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7143B1 - 감아올림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감아올림 견인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7143B1
KR0147143B1 KR1019950008014A KR19950008014A KR0147143B1 KR 0147143 B1 KR0147143 B1 KR 0147143B1 KR 1019950008014 A KR1019950008014 A KR 1019950008014A KR 19950008014 A KR19950008014 A KR 19950008014A KR 0147143 B1 KR0147143 B1 KR 0147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main body
hook
chai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8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9175A (ko
Inventor
요시오 우에노
야스오 와다
도시유키 모리에
Original Assignee
츠다 슈사쿠
조우지루시 체인블록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다 슈사쿠, 조우지루시 체인블록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츠다 슈사쿠
Publication of KR950029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9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7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71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66D3/20Power-operated hoists with driving motor, e.g. electric motor, and drum or barrel contained in a common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블타입의 감아올림·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훅 본체(B)에 있어서의 로드체인(8)의 출입구측에서 상기 로드체인(8)의 출입구(16, 17)측에 걸치는 부위에 충격완충용의 버퍼(21)를 훅 본체(B)에 설치된 유동바퀴(15)의 축방향에 일체상으로 가로로 설치하여 버퍼(21)의 길이방향 양측을 훅 본체(B)에 고정한 것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감아올림·견인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감아올림·견인장치에 이용하는 훅 본체의 한쪽측 본체커버의 단면도,
제 2 도는 훅 본체의 부분 단면 정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훅 본체의 평면도,
제 4 도는 버퍼와 버퍼케이스를 나태내는 사시도,
제 5 도는 감아올림·견인장치의 부분 단면 정면도,
제 6 도는 감아올림·견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장치 본체 B : 훅 본체
8 : 로드체인 9 : 로드시브(load sheave)
15 : 유동바퀴 16, 17 : 출입구
18 : 훅 21 : 버퍼
23 : 버퍼케이스
본 발명은 짐을 올리고 내리는 작업과 짐의 견인작업등에 이용하는 감아올림·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감아올림·견인장치로서 로드시브와 감속톱니바퀴기구등을 내장한 장치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 본체내의 상기 로드시브에 로드체인을 걸어 회전하고, 또한 이 로드체인의 부하측에 축을 구비한 훅 본체를 연결하고, 상기 로드시브의 회전에 동반하여 상기 로드체인을 감아 올리거나 감아 내리도록 한 이른바 싱글타입의 것이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그 밖에 상기 훅 본체내에 유동바퀴를 지지하고 하부측에 훅을 부착하며, 또한 상기 훅 본체의 상 부측에는 체인출입구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장치 본체의 로드시브에 걸어 설치된 로드체인의 부하측의 일부를 상기 체인출입구의 한쪽으로부터 삽입시켜서 상기 유동바퀴에 걸어 회전하고, 상기 유동바퀴에 걸어 회전된 로드체인의 유통단축을 상기 출입구의 