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6445B1 - 종합정보통신망의 티엠엔가상 세그먼트 형상 관리를 이용한 유지보수 방법 - Google Patents

종합정보통신망의 티엠엔가상 세그먼트 형상 관리를 이용한 유지보수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6445B1
KR0146445B1 KR1019950012616A KR19950012616A KR0146445B1 KR 0146445 B1 KR0146445 B1 KR 0146445B1 KR 1019950012616 A KR1019950012616 A KR 1019950012616A KR 19950012616 A KR19950012616 A KR 19950012616A KR 0146445 B1 KR0146445 B1 KR 0146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mn
network element
virtual
stat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2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3645A (ko
Inventor
김선미
이재흠
예병호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50012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6445B1/ko
Publication of KR960043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3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6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64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52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using 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e.g. 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TMN] or unified 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 [UN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77Localisation of fau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19Network Node Interface, e.g. tandem connections, transit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5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 H04L2012/5626Network management, e.g. Intelligent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합정보통신망의 TMN 가상 세그먼트 형상 관리를 이용한 유지보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TMN의 제어에 의하여 가상 경로 연결/가상 채널 연결의 세금먼트 종단점을 실시간으로 변경하는 종합정보통신망의 TMN 가상 세그먼트 형상 관리를 이용한 유지보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종합정보통신망내에서 장애 위치의 확인 및 장애 국부화를 위하여 가장 활용도가 높은 가상 경로 연결/가상 채널 연결의 세그먼트 관리를 TMN에 의하여 각 가상 연결의 연결 기간중 실시간으로 수행함으로서 광대역망 ATM 계층의 성능 관리, 고장 관리 및 시험을 보다 유동적이고 상세하게 수행하여 망요소간 장애 시험, 확인 및 복구에 정확성과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종합정보통신(B-ISDE)의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가상 세그먼트(Virtual Segment) 형상 관리를 이용한 유지보수 방법.
제1도의 종합정보통신망(B-ISDN)의 유지보수(OAM)를 위한 계층 및 계층간 관계에 대한 설명도,
제2도는 종합정보통신망(B-ISDN)의 ATM 계층의 고장 관리/성능 관리 흐름에 대한 설명도,
제3도는 ATM 계층의 OAM 셀과 OAM셀 헤드 필드의 구조도,
제4도는 각 계층별 OAM 셀 수신시의 OAM 셀 처리부의 처리에 대한 설명도,
제5도는 TMN 가상 세그먼트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의 종합정보통신망(B-ISDN)내의 가능한 최소 유지보수 단위에 대한 설명도,
제6도는 TMN 가상 세그먼트를 적용한 경우의 종합정보통신망(B-ISDN)내의 가능한 최소 유지보수 단위에 대한 설명도,
제7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 망노드의 구조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적용 흐름에 대한 설명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1:스위칭모듈/멀티플렉서 72:상위제어 프로세서
73:정합수
본 발명은 TMN의 제어에 의하여 가상 경로 연결/가상 채널 연결(이하, '가상 연결'이라 함)의 세그먼트 종단점을 실시간으로 변경하는 종합정보통신망의 TMN 가상 세그먼트 형상 관리를 이용한 유지 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합정보통신망(B-ISDN:Broadband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의 유지보수(OAM)를 위한 계층 및 계층간 관계에 대한 설명도이다.
유지보수기능은 광대역망의 프로토콜 참조 모델중 물리계층과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계층에서 수행된다. 물리계층은 재생기 구간인 F1 유지보수 흐름, 디지틀 색션 구간인 F2 유지보수 흐름, 전송 경로 구간인 F3 유지보수 흐름으로 나뉘어지고, ATM 계층은 가상 경로 레벨의 F4 유지보수 흐름과 가상 채널 레벨의 F5 유지보수 흐름으로 나뉘어져 F1 흐름부터 F5 흐름까지 계층적인 관계를 가지고 수행되어 물리계층의 장애로 인한 망의 비가용성을 가상 채널 레벨까지 상승시켜서 가상 채널의 두 종단점 즉, 각 가입자(사용자)까지 장애 및 에러의 사실을 인지하고 각 계층별로 모든 가능 영역까지의 성능 관리등의 유지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제2도는 종합정보통신망(B-ISDN)의 ATM 계층의 고장 관리/성능 관리 흐름에 대한 설명도이다.
