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7495B1 - 상수의 불소용액투여장치와 상수의 용존불소농도보정방법 - Google Patents
상수의 불소용액투여장치와 상수의 용존불소농도보정방법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47495B1 KR0147495B1 KR1019950028738A KR19950028738A KR0147495B1 KR 0147495 B1 KR0147495 B1 KR 0147495B1 KR 1019950028738 A KR1019950028738 A KR 1019950028738A KR 19950028738 A KR19950028738 A KR 19950028738A KR 0147495 B1 KR0147495 B1 KR 01474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uorine
- water
- solution
- dilution
- tank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02F1/685—Devices for dosing the additives
- C02F1/686—Devices for dosing liquid addit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0—Dissolv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Control Of Non-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목 적] 취수한 원수를 정화하여 상수로 제조하는 과정에서 독성물질인 분말불소를 희석하여 원수의 용존불소농도와 함께 안전수치 이내로 투여하는 장치와, 이 장치를 이용하여 원수의 용존불소농도를 보정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구 성] 희석탱크에서 적정용도의 불소용액을 만들고 이 불소용액을 보조탱크에 보내 항시 보조탱크내에는 일정농도의 불소용액이 저장되어 대기 상태에 있으며 송수관 내의 통과 유량을 측정하고 동시에 그 송수관 내에 흐르는 상수의 용존불소 농도를 측정하여 양 측정치를 비례복합제어용 콘트롤러로 정량펌프가 투입해야할 불소 용액의 양을 분석하고 그 분석량 만큼 정량펌프가 가동되어 보조탱크에 저장시킨 불소용액을 원수에 투입하여 허용치범위로 불소농도를 보정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 불소용액투여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본발명에 의한 불소용액투여장치의 전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분말약품투입기 2:계량저울
3:희석탱크 7:보조탱크
8:용존불소 및 유량비례제어용 콘트롤러 10:견본수 펌프
15:교반기 16:수위지시계
17:초음파 유량계 감지기 18:초음파 유량계
본발명은 취수한 원수를 정화하여 상수로 제조하는 과정에서 독성물질인 분말불소를 희석하여 원수의 용존불소농도와 함께 안전수치 이내로 투여하는 장치와, 이 장치를 이용하여 원수의 용존불소농도를 보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불소는 맹독성으로서 대량복용시 위험한 약품이나 불소가 적정량함유된 치약을 장기간 사용하면 치아우식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불소는 자연수에도 함유되어 있으나 그 양이 워낙 미미하여 큰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
외국에서는 불소를 상수도수에 첨가하여 국민의 치아우식예방에 활용한지 오래전의 일이고 우리나라에서도 일부시민단체에서 불소첨가를 요구하는 한편 이미 시행계획을 착수한 단계가 있으며 외국에서의 효과로 볼 때 앞으로 더욱 많이 그리고 빈번히 사용될 것으로 추정된다.
상수의 용존불소는 독성 때문에 엄격하게 투입량을 규제하고 있다. 상수중의 용존불소규제치는 1ppm 이하로 알려져 있다.
상수도수용 불소는 대개 분말인 것을 사용한다. 이 불소분말은 제1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용적형 분말약품투입기(1)로 희석탱크(3)에 투입하고 희석탱크(3)에 적량의 희석수를 주입하여 교반기(4)로 휘저어서 균일한 농도로 희석한 불소용액을 정량펌프(5)를 이용하여 송수관(6)에 투여하였다. 불소분말은 원수의 송수량에 대하여 일정한 비율로 산출하여 투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불소를 투입하는 장치는 정밀도가 강조되지 않는 소석회, 활성탄 등의 분말약제에서 통상적으로 이뤄지던 일종의 관행을 원용한 것이며, 투입농도의 정밀도유지가 요구되는 약품은 액상으로 변환하여 정량펌프로 투입하는 것이 상식이다.
하지만 인체에 유해한 불소와 같은 분말약품을 투입함에 있어서는 정량투입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그럼에도 현재의 분말약품투입방식을 그대로 불소투입에 원용하는 것은 여러 가지로 문제가 있다.
