임워드를 찾고 디스크램블(descramble)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여 수신되는 디스크램블링(descrambling)된 신호를 폴링신호 및 데이타별(데이타 A, 데이타 B, 데이타 C)로 분리하는 하향 TDM-폴링부(19)를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의 상세한 동작은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제2도의 수동 광통신망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의 동작 타이밍도이다.
제3도에서, (303)은 폴링신호(#1,#2,#3)는 망 종단에서 각 가입자에게 신호를 송출할 타이밍을 알려주는 타이밍 신호이고, (304)는 상향 데이타(#1,#2,#3)는 폴링신호를 입력받아 3가입자로부터 송출된 신호가 수동광소자에서 합쳐진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지 않는 신호이다. (305)는 무효 데이타 인에이블 신호는 본 발명의 제2도 무효 데이타 생성부(11)에서 자체 발생하는 신호로서 프레임워드 앞에 의미없는 신호를 실어주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무효 신호는 광송신기의 휴지상태로부터 동작상태로 복구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보장해 준다. (306)은 스크램블 인에이블 신호로서, 제2도의 상향 TDM-폴링부(12)에서 생성되어 스크램블러(18)에 제공되는 제어신호로서 무효 신호와 프레임워드를 제외한 가입자신호를 스크램블링하도록 하는 제어신호이다. (307)의 상향 데이타(#1,#2,#3)는 본 발명에 의해 제2도의 광송신기(20)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로서, 무효 데이타, 프레임워드 및 스크램블링된 신호 등을 포함한다. (308)은 수신단 신호로서, 제2도의 광수신기(13)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것을 도시한 것이며, 가운데의 줄은 논리값 '0'과 논리값 '1'을 구분하는 레벨이다. (309)는 상향 데이타(#1,#2,#3)로서, 상기 수신단 신호가 논리값 '0'과 논리값 '1'로 결정되어 제2도의 광수신기(13)에서 출력되는 신호이다. (310)은 디스크램블 인에이블 신호로서, 제2도의 하향 TDM-폴링부(19)에서 생성되어 디스크램블러(17)에 제공되는 제어신호로 무효 신호와 프레임워드를 제외한 가입자신호를 복호화하도록 하는 제어신호이다. (311)은 수신단 재생신호로서, 제2도의 디스크램블러(17)에서 디스크램블링되어 출력되는 신호이다.
상기 제3도를 참조하여 제2도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효 데이타 생성부(11)에서는 상향 시분할 다중(TDM:Time Division Multiple)-폴링부(12)로부터 무효 데이타 인에이블 신호(305)를 입력받아 무효 데이타를 생성하도록 하여, 상향 데이타(#1)(307)와 같이 데이타 프레임의 앞에 놓아줌으로써, 수신단 신호(308), 수신단 재생 신호(309)와 같이 프레임워드 보다 앞서서 광수신기를 안정화 시켜주고, 이의 결과로 하향 TDM-폴링부(19)에서 프레임워드를 바르게 찾을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상기 무효 데이타 인에이블 신호(305)는 계수기와 디코더를 이용하여 간단히 구성할 수 있고, 또한 무효 또 무효 데이타 인에이블 신호(305)를 이용하여 다중화기를 이용하여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이 무효 데이타는 상향 TDM-폴링부(12)로부터 출력된 스크램블링되지 않은 신호와 논리합 게이트(14)에 의해 논리합되어 스크램블러(18)로 전달된다. 스크램블러(18)는 상향 TDM-폴링부(12)로부터 스크램블 인에이블 신호(306)와 같은 신호를 입력받아 스크램블링한다. 이때 스크램블러(18)는 무효 데이타와 프레임워드에 대해서는 스크램블링을 하지 않는다. 스크램블 인에이블 신호(311)는 계수기와 디코더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스크램블러(18)를 통하여 암호화된 신호는 가입자로부터 발생하는 유효한 데이타가 없다고 하더라도 항상 상향 데이타(#1)(307)와 같은 프레임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신호는 광송신기(20)를 통하여 전/광 변환되어 선로 종단으로 송신되며, 광수신기(13)에서 광/전 변환된 후 버퍼(15,16)를 통하여 디스크램블러(17)와 하향 TDM-폴링부(19)로 각각 전달된다. 하향 TDM-폴링부(19)는 디스크램블러(17)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프레임워드를 찾고 디스크램블 인에이블 신호(313)를 디스크램블러(17)로 전달하며, 이 때 무효 데이타는 자동으로 사라지게 된다.
