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435B1 - System for embodying stereoscopic pictur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embodying stereoscopic pictur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435B1
KR0148435B1 KR1019950007755A KR19950007755A KR0148435B1 KR 0148435 B1 KR0148435 B1 KR 0148435B1 KR 1019950007755 A KR1019950007755 A KR 1019950007755A KR 19950007755 A KR19950007755 A KR 19950007755A KR 0148435 B1 KR0148435 B1 KR 0148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irror
images
ey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77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40035A (en
Inventor
김충환
Original Assignee
김충한
박철
정광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한, 박철, 정광균 filed Critical 김충한
Priority to KR1019950007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8435B1/en
Publication of KR960040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00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435B1/en

Links

Landscapes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화상 구현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3차원 입체영상을 만들어내는 데 필요한 1쌍의 이미지(10,12)를 택하여 이를 왼쪽 눈(14)과 오른쪽 눈(16)에 각각 대응되게 이미지(10,12)를 양쪽으로 따로 배열하고, 왼쪽 눈(14)으로는 왼쪽 이미지(10)를 봄과 동시에 오른쪽 눈(16)으로는 오른쪽 이미지(12)를 보게 하므로써 입체화상을 구현하도록 된 입체화상 구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이미지(10,12)가 각각 펼쳐진 좌우면(18,20)에 서로 대향되게 배열되고, 상기 1쌍의 이미지 중 어느 한 이미지(10)는 좌우가 반대로 된 평면거울대칭의 이미지로 구성되어진 한편, 평면거울(24)이 상기 좌우면(18,20)의 사이(22)에 거울대칭이미지쪽으로 거울면(26)이 향하도록 삽탈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로 되어, 평면거울이 세워져 있는 각도와 왼쪽이미지의 평면으로부터의 각도를 동일하거나 유사한 범위를 유지해주게 되면 왼쪽 눈의 거울속 이미지와 오른쪽 눈의 오른쪽이미지가 조합하여 입체영상을 구현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image realization syste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o take a pair of images (10, 12) necessary to produce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and to the left eye 14 and the right eye 16, respectively Correspondingly, the images 10 and 12 are arranged separately on both sides, and the left eye 14 sees the left image 10 and the right eye 16 sees the right image 12. In the stereoscopic image forming system, the pair of images 10 and 12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on the unfolded left and right surfaces 18 and 20, and any one image 10 of the pair of images is left or right. While the mirror is composed of an image of the mirror mirror symmetrically reversed, the planar mirror 24 is detachably installed so that the mirror surface 26 is directed toward the mirror symmetrical image 22 between the left and right surfaces 18 and 20. The angle at which the mirror is erected and the plane of the left image When there.Aye the same angle from or to maintain a similar range will be granted by the right image to the right eye in combination with a mirror image of the left eye, to implement a stereoscopic image.

Description

입체화상 구현 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Stereoscopic image realization syste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화상용 그림집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hree-dimensional picture coll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화상용 그림집의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anufacturing method of a three-dimensional picture coll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왼쪽 이미지 12 : 오른쪽 이미지10: left image 12: right image

14 : 왼쪽 눈 16 : 오른쪽 눈14: left eye 16: right eye

18 : 왼쪽 면 20 : 오른쪽면18: left side 20: right side

22 : 중심선 24 : 평면거울22: center line 24: flat mirror

26 : 거울면 28 : 후면26: mirror surface 28: rear

30 : 지지수단 32 : 연결수단30: support means 32: connection means

34 : 대상물체 36 : 사진기34: object 36: camera

P1,P2 : 지점P1, P2: Branch

본 발명은 입체화상 구현 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울을 이용하여 한쌍의 평면영상으로부터 입체영상을 구현하게 된 입체화상 구현 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image implement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ree-dimensional image implement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image from a pair of planar image using a mirror.

일반적으로 인간의 시각작용은 자연세계 물체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이 인간의 망막에 평면영상으로 투영되면, 이 평면영상으로부터 공간물체의 특성과 물체사이의 관련성을 추출하여 두뇌에 인식과 판단의 기초정보로서 전달하게 된다.In general, the human visual effect is that when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urface of a natural world object is projected onto the human retina as a plane imag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object and the relation between objects are extracted from this plane image and the basis of recognition and judgment in the brain. It is delivered as information.

이때 두뇌는 여러가지 시각적 매개변수 즉 모양, 깊이정보, 운동정보등을 추출하여 종합하므로써 어떤 물체가 어디에 어떻게 존재하는가라는 사실을 파악하고, 이러한 정보를 수집하여 기억하므로써 주변의 상황을 인지할 수 있게 되고, 주변세계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다음단계의 행동제어를 위한 절차를 수립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brain extracts and combines various visual parameters, such as shape, depth information, and motion information, to find out what objects exist where and how, and collects and remembers these information to recognize the surroundings. At the same time, information about the world around them will be established and procedures for controlling the next level of behavior will be established.

