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7953B1 - 윤곽선 부호화 장치 - Google Patents

윤곽선 부호화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7953B1
KR0147953B1 KR1019940021687A KR19940021687A KR0147953B1 KR 0147953 B1 KR0147953 B1 KR 0147953B1 KR 1019940021687 A KR1019940021687 A KR 1019940021687A KR 19940021687 A KR19940021687 A KR 19940021687A KR 0147953 B1 KR0147953 B1 KR 0147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ntour
encoding
image
enco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1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9726A (ko
Inventor
정해묵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21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7953B1/ko
Publication of KR960009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7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79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 G06T9/20Contour coding, e.g. using detection of ed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94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foreground-background seg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Of Band Width Or Redundancy In Fax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호화 효율을 높이기에 적합한 윤곽선 부호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차 영상 신호의 부호화시 차 영상 신호에 따른 해당 배경과 물체 등의 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부호화함으로써 부호화 효율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신호 분리부(140)에서 차 영상 신호의 상관성 특성에 따라 배경 부분(210), 확장된 윤곽선 부분(220) 및 물체 부분(230)의 신호로 분리하고, 분리된 각각의 신호를 그 특성에 맞는 제1, 제2, 제3 부호화부(150,160,170)를 이용하여 각각 부호화함으로써 부호화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윤곽선 부호화 장치
제1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윤곽선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윤곽선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에 따른 영상 신호를 각 특징별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윤곽선 부호화부 120 : 윤곽선 역부호화부
130 : 가산기 140 : 신호 분리부
150,160,170 : 제1, 제2, 제3 부호화부
180 : 다중화부 210 : 배경 부분
220 : 확장된 윤곽선 부분 230 : 물체 부분
본 발명은 윤곽선 부호화(Contour cording)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호화 효율을 높이기에 적합한 윤곽선 부호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영상 압축 방식중의 하나로서 이용되는 윤곽선 부호화 방식은 영상에서 윤곽선을 추출한 다음 추출된 윤곽선을 부호화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윤곽선 정보가 인간의 시각적 인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이용한 것으로서 영상의 밝기 변화를 미분 개념을 이용하여 정량화하고 이 중 큰 값을 유출하여 윤곽선 정보를 얻어낸 다음, 이를 연쇄 부호화(Chain coding), 줄길이 부호화(Run Length Coding; RLC), 다각형 근사화 등의 기법을 이용하여 부호화하는 방법이다.
제1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윤곽선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 입력 영상 신호를 인가 받아 윤곽선 부호화하는 윤곽선 부호화부(10)와, 윤곽선 부호화부(10)의 윤곽선 부호화된 신호를 인가 받아 윤곽선 역부호화하여 윤곽선 부호화되기 이전의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윤곽선 역부호화부(20)와, 윤곽선 역부호화부(20)에서 출력된 영상 신호와 윤곽선 부호화부(10)로 인가되는 입력 영상 신호를 가산하여 두 영상 신호의 차신호를 출력하는 가산기(30)와, 가산기(30)의 차신호를 인가 받아 부호화하는 부호화부(40)와, 부호화부(40)의 부호회된 신호와 윤곽선 부호화부(10)의 윤곽선 부호화된 신호를 인가 받아 다중화(Multiplexing) 처리하여 시리얼(Serial)로 출력하는 다중화부(50)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먼저, 윤곽선 부호화부(10)는 영상 신호를 인가 받아 그 영상 신호를 윤곽선 부호화하며, 윤곽선 역부호화부(20)는 윤곽선 부호화부(10)의 윤곽선 부호화된 신호를 인가 받아 윤곽선 역부호화하여 윤곽선 부호화부(10)로 인가되는 영상 신호와 같은 윤곽선 부호화되기 이전의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 가산기(30)는 윤곽선 역부호화부(20)의 영상 신호와 윤곽선 부호화부(10)로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가산하여 두 영상 신호의 차신호를 출력하며, 부호화부(40)는 가산기(30)의 차신호, 즉, 윤곽선 부호화부(10)로 인가되는 영상 신호 중에서 그 윤곽선 부호화부(10)에서 윤곽선 부호화가 되지 않은 나머지 영상 신호를 인가 받아 부호화한다. 이때, 윤곽선 부호화부(10)에서 수행되는 부호화 방식중의 하나는 신호의 발생 확률이 균일하지 않고 신호들 간에 서로 상관이 없을 때 발생 빈도가 높은 신호일수록 짧은 부호로 변환시켜 부호화하는 허프만 부호화 방식이 적용된다.
