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698B1 - 조명등의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명등의 제어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698B1
KR0148698B1 KR1019940035664A KR19940035664A KR0148698B1 KR 0148698 B1 KR0148698 B1 KR 0148698B1 KR 1019940035664 A KR1019940035664 A KR 1019940035664A KR 19940035664 A KR19940035664 A KR 19940035664A KR 0148698 B1 KR0148698 B1 KR 0148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voltage
power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5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709A (ko
Inventor
김영로
Original Assignee
정재봉
주식회사동아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봉, 주식회사동아포스코 filed Critical 정재봉
Priority to KR1019940035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8698B1/ko
Publication of KR960028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6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9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fluorescent lamps
    • H05B41/298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05B41/2981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protecting the circuit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력전압의 조정이 가능하며 절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조명등, 특히 방전등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명등 제어장치는 입력 AC전압의 변동에 대하여 그 전력조건을 적정하게 조정해 주는 기능이 결여되어 있어 조명등의 열화를 촉진하고 효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과전류등에 의한 보호기능이 결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어시스템은 입력 AC전원전압을 제어하여 조명등에 공급하는 전원제어부, 입력 및 출력 AC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는 센서부, 출력 AC전원단에 연결되어 과전류 발생시 입력 AC전원을 차단시키는 바이패스 스위칭부, 그리고 상기 센서부의 출력을 입력신호로 하여 전원제어부와 바이패스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콘트롤러인 메인콘트롤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어시스템에 의하면, 절전을 위한 신속하고 정밀한 전압제어가 가능하고 출력전압의 조정이 가능함은 물론 과전류등과 같은 이상상태 발생시 시스템을 보호하고 이를 경보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전압·전류값과 현재의 절전율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해 주므로서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명등의 제어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제어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 블록도.
제2도는 제1도내의 전원 제어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3도는 제1도내의 메인콘트롤러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4도는 제1도내의 센서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5도는 제1도내의 전원트랜스부 및 바이패스 스위칭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6도는 제2도의 블록도를 상세히 설명한 회로도.
제7도는 제4도의 블록도를 상세히 설명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전원트랜스부 3 : 바이패스 스위칭부
4a : 전류센서 6 : 전원제어부
8 : 메인콘트롤러 4 : 센서부
9 : 키입력부 10 : 디스플레이부
11 : 경보신호출력부 61 : 래치
62 : 데이타 디코더 63 : 버퍼앰프
64 : 트라이악 스위치 65 : 제로크로스 비교기
66 : 제로크로스 펄스 발생기 81 : 마이크로 프로세서
82 : A/D변환기 83 : 기능신호 입출력부
84 : 디스플레이신호출력부 86 : 디바이스 셀렉터
89 : 워치독 콘트롤러 90 : 경보신호 출력부
41 : 입력전압 검출 트랜스 42 : 출력전압 검출 트랜스
43 : 출력전류 검출 트랜스 44a, 44b, 44c : 버퍼앰프
45a, 45b, 45c : 정류앰프 46a, 46b, 46c : 앰프
47a, 47b, 47c : AC리젝터 21 : 직렬트랜스
22 : 제어트랜스 31, 32 : 바이패스 릴레이
본 발명은 조명등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채용하여 형광등과 같은 방전등의 구동전압 조정이 자유롭고 이에 따라 절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조명등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형광등과 같은 방전등은 백열등과는 달리 전압변화에 대한 광속 변화율이 적은 반면 입력전압이 높으면 전극과열에 의하여 방전등의 수명이 단축되고 열화된 방전등은 그 효율이 매우 나빠지게 되는 특성이 있다.