이러한 시각작용을 이용하여 인간은 제3자에게 메세지를 전달하는 정보전달매체로서 오래전부터 그림, 사진 내지 영화등과 같은 평면영상을 이용하고 있는 바, 이러한 영상정보의 전달은 다른 어떠한 정보전달매체 즉 글, 언어, 기타 촉감과 같은 것보다는 광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이러한 평면영상을 이용하는 전달매체는 자연세계의 물체와 같이 깊이를 가지는 3차원 정보를 표현하기에는 적절하지 못하며, 이러한 정보를 전달받는 입장에서도평면영상정보로부터 입체영상을 연상할 수 있도록 하는 사고훈련, 즉 일정한 정도의 노력이 필요로 되어질 뿐아니라 사실감 또는 현장감이 결여되어 있어,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데는 미흡하였다.Humans have been using flat images such as pictures, photographs, movies, etc. for a long time as information transmission media for delivering messages to third parties. Although it has the advantage of delivering vast information than words, language, and other touches, the transmission media using such planar images are not suitable for expressing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with depth as the objects of the natural world. Even in the position of receiving the information, it was not necessary to have a certain degree of effort, that is, the training of thinking to associate stereoscopic images from the planar image information, and also lacked the sense of realism or realism, which was insufficient to effectively convey the information.

그래서 좀더 자연세계의 3차원 물체를 실감나게 전달하여 사람의 감각을 자극할 수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한 결과, 인간의 망막에는 단지 2차원적인 영상만이 입력되어 뉴런층으로 끊임없이 사상되고, 이 사상된 투영은 다시 추상적 표현으로 전이되어 두뇌에 전달하게 되는 데, 이때 인식되는 평면적인 영상정보들은 얼굴의 좌우에 구비된 두눈의 거리에 의해 발생되는 공간적인 시차 즉, 두눈의 시차(binocular parallax)와 관측자 머리를 움직이거나 대상물체가 움직일 때에 동일 물체의 움직임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관측시점의 차이 즉, 움직임의 시차(motion parallax)로부터 발생된 영상정보들의 미묘한 차이를 종합판단하여 3차원의 영상정보를 획득하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Therefore, as a result of research on how to realistically transmit three-dimensional objects of the natural world to stimulate human senses, only two-dimensional images are input to the human retina, which is constantly thought of as a neuron layer. The projected projection is converted into an abstract expression and transmitted to the brain. The planar image information recognized is the spatial parallax generat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binocular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ace, that is, with the binocular parallax. The three-dimensional image information is judged by comprehensively judging the difference in observation time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same object when the viewer's head or the object moves, that is, the subtle difference of the image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motion parallax. I've learned that I'll get it.

이중에서도 입체정보를 얻는 것은 주로 두눈을 통한 스테레오 시각의 원리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 데, 두눈의 시차 즉, 동일한 물체를 약 6.5cm 정도 떨어진 두눈의 시차(視差)에 의해 자연세계의 물체를 3차원 물체, 즉 천연색 3차원의 이미지로부터 반사된 빛을 각각 다른 각도로 받아들이게 되고, 이러한 각도는 양눈의 거리와 물체에 대한 거리에 따라 걸정된 소정 각도로 눈에 비추어 광학시스템 즉, 망막을 촉발시켜 신호흐름을 각각 두뇌로 보내게 되며, 이 두뇌에서는 보내진 정보를 통해 3차원의 시각정보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Among them, obtaining stereoscopic information is mainly performed by the principle of stereo vision through binocular, which is a three-dimensional object of the natural world by parallax of binocular, that is, binocular parallax about 6.5cm away from the same object. The light reflected from an object, ie, a natural three-dimensional image, is received at different angles, and this angle triggers an optical system, ie, the retina, to signal to the eye at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eyes and the object. Each flow is sent to the brain, which is perceived as three-dimensional visual information through the sent information.

즉, 실제 사물을 볼 때에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은 그 떨어진 거리에 의해서 동일한 사물을 각각 약간씩 다른 영상으로 보게 되고, 이것이 두뇌에 전달되서 하나의 화상으로 다시 조합되면서 원근감이 생겨 입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looking at a real object,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see the same object in slightly different images according to their distances, and this is transmitted to the brain and recombined into a single image to create perspective and determine three-dimensionally. It is.