그리고, 디스크램블러(17)는 스크램블링된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하여 원래의 신호를 하향 TDM-폴링부(19)로 출력한다. 따라서, 디스크램블링된 신호(314)는 하향 TDM-폴링부(19)로 전달되며, 이어 하향 TDM-폴링부(19)는 디스크램블링된 신호를 폴링신호와 데이타별로 분리하여 해당 인터페이스로 전달한다.
제4도는 제23의 스크램블러와 디스크램블러의 일실시예 회로도이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도의 스크램블러와 디스크램블러는 각각, 리셋단자(RESET)에 시스템 리셋신호가 인가되고, 클럭단자에 외부로부터 시스템 클럭이 인가되고, 입력단자(D)가 논리합 게이트(14)의 출력단 또는 버퍼(15)의 출력단에 연결된 D플립플롭(41)과, 인에이블단자(EN)가 상향 TDM-폴링부(12)의 출력단 또는 하향 TDM-폴링부(19)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클럭단자에 시스템 클럭이 입력되고, 입력단자(D)가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43)의 출려단에 연결된 D플립플롭(42)고, 일입력단이 D플립플롭(42)의 출력단자(Q)에 연결되고, 타입력단이 D플립플롭(44)의 출력단자(Q)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D플립플롭(42)의 출력단자(D)에 연결된 배타적 부정논리합 게이트(43)와, 클럭단자에 시스템 클럭이 입력되고, 입력단자(D)가 D플립플롭(42)의 출력단자(Q)에 연결되고, 인에이블단자(EN)가 상향 TDM-폴링부(12)의 출력단 또는 하향 TDM-폴링부(19)의 출력단에 연결된 D플립플롭(44)과, 일입력단이 D플립플롭(41)의 출력단자(Q)에 연결되고, 타입력단이 D플립플롭(44)의 출력단자(Q)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D플립플롭(46)의 출력단자(Q)에 연결된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45)와, 클럭단자에 시스템 클럭이 인가되고, 인에이블단자(EN)가 상향 TDM-폴링부(12)의 출력단 또는 하향 TDM-폴링부(19)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입력단자(D)가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45)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출력단자(Q)가 광송신기(20)의 입력단 또는 하향 TDM-폴링부(19)의 입력단에 연결된 D플립플롭(46)를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제3도의 스크램블러와 디스크램블러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셋/리셋 방식을 사용하여 동작하며, 초기값은 논리값 '0'이 되도록 하였다. 셋/리셋에 이써서 그 기준은 프레임워드가 되며 프레임워드가 찾아진 후 본 회로의 스크램블러/디스크램블러는 비로서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우선, 스크램블러(18)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D플립플롭(41)은 논리합 게이트(14)의 출력신호를 스크램블링하기 전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시스템 클럭에 따라 입력단자(D)를 통해 입력된 논리합 게이트(14)의 출력신호를 리타이밍하여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45)로 출력한다. 이때, 배타적 부정논리합 게이트(43)는 D플립플롭(42)의 출력신호와 D플립플롭(44)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배타적 부정논리합하여 스크램블하기 위한 코드를 생성하여 D플립플롭(43)의 입력단자(D)로 출력한다.
이어서, D플립플롭(42)은 배타적 부정논리합 게이트(43)로부터 출력된 코드를 리타이밍시켜 D플립플롭(46)의 입력단자(D)로 출력하며, 또한 D플립플롭은 전달된 코드를 다시 한번 리타이밍시켜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47)로 출력한다.
따라서,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47)는 D플립플롭(46)으로부터 출력된 코드에 따라, D플립플롭(41)을 통해 리타이밍되어 전달된 신호를 스크램블링하여, D플립플롭(46)의 입력단자(D)로 출력하며, 이렇게 출력된 스크램블링된 신호를 D플립플롭(46)은 리타이밍시켜, 광송신기(20)로 출력한다.
다음, 디스크램블러(17)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D플립플롭(41)은 버퍼(15)의 출력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하기 전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시스템 클럭에 따라 입력단자(D)를 통해 입력된 스크램블링된 신호를 리타이밍하여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45)로 출력한다. 이때, 배타적 부정논리합 게이트(43)는 D플립플롭(42)의 출력신호와 D플립플롭(44)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배타적 부정논리합하여 디스크램블링하기 위한 코드를 생성하여 D플립플롭(43)의 입력단자(D)로 출력한다.