제2a도는 루프백(Loopback) 시험 기능을 수행하는 흐름도로서, 송신부에서 루프백 지정(Loopback Indication) 필드를 '1'로 하여 송신하여 루프백이 이루어지는 망요소에서는 루프백 지정 필드를 '0'으로 변환한 후에 루프백한다. 루프백이 이루어지는 망요소에 대한 지정인 루프백 위치 식별자(Loopback Location ID) 필드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T)의 권고사항이 아니며 국내적으로 협의되어야 하는 문제로서 아직 정의되지 못한 상황이다. 따라서, 디폴트 값을 사용한 '111...11'을 루프백 위치 식별자 필드에 삽입함으로서 루프백이 수행되는 각 계층의 종단점에서 루프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제2b도는 성능 감시와 연속성 감시 기능이 수행되는 흐름도로서, 성능 감시와 연속성 감시를 수행하고자 하는 각 계층(가상 연결 세그먼트 유지보수 셀인 경우 가상 연결 세그먼트 계층의 종단점, 가상 연결 종단-대-종단 유지보수 셀인 경우 가상 연결 종단-대-종단 계층의 종단점)의 종단점은 감시 기능의 수행전에 수행할 가상 연결에 대한 동기를 일치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고 동기가 일치되면 감사 기능을 시작한다.
제3도는 ATM 계층의 OAM 셀과 OAM 셀 헤더 필드의 구조도이다.
제3a도는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셀을 구분하기 위한 헤더의 포맷을 나타낸다. ATM 계층의 OAM 셀은 가상 경로와 가상 채널 OAM 셀로 나뉘어지며, 다시 각 계층에서 세그먼트(segment) OAM 셀과 종단-대-종단(ent-to-end) OAM 셀로 나뉘어진다. 가상 경로 세그먼트 OAM 셀과 가상 경로 종단-대-종단 OAM 셀은 가상 채널 식별자인 VCI(Virtual Channel Identifier) 값을 이용하여 각각 3과 4로서 식별하게 되며, 가상 채널 세그먼트 OAM 셀과 가상 채널 종단-대-종단 OAM 셀은 페이로드 타입 필드(PTI) 값 4와 5로서 각각 해당 계층의 OAM 셀을 구분한다.
제3b도 OAM 셀 내의 포맷을 도시한다.
OAM 셀은 OAM 기능에 따라 고장 관리, 성능 관리, 개시/정지 및 시스템 관리로 나뉘어지며 각 기능에서 다시 세부적인 기능으로 분리되어 각종 고장 관리 기능과 성능 관리, 연속성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제4도는 각 계층별 OAM 셀 수신시의 OAM 셀 처리부의 처리에 대한 설명도로서, 각 망요소가 임의의 가상 연결내에서 취하는 세그먼트 혹은 종단-대-종단 계층의 연결점(Connecting Point) 또는 종단점(Ending point)으로서의 역할에 따라 각 OAM 셀의 수신시의 OAM 셀 처리부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다.
망요소중 종단-대-종단 가상 연결 계층의 종단점은 종단-대-종단 OAM 셀을 추출하고 이에 관련된 기능을 처리한다. 종단-대-종단 계층의 연결점은 종단-대-종단 OAM 셀을 볼 수는 있지만 이에 관련된 기능을 처리하지는 못한다. 마찬가지로 망요소중 세그먼트 가상 연결의 종단점은 세그먼트 OAM 셀을 추출하고 이에 따라 기능을 처리할 수 있으나 세그먼트의 연결점은 세그먼트 OAM 셀을 볼 수는 있으나 이에 대한 기능을 처리할 수는 없다. 따라서, 각 망요소의 가상 연결내의 계층 위치에 따라 처리되는 유지보수(OAM) 기능이 달라진다.
제5도는 TMN 가상 세그먼트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의 종합정보통신망(B-ISDN)내의 가능한 최소 유지보수 단위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상 연결이 연결된 경우 가능한 유지보수 최소 단위는[망요소 A-망요소 D]와 [망요소 D-망요소 F]의 두 구간이다. 따라서, 가능한 유지보수 기능은 두종류의 루프백 시험이 가능하며 루프백 시험을 통하여 추출할 수 있는 유지보수 지역도 두 구간이다. 또한, 성능 감시 및 연속성 감시 기능도[망요소 A-망요소 D]와 [망요소 D-망요소 F]의 두 구간에서만 수행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국제전기통신연합(ITU-T) I.610의 권고에 의하면 가상 경로 연결/가상 채널 연결의 세그먼트는 가상 연결의 연결 기간중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관리/조직(Administration/Organization)의 제어하에 조정 및 확장이 가능하다고 권고되어 있고, 종래의 가상 경로 연결/가상 채널 연결을 다루는 망요소(Network Element)는 세그먼트의 연결점과 종단점으로서의 역할이 확연히 다르고 이는 하드웨어 및 펌웨어적으로 구현된다.
