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347B1 - 내연기관의 행정 가변형 피스톤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행정 가변형 피스톤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347B1
KR0149347B1 KR1019930028609A KR930028609A KR0149347B1 KR 0149347 B1 KR0149347 B1 KR 0149347B1 KR 1019930028609 A KR1019930028609 A KR 1019930028609A KR 930028609 A KR930028609 A KR 930028609A KR 0149347 B1 KR0149347 B1 KR 0149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ombustion engine
internal combustion
pistons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8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138A (ko
Inventor
정명기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30028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9347B1/ko
Publication of KR950019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3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3/00Pis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필요에 따라 피스톤의 행정을 증대시켜 흡기효율을 높힘으로써,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내연기관에 있어서, 실린더 내부로 배치되는 피스톤을 서로 분리되는 2개의 상,하부 피스톤으로 형성하여 탄발력으로 상하 소정의 간격을 유지시켜 줌과 동시에 상부 피스톤의 하강시 이를 안내하는 연결수단으로 연결하고, 기관의 운전 상태에 따라 상기 상부 피스톤을 하강시켜 줄 수 있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연기관의 행정 가변형 피스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연기관의 행정 가변형 피스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피스톤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이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행정 가변형 피스톤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주지하다시피 내연기관은 흡입되는 혼합기를 실린더 내부의 연소실에서 연소시켜 이의 연소압력에 의한 피스톤 승강운동을 크랭크 기구로서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출력시킴으로써, 동력을 얻는 것으로 그 대표적인 예로서는 자동차의 엔진을 들 수가 있다.
이러한 내연기관에 있어서는 흡기효율이 성능에 큰 영향으로 미치게 되는 바, 가능한 한 흡기효율을 증대시켜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 내연기관에 있어서는 설계시 실린더 용적이 결정되면 용적 가변이 불가능하게 되어 저속, 중속, 고속에서의 행정이 동일함으로써, 별도의 과급수단이나 흡기계통의 구조 변화없이는 흡기효율을 증대시킬 수 없었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피스톤의 행정을 증대시켜 흡기효율을 높힘으로써,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내연기관의 행정 가변형 피스톤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연기관에 있어서, 실린더 내부로 배치되는 피스톤을 서로 분리되는 2개의 상,하부 피스톤으로 형성하여 탄발력으로 상하 소정의 간격을 유지시켜 줌과 동시에 상부 피스톤의 하강시 이를 안내하는 연결수단으로 연결하고, 기관의 운전 상태에 따라 상기 상부 피스톤을 하강시켜 줄 수 있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연기관의 행정 가변형 피스톤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연결수단은 상,하부 피스톤 사이로 개재되어 상호 이격시키도록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발부재와; 상기 탄발부재의 내부로 배치되어 그의 일단이 상하 피스톤 중 어느 하나에 고착되고, 자유단은 상대 피스톤의 안내홈에 승강 자유롭게 삽입되는 가이드 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연기관의 행정 가변형 피스톤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어수단은 하부 피스톤의 상면 중앙부로 배치되는 전자석과; 회전수 센서와 차속센서, 그리고 스로틀 포지션 센서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져 이들 신호를 종합하여 스위치를 제어하여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전자석으로 통전시켜 주는 전자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연기관의 행정 가변형 피스톤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부호 1은 피스톤을 지칭한다.
상기 피스톤(1)은 상하 분리 형성되는 2개의 피스톤(3)(5)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하 피스톤(3)(5)은 서로 이격시키려는 힘을 발휘하는 탄발부재(7)와; 상기 탄발부재(7)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상부 피스톤(3)의 승강시 이를 안내하는 가이드 봉(9)과; 자기력으로 상기 상부 피스톤(3)을 하강시킬 수 있는 전자석(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상부 피스톤(3)은 상측 외주연에 상하 다단으로 피스톤 링(13)이 결합되며, 하부 피스톤(5)은 그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피스톤 핀(15)에 의하여 커넥팅 로드(17)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피스톤(3)(5) 사이로 개재되는 탄발부재(7)는 중앙부에 1개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는 연소행정시 발생되는 연소압력을 극복할 수 있도록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다수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발부재(7)의 내부로 설치되는 가이드 봉(9)은 원주봉이나 다각형의 봉으로 형성되며, 그의 상단이 상부 피스톤(3)에 고착되고, 그의 하단부는 하부 피스톤(5)을 상하로 관통 또는 상부 피스톤(3)의 하강시 이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되는 안내홈(19)에 승강 자유롭게 삽입된다.
이에따라 상부 피스톤(3)은 상기 가이드 봉(9)에 의하여 좌우 유동은 억제되고, 승강만이 허용된다.
그리고 상기 탄발부재(7)에 의하여 상,하부 피스톤(3)(5)은 상호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전자석(11)은 하부 피스톤(5)의 중심부 상면으로 배치되어 전자 제어유닛(21)에 의하여 제어되는 스위치(23)를 통해 배터리(25)와 연결이 이루어져 배터리(25)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자기력이 발생되면서 상부 피스톤(3)을 하강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전자석(11)의 자기력은 탄발부재(7)의 탄성력을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힘을 가져야 하며, 상기 전자석(11)의 상측 상부 피스톤(3)의 하부에는 스틸 플레이트(27)가 장착되어 전자석(11)의 자기력 발생시 상부 피스톤(3)의 하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전자석(11)을 배터리(25)와 연결하여 주는 스위치(25)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유닛(21)은 회전수 센서(29)와 차속센서(31), 그리고 스로틀 포지션 센서(33)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져 이들 신호를 종합하여 스위치(25)를 제어하게 된다.