기존의 불말약품투입기는 용적형 투입기에 모터를 장착하고 그 회전수로써 투입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즉, 이송스크류가 1회전할 때의 용적 또는중량(ℓ 또는 ㎏)을 V, 단위시간당 회전수(rpm)를 R, 단위시간당 투입량(㎏/hr 또는 ℓ/hr)을 Q로 할 때, Q = VR가 된다. 분말약품의 투입량은 이 식을 근거로하여 결정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분말약품을 투입하는 것은 주변의 여러 불합리한 요인이 산재해 있어 정확성을 기할 수 없다. 불합리한 요인이란 분말약품투입기 내에서 일어나는 약품의 고착화, 저장호퍼 내에서의 약품의 동공현상 및 분말약품의 저장량차이에 기인한 이송부에서의 약품의 밀도차이, 모터와 감속기 등의 기계적마모가 기능저하로 인하여 발생하는 분말약품의 투입량에 오차가 발생하는 것등이다.
분말약품투입기에서 약품이 고착되는 것은 이송스크류의 축, 실린더나 벨트표면 또는 벨트 하우징에 분말약품이 서서히 달라붙어 굳음으로써 이후 분말 약품의 투입량이 줄어드는 현상을 말한다.
또, 분말약품투입기는 분말약품이 주위로 비산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반밀폐형으로 제작됐기 때문에 작업자가 육안으로 분말약품의 투입량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기도 어렵다. 그렇다고 수시로 가동을 멈추고 투입량을 측정하여 정량을 밑돌 때마다 고착물을 떼어내고 손질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 그러다보면 능률저하가 불가피해진다.
호퍼내에서 일어나는 약품의 동고현상도 분말약품의 투입완료된 양만큼의 분말약품이 호퍼의 토출구로 이송되지 못하고 호퍼의 윗쪽에 머물거나 흐르는 유체처럼 연속적으로 공급되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떨어지면서 공급될 때에 분말약품투입기의 용적이송부에동공이 생긴다. 이 동공도 분말약품의 적량투입을 저해하는 주된 원인 중 하나로서, 분말약품의 투입량에 오차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동공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전에는 저장호퍼의 측면에서 진동기를 호퍼내에는 교반기를 설치하였다. 그래도 동공의 생성가능성은 완전히 떨쳐버릴 수는 없었다.
저장호퍼내의 분발약품잔량의 차이에 따라 분말약품투입기의 용적이송부에 위치한 분말약품은 저장호퍼에 들어있는 분말약품의 자중에 상당하는 압력을 받기 마련이며, 호퍼에 담긴 분말약품의 양이 많고 적음에 따라 용적이송부 내에서의 분말약품의 압력(밀도)이 달라지는데 대하여 구동모터와 이송스크류의 회전수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도 분말약품의 투입량에 오차를 일으키는 원인이다.
또, 구동모터 및 감속기 베어링등이 장기간 사용으로 말미암아 자연적으로 효율이 떨어지고, 갖가지 외적 변수에 기인하여 구동모터와 감속기의 회전수가 변화가 올 때에도 분말약품의 투입오차가 발생한다.
이와같은 분말약품투입량의 오차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서는 이송부에 회전수 감지장치를 장착하는 시도가 있었다. 그렇지만 이송부의 회전수 감지장치는 분말약품의 투입중단과 같은 대형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볼 수는 있어도 분말약품을 정밀도높게 투여하기 위하여 적정회전수를 유지하는데는 별도움을 주진 못했다.
이 밖에도 분말약품 자체의 유동성, 어느 한 부분에 치우치는 현상 등에 의해서도 분말약품의 투입량에 오차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한편, 희석탱크에 투입된 분말약품은 희석수에 용해된 후 교반과정을 거쳐 자연낙하 또는 이송펌프에 의하여 송수관의 투액위치로 공급된다. 또, 희석수는 희석탱크내에 장치한 수위감지센서에서 보내지는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 등의 자동개폐장치에 의하여 일정한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자동으로 공급되고, 또한 그 수위가 일정수준에 도달했을 때 희석수의 공급이 자동으로 중지된다. 이러한 희석수의 공급장치도 분말약품의 농도에 오차가 일어나는 요인이 잠재돼 있다.