다른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인출하여 상기 장치 본체측에 고정하고, 상기 로드시브의 회전에 동반하여 로드체인을 통하여 상기 유동바퀴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훅 본체를 상하운동시킴으로써 상기 훅 본체의 훅을 통하여 짐을 올리는 작업과 짐을 내리는 작업을 실시하도록 한 이른바 더블타입의 것도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형성하는 감아올림·견인장치에 있어서는 짐을 올리는 작업시에 상기 로드체인을 지나치게 감아올린 경우에 상기 훅 본체가 장치 본체측에 충돌하여 이들 훅 본체와 장치 본체가 파손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지 위해 다음과 같은 수단이 강구되고 있다. 즉 싱글타입의 것에 있어서는 상기 로드체인에 있어서의 상기 훅 본체와의 결합부위에 완충용 코일스프링과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완충재를 끼우고 상기 훅 본체가 장치 본체에 충돌하기 직전에 이 장치 본체에 상기 완충체등을 맞붙여서 상기 완충체등을 압축 변형시키면서 충돌하중을 흡수시킴으로써 상기 훅 본체와 장치 본체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 더블체인타이의 것에 있어서는 상기 훅 본체에 설치한 체인출입구축에서 상기 출입구로부터 출입되는 로드체인의 주위에 각각 상기 코일스프링 또는 통상완충체의 2쌍을 끼우고 있지만 상기 훅 본체가 장치 본체에 충돌하기 직전에 이 장치 본체에 상기 각 완충제등을 맞붙여서 상기 각 완충제등을 탕성변형시키면서 충돌하중을 흡수시킴으로써 상기 훅 본체와 장치 본체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싱글체인타입의 감아올린·견인장치에서는 상기 로드시브로부터 연장되는 로드체인의 훅 본체와의 결합부위에 코일스프링 또는 한개의 완충체를 끼우는 것뿐이기 때문에 후술하는 더블체인타입의 것과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지만 상기 더블 체인타입의 것에서는 상기 훅 본체의 장치 본 체측에 대한 충돌시에 이들 양자의 파손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상기 훅 본체에 설치한 체인출입구측에서 상기 출입구로부터 출입하는 로드체인의 주위에 상기 코일스프링 또는 완충체의 2쌍을 끼우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 훅 본체에 있어서의 체인출입구는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출입구측에서 로드체인의 주위에 2쌍의 완충체를 설치하는 경우 이들 각자의 부착간격이 좁아서 부착성이 나빠지고, 또한 상기 로드체인을 지나치게 감아올릴때에 상기 장치 본체측에 상기 완충제의 2쌍이 맞붙어서 탄성변형할때 이들 완충체가 각각 직경방향으로 팽윤하여 서로 간섭해서 파손되거나 할 염려가 있는 등의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더브타입의 감아올림·견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훅 본체의 체인출입구가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상기 훅 본체에 대한 부착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으면서 종래예와 같이 서로 간섭하여 파손을 초래하는 일도 없고, 상기 훅 본체가 장치 본체측에 대한 충돌할때 그 충격력을 유효하게 흡수하게 함으로써, 상기 훅 본체와 장치 본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에 기재한 발명은 로드시브(9)를 구비한 장치 본체(A)와, 상기 로드시브(9)에 걸어 설치되어 단부를 상기 장치 본체(A)에 걸어두는 로드체인(8) 및 이 로드체인(8)의 부하측에 연결되는 유동바퀴(15) 및 훅(18)을 지닌 훅 본체(B)로 구성되는 감아올림·견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훅 본체(B)에 있어서의 상기 로드체인(8)의 출입구측에서 상기 로드체인(8)의 출입구(16, 17)사이에 걸쳐지는 부위에 상기 훅 본체(B)의 장치 본체(A)에 대한 충돌시에 있어서의 충격을 완충하는 버퍼(21)를 상기 유동바퀴(15)의 축방향에 일체상으로 가로로 설치하고, 이 버퍼(21)의 길이방향 양측을 상기 훅 본체(B)에 고정한 것이다.