종래의 방전등의 제어장치로는 안정기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안정기는 방전등의 최초 점등시 전극이 가열된 만큼 순간적으로 전압을 상승시키고, 전극이 가열되어 방전등이 점등된 후에는 서서히 기 설정된 낮은 전압을 유지하도록 제어해 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전등 제어장치는 입력 전원전압의 변동등에 대하여 그 전력조건을 적정하게 조절해주는 기능이 결여되어 있어 방전등의 열화를 촉진시키고, 이에 따라 그 효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채용하여 입력전원전압에 대한 신속하고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므로서 방전등의 수명을 높이고 절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조명등의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어상태에 이상이 있을 경우 시스템을 보호하고 이상상태를 외부로 경보할 수 있도록 한 조명등의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시스템의 입출력 조건이나 절전율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조명등의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 AC전원의 전압을 제어하여 조명등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제어부, 상기 입력 AC전원단자와 상기 전원제어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 AC전원의 전압과 상기 전원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출력 AC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전원제어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과전류 발생시 시스템에 인가되는 상기 입력 AC전원을 차단시키기 위한 바이패스 스위칭부, 그리고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센서부의 출력을 입력신호로 하여 상기 전원제어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압제어신호와 상기 바이패스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인콘트롤러로 구성된 조명등의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의 전원제어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블록도이다. 제1도를 참조하여 입력단자(1)를 통해 인가되 AC입력전원은 과전류 보호용 회로차단기(CP1)를 통해 시스템에 공급되는데. 이 AC입력전원은 전원유니트(7)를 통해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된 후 메인콘트롤러(8)나 센서부(4)와 같이 직류전원을 구동전원으로 하는 각 부에 공급된다.
메인콘트롤러(8)에서 출력되는 전압제어 데이타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전원제어부(6)는 입력되는 AC전원전압을 조절하여 전원트랜스부(2)에 공급하며, 회로차단기(CP2)는 과전류로부터 전원제어부(6)를 보호한다. 상기 전원제어부(6)에서 출력되는 전원제어신호(C3)는 전원트랜스부(2)의 1차측을 제어하며, 이에 따라 이 전원트랜스부(2)의 2차측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게 된다. 이 전원트랜스부(2)의 출력전압은 회로차단기(CP3)를 통해 AC전원 출력단자(5)로 출력된 후 각 조명등(도시되지않음)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또는 전류센서(4a)와 센서부(4)를 통해 과전압 및 과전류 상태가 감지되면, 메인콘트롤러(8)는 바이패스 스위칭부(3)에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므로서 이 바이패스 스위칭부(3)에 의해 입력 AC전원이 전원트랜스부(2)를 거치지않고 출력전원으로 바이패스(bypass) 되도록 제어한다. 즉, 전원트랜스부(2)의 입력전원측과 출력전원측을 단락상태로 만들게 된다.
출력 AC전원의 전류는 전류센서(4a)에 의해, 그리고 입력 및 출력 AC전원의 각각의 전압은 센서부(4)를 통해 검출된 후 메인콘트롤러(8)에 입력된다. 메인콘트롤러(8)는 상기 전류센서(4a) 및 센서부(4)의 출력전압 및 전류값을 이용하여 절전율을 계산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1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한다.