즉, 수위감지센서에 의하여 밸브를 개폐시키는 방식은 희석탱크 내부에 저수위감지센서용 접점 두 개를 설치하게 된다. 그 중의 접점 하나는 희석수의 수위가 희석탱크 상부의 상한선상에 도달했을 때 밸브로 하여금 희석수 유입구를 봉쇄하는 것이고, 하한선으로 수위가 낮아지면 밸브를 개방하여 희석수를 유입시키는 접점을 말한다.
수위감지센서가 상,하한 수위감지용 접점간을 오르내리지만,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비우고 다시 채우는 방식인데, 분말약품의 투입량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고 가정할 때 상한수위에 이를수록 약품의 희석 농도가 점차 낮아지고 하한수위에 다달을수록 약품의 희석농도는 점점 높아진다. 여기서 약품의 희석농도에 오차가 생기는 것이다. 약품희석농도의 오차는 위에서 말한 분말약품투입량의 오차와 합쳐져서 결과적으로는 전체분말약품의 투입량의 오차범위를 가중시키는 꼴이다.
분말약품의 투입량을 변화시킬 때, 즉 분말약품의 투입량을 가감할 때에도 오차가 발생한다. 이를테면, 분말약품의 투입량과 희석수의 공급비율을 2:100, 즉 2%용액으로 유지하다 수질의 변화, 정수생산량의 변화 등에 따라 분말약품의 투입량을 가감조절할 때 발생하는 문제로서, 희석수가 일정하게 공급되는 상황에서 2%용액에서 3%용액 또는 1%용액으로 변화를 시도하거나, 희석탱크 내부에 2%용액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요구하는 변환지점까지 서서히 그러나 비례적으로 변환된다.
이것은 인체에 해로운 약품을 투입할 때 매우 중요한 일인데도 이와같은 변화가 일어나는 동안에는 분말약품의 정량투입이라는 개념은 통제되지 않는 무방비상태가 되어 위험스럽다.
또, 분말약품의 투입량을 변환시킬 경우에는 약품의 투입을 중단한 가운데 희석탱크를 완전히 비우고 처음부터 다시 약품투입량을 설정하여 변환을 시도해야 한다. 이렇게하는 것은 시간적으로 낭비가 아닐 수 없고, 효율도 낮을 것이다.
갖가지 요인에 의한 분말약품의 투입량 오차, 희석농도의 오차가 누적되면 종국적으로 송수관에 분말약품이 투여된 후에는 독성약품일 경우에는 실로 예측하기 어려운 결과가 초래될 것이 뻔하다. 그래서 상기한 분말약품투입기를 비롯한 종전의 장치와 방법으로는 정밀도가 요구되는 분말약품, 특히 불소분말투입용으로서는 부적합하다.
그럼에도 약품의 효율, 관리 등의 제반 면을 고려할 때, 액상약품보다는 분말약품이 더 효율적인 경우가 많으므로 상기의 여러 문제점을 보완, 개선할 수만 있다면 상수제조과정에서의 분말약품처리에 획기적인 전기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발명의 목적은 원수를 정화하는 과정에서 분말상의 불소를 희석하여 불소용액으로 송수관에 투여함에 있어서, 상수의 용존불소와 유량에 따라 안전기준치 범위내로 불소의 함량을 보정할 수 있는 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분말불소를 분말약품투입기로 희석탱크에 투입하고 적량의 희석수를 공급하여 희석하고, 희석된 불소용액을 정량펌프로 송수관에 투여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분말약품투입기를 계량저울 위에 설치하여 투입량의 오차를 해소하고, 희석된 불소용액은 희석탱크와 정량펌프간의 관로상에 설치한 보조탱크에 일시 저장하였다가 송수관속을 흐르는 상수의 용존불소 및 유량에 따라 용존불소 및 유량복합비례제어용 콘트롤러의 지시에 따라 작동하는 정량펌프에 의하여 허용치(1ppm)가 되도록 상수의 불소함량을 보정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수의 용존불소는 거의가 허용치를 밑돈다. 