또 특허청구범위 제 2 항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버퍼(21)의 외측에, 상기 버퍼(21)를 덮는 버퍼케이스(23)를 설치한 것이다.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에 따르면 상기 훅 본체(B)가 장치 본체(A)에 충돌하는 경우, 버퍼(21)를 상기 훅 본체(B)에 있어서의 상기 로드체인(B)의 출입구측에서 상기 로드체인(8)의 출입구(16, 17) 사이에 걸치는 부위에 상기 유동 바퀴(15)의 축방향에 일체상으로 가로로 설치하고, 상기 버퍼(23)의 길이방향 양측을 상기 훅 본체(B)에 고정했기 때문에 상기 훅 본체(B)에 로드체인(8)의 출입구(16, 17)가 설치되어 있어도 단일 버퍼(21)에 의해 훅 본체(B)의 장치 본체(A)에 대한 충돌시의 충격력을 완충할 수 있고, 또 상기 버퍼(21)는 그 길이방향 양측을 상기 훅 본체(B)에 고정하기 때문에 상기 출입구(16, 17)르 회피하여 상기 훅 본체(B)측에 부착되고, 따라서 각기 별도록 설치하는 종래의 것에 비교하여 상기 버퍼(21)의 부착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또 종래예와 같이 2쌍의 완충체를 이용하는 경우와 같이 서로 간섭하여 파손을 초래하는 일도 없어지고, 또한 상기 훅 본체(B)의 장치 본체측(A)에 대한 충돌시에 단일 버퍼(21)이면서 그 충격력을 흡수하여 유효하게 완충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훅 본체(B)와 장치 본체(A)의 파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허청구위 제 2 항에 따르면 상기 버퍼(21)의 외측에 상기 버퍼(21)를 덮는 버퍼케이스(23)가 설치되어 있기 대문에 상기 훅 본체(B)가 장치 본체(A)측에 충돌할 때 그 충격력을 상기 버퍼케이스(23)를 통하여 상기 버퍼(21)에 균일학 부여시킬 수 있고, 또 상기 버퍼케이스(23)에 의해 상기 버퍼(21)가 외측으로 팽창한 모양으로 탄성변형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고, 이 버퍼(21)로서 상기 충격력을 막으면서 확실하고, 또한 양호하게 완충시킬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상기 버퍼 본체(B)의 장치 본체측(A)에 대한 충돌시에 있어서의 양자의 파손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 5 도에 나타낸 실시예는 전동식 감아올림·견인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감아올림·견인장치는 장치 본체(A)와 혹 본체(B)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장치 본체(A)는 그 한쪽에 모터(1)를 내장한 모터케이스(2)를, 또한 다른 쪽에 감속톱니바퀴기구(3)를 내장한 기어케이스(4)를 설치하고, 이들 모터케이스(2)와 기어케이스(4)의 내측위치에 각각 모터측 케이스(5)와 기어측 케이스(6)를 설치하고이들 각 케이스(5, 6)의 대향단면부에서 위쪽측으로 상기 감아올림·견인장치의 전체를 매달아 지지하는 윗훅으로 이루지는 매달음부재(7)를 부착하고, 또한 사익 각 케이스(5, 6)의 중심부에는 로드체인(8)이 걸어 회전되는 로드시브(9)를 베어링 지지하고, 이 로드시브(9)의 중심부에 긴 방향 일단이 상기 모터(1)의 모터축(1a)에 연결되고 타단측이 상기 기어케어스(4)츠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어케이스(4)내에 베어링 지지되는 구동축(10)을 공간을 두고 삽입하는 한편, 이 구동축(10)에 있어서의 상기 기어케이스(4)측에 상기 감속톱니바퀴기구(3)를 구성하는 제 1 기어(31)를 형성하고, 또 상기 기어케이스(4)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기어(31)에 맞물리며, 또한 바퀴축에 결합하는 최종기어(예를 들면 제 4 기어)(32)에 감속하여 전동하는 복수의 중간기어(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있다. 또 상기 모터측 케이스(5)와 기어측 케이스(6)의 대향단면부에서 상기 로드시브(9)의 하부측에는 상기 로드 체인(8)의 체인링크(81)가 끼워 통해지는 유도홈을 지닌 유도부재(11)를 볼트로 고정하여 상기 유도부재(11)를 통하여 상기 체인링크(81)의 자세를 수정하면서 상기 로드시브(9)의 외주부위에 형성한 링크걸어맞춤홈에 상기 체인링크(81)를 정확하게 걸어맞출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기어케이스(4)의 내부에는 상기 감속톱니바퀴기구(3)와 함께 메커니컬 브레이크와 과부하 방지 기구등이 설치된다.