이에따라 자동차의 주행시 각 센서(29)(31)(33)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전자 제어유닛(21)에서 비교 판단하여 출력을 높히고자 할 때에는 스위치(23)를 온(ON)으로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배터리(25)의 전원이 전자석(11)으로 통전되어 자기력이 발생되면서, 상부 피스톤(3)을 제3도에서와 같이 하강시킴으로써, 행정이 L이었던 것을 L'로 조절하여 행정을 ΔL만큼 증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행정이 ΔL만큼 증대되면, 그만큼 흡기의 흡입량이 많아지고 이에따라 배기량이 증대됨으로써,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5는 실린더 블록이고, 37은 실린더 헤드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피스톤의 상하 길이조절로서, 흡기행정시 행정을 길게하여 흡기효율을 높히고 이에따른 배기량의 증대로 기관의 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내연기관에 있어서, 실린더 내부로 배치되는 피스톤을 서로 분리되는 2개의 상,하부 피스톤으로 형성하여 탄발력으로 상하 소정의 간격을 유지시켜 줌과 동시에 상부 피스톤의 하강시 이를 안내하는 연결수단으로 연결하고, 기관의 운전 상태에 따라 상기 상부 피스톤을 하강시켜 줄 수 있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연기관의 행정 가변형 피스톤.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수단은 상,하부 피스톤 사이로 개재되어 상호 이격시키도록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발부재와; 상기 탄발부재의 내부로 배치되어 그의 일단이 상하 피스톤 중 어느 하나에 고착되고, 자유단은 상대 피스톤의 안내홈에 승강 자유롭게 삽입되는 가이드 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연기관의 행정 가변형 피스톤.
  3. 제2항에 있어서, 탄발부재는 피스톤의 원주방향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다수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내연기관의 행정 가변형 피스톤.
  4. 제2항에 있어서, 가이드 봉은 상단을 상부 피스톤에 고착하고, 그의 하단부를 하부 피스톤의 안내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하여 이루어지는 내연기관의 행정 가변형 피스톤.
  5. 제1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하부 피스톤의 상면 중앙부로 배치되는 전자석과; 회전수 센서와 차속센서, 그리고 스로틀 포지션 센서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져 이들 신호를 종합하여 스위치를 제어하여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전자석으로 통전시켜 주는 전자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연기관의 행정 가변형 피스톤.
KR1019930028609A 1993-12-20 1993-12-20 내연기관의 행정 가변형 피스톤 KR0149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609A KR0149347B1 (ko) 1993-12-20 1993-12-20 내연기관의 행정 가변형 피스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609A KR0149347B1 (ko) 1993-12-20 1993-12-20 내연기관의 행정 가변형 피스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138A KR950019138A (ko) 1995-07-22
KR0149347B1 true KR0149347B1 (ko) 1998-10-01

Family

ID=19371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8609A KR0149347B1 (ko) 1993-12-20 1993-12-20 내연기관의 행정 가변형 피스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93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1234A (zh) * 2018-11-21 2019-04-12 刘兴海 一种节能环保摩托发动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1234A (zh) * 2018-11-21 2019-04-12 刘兴海 一种节能环保摩托发动机
CN109611234B (zh) * 2018-11-21 2020-10-30 苏州市信睦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摩托发动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138A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5168A (en) Variable lift height valve driving device
EP1318286A3 (en) Engine control system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variable compression ratio mechanism and exhaust-gas recirculation control system
ES2057446T3 (es) Motor de combustion interna.
EP0634570B1 (en) Combustion engine with exhaust control device
KR960702883A (ko) 대형 2 행정 내연기관(a large two-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061242A3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00061202A (ko) 자동차 엔진용 가변 압축비 장치
KR0149347B1 (ko) 내연기관의 행정 가변형 피스톤
US5201287A (en) Variable 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4190293A (ja) ピストン及びピストンを用いた内燃機関の可変圧縮比装置
WO1989002028A1 (en) Improv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326837B2 (ja) 2サイクルエンジンの排気時期制御装置
KR200195842Y1 (ko) 차량의 내연 기관
US6199531B1 (en) Shutter valve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100222526B1 (ko) 연소실 가변기관
KR100292857B1 (ko) 영구자석을이용한엔진
KR0134991B1 (ko) 압전액튜에이터를 이용한 엔진의 흡/배기 밸브 개폐장치
JPH0355788Y2 (ko)
CN219012737U (zh) 连杆机构、发动机及车辆
US20060254547A1 (en) Engine
KR100262586B1 (ko) 내연기관
KR960013352B1 (ko) 자동차의 흡, 배기 밸브 개폐시기 조절장치
SU442269A1 (ru) Свайный дизель-молот
KR20000001108A (ko) 전자력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엔진
JPS63253133A (ja) レシプロエンジンの圧縮比可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