이에 따라 양눈의 시차에 대한 3차원 효과를 내기위해 동일한 장면을 한쌍의 약간 다른 이미지로 3차원 시각을 유도하므로써 3차원 영상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입체화상이 개발되었다.Accordingly, in order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effect on the parallax of both eyes, a three-dimensional image capable of transmitting three-dimensional image information by inducing a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same scene as a pair of slightly different images has been developed.

이러한 입체화상의 기본원리는 눈앞에 보이는 영상을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들어오는 각각의 영상으로 따로 분리하여 두장의 사진이나 그림, 또는 필름등으로 출력한 다음 이를 다시 볼 때에 왼쪽 눈에 맞춘 영상은 왼쪽 눈으로 보고, 오른쪽 눈으로 맞춘 영상은 오른쪽 눈으로 분리하여 보도록 하므로써, 두 영상이 한 위치에 있는 것처럼 겹쳐보이게 하여 평면영상이 입체로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The basic principle of this three-dimensional image is to separate the image in front of the eyes into separate images that enter the left and right eyes, and output them as two pictures, pictures, or films. By looking at the image, the right eye is separated by the right eye, so that the two images are superimposed as if they are in one position so that the planar image appears in three dimensions.

즉, 각각 인간의 눈사이 거리에 맞춰 약간 다른 관점에서 똑같은 장면을 묘사한 후, 각각의 영상을 해당되는 눈에 제시하면 인간의 시각이 두 개의 관점을 3차원적 장면이 계속적인 환상으로 합하게 된다.In other words, describe the same scene from a slightly different point of view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each human eye, and then present each image to the corresponding eye, so that the human's perspective combines the two viewpoints into a continuous illusion. do.

따라서 두대의 카메라로 서로 다른 각도에서 찍으므로써 왼쪽 눈에 보이는 영상과 오른쪽 눈에만 비치는 영상을 따로 분리하여 형성한 뒤, 이 두장의 사진을 이용하여 왼쪽 눈에만 비치는 영상과 오른쪽 눈에만 비치는 영상과 오른쪽 눈에만 비치는 영상을 원래의 이미지처럼 다시 한자리에 위치하게 하되 왼쪽 눈을 위한 영상은 왼쪽 눈에만 보이게 하고 오른쪽 눈을 위한 영상은 오른쪽 눈에만 보이게 하면 된다.Therefore, by using two cameras to take pictures from different angles, the image that is visible to the left eye and the image that is reflected only to the right eye is formed separately, and then the image that is reflected only to the left eye and the image to the right eye and the right using these two photos Place the image reflected only on the eyes in the same place as the original image, but make the image for the left eye only visible to the left eye and the image for the right eye only to the right eye.

그러나 이 두 영상을 단순히 겹쳐 놓으면 왼쪽 눈을 위한 영상과 오른쪽 눈을 위한 영상이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즉, 두 영상이 각각 오른쪽과 왼쪽 눈에 한꺼번에 보이기 때문에 입체영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However, if the two images are simply superimposed, the images for the left eye and the image for the right eye are not separated, that is, the two images are not shown as three-dimensional images because the two images are shown at the same time.

이러한 입체영상을 보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편광판을 이용하는 방법과 2색의 필터를 사용하는 방법, 굴절렌즈를 사용하는 방법 및, 눈의 촛점거리를 의식적으로 조절하는 맨눈보기방법 등이 있다.Conventional methods for viewing such stereoscopic images include a method using a polarizing plate, a method using a two-color filter, a method using a refractive lens, and a naked eye method for consciously adjusting the focal length of an eye.

여기서 굴절렌즈를 이용하는 방식은 1930년 허만 이브즈(Herman lIves)의 실험이래 알려진 것으로, 3차원 입체영상을 만들어내는 데 필요한 두 개의 이미지를 택하고, 이를 왼쪽과 오른쪽의 화상을 양쪽으로 따로 놓고, 왼쪽 눈으로 왼쪽 화상을 보고 오른쪽 눈으로 오른쪽 화상을 직접 볼 수 있도록 굴절렌즈를 상기 화상앞에 위치시켜 정지된 1쌍의 화상을 입체로 보는 방법이다.Here, the method of using refractive lenses is known since the experiment of Herman Ives in 1930. It takes two images needed to produce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and sets the left and right images separately on both sides. The refraction lens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image so that the left image can be seen with the left eye and the right image can be directly seen with the right eye.

그러나 이 방법은 사진이나 화상에 별도의 조작을 가하지 않고 단지 시차에 따른 한 쌍의 이미지만으로 입체영상을 보는 데 가장 적합하지만 렌즈의 가격이 비쌀 뿐 아니라 렌즈의 크기에 따라 볼 수 있는 화상의 크기가 결정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is method is most suitable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with only a pair of images due to parallax without any additional manipulation to pictures or images, but the cost of the lens is high and the size of the image that can be view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en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s determined.