또 상기 혹 본체(B)는 제 1 도 ~ 제 3 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정면으로 보아 중앙분으로부터 좌우2개로 분할된 제 1 및 제 2 분할체(12A, 12B)로 이루어지고, 이들 각 분할체(12A, 12B)의 중앙 상부측에 유동바퀴 수용공간(13)을 형성하고, 상기 각 수용공간(13)이 서로대향하도록 상기 각 분할체(12A, 12B)의 사이를 복수를 고정볼트(14a) 및 너트 (14b)를 통하여 일체상으로 맞붙이고, 또한 상기 각 수용공간(13)의 내부에는 외주부위에 상기 로드체인(8)의 각 체인링크(81)를 받아들여서 걸어맞추는 복수의 링크걸어맞춤홈(15a)을 지닌 유동바퀴(15)를 설치하고, 이 유동바퀴(15)의 축심 양측으로부터 돌출된 각 축부(15b)를 상기 각 분할체(12A, 12B)의 안쪽 내부측에 각각 볼베어링(15C)을 통하여 회전 자유롭게 양쪽을 잡아 지지시키는 한편 상기 각 분할체(12A, 12B)의 상부측에는 제 3 도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대략 십자형상을 나타내도록 이들 양자를 대향상을 맞붙이고, 상기 유동바퀴(15)에 걸어 회전되는 사익 로드체인(8)이 출입하는 출입구(16, 17)를 각각 형성하고, 또 상기 각 분할체(12A, 12B)의 하부측에는 아래훅(18)을 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장치 본체(A)의 로드시브(9)에 걸어 설치된 로드체인(8)의 부하측의 일부를상기 체인 출입구(16, 17)의 한쪽으로부터 삽입시켜서 상기 유동바퀴(15)에 걸어 회전하고, 사익 유동바퀴(15)에 걸어 회전된 로드체인(8)의 유동단측을 상기 출입구(16, 17)의 다른 쪽에서 바깥쪽으로 인출하여 상기 장치 본체(A)측에 고정하고, 상기 로드시브(9)의 회전에 동반하여 로체인(8)을 통하여 상기 유동바퀴(15)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혹 본체(3)의 전체를 상하운동시킴으로써 상기 훅 본체(B)의 상기 훅(18)을 통하여 짐을 올리고 내리는 작업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또 제 5 도, 제 6 도에 있어서는 상기 모터케이스(4)의 외측에 전장박스(19)를 부착하고, 상기 박스(19)에 내장하는 전장기기를 조작박스(20)에 설치한 조작보터(20a)으로 조작함으로써 상기 모터(2)의 정역구동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도 ~ 제 3 도에 나타낸 실시예는 상기 훅 본체(B)의 상부에서 상기 로드체인(8)의 출입구(16, 17)측에 상기 훅 본체(B)가 장치 본체(A)측에 충돌할때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우레탄고무등의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단일 버퍼(21)를 상기 출입구(16, 17)의 중간부위에 있어서 상기 각 분할체(12A, 12B)를걸치도록 상기 유동바퀴(15)의 축방향에 일체상으로 가로로 설치하고, 이 버퍼(21)의 길이방향 양측을 각각 고정볼트(22)를 통하여 상기 훅 본체(B)측에 고정하고, 또한 상기 버퍼(21)에는 상기 버퍼(21)의 상부측을 덮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버퍼케이스(23)를 부착한 것이다.
또한 상세히 서술하면 상기 버퍼(21)는 제 4 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길고, 소정 두께를 설치한 직방체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서, 그 길이방향 중앙위치에서 양측 벽면에는 상기 훅 본체(8)에 대한 부착시에 상기 각 출입구(16, 17)의 중간부위에 위치되어, 상기 버퍼(21)의 길이방향 양측부분에 대하여 폭방향간격이 작게 되는 잘록한 부분(21a)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잘록한 부분(21a)을 중심으로 한 상기 버퍼(21)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상기 훅 본체(B)에 부착시에 상기 각 분할체(12A, 12B)의 윗쪽 양측부와 대향하는 곳에 각각 상기 고정볼트(22)보다 큰 직경이 된 부착구멍(21b)을 뚫고 각 부착구멍(21b)로부터 상기 고정볼트(22)를 상기 각 분할체(12A, 12B)의 윗쪽 벽면에 끼우고, 윗쪽 벽부에 뚫린 나사구멍(19, 20)에 돌려 끼움으로써 상기 버퍼(21)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 고정에 의해 상기 버퍼(21)의 길이방향 중앙위치에 형성하는 상기 잘록한 부분(21A)은 제 3 도와 같이 상기 출입구(16, 17)의 중간부위에 위치하여 버퍼 전체가 상기 각 분할체(12A, 12B)를 걸치도록 고정하는 것으로서,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출입구(16, 17)로부터 출입되는 상기 로드체인(8)이 상기 버퍼(21)에 방해받지 않게 되어, 상기 