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210B1 - 액체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액체세정제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210B1
KR0148210B1 KR1019950054320A KR19950054320A KR0148210B1 KR 0148210 B1 KR0148210 B1 KR 0148210B1 KR 1019950054320 A KR1019950054320 A KR 1019950054320A KR 19950054320 A KR19950054320 A KR 19950054320A KR 0148210 B1 KR0148210 B1 KR 0148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ethylene oxide
alkyl ether
deterg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4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2989A (ko
Inventor
김철우
이명일
이동탁
Original Assignee
손경식
제일제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경식, 제일제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경식
Priority to KR1019950054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8210B1/ko
Publication of KR970042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2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2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Mixtures of non-ionic with a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4Hard surfa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조성물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사용에 따른 불량한 세척력 및 피부자극의 해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A)비이온성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5 내지 25중량%, (B)알킬에테르 황산에스테르 3 내지 5중량%, (C)아민옥사이드 1 내지10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0 내지 10% 및 글리세린 0 내지 10%를 함유하고, (A):(B)의 중량비율이 1:1 이상(A≥B)이고, (B):(C)의 중량비율이 3:1 미만인 액체세제조성물.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세정제

Description

액체세정제 조성물
본 발명은 액체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세척력을 상승시키고 피부자극을 감소시키면서 또한 사용감을 개선한 과일, 야채, 식기 등의 세척을 위한 액체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주방용세제는 세척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만 역점을 두고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국민소득 수준의 향상, 환경보호에 대한 관심의 고조로 환경오염을 고려한 세제의 개발과 동시에 사용자의 피부에 자극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연성세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피부자극이 적은 연성세제의 가장 큰 결점은 세척력이 약하다는 것이며 이런 것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미국특허 제3793233호는 피부자극이 강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시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황상에스테르를 배합하여 피부자극을 감소시킨 기술에 관한 것이고 미국특허 제 4137191 호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베타인(betaine)을 이용한 기술이고, 미국특허 제 4166048 호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황산에스테르와 베타인을 함께 사용한 기술이고, 일본특허공개 제 89-178597 호는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기술이다. 이러한 기술들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주원료로 사용한 것으로 세척력과 피부자극에 관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세제와는 달리 비이온성게면활성제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세척력 상승과 피부자극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액체세정제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A) 비이온성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5 내지 25중량%, (B)알킬에테르 황산에스테르 3 내지 15중량%, (C)아민옥사이드 1 내지 10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0 내지 10중량% 및 글리세린 0 내지 10%를 함유하고, (A):(B)의 중량비율이 1:1 이상(A≥B)이고, (B):(C)의 중량비율이 3:1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된 비이온성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는 하기 화학식(Ⅰ)로 표시된다.
상기식에서, R은 C10 내지 C16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그룹이고, E는 에틸렌옥사이드 잔기이고, x는 에틸렌옥사이드의 몰수로 5 내지 15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된 알킬에테르 황산에스테르는 하기 화학식 (Ⅱ)로 표시된다:
상기식에서,R은 C8 내지 C18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 또는 알킬페닐 그룹이고, E는 에틸렌옥사이드 잔기이며, x는 에틸렌옥사이드의 몰수로 1 내지 12이며, S는 황산에스테르기이고, M은 알칼리금속, 알칼리토금속 또는 암모늄이온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된 아민옥사이드는 하기 화학식 (Ⅲ)로 표시된다:
상기식에서, R은 C8 내지 C18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그룹이고, R1 은 C2 내지 C3 의 알킬렌그룹이고, n은 0 내지 20이고, R2는 메틸, 에틸 또는 하이드록시에틸 그룹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자극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세척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한 비이온성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활성제를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25중량% 함유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자극이 작으면서도 세척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상기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황산에스테르를 조성물에 대하여 3 내지 15중량% 함유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우수한 세척력과 거품생성력을 제공하며 피부자극을 줄여주고 경성게면활성제를 연성화시키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상기한 아민옥사이드를 조성물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 함유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피부자극을 감소시키고 사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함유하며 분자량 200 내지 20,000의 범위가 적합하며 조성물에 대하여 0 내지 10중량%를 함유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손피부에 보습효과를 부여하고 설거지 후에 손에 촉촉한 감촉을 부여하기 위하여 글리세린을 조성물에 대하여 0 내지 10중량%를 함유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의 원료외에도 주방용세제로 사용하기 위하여 적당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1. 배합조에 정제수(45 내지 55℃)를 투입하고
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투입하고
3. 음이온성 황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 투입하고
4. 아민옥사이드 투입하고
5.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글리세린 투입하고
6. 완전 혼합하여 균일하게 섞은 후에, 40℃이하의 온도에서 첨가제를 투입하고
7. 균일하게 혼합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구체화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로 본 발명은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에 기록된 원료조성은 모두 순분 및 중량%로 표시된다.
[실시예 1-6]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상기의 제조공정을 이용하여 액체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피부자극 평가 - 패치 테스트 (patch test)
시료를 0.2%농도로 희석해서 호울챔버 (hole chamber)에 희석액 1 또는 2방울 도포후 이것을 사람의 피부에 접촉, 고정하고 48시간 지속후, 떼어내서 피부의 상태를 육안으로 판정하여 다음과 같이 환산하였다.
세척력 평가
조제된 오염을 접시에 1g 도포하여 1시간 건조후, 세척액에서 (1g/L)접시를 수세미로 닦는다. 종말점은 세척액의 거품이 없어질 때를 기준으로 하며, 이때 닦인 접시의 갯수를 기록한다. 사용한 오염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피부자극 및 세척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내의 주방세제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표 2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표준품을 제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과 비교실험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피부자극 실험결과는 수치가 작을수록 피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7-12]
하기 표 4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6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액체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1 내지 8]
하기 표 6 및 표 7에 나타낸 조성에 의해 액체세제 조성물을 제조하여, 피부자극 및 세척력평가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이온성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사용에 적합한 물성(점도, 저온안정성, 용해성)을 얻기 어렵고, 함량이 너무 적으면(비교예1 및 2) 상대적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증가로 피부자극이 커진다.
한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3%미만일 경우는 성능의 저하가 뚜렷하며, 15%이상일 경우는 (비교예3 및 4) 피부자극이 심하게 된다. 아민옥사이드 함량이 낮으면(비교예5) 성능 및 피부보호 효과가 저하되고, 아민옥사이드,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은 상기한 한계치이상을 함유할 경우에도(비교예 6, 7 및 8) 성능 및 피부자극은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이 정도로 사용할 때 사용량 만큼의 실효를 거둘수 없음을 알 수 있다.