또한, 색필터를 이용한 방법은 왼쪽과 오른쪽의 영상을 한 화면위에 겹쳐놓되 왼쪽 눈을 위한 영상은 빨간색으로 하고 오른쪽 눈을 위한 영상은 파란색으로만 되어 있게 하면서 눈앞에 색 필터를 끼고 보면, 즉 왼쪽 눈에는 빨간색 필터를 그리고 오른쪽 눈에는 파란색 필터를 쓰고보면 두눈은 각각 빨간색 영상과 파란색 영상을 분리하면서 보게 되어 동일한 위치에 있는 두 개의 입체용 화상을 용이하게 볼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using the color filter superimposes the image of the left and right on one screen, but the image for the left eye is red and the image for the right eye is blue only. If you use a red filter for your eyes and a blue filter for your right eye, your eyes will see the red and blue images separately, so you can easily see two stereoscopic images in the same position.

그러나 색필터를 사용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의 이미지를 분리하기 위해 2색밖에 사용하지 못하므로 칼라를 재현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However, the method of using the color filter basically has only two colors to separate the image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so there is a limit to the color reproduction.

또한, 편광판을 이용하는 방법은 빛이 전자기파로서 폴라로이드와 같은 편광판을 통과하면 에너지의 진동면이 한평면 성분만을 갖게 되는 편광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 각각 종축과 횡축으로 빛을 편광시키는 편광판이 부착된 두 대의 영사기로 왼쪽영상과 오른쪽 영상을 동시에 한 스크린에 투사한 뒤, 왼쪽에는 왼쪽 영사기 앞에 있는 편광기와 같은 방향으로 편광되는 렌즈를 사용하고, 오른쪽에는 오른쪽 영사기와 같은 방향으로 편광된 렌즈를 사용한 편광안경을 쓰고 보게 되면 왼쪽 눈에는 왼쪽영사기에 의한 상만 보이고 오른쪽 영사기에 의한 상은 오른쪽 눈으로만 보는 결과가 되어 동일한 스크린 위에서 상이 입체로 보이게 된다.In addition, the method using a polarizing plate is used to obtain a polarized light that the oscillation plane of energy has only one plane component when light passes through a polarizing plate, such as a polaroid, as electromagnetic waves, each with a polarizing plate to polarize the light in the longitudinal axis and the horizontal axis Project both left and right images on one screen simultaneously with two projectors, then use a polarized lens on the lef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olarizer in front of the left projector, and use a polarized lens on the righ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ight projector When wearing glasses, the left eye shows only the image of the left projector, and the right projector shows the image of the right eye only, so that the image looks three-dimensional on the same screen.

그러나 편광방식을 이용한 방법은 두 개의 영상을 따로 편광판을 통하여 하나의 스크린에 투영할 수 있는 영사기와 같이 빛을 투사하는 방식에는 적용이 가능하나, 일반적으로 사진이나 그림과 같이 편광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분리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method using the polarization method is applicable to a method of projecting light such as a projector that can project two images separately on a single screen through a polarizer, but in general, it uses polarization as shown in a photograph or a picture. If it can not be separat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applied.

한편, 최근에 등장하기 시작한 맨눈 입체 보기(MAGIC EYE)는 굴절렌즈를 이용하는 방법과 같이 좌우로 나열된 두 개의 입체용 화상을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의 촛점거리를 의도적으로 다르게 함으로써 두 상이 한 위치에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방법인 데, 화상의 크기와는 무관하게 자유자재로 입체화상을 볼 수 있지만 눈의 촛점거리를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을 서로 다르게 임의로 조절하여 보아야 하기 때문에, 눈의 피로를 가중시켜서 눈 무리가 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화상을 보는 기술에 익숙하지 않으면 쉽게 볼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the MAGIC EYE, which is a method of using a refractive lens, intentionally different two focal length images of left and right eyes, such as a method of using a refractive lens, in which two images are in one position. It is a way to make it appear as though it is possible to see three-dimensional images freely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image, but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focal length of the eyes differently to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There is a problem that comes in a bunch and also has the disadvantage that you can not see easily unless you are familiar with the technology of viewing images.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거울을 이용하여 한쌍의 평면화상으로부터 입체화상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된 입체화상 구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image implementation system that is capable of easily implemen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from a pair of planar images by using a mirr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입체화상 구현 시스템을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bove-described stereoscopic image forming system.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입체화상 구현 시스템은, 3차원 입체영상을 만들어내는 데 필요한 1쌍의 이미지를 택하여 이를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각각 대응되게 양쪽으로 따로 배열하고, 왼쪽눈으로는 왼쪽 이미지를 봄과 동시에 오른쪽 눈으로는 오른쪽 이미지를 보게 하므로써 입체화상을 구현하도록 되어 있는 입체화상 구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이미지가 중심선을 기준으로 한 좌우면 서로 대향되게 배열되고, 상기 1쌍의 이미지 중 어느 한 이미지만 좌우가 반대로 된 평면거울대칭의 이미지로 구성되어져, 평면거울을 사용하여 입체화상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reoscopic image implement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t takes a pair of images necessary to produce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and arrange them separately to both sides corresponding to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respectively, In the three-dimensional image implementation system is to implement a three-dimensional image by viewing the left image at the same time to see the right image with the right eye, the pair of images are arranged opposite to the left and right sides based on the center line, Only one image of the pair of images is composed of the image of the mirror mirror symmetry of the left and right, characterized in that to implement a three-dimensional image by using a mirror mirror.