이 점을 고려하여 본발명은 상수관내의 유량을 측정한 값과 채취한 견본수의 용존불소함량을 측정한 값에 비레하여 용존불소 및 유량복합비례제어용 콘트롤러에서 분석하여 허용치에 미달되는 불소를 보조탱크내의 불소용액을 투여하므로서 허용치수준으로 보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바람직한 본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제2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분말약품투입기(1)로 분말약품을 희석탱크(3)에 투입하고, 교반기(4)가 설치된 희석탱크(3)에는 적량의 희석수를 주입하여 농도가 균일해지게 희석하며, 희석탱크(3)내의 약액을 정량펌프(5)로 송수관(6)에 투여하고, 또한 PLC제어반(11)에 의하여 분말약품투입기(1)와 교반기(4), 저수위센서(12), 희석수용 공급밸브(13), 모니터시스템(14)이 통제되게 한 것에 있어서, 분말약품투입기(1)를 계량저울(2)위에 설치하고, 희석탱크(3)와 정량펌프(5)와의 사이에 교반기(15)와 수위지시계(16)를 장착한 보조탱크(7)를 설치하며, 보조탱크(7)의 유입구는 희석탱크(3)의 출구에 그리고 유출구는 정량펌프(5)의 흡입구측에 각각 도관으로 연결하고, 상기 정량펌프(5)는 용존불소 및 유량비례제어용 콘트롤러(8)에 의해 통제되도록 케이블로 연결하고, 송수관(6)과 콘트롤러(8)와의 사이에는 채수펌프(10)가 부속된 용존불소측정기(9)를 설치하여 채수펌프(10)의 흡입구는 송수관(6)상의 적소에 관으로 연결하고 용존불소측정기(9)는 케이블로 상기 용존불소 및 유량비례제어용 콘트롤러(8)에 연결하며, 상기 보조탱크(7)의 교반기(15)와 수위지시계(16) 및 용존불소 및 유량비례제어용 콘트롤러(8)는 상기 PLC제어반(11)에 제각기 케이블로 연결하고, 또한 송수관(6)상에는 초음파유량감지기(17)를 부착하여 초음파 유량계(18)에 케이블로 연결하고, 초음파 유량계(18)는 상기 용존불소 및 유랑비례제어용 콘트롤러(8)에 케이블로 연결하며, 희석탱크(3)의 유입관상에는 유량계(18)와 솔레노이드 밸브(13)를 설치하여 PLC제어반(11)에 통제받도록 전기적으로 연결한 것이다.
계량저울(2)은 분말불소의 투입량을 소모량지시방식으로 개조하기 위해서 필연적으로 갖춰야 할 요소이다. 즉, 분말약품투입기(1) 및 그 저장호퍼(1a)를 계량저울(2) 위에 설치하여 분말약품투입기(1) 밖으로 배출된 실제의 분말불소의 무게만을 감지하여 미리 입력된 수치의 무게만큼 불소가 배출되었을 때에 계량저울(2)로부터 소정의 신호가 제어반에 입력되고, 이 신호에 따라 PLC제어반(11)은 분말약품투입기(1)가 가동을 즉히 멈추도록 지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분말약품투입기(1)와 저장호퍼(1a)에 불합리한 요인이 잠재하더라도 언제나 일정한 양의 분말약품(불소)을 희석탱크(3)에 투입하여 균일한 농도의 희석액(불소용액)을 얻을 수 있다. 또, 분말약품투입기(1)에의 투입시간여유율을 2배로 하면 분말약품투입기(1)에서의 불합리한 요인이 존재함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입력시킨 분말약품무게만큼의 투입시간이 추가 소요되는 것에 대비할 수 있다.
분말약품투입기(1)와 저장호퍼(1a)를 계량저울(2) 위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무진동식 동공방지장치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바이브레이터나 교반기를 저장호퍼(1a)에 설치하여 진동이나 회전력으로 인하여 동공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해 왔는데, 이 방법은 심한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분말약품투입기(1) 및 저장호퍼(1a)를 계량저울(2) 위에 설치하여 운용하는데 지장을 받는다. 계량저울(2)이 진동 때문에 제대로 작동하지 못해 게량정밀도에 만전을 기할 수 없다는 것이다.