키 입력부(9)는 출력 AC전압의 가감등을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이들 키 신호는 메인콘트롤러(8)로 입력되어, 메인콘트롤러(8)가 필요한 처리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메인콘트롤러는 시스템의 상태를 감시하게 되는데, 어떤 이상이 발생하게 되면 경보신호출력부(11)를 동작시켜 부저나 경광등, 중앙관제실등과 연결된 외부출력단자를 통해 경보신호를 보내게 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어시스템내의 전원제어부(6)의 구체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제2도를 참조하면, 상기 전원제어부(6)는, 입력 AC전원의 제로크로스(zero cross)점을 검출하기 위한 제로크로스 비교기(65), 상기 제로크로스 비교기(65)에서 검출되는 제로크로스점을 이용하여 제로크로스 펄스를 발생하는 제로크로스 펄스 발생기(66), 상기 제로크로스 펄스 발생기(66)에서 출력되는 제로크로스 펄스에 의해 가동되어 상기 메인콘트롤러(8)에서 출력되는 상기 전압제어신호(C1)를 래치시키는 전압 제어 데이터 래치(61), 상기 전압제어 데이타 래치(61)에서 출력되는 전압제어신호 데이타를 디코딩하는 데이타 디코더(62), 상기 데이타 디코더(62)의 출력을 신호증폭하는 버퍼앰프(63), 그리고 상기 버퍼앰프(63)를 통한 상기 전압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전원트랜스부(2)의 해당전압포인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제어신호(C3)를 출력하는 트라이악 스위치(6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원제어부(6)에 의하면, 입력되는 AC전원의 +,-가 교번되는 점인 제로크로스점이 제로크로스 비교기(65)에 의해 검출되고, 이에 의해 제로크로스 펄스 발생기(66)에서는 제로크로스 펄스가 발생된다. 이 제로크로스 펄스는 전압제어 데이타 래치(61)를 가동시켜 메인콘트롤러(8)로부터 입력되는 전압 제어 신호 데이타(C1)를 래치시키게 되며, 이 래치(61)에서 출력되는 전압제어신호 데이타는 데이타 디코더(62)에서 디코딩되므로서 해당되는 스위치가 선택된다. 이 데이타 디코더(62)의 출력은 버퍼앰프(63)에 의해 신호증폭된 후 트라이악 스위치(64)에 공급되어 이 트라이악 스위치(64)를 스위칭 제어하므로서 전원트랜스부(2)의 해당 전압포인트를 구동시키기위한 전원제어신호(C3)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제로크로스점을 이용하는 것은 모든 스위칭 동작이 AC전원의 +,-가 교번되는 점, 즉 제로전압점에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스위칭 노이즈를 방지하고 스위칭 소자에 무리를 주지않기 위함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어시스템내의 전원트랜스부(2) 및 바이패스 스위칭부(3)의 구체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제5도를 참조하면, 상기 전원트랜스부(2)가 상기 전원제어부(6)에서 출력되는 전원제어신호(C3)를 입력신호로 하여 이 전원제어신호(C3)에 대응하는 소정 전압을 발생시키는 제어트랜스(22), 그리고 입력 AC전원을 AC전원출력단에 공급하기 위한 직렬트랜스(21)로 구성되며, 상기 바이패스 스위칭부(3)가 상기 메인콘트롤러(8)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C2)에 의해 구동제어되어 상기 입력 AC전원을 상기 직렬트랜스(21)를 거치지 않고 그대로 AC전원출력단에 바이패스 시키는 제1바이패스릴레이(31), 그리고 정상상태에서 상기 제어트랜스(22)의출력전압을 상기 직렬트랜스(21)의 1차측에 인가하여 그 2차측 출력전압을 상쇄제어하고, 상기 메인콘트롤러(8)에서 출력되는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C2)에 의해 구동 제어되어 상기 직렬트랜스(21)의 1차측 입력전압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2바이패스 릴레이(3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원트랜스부(2) 및 바이패스 스위칭부(3)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전원제어부(6)로부터 해당전압포인트를 설정하기 위한 전원제어신호(C3)가 제어트랜스(22)에 인가되면, 이 제어트랜스(22)로 부터는 전원제어신호(C3)에 대응하는 소정의 전압이 발생한다. 이 전압은 바이패스릴레이(32)를 통해 직렬트랜스(21)의 1차측에 인가되고, 이에 의해 발생된 2차측 전압이 입력 AC전원으로부터 들어온 전압을 상쇄시켜 출력전원으로 출력하게 되므로서, 결국 상쇄된 량만큼 출력전압이 제어된다.
한편, 시스템에 이상이 생길 경우 메인콘트롤러(8)에서 출력되는 스위칭제어신호(C2)에 의해 각 바이패스 릴레이(31)(32)가 구동된다.