이때 상기 1쌍의 이미지 사이에 거울대칭 이미지쪽으로 거울면이 향하도록 평면거울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mirr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rror mirror is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images toward the mirror-symmetric image.

그리고 상기 평면거울의 후면에 접철가능하게 된 지지수단이 구비되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지지시킬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t is provided with a support means that is foldable on the rear of the flat mirror,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can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에서 서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보고자 하는 이미작 구비된 곳을 열어서 평면거울을 중앙에 위치시키고, 거울면이 거울대칭이미지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후면에 구비된 지지수단을 펼쳐서 고정시킨 상태에서, 두눈 사이의 미간부를 평면거울의 상단부에 위치시킨 뒤, 한쪽눈은 거울면의 이미지를, 다르 한눈은 화상이미지를 동시에 보게 하므로써 입체화상을 구현하게 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open the already provided work place to see the position of the mirror in the center, the mirror surface facing toward the mirror symmetrical image, while the support means provided on the rear unfolded and fixed, binocular After placing the glans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flat mirror, one eye can see the image of the mirror surface, the other eye to see the image image at the same time can be seen to implement a three-dimensional image.

이와같이 두께가 얇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된 거울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책에 끼워서 휴대하기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서 서표(書標)로서도 이용을 할 수 있으며,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As such, a mirror made of a thin and flexible material can be used, so that it is easy to carry by inserting it into a book, and can be used as a bookmark if necessary, and it is easy to implement a stereoscopic imag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입체화상 구현시스템의 제작방법은, 대상물체를 소정 시점에서 사진 촬영하는 제1이미지 촬영단계와, 상기 시점에서 소정각도를 갖는 다른 시점에서 사진 촬영하게 되는 제2이미지 촬영단계, 상기 제1,2이미지 획득단계에서 얻어진 사진 중 어느 한 사진을 필림을 반대쪽으로 뒤집어 인화하고, 나머지 한 사진은 그대로 인화하게 되는 이미지 인화단계 및; 상기 인화단계를 거쳐 얻어진 한쌍의 이미지를 양쪽 눈에 맞도록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열시키고, 상기 양쪽으로 배치된 이미지 사이의 중심선에 평면거울을 설치하는 제책단계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reoscopic image implemen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first image photographing step of photographing an object at a predetermined point in time; An image printing step of printing one of the photographs obtained in the second image capturing step and the first and second image capturing steps by inverting the film to the other side, and printing the other photograph as it is; A pair of images obtained through the printing step are arranged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so as to fit both eyes, and a planar mirror step is installed in the center line between the images arranged on both sides.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화상 구현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3차원 입체영상을 만들어내는 데 필요한 1쌍의 이미지(10,12)를 택하여 이를 왼쪽눈(14)과 오른쪽 눈(16)에 각각 대응되게 양쪽으로 따로 배열하여, 왼쪽눈(14)으로 왼쪽 이미지(10)를 봄과 동시에 오른쪽눈(16)으로 오른쪽 이미지(12)를 보게 하므로써 입체화상을 구현하도록 되어 있는 바, 상기 1쌍의 이미지 중 왼쪽이미지(10)는 좌우가 반대로 된 평면거울대칭의 이미지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hree-dimensional image implemen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images (10, 12) required to produce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to take the left eye 14 and the right Arranged separately on both sides to correspond to the eyes 16, the left eye 14 sees the left image 10 and at the same time the right eye 16 sees the right image 12 to implement stereoscopic images. The left image 10 of the pair of images is an image of a plane mirror symmetry having left and right reversed.