동공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방법 한가지를 예로들면, 분말약품투입기(1) 구동축에 설치한 편심축을 이용하여 분말약품투입기(1)의 양축벽에 부착된 강산성 특수고무벽이 좌우교대로 중앙을 향해 부풀게하여 분말약품이 언제나 분말약품투입기(1)의 중앙 하부로 집중되도록 하는 것이다. 동공방지장치는 진동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정숙하게 운전하여 계량저울(2) 위에 설치한 분말약품투입기(1) 및 저장호퍼(1a) 전체를 소음과 기기의 파손예방하는데 유효하다.
다음으로, 본장치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분말약품투입기(1)를 가동하면 솔레노이드 밸브(13)가 개방되어 희석탱크(3)에 희석수가 유입되고, 동시에 유량계(18)는 그 희석수의 공급량을 검지하여 PLC제어반(11)으로 전송한다. 설정치의 희석수가 희석탱크(3)로 공급된 사실이 검지되면 PLC제어반(11)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3)를 차단시킨다.
이어서, 분말약품투입기(1)에 내장된 도시하지 아니한 이송스크류가 작동하여 저장호퍼(1a)내의 분말불소를 낙하시킨다. 이 과정에서 실제로 투입된 분말불소의 중량을 소모량지시방식으로 검지하고 그 신호를 PLC제어반(11)이 받아서 설정치에 상당하는 분말불소가 투입된 후의 분말약품투입기(1)를 정지시킨다. 그러나 교반기(4)는 분말약품투입기(1)의 가동중지와 관계없이 작동한다.
또, 희망하는 양의 희석수가 희석탱크(3)로 공급되면 유량계(18)가 이 사실을 감지하여 PLC제어반(11)으로 송출한다. 그러면 PLC제어반(11)은 즉각 솔레노이드 밸브(13)를 작동시켜 희석수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 희석탱크(3)내에서는 균일한 농도의 불소용액이 만들어진다. 예컨대, 3%의 불소용액을 얻으려면 희석수 100ℓ와 불소분말 3㎏을 희석탱크(3)에 주입하고, 교반기(4)로 충분히 휘저어 희석시키면 된다.
이렇게하여 얻어지는 3% 불소용액은 일단 보조탱크(7)로 전량 이송되고, 불소용액이 전량 속을 비운 희석탱크(3)는 가동 이전의 상태로 되돌아가 3% 불소용액을 제조하는 작업을 재개하게 된다.
이때, 불소용액의 이송은 보조탱크(7)의 불소용액소모량에 따라 그 수위지시계(16)에서 감지한 신호를 받은 PLC제어반(11)의 통제에 따라 이뤄진다. 다시 말해서, 보조탱크(7)로부터 불소용액의 수위를 감지한 신호가 입력되면 PLC제어반(11)은 희석탱크(3)의 유출구관에 위치한 전등 볼 밸브(19)를 열어서 희석탱크(3)의 불소용액을 일시에 전량 보조탱크(7)로 보내지는 것이다.
그러나, 보조탱크(7)로부터 저수위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동안은 희석탱크(3)의 불소용액은 교반이 계속되면서 대기상태로 머문다.
희석탱크(3)의 불소용액이 전량 보조탱크(7)로 송출되고 그 저수위센서(12)가 0신호를 감지하여 PLC제어반(11)에 송출하면 전등 볼 밸브(19)가 닫히고, 희석탱크(3)에서는 희석수 및 분말불소의 공급과 교반등 일련의 불소용액 희석작업이 재개된다.
희석탱크(3)의 불소용액을 직접 정량펌프(5)로 투입할 경우에는 희석탱크(3)에서 발생한 희석농도의 오차가 연속 사용시에는 누적된다. 그렇지만 보조탱크(7)를 이용하면 희석탱크(3)의 오차가 누적되는 것이 방지되고, 불소투여량을 변환할 때의 연속오차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주기적인 불소용액제조에 있어서의 중단없는 분말불소의 투입에도 유효하다.
보조탱크(7)는 희석탱크(3)에서 일정한 농도로 희석된 불소요액을 전량 이수하였다가 송수관(6)을 통과하는 원수의 용존불소와 상관관계를 갖고 적정량을 투여하는데 없어선 않될 중요한 요소이며, 희석탱크(3)를 아무것도 없는 상태로 만들어 단속적이지만 재차 일정한 농도로 불소용액을 만들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는 역할도 빼놓을 수 없는 장점이다.