이때, 바이패스릴레이(31)는 입력 AC전원이 직렬트랜스(21)를 거치지 않고 그대로 출력전원측에 바이패스 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는 직렬트랜스(21)의 2차측이 단락 상태가 되므로 그 1차측에 과전류가 발생하여 시스템이 소손될 우려가 있으나, 바이패스 릴레이(32)에 의해 직렬트랜스(21)의 1차측 전류를 차단시키게 되므로서 시스템을 보호하게 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어시스템 내의 전류센서(4a)를 포함한 센서부(4)의 구체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제4도를 참조하면, 상기 센서부는 입력 AC전원의 전압을 검출하는 입력전압검출트랜스(41), 출력 AC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각각 검출하는 출력전압 검출트랜스(42) 및 출력전류 검출 트랜스(43), 상기 각 검출트랜스(41)(42)(43)에 의해 검출된 신호들의 임피던스를 조절하기 위한 버퍼앰프(44a)(44b)(44c), 상기 각 버퍼앰프의 출력을 정류하여 맥류로 변환시키는 정류앰프(45a)(45b)(45c), 상기 각 정류앰프의 출력맥류를 적분하여 RMS(root mean square)값으로 변환시키는 RMS앰프(46a)(46b)(46c), 그리고 상기 각 RMS앰프의 출력에 잔류되어 있는 교류성분을 제거하여 상기 메인콘트롤러에 공급하는 AC리젝터(47a)(47b)(47c)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센서부에 있어서, 입력 AC전원의 전압과 출력 AC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각 트랜스(41)(42)(43)는 고압(220V AC)의 입력전압으로부터 회로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저전압의 형태로 신호를 검출한다. 각 검출트랜스(41)(42)(43)에 의해 검출된 신호는 각각 버퍼앰프(44a)(44b)(44c)에서 임피던스가 조절되고, 정류앰프(45a)(45b)(45c)에서 맥류로 정류된 후 RMS앰프(46a)(46b)(46c)에 의해 적분되어 RMS값으로 변환된다. 이들 각 RMS앰프의 출력은 AC리젝터(47a)(47b)(47c)에 입력되어 잔류되어 있는 교류성분이 제거된 후 각각 입력전압, 출력전압, 및 출력전류값으로서 메인콘트롤러(8)에 인가된다.
한편, 제3도는 본 발명의 제어시스템내의 메인콘트롤러(8)의 구체적인 구성블록도이다. 제3도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콘트롤러(8)는 시스템 콘트롤러로서 전압제어, 경보제어 및 디스플레이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81),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의 오동작을 검출하기 위한 워치독 콘트롤러(89), 시스템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발진기(87) 및 분주기(88), 상기 센서부(4)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압, 출력전압 및 출력전류의 아날로그 값들을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 입력하는 A/D변환기(82), 상기 키 입력부(9)로 부터의 키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 입력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로 부터의 스위칭 제어신호나 경보제어신호를 상기 바이패스 스위칭부(3)나 상기 경보신호 출력부(11)로 출력하기 위한 기능신호 입출력부(83),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로부터의 디스플레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0)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신호 출력부(84),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로 부터의 전압 제어신호를 상기 전원제어부(6)로 출력하기 위한 전압제어신호 출력부(85),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로 부터의 어드레스 신호를 해독하여 상기 A/D변환기(82), 기능신호 입출력부(83), 디스플레이신호출력부(84) 및 전압제어신호출력부(85)를 각각 선택하도록 된 디바이스 셀렉터(8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메인콘트롤러(8)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마이크로 프로세서(81)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과 입출력 데이타를 저정하기 위한 RAM, 그리고 입/출력 포트를 내장하고 있으며, 현재 시판중인 제품으로는 인텔사의 8비트 싱글칩인 8751이 있다. 워치독 콘트롤러(89)는 마이크로 프로세서(81)가 어떤 원인에 의하여 오동작하고 있는가를 감시하는 장치로서,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서 발생하도록 프로그램된 일정주기의 펄스를 감시하여 이 펄스가 발생되지 않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81)로 하여금 시스템을 리세트시키고 경보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부저나 경광등을 동작시키게 된다. 발진기(87)는 마이크로 프로세서(81)의 동기신호인 시스템 클럭을 발생시키며, 이 발진기의 출력은 분주기(88)에 의해 주파수 분주된 후 A/D 변환기(82)에 공급된다. 디바이스 셀렉터(8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 신호를 해독하여 A/D변환기(82), 기능신호 입출력부(83), 전압제어신호출력부(85)등의 입출력 디바이스를 선택하게 되며, 선택된 디바이스들은 데이타라인을 통해 각종 데이타를 마이크로 프로세서(81)와 주고 받는다.