상기 1쌍의 이미지(10,12)가 좌우면(18,20)에 서로 대향되게 배열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바,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왼쪽이미지(10)는 왼쪽면(18)에 배열되고, 오른쪽 이미지(12)는 오른쪽면(20)에 배열시킨 구조로 하였다.The pair of images 10, 12 are preferably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urfaces 18, 2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ft image 10 is arranged on the left surface 18, and the right image (12) was made into the structu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right side surface 20. As shown to FIG.

그리고 펼쳐진 상기 좌우면(18,20)의 중심선(22)에는 평면거울(24)이 거울대칭이미지인 왼쪽 이미지(10)쪽으로 거울면(26)이 향하도록 위치되어지되, 후면(28)에 접철가능하게된 지지수단(30)이 구비되어져 이를 펼쳐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지지되어 있다.And the center line 22 of the unfolded left and right surfaces (18, 20) is positioned so that the mirror surface 26 is directed toward the left image (10) that the plane mirror (24) is a mirror symmetric image, folded on the rear surface 28 The supporting means 30 is provided, which is enabled to be supported an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여기서 상기 평면거울(24)은 원하는 페이지로 자유자재로 이동되어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체인이나 끈과 같은 연결수단(32)으로 책에 결합되어져 책을 보관 또는 휴대시에 책갈피에 끼워서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파손에 따른 부상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두께가 얇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lat mirror 24 can be installed to be moved freely to the desired page, for example, is coupled to the book by a connecting means 32 such as a chain or a string to put the book in a bookmark when storing or carrying In order to make it easy to carry and to reduce the risk of injury due to breakage,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thickness thin with a flexible material.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입체화상 구현시스템의 제작과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tereoscopic image form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대상물체(34)로부터 소정의 지점(P1)에 사진기(36)를 설치하여 오른쪽 이미지(12)에 해당하는 사진을 촬영한다.First, the camera 36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int P1 from the object object 34 to take a picture corresponding to the right image 12.

이어서, 상기 지점(P1)과 소정각도(θ)를 갖는 다른 지점(P2)에 다시 사진기(36)를 설치하여 왼쪽이미지(12)에 해당하는 사진을 촬영한다.Subsequently, the camera 36 is again installed at another point P2 having the point P1 and the predetermined angle θ to take a picture corresponding to the left image 12.

상기 오른쪽 이미지(12)에 해당하는 필름은 정상적으로 인화하고, 왼쪽이미지(12)에 해당하는 필름은 반대쪽으로 뒤집어 인화하므로써 좌우가 서로 바뀐 평면경대칭의 이미지를 얻는다.The film corresponding to the right image 12 is normally printed, and the film corresponding to the left image 12 is inverted to the other side to obtain a planar symmetric image in which left and right are interchanged.

그리고 상기 인화된 한쌍의 이미지를 동시에 펼쳐지는 2면의 좌우면에 대향되게 배열하되, 왼쪽이미지(10)를 펼쳐진 면의 왼쪽면(18)에 배열시키고, 오른쪽 이미지(12)를 오른족 면(20)에 배열시키는 방식으로 그림집을 제작하고, 상기 양쪽으로 배치된 이미지(10,12) 사이의 중심선에 평면거울(24)을 설치한다.The printed pair of images is arranged to fac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nfolded two sides at the same time, the left image 10 is arranged on the left side 18 of the unfolded surface, and the right image 12 is arranged on the right foot surface ( A picture collection is made in such a manner as to be arranged in 20), and a flat mirror 24 is installed at the center line between the images 10 and 12 arranged at both sides.

이때 상기 사진기(36)를 대상물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설치된 2대의 서로 다른 사진기(36a,36b)를 동시에 촬영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camera 36 may simultaneously photograph two different cameras 36a and 36b install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object.

상기 실시에에서는 사진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그림의 경우에는 컴퓨터그래픽을 통해 화상을 거울대칭으로 반전시킨 후, 이를 다시 프린트하여 사용하거나, 투명지에 그림을 그려 뒤집어서 사용하는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only a photograph is used. However, in the case of a picture, a method of inverting an image to mirror symmetry through computer graphics and then printing it again or using a method of drawing a picture on transparent paper and flipping it over may be used.

상기에서 서술한 본 발명의 입체화상 구현시스템의 작용 및 효과를 다음에서 설명한다.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stereoscopic image form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우선, 보고자 하는 면을 선택하여 해당면을 열고, 좌우면을 전부 열어젖여 적당한 곳에 위치시킨 뒤, 평면거울을 중앙경계에 위치시키되 거울면이 거울대칭이미지 즉, 본 실시예에서는 왼쪽이미지 쪽으로 향하게 하여, 후면에 구비된 지지수단을 펼쳐서 평면거울의 위치를 임시 고정하게 된다.First, open the surface by selecting the surface to be viewed, open all the left and right sides, place it in a suitable place, and then place the mirror in the center boundary, with the mirror surface facing the mirror-symmetric image, that is, the left image in this embodiment. , By unfolding the supporting means provided on the rear to temporarily fix the position of the flat mirror.