다중화부(50)는 부호화부(40)의 부호화된 신호와 윤곽선 부호화부(10)의 윤곽선 부호화된 신호를 인가 받아 다중화하여 다중화된 영상 신호를 시리얼(Serial)로 출력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부호화부(40)의 부호화시 영상 신호에 따른 해당 배경과 물체 등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부호화함으로써 부호화 효율이 저하지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부호화시 영상의 상관성 특성에 따라 부호화함으로써 부호화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윤곽선 부호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하여 윤곽선 부호화하는 윤곽선 부호화부와, 상기 윤곽선 부호화부에서 윤곽선 부호화된 신호를 윤곽선 역부호화 하여 원래의 신호로서 복원하는 윤곽선 역부호화부와, 상기 윤곽선 역부호화부에서 복원된 신호와 상기 윤곽선 부호화부로 제공되는 입력 영상 신호간의 차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가산기와, 사익 가산기의 차 영상 신호를 부호화하는 수단과, 상기 부호화된 차 신호와 상기 윤곽선 부호화된 신호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다중화부를 포함하는 윤곽선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 영상 신호를 부호화 하는 수단은; 상기 차 영상 신호에 대하여 배경 부분을 형성하는 배경 영상 부분과, 상기 차 영상 신호내 물체의 윤곽선을 확장한 확장 윤곽선 영상 부분과, 상기 윤곽선내의 물체 부분으로 분리하는 신호 분리부; 상기 신호 분리부에서 분리된 배경 영상 부분의 신호를 부호화하여 상기 다중화부로 제공하는 제1부호화부; 상기 신호 분리부에서 분리된 확장 윤곽선 영상 부분의 신호를 부호화하여 상기 다중화부로 제공하는 제2부호화부; 상기 신호 분리부에서 분리된 물체 부분의 신호를 부호화하여 상기 다중화부로 제공하는 제3부호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윤곽선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 입력 영상 신호를 인가 받아 윤곽선 부호화하는 윤곽선 부호화부(110)와, 윤곽선 부호화부(110)의 신호를 인가 받아 윤곽선 역부호화하여 윤곽선 부호화되기 이전의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윤곽선 역부호화부(120)와, 윤곽선 역부호화부(120)의 신호와 윤곽선 부호화부(110)로 인가되는 입력 영상 신호를 인가 받아 이들 두신호의 차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가산기(130)와, 가산기(130)의 신호를 인가 받아 상관성 특성에 따라 배경에 따른 배경부분과 확장된 윤곽선에 따른 확장 윤곽선 부분 그리고 물체 부분으로 분리하는 신호 분리부(140)와, 신호 분리부(140)에서 분리된 배경, 확장된 윤곽선, 및 물체 부분의 신호를 각기 부호화하는 제1, 제2 및 제3 부호화부(150, 160, 170)와, 윤곽선 부호화부(110)에서 부호화된 윤곽선 부호화 신호와 제1, 제2, 제3 부호화부(150, 160, 170)에서 부호화된 신호를 인가 받아 다중화 처리하는 다중화부(180)로 이루어진다.
먼저, 윤곽선 부호화부(110)는 입력 영상 신호를 인가 받아 윤곽선 부호화하여 윤곽선 부호화된 신호를 윤곽선 역부호화부(120) 및 다중화부(180)에 제공한다.
윤곽선 역부호화부(120)는 윤곽선 부호화부(110)에서 제공된 윤곽선 부호화된 신호를 인가 받아 윤곽선 역부호화하여 원래의 영상 신호로서 복원한다.
가산기(130)는 윤곽선 역부호화부(120)에서 복원된 영상 신호와 윤곽선 부호화부(110)로 인가되는 입력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이들 두 신호의 차신호, 즉, 윤곽선 부호화부(110)로 인가되는 입력 영상 신호 중에서 윤곽선 부호화되지않은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이 차 영상 신호는 다음단의 신호 분리부(140)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 분리부(140)는 가산기(130)로터 제공된 차 신호를 영상의 각 특성에 따라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3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신호 분리부(140)는 차 영상 신호에 대하여 배경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배경 영상 부분(210)과, 물체의 윤곽선(222)을 확장한 확장 윤곽선 영상 부분(220)과, 윤곽선(222)내의 물체 부분(230)으로 분리한다. 신호 분리부(140)에 의해 분리된 영상은 각기 대응하는 제1, 제2 및 제3 부호화부(150, 160, 170)로 각기 제공된다.
제1, 제2 및 제3 부호화부(150, 160, 170)는 각기 신호 분리부(140)에 의해 분리되어 제공된 배경 영상 부분(210), 확장된 윤곽선 부분(220) 및 물체 부분(230)의 영상 신호를 그 특성에 맞게 각기 부호화한다. 이때, 제1, 제2 및 제3 부호화부(150, 160, 170)에서 수행되는 부호화 방식은 허프만 부호화 방법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제2 및 제3부호화부(150, 160, 170)는 배경 영상 부분(210), 확장된 윤곽선 부분(220) 및 물체 부분(230)의 영상 신호의 특성에 맞게 설계된 코드북(Codebook)을 적용시켜 부호화가 이루어지도록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영상을 배경, 윤곽선 부분 및 물체 부분 등의 서로 상관성 특성을 이용하여 분리하고, 분리된 각각의 신호 부분들에 대하여 서로 상이한 코드북을 적용시킴으로써, 허프만 부호화 방식에서 동일한 코드북을 적용하는 방식에 비하여 압축 효율이 상당히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제1, 제2 및 제3 부호화부(150, 160, 170)에서 부호화된 신호는 다중화부(180)로 출력된다.