이어서, D플립플롭(43)은 배타적 부정논리합 게이트(43)로부터 출력된 코드를 리타이밍시켜 D플립플롭(46)의 입력단자(D)로 출력하며, 또한 D플립플롭은 전달된 코드를 다시 한번 리타이밍시켜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47)로 출력한다.
따라서,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47)는 D플립플롭(46)으로부터 출력된 코드에 따라, D플립플롭(41)을 통해 리타이밍되어 전달된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하여, D플립플롭(46)의 입력단자(D)로 출력하며, 이렇게 출력된 디스크램블리된 신호를 D플립플롭(46)은 리타이밍시켜, 하향 TDM-폴링부(19)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데이타 송신단에서 버스트 데이타 프레임의 바로 앞에 무효 데이타를 필요한 만큼 넣어줌으로써, 데이타 수신단에서 수신신호에 대한 안정화 시간(settling time)을 확보하도록 하고, 송신단에서의 무효 데이타와 프레임워드를 제외한 가입자 신호를 암호화함으로써 송신단으로부터 발생하는 데이타가 없더라도 항상 일정한 형태의 데이타 프레임이 발생하도록 하여 수신단에서의 전압 레벨 상승으로 인한 재생 데이타의 에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의 결과로 전송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폴링(polling)신호에 따라, 가입자로부터 전달된 버스트(Burst) 형태의 데이타를 무효 데이타와 함께 스크램블링(scrambling)하여 스크램블링된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타 송신수단; 및 상기 데이타 송신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스크램블링된 신호를 디스크램블링(descrambling)하여, 디스크램블링된 신호에서 폴링신호 및 데이타들을 데이타별로 각각 분리하는 데이타 수신수단을 포함하는 수동 광통신망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송신수단은, 상기 폴링신호와 함께 상기 가입자로부터 전달된 데이타들을 수신하여 무효 데이타 인에이블 신호, 스크램블링되지 않은 신호 및 스크램블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상향 시분할다중-폴링수단; 상기 무효 데이타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무효 데이타를 생성하는 무효 데이타 생성수단; 상기 무효 데이타 생성수단에서 출력되는 무효 데이타와 상기 상향 시분할다중-폴링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스크램블링되지 않은 신호를 논리합하는 논리합 연산수단; 상기 상향 시분할다중-폴링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스크램블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논리합 연산수단의 출력신호를 스크램블링하는 스크램블링수단; 및 상기 스크램블링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스크램블링된 신호를 상기 데이타 수신수단으로 전달하는 광송신수단을 포함하는 수동 광통신망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램블링수단은, 리셋단자에 시스템 리셋신호가 인가되고, 클럭단자에 외부로부터 시스템 클럭이 인가되고, 입력단자가 상기 논리합 연산수단에 연결된 제1D플립플롭, 인에이블단자가 상기 상향 시분할다중-폴링수단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클럭단자에 시스템 클럭이 인가되는 제2D플립플롭; 하나의 입력단이 상기 제2D플립플롭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상기 제2D플립플롭의 입력단자에 연결된 배타적 부정논리합 게이트; 클럭단자에 시스템 클럭이 입력되고, 입력단자가 상기 제2D플립플롭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인에이블단자가 상기 상향 시분할다중-폴링수단의 출력단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상기 배타적 부정논리합 게이트의 다른 입력단에 연결된 제3D플립플롭; 일 입력단이 상기 제1D플립플롭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타입력단이 상기 제3D플립플롭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 클럭단자에 시스템 클럭이 인가되고, 인에이블단자가 상기 상향 시분할다중-폴링수단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입력단자가 상기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출력단자가 상기 광송신수단의 입력단에 연결된 제4D플립플롭을 포함하는 수동 광통신망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타적 부정논리합 게이트는, 스크램블링하기 위한 코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광통신망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는, 스크램블링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광통신망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수신수단은, 상기 데이타 송신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스크램블링된 신호를 수신하는 광수신수단; 상기 광수신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스크램블링된 신호를 버퍼링하는 제1 및 제2버퍼링수단; 상기 제1버퍼링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스크램블링된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하는 디스크램블링수단; 및 상기 제2버퍼링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스크램블링된 신호와 상기 디스크램블링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디스크램블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크램블 인에이블 신호를 상기 디스크램블링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디스크램블링된 신호를 폴링신호와 데이타별로 분리하는 하향 시분할다중-폴링수단을 포함하는 수동 광통신망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램블링수단은, 리셋단자에 시스템 리셋신호가 인가되고, 클럭단자에 외부로부터 시스템 클럭이 인가되고, 입력단자가 상기 제1버퍼링수단에 연결된 제1D플립플롭, 인에이블단자가 상기 하향 시분할다중-폴링수단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클럭단자에 시스템 클럭이 인가되는 제2D플립플롭; 하나의 입력단이 상기 제2D플립플롭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상기 제2D플립플롭의 입력단자에 연결된 배타적 부정논리합 게이트; 클럭단자에 시스템 클럭이 입력되고, 입력단자가 상기 제2D플립플롭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인에이블단자가 상기 하향 시분할다중-폴링수단의 출력단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상기 