센서부(4)를 통해 입력되는 AC전압, 출력 AC전압 및 출력 AC전류는 A/D변환기(82)에 의해 디지탈 값으로 변환된 후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 입력되어 내부 메모리, 즉 RAM에 기록된다. 기록된 디지탈 데이타들은 디스플레이 데이타로 재 변환되어 디스플레이 신호 출력부(84)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0)로 출력되므로서, 현재의 입출력 전압, 전류값으로서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기록된 디지탈 데이타들은 마이크로 프로세서(81)내에서 다음식과 같이 계산되므로서 절전율 데이타가 생성되는데, 이 절전율 데이타도 같은 과정을 거쳐서 디스플레이부(10)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최초로 전원이 인가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81)는 모든 표시등을 소등상태로 하고 디스플레이부(10)를 통해 0을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전원제어부(6)로 출력되는 전압제어신호(C1)도 0이 되므로 전원제어부(6)를 통해 출력되는 전원제어신호(C3)는 최소전압상태로 된다.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81)는 스위칭제어신호(C2)를 출력하여 바이패스 스위칭부(3)를 구동시킴으로서 입력 AC전원이 전원트랜스부(2)를 거치지 않고 직접 출력단자(5)에 인가되는 상태로 된다. 이 기간동안 마이크로 프로세서(81)는 소정의 절전 전압값을 내부 메모리로부터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전압제어신호(C1)를 출력하는 한편, 센서부(4a)로부터 입력된 입출력 전압 및 전류값을 디스플레이부(10)상에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마이크로 프로세서(81)는 스위칭 제어신호(C2)의 출력을 정지하여 바이패스 스위칭부(3) 내의 각 바이패스 릴레이(31)(32)를 원상으로 복구시키며, 이때의 출력전압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소정의 절전 전압값과 비교되어 상기 출력전압이 절전 전압값과 일치되도록 전원제어부(6)로 출력되는 전압제어신호(C1) 데이타값을 가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비교 및 데이타 가감동작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절전 전압값과 센서부(4)를 통해 입력되는 실제 전압값이 일치하지 않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전압제어신호(C1)의 데이타값을 가감하여 상기 전압값들을 일치시키게 된다. 한편, 키 입력부(9)를 통해 출력전압의 승감을 위한 키 신호가 입력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출력 전압값을 가변시키고 전술한 바와 동일한 동작을 통해 출력전압을 재조정하게 된다.
또한, 방전등의 초기특성에 대응하기 위하여 초기 점등시 전압을 220V까지 상승시키게 되는데, 마이크로 프로세서(81)가 센서부(4)를 통해 입력되는 출력전류 데이타를 읽고 있다가 소정의 시간내에 소정의 전류가 증가하면, 전압제어신호(C1) 데이타를 220V에 해당하는 값으로 상승시켜서 방전등을 점등시킨다. 방전등이 점등된 후에는 소정의 안정된 시간까지 해당값을 유지한 다음 전압제어신호 데이타값을 서서히 감소시켜 절전 전압까지 하강시키게 된다.