보조탱크(7)내의 불소용액은 정량펌프(5)에 의해 용존불소 및 원수의 양에 비례하여 투입한다. 즉, 원수의 양이 증가하면 불소용액의 투여량도 비례적으로 증가하고 원수의 양이 감소하면 불소용액의 투여량도 비례적으로 감소되어 원수중의 용존불소농도를 일정하게 해주는 것이다.
원수의 불소농도가 적정치를 유지하기 위하여는 용존불소 및 유량 복합비례제어방식이 필요하다. 그래서 용존불소 및 유량 비례제어용 콘트롤러(8)를 설치하는 것이다. 용존불소 및 유량 비례제어용 콘트롤러(8)는 정량펌프(5)의 작동을 제어한다. 하여금 보조탱크(7)의 불소용액을 송수관(6)의 투입지점에 투여하게 하는 것이다.
용존불소 및 유량 비례제어용 콘트롤러(8)는 초음파 유량계감지기(17)로부터 전송되는 유량감지신호를 바탕으로하여 설정치의 농도로 불소용액을 투여하도록 정량펌프(5)에 지시를 보내고, 또한 용존불소측정기(9)로부터는 불소용액투여 후의 원수의 용존불소농도를 측정한 신호를 전송받고 그 값이 설정농도치와 차이가 날 경우에는 그 차이만큼 정량펌프(5)를 가동시켜 용존불소농도를 자동으로 보정하게 하므로서 상수의 불소농도가 안정수치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용존불소 및 유량 비례제어방식은 자연상태의 원수중에 함유된 용존불소의 농도와 인위적으로 투입한 불소용액의 농도가 합쳤을 때 그 합친 불소농도가 설정치의 불소농도보다도 높게 나타나는 바람직스럽지 못한 현상을 예방하는데도 아주 효과적이다.
또, 용존불소 및 유량 비례제어방식을 도입함에 따라 0.1ppm 단위의 정밀도를 유지가능하므로 독성이 강한 불소의 과량투여로 인한 불측의 피해를 사전에 철저히 예방할 수 있다.
PLC제어반(11)은 장치 전반에 걸쳐 제어 및 감시를 수행하며, 불합리한 요인이 발생하면 그 즉시 필요한 경보를 발한다. PLC제어반(11)의 제반상황은 모니터링 시스템(14)을 통해 중앙집중감시하고, 사고도 예방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는 것이 안전하다.
Claims (3)
- 분말약품 투입기(1)로 분말약품을 희석탱크(3)에 투입하고 교반기(4)가 설치된 희석탱크(3)에는 정량의 희석수를 주입하여 농도가 균일해지게 희석하며 희석탱크(3)내의 약액을 정량펌프(5)로 송수관(6)에 투여하고 또한 PLC제어반(11)에 의하여 분말약품 투입기(1)와 교반기(4), 저수의 센서(12), 희석수용 공급밸브(!3), 모니터시스템(14)이 통제되게 한 것에 있어서 분말약품 투입기(1)을 계량저울(2)위에 설치하고 희석탱크(3)와 정량펌프(5)와의 사이에 교반기(15)와 수위 지시계(16)을 장착한 보조탱크를 설치하며 보조탱크(7)의 유압구는 희석탱크(3)의 출구에 그리고 유출구는 정량펌프(6)의 흡입구측에 각각 도관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에서의 불소용액 제조장치.