이어서, 양눈의 사이인 미간을 평면거울의 상단부에 밀착시키미로써 양눈의 시야를 분리하고서, 오른쪽눈으로 오른쪽이미지를 보면서, 왼쪽눈이 거울면을 보게 된다.Subsequently, the eyes of the eyes are separated by placing the glans between the eyes at the upper end of the flat mirror, and the left eye sees the mirror surface while looking at the right image with the right eye.

이때 평면거울이 세워져 있는 각도와 왼쪽이미지의 평면으로부터의 각도를 동일하거나 유사한 범위를 유지해주게 되면 왼쪽 눈의 거울속 이미지와 오른쪽 눈의 오른쪽이미지와 조합하여 동일한 물체를 소정의 거리에서 각고를 달리하여 보게 된 이미지를 각각의 망막에 투영되게 되므로써 입체영상을 재현하게 주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if the angle of the mirror is upright and the angle from the plane of the left image is kept the same or similar range, the same object is combined at different distances by combining the mirror image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image of the right eye. The image you see is projected onto each retina to give you a stereoscopic image.

이때 상기 평면거울은 두눈의 시야를 분리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왼쪽이미지의 거울대칭이미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써 입체영상을 재현해주게 되는 데,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플렉시블한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경우에는 파손의 염려도 없어 책갈피속에 보관이 용이하며, 이에따라 책과 함께 휴대가 간편할 뿐아니라 서표(書標)로서 겸용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plane mirror serves to separate the field of view of the two eyes and at the same time to generate a mirror symmetric image of the left image to reproduce the stereoscopic image, the thickness can be thinner than when using the lens In addition, when manufactured using a flexible material, there is no fear of damage, so it is easy to store in a bookmark. Accordingly, it is easy to carry with a book and can also be used as a bookmark.

또한, 1쌍의 이미지중에 어느 한 이미지가 정상적인 이미지로서 평면영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서 일부 정보전달이 가능하고, 또한 이 평면영상과 평면거울을 통한 입체영상을 대비 감상하므로써 평면영상으로부터 입체영상을 추리하게 되는 공간지각능력을 개발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one of the pair of images forms a flat image as a normal image, som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is, and the stereoscopic image can be obtained from the flat image by contrast-viewing the three-dimensional image through the flat mirror and the mirror. It has the effect of developing spatial perception ability to be inferred.

그리고 입체영상으로 어린이의 동화책이나 그림책을 구현하게 되는 경우 아이들의 재미를 유발하게 되고, 평면영상보다 사실감과 현장감을 증가시켜서 연상작용을 촉발하는 등 교육효과를 증가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children's storybooks or picture books are implemented as stereoscopic images, they induce children's fun and increase the educational effect by triggering associations by increasing realism and realism than flat images.

본 발명의 입체화상 구현시스템은 단지 다수쌍의 이미지를 포함한 것 뿐아니라 1쌍의 이미지만 포함한 그림카드 또는 책속에 일부만이 포함된 경우등을 포함한 포괄적 개념의 용어이고, 또한 그림 또는 이미지라 표현된 것은 사진을 포함한 개념으로 특히, 이미지는 입체영상을 이루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평면영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되었다.The stereoscopic image implement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 of a comprehensive concept including not only a plurality of pairs of images but also a part of a picture card or a book including only a pair of images, and also expressed as a picture or image. It is a concept including a photograph. In particular, an image is used to mean all planar images used to form a stereoscopic image.

이상에서 서술된 것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특히 평면거울대칭이미지를 왼쪽으로 하든 오른쪽으로 하든 이는 모두 동일한 것이고, 이를 가지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되며, 단지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내에 존재하는 변형예는 모두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merely a mere example in all respects, especially whether the mirror mirror symmetric image is to the left or to the right, all of which are the same,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limitedly with this, only modifications existing within the tru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exampl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Claims (3)