한편, 이상과 같은 상태에서 센서부(4)로부터 소정의 전류보다 많은 과전류가 검출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81)는 기능신호 입출력부(83)를 통해 바이패스 스위칭부(3)에 스위칭 제어신호(C2)를 출력하여 바이패스 스위칭부(3)내의 바이패스 릴레이(31)(32)를 구동시킴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을 직결 상태로 만든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류가 더욱 증가하게 되면, 회로차단기(CP3)가 차단되어 시스템을 보호하게 되는데,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81)는 예정 출력전압과 실제의 출력전압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소정의 값 이상이 되면 기능신호 입출력부(83)를 통해 경보신호출력부(11)로 경보제어신호를 출력하므로서 부저나 경광등이 동작되고, 이 상황을 신호라인을 통해 중앙관제실로 알리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어시스템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채용하여 절전을 위한 신속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여 절전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출력전압의 조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과전류 발생시 시스템을 보호하고 이상상태를 경보할 수 있으며, 입출력 전압 전류값과 현재의 절전율을 디스플레이 함에 의해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9)

  1. 입력 AC전원의 전압을 제어하여 조명등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제어부, 상기 입력 AC전원단자와 상기 전원제어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 AC 전원의 전압과 상기 전원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출력 AC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전원제어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과전류 발생시 시스템에 인가되는 상기 입력 AC전원을 차단시키기 위한 바이패스 스위칭부, 그리고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센서부의 출력을 입력신호로하여 상기 전원제어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압제어신호와 상기 바이패스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콘트롤러로 구성된 조명등의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콘트롤러에 연결되며, 상기 출원 AC전원의 전압을 가변설정해 주기위한 기능 키이들을 포함하는 키 입력부가 추가로 구비된 조명등의 제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콘트롤러에 연결되며,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입력 및 출력 AC전원의 전압의 전압 및 전류값과 상기 메인콘트롤러에서 계산된 절전율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추가로 구비된 조명등의 제어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콘트롤러에 연결되며, 상기 센서부를 통한 과전류 검출시나 시스템의 이상 발생시 상기 메인콘트롤러에서 출력되는 경보제어신호에의해 구동되어 경보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경보신호 출력부가 추가로 구비된 조명등의 제어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가, 상기 입력 AC전원의 제로크로스 점능 검출하기 위한 제로크로스 비교기(65), 상기 제로크로스 비교기(65)에서 검출되는 제로크로스점을 이용하여 제로크로스 펄스를 발생하는 제로크로스 펄스 발생기(66), 상기 제로크로스 펄스 발생기(66)에서 출력되는 제로크로스 펄스에 의해 가동되어 상기 메인콘트롤러에서 출력되는 상기 전압 제어신호(C1)를 래치시키는 전압제어 데이타 래치(61), 상기 전압제어데이타 래치(61)에서 출력되는 전압제어신호 데이타를 디코딩하는 데이타 디코더(62), 상기 데이타 디코더(62)의 출력을 신호 증폭하는 버퍼앰프(63), 그리고 상기 버퍼앰프(63)를 통한 상기 전압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바이패스 스위칭부의 해당전압 포인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제어신호(C3)를 출력하는 트라이악 스위치(64)로 구성된 조명등의 제어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스위칭부가, 상기 전원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제어신호(C3)를 입력신호로 하여 이 전원제어신호(C3)에 대응하는 소정전압을 발생시키는 제어트랜스(22), 상기 입력 AC전원이 그 1차측에 인가되며, 그 2차측을 통해 출력 AC전원을 제공하는 직렬트랜스(21), 상기 메인콘트롤러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C2)에 의해 구동제어되어 상기 입력 AC전원을 상기 직렬트랜스(21)를 거치지 않고 바로 AC전원출력단으로 바이패스시키는 제1바이패스릴레이(31), 그리고 상기 메인콘트롤러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C2)의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직렬트랜스(21)의 1차측 입력전압을 차단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트랜스(22)의 출력전압을 상기 직렬트랜스(21)의 1차측에 인가하여 그 2차측 출력전압을 상쇄제어하는 제2바이패스 릴레이(32)고 구성된 조명등의 제어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 입력 AC전원의 전압을 검출하는 입력전압 검출트랜스(41), 출력 AC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각각 검출하는 출력전압 검출 트랜스(42) 및 출력전류 검출 트랜스(43), 상기 각 검출트랜스(41)(42)(43)에 의해 검출된 신호들의 임피던스를 조절하기 위한 버퍼앰프(44a)(44b)(44c), 상기 각 버퍼앰프의 출력을 정류하여 맥류로 변환시키는 정유앰프(45a)(45b)(45c), 상기 각 정류앰프의 출력 맥류를 적분하여 RMS 값으로 변환시키는 RMS앰프(46a)(46b)(46C), 그리고 상기 각 RMS 앰프의 출력에 잔류되어 있는 교류성분을 제거하여 상기 메인콘트롤러에 공급하는 AC리젝터(47a)(47b)(47c)로 구성된 조명등의 제어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콘트롤러가, 시스템 콘트롤러로서 전압제어, 경보제어 및 디스플레이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81),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입력 AC전압, 출력 AC전압 및 출력 AC전류의 아날로그 값들을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에 입력하는 A/D변환기(82), 상기 키 입력부로 부터의 키신호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81)에 입력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로 부터의 스위칭 제어신호나 경보제어신호를 상기 바이패스스위칭부나 상기 경보신호 출력부고 출력하기 위한 기능신호 입출력부(83),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로 부터의 디스플레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기위한 디스플레이 신호출력부(84),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로 부터의 전압제어 신호를 상기전원제어부로 출력하기 위한 전압제어신호출력부(85),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로 부터의 어드레스 신호를 해독하여 상기 A/D변환기(82), 기능신호 입출력부(83), 디스플레이신호 출력부(84) 및 전압제어신호 출력부(85)를 각각 선택하도록 된 디바이스 셀렉터(86)로 구성된 조명등의 제어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콘트롤러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1)의 오동작을 검출하기 위한 워치독 콘트롤러를 추가로 구비한 조명등의 제어시스템.