- 제1항에 잇어서 정량펌프(5)는 용존불소 및 유량비례 제어용 콘트롤러(8)에 의해 통제되도록 케이블로 연결하고 송수관(6)과 콘트롤러(8)와의 사이에는 채수펌프(10)가 부속된 용존불소측정기(9)를 설치하여 채수펌프(10)의 흡입구는 송수관(6)상의 적소에 관으로 연결하고 용존불소측정기(9)는 케이블로 상기 용존불소 및 유량비례 제어용 콘트롤러(8)에 연결하며 상기 보조탱크(7)의 교반기(15)와 수위지시계(16) 및 용존불소 및 유량비례제어용 콘트롤러(8)는 상기 PLC제어반(11)에 제각기 케이블로 연결하고 또한 송수관(6)상에는 초음파 유량감지기(17)를 부착하여 초음파 유량계(18)에 케이블로 연결하고 초음파 유량계(18)는 상기 용존불소 및 유량비례제어용 콘트롤러(8)에 케이블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용액 투여장치
- 희석 탱크에서 적정용도의 불소용액을 만들고 이 불소용액을 보조탱크에 보내 항시 보조탱크내에는 일정농도의 불소용액이 저장되어 대기 상태에 있으며 송수관 내의 통과 유량을 측정하고 동시에 그 송수과 내에 흐르는 상수의 용존불소 농도를 측정하여 양 측정치를 비례복합제어용 콘트롤러로 정량펌프가 투입해야할 불소 용액의 양을 분석하고 그 분석량만큼 절량펌프가 가동되어 보조탱크에 저장시킨 불소용액을 원수에 투입하여 허용치범위로 불소농도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의 용존불소농도 보정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28738A KR0147495B1 (ko) | 1995-09-04 | 1995-09-04 | 상수의 불소용액투여장치와 상수의 용존불소농도보정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28738A KR0147495B1 (ko) | 1995-09-04 | 1995-09-04 | 상수의 불소용액투여장치와 상수의 용존불소농도보정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15486A KR970015486A (ko) | 1997-04-28 |
KR0147495B1 true KR0147495B1 (ko) | 1998-08-01 |
Family
ID=19425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28738A KR0147495B1 (ko) | 1995-09-04 | 1995-09-04 | 상수의 불소용액투여장치와 상수의 용존불소농도보정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4749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37141A (ko) * | 2001-11-02 | 2003-05-12 | 문 원 박 | 음용수의 약품 자동투입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9172B1 (ko) * | 1999-04-15 | 2002-03-22 | 정우진 | 상수도의 불소투입장치 |
KR200451808Y1 (ko) * | 2008-12-31 | 2011-01-13 | 정우진 | 액체 불소 정량 투입장치 |
-
1995
- 1995-09-04 KR KR1019950028738A patent/KR014749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37141A (ko) * | 2001-11-02 | 2003-05-12 | 문 원 박 | 음용수의 약품 자동투입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15486A (ko) | 1997-04-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14298B2 (en)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water treatment | |
US4832689A (en) | Infusion means | |
US7357563B2 (en) | Continuous liquid stream blender | |
EP1773480B1 (en) | Dosing system for dosing of a liquid additive into a pressurized water supply line | |
RU2312208C1 (ru) | Установка для дозированной подачи жидкого химического реагента | |
US20210024291A1 (en) | Proppant metering and loading in a hydraulic fracturing blender | |
KR0147495B1 (ko) | 상수의 불소용액투여장치와 상수의 용존불소농도보정방법 | |
US20190210899A1 (en) |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 |
CN207313211U (zh) | Pam加药装置 | |
CN206666205U (zh) | 一种废水池加药装置 | |
JPH10104048A (ja) | ディスペンス方法およびシステム | |
EP0864684B1 (en) | System,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dosing detergent | |
KR100271776B1 (ko) | 액체 불소 정량 투입 방법 및 그 시스템 | |
CN214971983U (zh) | 黄河水处理的自动配药系统 | |
KR100556994B1 (ko) | 무동력 약품 투입기를 이용한 간이 급수장치 | |
KR100761508B1 (ko) | 액상폴리머 용해장치 | |
RU2481149C2 (ru) |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и дозирования растворов реагентов | |
KR100327603B1 (ko) | 중량계량식 분체 약품 정량 투입장치 | |
KR20160127935A (ko) | 약품 투입 감시 기능을 구비한 약품투입장치 | |
KR200451808Y1 (ko) | 액체 불소 정량 투입장치 | |
CN102390885B (zh) | 一种复合消毒剂的发生设备 | |
KR20030077328A (ko) | 간이 상수도에서의 약액 자동 투입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
CN203061108U (zh) | 一种干粉药剂溶解投加装置 | |
CN219217695U (zh) | 一种絮凝剂pac投加加药装置 | |
CN221254158U (zh) | 一种智能加药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J206 |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19991214 Effective date: 20001031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19991214 Effective date: 2000103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518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