다중화부(180)는 윤곽선 부호화부(110)에서 출력된 윤곽선 부호화된 신호와 제1, 제2, 제3 부호화부(150, 160, 170)에서 출력된 부호화된 신호를 다중화 처리하여 전송 채널(도시안됨)을 통하여 시리얼로 전송하게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윤곽선 부호화 장치에서 차 신호의 부호화시 영상의 상관성 특성에 따라 영상을 부분적으로 분리하여 분리된 영상 특성에 맞게 부호화함으로써 부호화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

  1.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하여 윤곽선 부호화하는 윤곽선 부호화부(110)와, 상기 윤곽선 부호화부(110)에서 윤곽선 역부호화된 신호를 윤곽선 역부호화하여 원래의 신호로서 복원하는 윤곽선 역부호화부(120)와, 상기 윤곽선 역부호화부(120)에서 복원된 신호와 상기 윤곽선 부호화부(110)로 제공되는 입력 영상 신호간의 차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가산기(130)와, 상기 가산기(130)의 차 영상 신호를 부호화하는 수단과 상기 부호화된 차 신호와 상기 윤곽선 부호화된 신호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다중화부(180)를 포함하는 윤곽선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 영상 신호를 부호화 하는 수단은: 상기 차 영상 신호에 대하여 배경 부분을 구성하는 배경 영상 부분(210)과, 상기 차 영상 신호내 물체의 윤곽선(222)을 확장한 확장 윤곽선 영상 부분(220)과, 상기 윤곽선(222)내의 물체 부분(230)으로 분리하는 신호 분리부(140); 상기 신호 분리부(140)에서 분리된 배경 영상 부분(210)의 신호를 부호화하여 상기 다중화부(180)로 제공하는 제1부호화부(150); 상기 신호 분리부(140)에서 분리된 확장 윤곽선 영상 부분(220) 신호를 부호화하여 상기 다중화부(180)로 제공하는 제2부호화부(160); 상기 신호 분리부(140)에서 분리된 물체 부분(230) 신호를 부호화하여 상기 다중화부(180)로 제공하는 제3부호화부(1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윤곽선 부호화 장치.
KR1019940021687A 1994-08-31 1994-08-31 윤곽선 부호화 장치 KR0147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687A KR0147953B1 (ko) 1994-08-31 1994-08-31 윤곽선 부호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687A KR0147953B1 (ko) 1994-08-31 1994-08-31 윤곽선 부호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726A KR960009726A (ko) 1996-03-22
KR0147953B1 true KR0147953B1 (ko) 1998-09-15

Family

ID=19391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1687A KR0147953B1 (ko) 1994-08-31 1994-08-31 윤곽선 부호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79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811A (ko) * 2002-09-04 2004-03-11 주식회사 폼텍 발포 알루미늄을 이용한 지하철터널의 방음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726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7350B2 (ja) 圧縮符号化および復号の方法、符号器、復号器、ならびに符号化装置
CN101887726B (zh) 立体声编码和解码的方法
AU707665B2 (en) Coding and decoding of audio signals using intensity stereo and prediction
KR100249028B1 (ko) 정지영상을 가진 영상신호를 부호화/복호화하기 위한 부호화/복호화시스템
RU2010116176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кодирования сигнала видеоданных, кодированный сигнал видеоданных,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декодирования сигнала видеоданных
TR26343A (tr) YüKSELEN DIZILIS AYRISMASINA SAHIP BIR GRUP TELE- VIZYON SINYALININ UYGUN SEKILDE KODUNUN ACILMASI ICIN TASARLANMIS BILGI SIKISTIRILMASI ICIN BIR YÖNTEM
KR970071713A (ko) 디지탈 데이타 처리 시스템
CN1288624C (zh) 感觉噪声替换的方法和装置
JP3466080B2 (ja) デジタルデータの符号化/復号化方法及び装置
EP0724364A3 (en) Hadamard transform 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signals
JP3331194B2 (ja) 3次元カラー超音波映像の符号化及び復号化システム
KR100923297B1 (ko) 스테레오 오디오 부호화 방법,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그 장치
KR0147953B1 (ko) 윤곽선 부호화 장치
JPH11262100A (ja) オーディオ信号の符号化/復号方法および装置
KR0147956B1 (ko) 영상 신호의 부호화/복호화 장치
KR19990067355A (ko) 동작추정방법
KR100526942B1 (ko) 복수의디지탈정보신호를데이터압축및복원하는장치및방법
KR0134475B1 (ko) 윤곽선 부호화 장치
KR100220583B1 (ko) 적응적 부호화기를 갖는 영상 부호화기
KR960003455B1 (ko) 적응적으로 각 채널에 비트 할당하여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엠 에스 스테레오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KR20070004248A (ko) 워터마크 삽입/검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H0775091A (ja) 画像情報通信法及びそれに用いる画像情報通信装置
KR100490638B1 (ko) 디지털오디오신호의무손실부호화를위한부호화및복호화시스템
WO2001061688A1 (en) Linking internet documents with compressed audio files
KR20050089868A (ko) 비디오 코딩 및 디코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