KR1019940035664A 1994-12-21 1994-12-21 조명등의 제어시스템 KR0148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5664A KR0148698B1 (ko) 1994-12-21 1994-12-21 조명등의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5664A KR0148698B1 (ko) 1994-12-21 1994-12-21 조명등의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709A KR960028709A (ko) 1996-07-22
KR0148698B1 true KR0148698B1 (ko) 1998-10-01

Family

ID=19402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5664A KR0148698B1 (ko) 1994-12-21 1994-12-21 조명등의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86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886B1 (ko) * 2000-12-27 2004-08-09 주식회사 만도 램프 구동 장치
US8519641B2 (en) 2010-07-19 2013-08-2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pparatus for driving light emitting device with over-current and over-voltage prote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694B1 (ko) * 2000-08-01 2003-06-18 정화진 전력공급 제어장치
KR100855485B1 (ko) * 2001-12-24 2008-09-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인버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886B1 (ko) * 2000-12-27 2004-08-09 주식회사 만도 램프 구동 장치
US8519641B2 (en) 2010-07-19 2013-08-2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pparatus for driving light emitting device with over-current and over-voltage pro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709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9588A (en) Lighting circuit utilizing DC power for a discharge lamp utilizing AC power
EP1884141B1 (en) Two-wire dimmer with power supply and load protection circuit in the event of switch failure
US6445141B1 (en) Power supply for gas discharge lamp
CA2111620C (en) Water treatment system bulb status monitor circuit
US20020097007A1 (en) Energy conservation dimmer device for gaseous discharge devices
US6545432B2 (en) Ballast with fast-responding lamp-out detection circuit
US6703795B2 (en) Auxiliary controller
JP4145795B2 (ja) 短絡安定器の保護
US4029993A (en) Two level inverter circuit
US6172469B1 (en) Device for operating a gas discharge lamp
KR0148698B1 (ko) 조명등의 제어시스템
CN102316629B (zh) 直流电源装置及led照明装置
KR20060055087A (ko) 고압방전등용 자기식 안정기의 보호회로
US6958583B1 (en) AC voltage control circuit
JP2004523871A (ja) 電力変換器における故障状態による非常事態に対する保護装置
NO149089B (no) Kretsanordning for drift av en gassutladningslampe
US6674251B2 (en) Multiple discharge lamp ballast with equalizer voltage protection
JP2005019165A (ja) 照明装置
JP2004515034A (ja) 回路に対しオーバーロード保護を行う装置
JPH11283764A (ja) 高圧放電灯の保護回路
JP2006196318A (ja) 点灯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4981217B2 (ja) 高圧放電灯点灯装置
US6469456B2 (en) Sparkle suppression circuit to protect the contact terminals of operation light bulbs
KR100931182B1 (ko) Pwm 컨버터에서의 과전압 제어 장치
JPH11355960A (ja) 保護回路付きインバ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