따라서, 가상 연결이 설정되는 시점이나 연결된 후 운용중에 실시간으로 변환가능하게 하면서 분산된 망내에서 보다 유동적이고 상세한 광대역망 ATM 계층의 자원 관리 및 장애 시험을 수행하기에는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세그먼트의 연결점이 되는 망요소는 수신하는 세그먼트 OAM 셀내의 내용을 볼 수는 있지만 이에 대한 아무런 처리를 수행할 수는 없다. 따라서, ATM 계층의 고장 관리 및 성능 관리등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가장 최소의 단위인 가상 연결 세그먼트 OAM 셀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OAM 기능의 최소단위는 가상 연결 세그먼트의 두 종단이 되는 망요소간이 되므로, 한 세그먼트 내의 연결점이 되는 망요소간의 고장 및 성능 관리 기능, 다른 세그먼트내의 연결점 혹은 종단점과의 성능 및 고장 관리 기능은 세그먼트의 형상(연결점, 종단점 형상)을 바꾸지 않는 한 불가능하고, 이러한 형상의 관리는 관리/조직(Administration/Organization)의 관리하에 이루어지므로 실시간의 동작을 필요로 하는 유지보수 기능은 수행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종합정보통신망(B-ISDN)내에서 장애 위치의 확인 및 장애 국부화를 위하여 가장 활용도가 높은 가상 경로 연결(Virtual Path Connection)/가상 채널 연결(Virtual Channel Connection)의 세그먼트(Segment) 관리를 TMN에 의하여 각 가상 연결의 연결 기간중 실시간으로 수행함으로서 광대역망 ATM 계층의 성능 관리, 고장 관리 및 시험을 보다 유동적이고 상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종합정보통신망의 TMN 가상 세그먼트 형상 관리를 이용한 유지보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위제어 프로세서와 하위제어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망요소; 및 상기 망요소에 Q3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된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을 구비하는 장치에 적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대기 상태에서 상기 TMN 자체의 주기적인 장애 처리로서 유지보수 기능 수행을 요구받으면 상기 TMN은 요구된 두 망요소간의 가능한 모든 가상 세그먼트 형상을 추출하여 시험하고자 하는 가상 세그먼트의 종단점 역할을 수행할 두 망요소를 순서대로 하나씩 선택한 후에 선택된 두 망요소로 해당 가상 연결에 대한 가상 세그먼트의 종단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요구한 다음에 망요소 보고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1단계; 각 망요소는 운용 상태에서 상기 TMN으로 부터 가상 세그먼트의 종단점 변경을 요구받으면 해당 가상 연결에 대하여 수행 가능한지를 검사하여 변환 기능 수행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가상 세그먼트 종단 기능 수행 불가를 상기 TMN으로 보고한 후에 상기 운용 상태로 천이하고, 종단점 변경이 가능한 경우에는 망요소 양쪽의 상기 하위제어 프로세서를 경유하여 가상 연결의 망 또는 가입자와의 양쪽 인터페이스의 하드웨어적인 변환 과정을 수행하고 변환 완료를 TMN으로 보고한 후에 유지보수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2단계; 상기 망요소 보고 대기 상태에서 선택된 두 망요소로부터 종단으로의 변환 완료를 보고받으면 상기 TMN은 임의의 각종 유지보수 기능의 수행을 선택된 두 망요소로 요구한 후에 TMN 결과 대기 상태로 천이하고, 선정한 가상 세그먼트의 두 종단점중 임의의 한쪽 종단점으로 부터 종단으로의 변환 불가를 보고받으면 TMN 반복 상태로 천이하는 제3단계; 상기 유지보수 대기 상태에서 상기 TMN으로 부터 임의의 유지보수 기능의 수행을 요구받으면 각 망요소는 이를 수행하여 수행 결과를 다시 상기 TMN으로 보고한 후에 종료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4단계; 상기 TMN 결과 대기 상태에서 선택된 두 망요소로부터 가상 세그먼트의 두 종단간에 수행된 유지보수 기능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에 선택된 두 망요소로 종료를 요구한 다음에 요구된 모든 망요소들간의 가상 세그먼트에 대한 시험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가능한 모든 가상 세그먼트 형상에 대한 유지보수 기능의 수행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TMN 반복 상태로 천이하고, 가능한 모든 가상 세그먼트 형상에 대한 유지보수 기능의 수행이 완료되었으면 유지보수 기능 수행의 결과로서 검출된 장애 및 성능 이상에 따라 필요한 복구 조치를 수행하고 종료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종료 대기 상태에서 상기 TMN으로 부터 가상 세그먼트의 종료를 요구받으면 각 망요소는 다시 하위제어 프로세서에게 종료를 요구하여 양쪽 인터페이스의 하드웨어적인 변환을 완료하고 이를 TMN으로 보고한 후에 수행된 유지보수 기능의 결과에 근거하여 망요소내에서 수행될 수 있는 임의의 복구 조치등의 보수 기능을 수행한 다음에 상기 운용 상태로 천이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도는 TMN 가상 세그먼트를 적용한 경우의 종합정보통신망(B-ISDN)내의 가능한 최소 유지보수 단위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상 연결이 연결된 경우 가능한 유지보수 최소 단위는 임의로 변경이 가능하며[망요소 A-망요소 B], [망요소 B-망요소C], [망요소 C-망요소 D],...,[망요소 A-망요소 F] 등으로 가상 연결을 이루는 망요소 A와 망요소 F간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구간이 유지보수의 단위가 될 수 있다. 이때, 각 망요소의 TMN과의 제어 및 유지보수 정보의 전송은 Q3인터페이스를 이용한다.