버퍼(2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상기 버퍼(21)의 부착위치가 변동하거나 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버퍼(21)의 충격력에 대한 완충능력을 유효하게 발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사익 각 고정볼트(22)에 의한 상기 버퍼(21)의 부착시에는 제 1 도, 제 2 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각 고정볼트(22)의 머리부의 상기 각 버퍼(21)에 설치한 부착구멍(21b)의 안쪽 바닥부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장치 본체(A)에 대한 훅 본체(B)의 충돌시에 그 충격력을 상기 각 고정볼트(22)의 머리부 윗쪽측에 있어서 상기 버퍼(21)가 탄성변형하여 흡수함으로써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 상기 버퍼케이스(23)는 상기 버퍼(21)의 상면측을 덮고, 그 상면형상과 대략 동일 형상으로 된 길이방향 중간부위에 잘록한 부분(23a)을 갖는 평판부(23b)와, 이 평판부(23b)의 길이방향 양측부분으로부터 아랫쪽을 향하여 일체 상으로 뚫어 설치되고, 상기 버퍼(21)의 길이방향 양측부분에 대하여 약간 소형으로 된 대략 다면 그자 형상의 좌우 한쌍의 기립벽(23c)을 구비하고, 상기 각 기립벽(23c)을 상기 버퍼(21)의 길이방향 양측부분에 눌러 넣어압 끼우고, 또한 상기 평판부(23b)를 상기 버퍼(21)의 상면측에 맞붙게 한 상태에서, 이 버퍼(21)에 상기 버퍼케이스(23)를 부착하는 것이다.
상기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로드체인(8)을 지나치게 감아올림에 의한 상기 훅 본체(B)가 장치 본체(A)측에 출돌할때, 상기 장치 본체(A)에 상기 버퍼케이스(23)가 맞붙어서 상기 버퍼(21)가 탄성변형되면서 충격력을 흡수하게 되는데, 이 충격력을 상기 버퍼케이스(23) 평판부(23a)를 통하여 상기 버퍼(21)에 균일하게 부여할 수 있고, 또 상기 기립벽(23c)에 의해 상기 버퍼(21)의 고정부가 부분적으로 외측으로 팽창한 모양으로 탄성변형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고, 이 버퍼(21)로서 상기 충격력을 막아서 완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버퍼케이스(23)에는 제 4 도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평판부(23b)의 외주 전체에 상기 버퍼(21)의 바깥 주위에 끼워지는 기립벽(23c)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고, 이렇게 할 때에는 상기 버퍼(21)의 밖을 향한 탄성 변형을 없애서 상기 버퍼(21)의 완충능력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훅 본체(B)에 부착하는 상기 훅(18)은 훅부(18a)와, 상기 훅부(18a)의 기부측에 일체형성된 제 1 축부(18b)와, 이 제 1 축부(18b)의 상부측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제 1 축부(18b)보다도 직경이 작은 제 2 축부(18C)와, 상기 제 2 축부(18C)의 상부측에 일체 형성되고, 상기 제 2 축부(18C)보다도 직경이 크며 상기 제 1 축부(18b)와 대략 동일 직경으로 된 제 3 축부(18d)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 상기 훅(18)을 지지하는 상기 각 분할체(12A, 12B)측에는 상기 제 1 축부(18b)가 끼워 통해지는 구멍(12a)과, 상기 제 2 축부(18c)가 위치되는 상기 구멍(12a)보다도 직경이 큰 제 1 공간(12b)과, 상기 제 3 축부(18d)가 위치되는 상기 제 2 축부(18c)보다 직경이 작은 제 2 공간(12c)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훅(18)의 훅부(18a)를 상기 각 분할체(12A, 12B)의 하부측에 위치시키고, 또한 상기 각 분할체(12A, 12B)에 설치한 상기구멍(12a)에 상기 제 1 축부(18b)를 끼워 통하게 하고, 또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12b), 공간(12c)에 상기 제 2 및 제 3 축부(18c, 18d)를 삽입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 공간(12b)의 내부에서 상기 제 2 축부(12c)의 주위에 상기 구멍(12a)보다도 직경이 크게 된 링상의 빠짐방지체(18a)를 끼우고, 또한 이 빠짐방지체(18e)의 하부측에서 상기 제 1 공간(12b)의 내벽과 상기 제 1 축부(12b)의 사이에 슬러스트홀 베어링9(18f)을 기우고, 상기 베어링(18f)에서 상기 훅부(18a)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 훅(18a)에 대한 걸어둠작업을 용이하게 시실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음으로 