3차원 입체영상을 만들어내는 데 필요한 1쌍의 이미지(10,12)를 택하여 이를 왼쪽눈(14)과 오른쪽 눈(16)에 각각 대응되게 양쪽으로 따로 배열하고, 왼쪽눈(14)으로는 왼쪽 이미지(10)를 봄과 동시에 오른쪽눈(16)으로는 오른쪽 이미지(12)를 보게 하므로써 입체화상을 구현하도록 된 입체화상 구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이미지(10,12)가 중심선을 기준으로 한 좌우면(18,20)에 서로 대향되게 배열되고, 상기 1쌍의 이미지 중 어느 한 이미지(10)만 좌우가 반대로 된 평면거울대칭의 이미지로 구성되어진 한편, 상기 이미지(10,12) 사이에 거울대칭이미지쪽으로 거울면(26)이 향하도록 평면거울(2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화상 구현시스템.Take a pair of images (10, 12) required to produce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and arrange them separately on both sides corresponding to the left eye 14 and the right eye 16, respectively, and with the left eye 14 In the three-dimensional image realization system configured to realize a three-dimensional image by viewing the left image 10 and the right eye 16 at the same time, the pair of images 10 and 12 form a center line. The image 10 and 12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urfaces 18 and 20 as reference, and only one image 10 of the pair of images is configured to have a mirror mirror symmetrical imag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are reversed. 3) The three-dimensional image implement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ne mirror 24 is installed so that the mirror surface 26 toward the mirror-symmetric image betw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거울(24)의 후면(28)에 절첩가능하게 된 지지수단(30)이 구비되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지지시킬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화상 구현 시스템.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rear surface (28) of the planar mirror (24) is provided with a collapsible support means (30) so as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대상물체를 소정 지점에서 사진 촬영하는 제1이미지 촬영단계와, 상기 시점에서 소정각도를 갖는 다른 지점에서 사진 촬영하게 되는 제2이미지 촬영단계, 상기 제1,2 이미지 촬영단계에서 얻어진 사진 중 어느 한 사진의 필림을 반대쪽으로 뒤집어 인화하고, 나머지 한 사진은 그대로 인화하게 되는 이미지 인화단계; 상기 인화단계를 거쳐 얻어진 한쌍의 이미지를 양쪽 눈에 맞도록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열시키고, 상기 양쪽으로 배치된 이미지 사이의 중심선에 평면거울을 설치하는 제책단계로 구성된 입체화상 구현시스템의 제작방법.Any one of a first image photographing step of photographing an object at a predetermined point, a second image photographing step of photographing at another point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at the viewpoint, and a photograph obtained in the first and second image photographing steps An image printing step of printing the film by flipping the film on the opposite side and printing the other photo as it is; Fabrication of a three-dimensional image implementation system comprising a pair of images obtained through the printing step to be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based on the center line to fit both eyes, and to install a flat mirror on the center line between the images arranged on both sides Way.
KR1019950007755A 1995-04-03 1995-04-03 System for embodying stereoscopic pictur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01484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7755A KR0148435B1 (en) 1995-04-03 1995-04-03 System for embodying stereoscopic pictur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7755A KR0148435B1 (en) 1995-04-03 1995-04-03 System for embodying stereoscopic pictur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035A KR960040035A (en) 1996-11-25
KR0148435B1 true KR0148435B1 (en) 1998-11-16

Family

ID=19411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7755A KR0148435B1 (en) 1995-04-03 1995-04-03 System for embodying stereoscopic pictur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8435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035A (en) 1996-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1342A (en) Stereoscopic optical viewing system
JP4607208B2 (en) 3D display method
JPH04339488A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JP2011034086A (en) Three-dimensional video display method, system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with three-dimensional video display program recorded therein
JPH10148789A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JP2022525561A (en) Display system that provides concentric light field and monocular to binocular hybrids
Iizuka Welcome to the wonderful world of 3D: introduction, principles and history
McAllister Display technology: stereo & 3D display technologies
US5119234A (en) Camera for stereoscopic images
WO2015188707A1 (en) Reflective mobile phone cinema lens
CN109660786A (en) A kind of naked eye 3D three-dimensional imaging and observation method
JP2004533650A5 (en)
JP3462796B2 (en) Three-dimensional display method and device
JP2012022278A (en) Video virtual feeling glasses
EP0680621B1 (en) Stereoscopic viewing device
US4998799A (en) Stereoscope
KR0148435B1 (en) System for embodying stereoscopic pictur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60012674A1 (en)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JPH09224265A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stereoscopic image
CN202486494U (en) Three-dimensional (3D) imaging system
KR101093929B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3-dimensional images using depth map
KR20010069624A (en) Stereoscopic viewer from two plain images
JPH07140419A (en) Stereoscopic method, stereoscopic spectacles used for the same, and its manufacture
JPH07134345A (en) Stereoscopic image pickup device, attachment for picking up stereoscopic image and stereoscopic image enjoying device
Iizuka et al. 3D Im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