배타적 부정논리합 게이트의 다른 입력단에 연결된 제3D플립플롭; 일 입력단이 상기 제1D플립플롭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타입력단이 상기 제3D플립플롭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 및 클럭단자에 시스템 클럭이 인가되고, 인에이블단자가 상기 하향 시분할다중-폴링수단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입력단자가 상기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출력단자가 상기 하향 시분할다중-폴링수단의 입력단에 연결된 제4D플립플롭을 포함하는 수동 광통신망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D플립플롭은, 시스템 리셋신호를 입력받아 리셋되고, 시스템 클럭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광통신망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D플립플롭은, 상기 하향 시분할다중-폴링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고, 시스템 클럭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광통신망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D플립플롭은, 상기 하향 시분할다중-폴링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고, 시스템 클럭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광통신망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D플립플롭은, 상기 하향 시분할다중-폴링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고, 시스템 클럭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광통신망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타적 부정논리합 게이트는, 디스크램블링하기 위한 코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광통신망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는, 디스크램블링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광통신망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
KR1019940034269A 1994-12-14 1994-12-14 수동광통신망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 KR0150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269A KR0150258B1 (ko) 1994-12-14 1994-12-14 수동광통신망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269A KR0150258B1 (ko) 1994-12-14 1994-12-14 수동광통신망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518A KR960028518A (ko) 1996-07-22
KR0150258B1 true KR0150258B1 (ko) 1998-10-15

Family

ID=19401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4269A KR0150258B1 (ko) 1994-12-14 1994-12-14 수동광통신망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02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6186A (ko) * 1995-12-18 1997-07-31
KR100944864B1 (ko) * 2007-02-22 2010-03-04 주식회사 옵티블루 버스트모드 패킷수신을 위한 파장분할 다중화를 이용한수동형 광가입자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153B1 (ko) * 2002-08-07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점대다 토폴로지의 네트워크에서 논리링크의 형성과 그보안 통신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6186A (ko) * 1995-12-18 1997-07-31
KR100944864B1 (ko) * 2007-02-22 2010-03-04 주식회사 옵티블루 버스트모드 패킷수신을 위한 파장분할 다중화를 이용한수동형 광가입자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518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3577B1 (ko) 광대역 데이터 메시지들의 안전 송신
US7171553B2 (en) Method for providing a secure communication between two devices and application of this method
US5835602A (en) Self-synchronous packet scrambler
KR100666438B1 (ko) 디지털 전송 시스템을 위한 스크램블링 유닛
RU2439668C2 (ru) Способы скремблирования и дескремблирования единиц данных
US7529275B2 (en) Data transfer protocol for 6.25 GBPs Serializer/Deserializer (SERDES)
KR100770485B1 (ko) 암호 정보 수신 장치 및, 수신기와 송신기의 재동기화 방법
EP0652661A2 (en) Cryptographic and scrambling system utilising a shared medium passive optical network
EP0196724B1 (en) Scrambled television signals
US6848051B2 (en) System for determining successful reception of a message
US5161191A (en) Encryption system for time division multiplexed networks
KR0150258B1 (ko) 수동광통신망의 버스트 데이타 전송장치
EP0549047B1 (en) Scrambler/descrambler and synchronizer for a data transmission system
JP3172243B2 (ja) 受信装置
KR20000025373A (ko) 데이터 암호화 방법
US6320872B1 (en) Serially buffered medium translator
Angebaud et al. Conditional access mechanisms for all-digital broadcast signals
US5511125A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utilization of electrical signals
US8031695B2 (en) HDLC encoding and decoding techniques
KR970068618A (ko) 디지탈 dbs의 제한수신 시스템에서 수신장치
JPH1013406A (ja) ディジタル秘話装置
JP2940298B2 (ja) 秘密通信方式
KR960014686B1 (ko) 디스크램블링을 위한 인밴드 데이타 전송장치
JP3766386B2 (ja) 伝送制御装置、送信制御装置および受信制御装置
KR100198952B1 (ko) 에러 분산이 가능한 암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