이상의 구성에 의한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장치 본체(A)측에 설치한 모터(1)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축(10) 및 감속톱니바퀴기구(3)를 통하여 로드시브(9)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로드시브(9)에 걸어 돌려서 설치한 로드체인(8)을 통하여 상기 훅 본체(B)에 설치한 유동바퀴(15)가 회전되면서 상기 훅 본체(B)의 전체가 상하운동되고, 상기 훅 본체(B)에 설치한 상기 훅(18)의 훅부(18a)를 통하여 짐을 올리고 내리는 작업이 행해진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들어오림 작업시에 상기 로드체인(8)을 지나치게 감아 올리거나 하여 상기 훅 본체(B)가 장치 본체(A)에 충돌하려 할때에는 그 충돌직전에 상기 장치 본체(A)측에 상기 버퍼케이스(23)의 평판부(23a)가 맞붙어서, 이 버퍼케이스(23)를 통하여 상기 버퍼(21)의 전체에서 상기 충격력을 흡수하여 완충시킬 수 있고, 상기 훅 본체(B)의 장치 본체측(A)가 충돌할때 있어서의 양자의 파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버퍼(21)는 그 길이방향 중아위치에 설치한 잘록한 부분(21a)이 상기 훅 본체(B)에 형성한 체인출입구(16, 17)의 중간부위에 위치되고, 또한 상기 훅 본체(B)를 구성하는 각 분할체(12A, 12B)를 걸치도록 상기 유동바퀴(15)의 축방향에 일체상으로 가로로 설치되고, 그 양측을 상기 각 분할체(12A, 12B)에 고정했기 때문에 단일 버퍼(21)로 하면서 상기 출입구(16, 17)로부터 출입되는 상기 로드체인(8)이 이 단일 버퍼(21)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또 상기 버퍼(21)의 부착위치가 변동하거나 하는 일도 없으며, 소정 위치에 위치시켜서, 상기 버퍼(21)에 의해 충격을 유효하게 완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 출입구(16, 17)가 서로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다고 해도 이들 각 출입구(16, 17)를 피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버퍼(21)를 상기 훅 본체(B)측에 대한 쉽게 부착할 수 있고, 상기 버퍼(21)의 부착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으며, 또 종래의 2쌍의 완충체등을 이용하는 경우와 같이 완충체간의 간섭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모터(1)를 이용한 전동식의 감아올림감아올림·견인장치
견인장치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전동식의 것 이외에 예를 들면 수동식의 감아올림·견인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에 따르면 로드시브(9)를 구비한 장치 본체(A)와 상기 로드시브(9)에 걸어 설치되고 단부를 사기 장치 본체(A)에 걸어 고정하는 로드체인(8) 및 이 로드체인(8)의 부하측에 연결되는 유동바퀴(15) 및 훅(18)을 지닌 훅 본체(B)로 이루어지는 감아올림·견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훅 본체(B)에 있어서의 상기 로드체인(8)의 출입구측에서 상기 로드체인(8)의 출입구(16, 17) 사이에 걸치는 부위에, 상기 훅 본체(B)가 장치 본체(A)에 충돌할때 그 충격을 흡수하는 버퍼(21)를 상기 유동바퀴(15)의 축방향에 일체상으로 가로로 설치하고, 이 버퍼(21)의 길이방향 양측을 상기 훅 본체(B)에 고정하도록 했기 때문에 상기 훅 본체(B)에 로드체인(8)의 출입구(16, 17)가 설치되어 있어도 단일 버퍼(21)에 의해 훅 본체(B)가 장치 본체(A)에 충돌할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또 상기 버퍼(23)의 길이방향 양측을 상기 훅 본체(B)에 고정하도록 했기 때문에 상기 각 출입구(16, 17)를 막지 않도록 상기 훅 본체(B)에 부착되고, 따라서 이 버퍼(21)의 부착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또 상기 출입구(16, 17)가 서로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종래예와 같이 2쌍의 완충체등을 이용하는 경우와 같이 서로 간섭하여 파손되거나 하는 일도 없어지고, 또한 상기 훅 본체(B)가 장치 본체측(A)에 충돌할때 단일 버퍼(21)만을 사용하여 그 충격력을 흡수하여 유효하게 완충시키고, 또 한 상기 훅 본체(B)와 장치 본체(A)의 파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 2 항에 따르면 상기 버퍼(21)의 외측에 상기 버퍼(21)를 덮는 버퍼케이스(23)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훅 