Claims (2)

  1. (A)화학식 RExOH의 비이온성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여기서, R은 C10 내지 C16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그룹이고, E는 에틸렌옥사이드 잔기이고, x는 에틸렌옥사이드의 몰수로 5 내지 15이다) 5 내지 25중량%, (B)화학식 RExSM의 알킬에테르 황산에스테르(여기서, R은 C8 내지 C18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 또는 알킬페닐 그룹이고, E는 에틸렌옥사이드 잔기이고, x는 에틸렌옥사이드의 몰수로 1 내지 12이며, S는 황산에스테르기이고, M은 알칼리금속, 알칼리토금속 또는 암모늄이온이다) 3 내지 15중량%, (C)화학식 R(OR1)n-N(R2)2-O의 아민옥사이드(여기서, R은 C8 내지 C18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그룹이고, R1은 C2 내지 C3의 알킬렌그룹이고, n은 0 내지 20이고 R2는 메틸, 에틸 또는 하이드록시에틸 그룹이다) 1 내지 10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0내지 10% 및 글리세린 0 내지 10%를 함유하고, (A):(B)의 중량비율이 1:1 이상(A≥B)이고, (B):(C)의 중량비율이 3:1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세제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분자량이 200 내지 20,000인 조성물
KR1019950054320A 1995-12-22 1995-12-22 액체세정제 조성물 KR0148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4320A KR0148210B1 (ko) 1995-12-22 1995-12-22 액체세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4320A KR0148210B1 (ko) 1995-12-22 1995-12-22 액체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989A KR970042989A (ko) 1997-07-26
KR0148210B1 true KR0148210B1 (ko) 1998-08-17

Family

ID=19442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4320A KR0148210B1 (ko) 1995-12-22 1995-12-22 액체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82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989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4195A (en) Process for handwashing socks or stockings
JP2526105B2 (ja) 洗浄剤組成物
US4092272A (en)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JPH0441718B2 (ko)
CN110257186B (zh) 洗洁精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530215B2 (ja) 洗浄剤組成物
KR0148210B1 (ko) 액체세정제 조성물
JP3730752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H0699710B2 (ja) 洗浄剤組成物
JP2745071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H08157870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H0524199B2 (ko)
KR100314403B1 (ko) 액체세정제조성물
KR100352062B1 (ko) 농축형액체식기세정제조성물및그제조방법
JP3532333B2 (ja) 洗浄剤組成物
JPH08259991A (ja) 洗浄剤組成物
JP3522950B2 (ja) 衣料用液体洗剤組成物
JPS5822519B2 (ja) 洗浄剤組成物
JPH0232319B2 (ja) Ekitaisenjozaisoseibutsu
JP2999406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3227045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H04292695A (ja) 洗浄剤組成物
JPH11148099A (ja) 中性液体洗浄剤組成物
KR100443400B1 (ko) 고형상의 주방용세제 조성물
JPH03185095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