본체(B)의 장치 본체(A)측에 대한 충돌시에 그 충격력을 상기 버퍼케이스(23)를 통하여 상기 버퍼(21)에 균일하게 부여할 수 있고, 또 상기 버퍼케이스(23)에 의해 상기 버퍼(21)가 외측으로 팽창한 모양으로 탄성변형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고, 이 버퍼(21)로서 상기 충격력을 흡수하여 양호하게 완충시킬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상기 훅 본체(B)가 장치 본체측(A)에 충돌할때 양자의 파손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로드시브(9)를 구비한 장치 본체(A) ; 상기 로드시브(9)에 걸어 설치되고 단부를 상기 장치 본체(A)에 걸어 고정하는 로드체인(8) ; 및 상기 로드체인(8)의 부하측에 연결된느 유동바퀴(15) 및 훅(18)을 지닌 훅 본체(B)로 이루어지는 감아올림·견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훅 본체(B)에 있어서의 상기 로드체인(8)의 출입구측에서 상기 로드체인(8)의 출입구(16, 17) 사이에 걸치는 부위에, 상기 훅 본체(B)가 장치 본체(A)에 충돌할때 충격을 흡수하는 버퍼(21)를 상기 유동바퀴(15)의 축방향에 일체상으로 가로로 설치하고, 이 버퍼(21)의 길이방향 양측을 상기 훅 본체(B)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아올림·견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21)가 그 외측에 상기 버퍼(21)를 덮는 버퍼케이스(23)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을 하는 감아올림·견인장치.
KR1019950008014A 1994-04-04 1995-04-04 감아올림 견인장치 KR01471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66232A JP2612817B2 (ja) 1994-04-04 1994-04-04 巻上・牽引装置
JP94-66232 1994-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9175A KR950029175A (ko) 1995-11-22
KR0147143B1 true KR0147143B1 (ko) 1998-08-17

Family

ID=13309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8014A KR0147143B1 (ko) 1994-04-04 1995-04-04 감아올림 견인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612817B2 (ko)
KR (1) KR014714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9175A (ko) 1995-11-22
JPH07277686A (ja) 1995-10-24
JP2612817B2 (ja) 1997-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7333B2 (en) Overhead doors and associated track and guide assemblies for use with same
CN109720804B (zh) 应用于电缆盘、电线杆搬运的两段式陡坡缓降卸载方法
US5201897A (en) Spring balancer for a roll-up door
KR0147143B1 (ko) 감아올림 견인장치
US7946390B2 (en) Tie-down compensation for an elevator system
CN110921450B (zh) 一种电梯安全监管设备保护结构
WO2004108576A1 (en) Tie-down compensation for an elevator system
CN108842692B (zh) 一种能够卸力的桥梁桥墩的防撞装置
CN111847183B (zh) 一种自锁式建筑施工电梯防坠装置
US4480817A (en) Shock-absorbing winch
KR100498102B1 (ko) 회전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후크장치
JP2005170655A (ja) エレベータロープの振れ止め装置
CN220244304U (zh) 一种防撞型物流集装箱
JPH05186164A (ja) 移動ケーブルの振止装置
JPH0349273Y2 (ko)
JP4342252B2 (ja) エレベータ
CN219570800U (zh) 一种门机变幅机构齿条箱体
CN116986440B (zh) 一种工业用载货电梯
CN216942845U (zh) 一种自动化搬运机器人用顶部防坠物结构
CN218560869U (zh) 一种具有红外防撞结构的装卸起重机
KR102564277B1 (ko) 클린룸 호이스트 장치
KR200192969Y1 (ko) 크레인의 대차 충격완충 및 와이어로프 흔들림 방지장치
JPH0616072Y2 (ja) 吊上げ式開閉ドアの制動構造
KR102155308B1 (ko) 케이지 평형유지 장치
KR20230155224A (ko) 제품 완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