제7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 망노드의 구조도이다.
각 망요소는 스위칭하거나 멀티플렉싱/디멀티플렉싱하는 스위칭모듈/멀티플렉서(71), 상기 스위칭모듈/멀티플렉서(71)에 연결되어 가입자-망 인터페이스(UNI:User-Network Interface)와 망-노드 인터페이스(NNI:Network-Node Interface)를 수행하는 다수의 정합부(73) 및 상기 각 정합부(73)에 연결되어 호제어나 시스템 관리등의 소프트웨어적인 상위의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상위제어 프로세서(72)를 구비한다.
UNI나 NNI를 정합하는 정합부(73)는 다시 물리 계층과 ATM 계층 및 물리 계층과 ATM 계층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하위 제어 프로세서로 이루어진다.
망요소내에서 가상 연결의 세그먼트 형상을 관리하는 부분은 상위 및 하위 제어 프로세서 부분에서 수행하며, 각 계층의 OAM 셀을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는 실질적인 부분 UNI와 NNI를 정합하는 정합부(73)의 물리 계층과 ATM 계층으로서 하드웨어와 펌웨어적으로 수행한다.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적용 흐름에 대한 설명도로서, TMN이 망요소 B 와 망요소 D 사이에 새로운 TMN 가상 세그먼트를 설정하여 망요소 B 와 망요소 D 간의 성능 감시와 고장 관리, 연속성 관리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기술한다.
먼저, TMN은 TMN 가상 세그먼트를 설정하기를 원하는 망요소 B의 상위제어 프로세서에게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가상 연결에 대하여 그 식별자(VPI/VCI)를 선택하여 세그먼트의 종단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것을 요구한다(81).
TMN 가상 세그먼트의 종단점으로의 역할을 요구받은 망요소 B의 상위제어 프로세서는 가상 연결을 정합하는 가입자-망 인터페이스 또는 망-노드 인터페이스 모듈내의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하위제어 프로세서에게 하드웨어 및 펌웨어적인 세그먼트 변환 과정을 수행할 것을 요구한다(82).
상위제어 프로세서로부터 세그먼트 변환 요구를 받은 하위제어 프로세서는 하드웨어적인 변환을 수행한 후에(83) 하드웨어적인 변환을 완료한다(84). 하드웨어 및 펌웨어적인 변환이 완료되면 하위 제어 프로세서는 이를 상위제어 프로세서에게 보고한다(85).
상위제어 프로세서는 해당 망요소가 가상 연결의 종단점이 아닌 경우, 망요소내의 다른 한쪽의 가입자-망 인터페이스 또는 망-노드 인터페이스내의 하위제어 프로세스에게 또하나의 TMN 가상 세그먼트의 종단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요구한다(86).
상위제어 프로세서로 부터 세그먼트 변환 요구를 받은 하위제어 프로세서는 하드웨어적인 변환을 수행한 후에(87) 하드웨어적인 변환을 완료한다(88). 하드웨어 및 펌웨어적인 변환이 완료되면 하위제어 프로세서는 이를 상위제어 프로세서에게 보고한다(89).
요구된 가상 연결에 대하여 TMN 가상 세그먼트를 양쪽으로 설정한 후 그 결과를 TMN에게 보고한다(90).
망요소 B로 부터 수행 결과를 수신한 TMN은 TMN 가상 세그먼트의 다른 종단점이 되는 망요소 D에게 망요소 B와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91). 이때, 망요소 D는 이미 초기에 해당 가상 연결의 세그먼트 종단점이었으므로 망요소 D의 상위제어 프로세서는 바로 수행 종료를 TMN에게 보고한다.
유지 보수 즉, 시험 및 감시를 수행하기 위한 TMN 가상 세그먼트의 다른 종단점인 망요소 D로 부터의 수행 종료를 인지하면서 TMN 가상 세그먼트가 설정된다(92).
TMN의 요구에 의하여 망요소 B로 부터 망요소 D까지의 TMN 가상 세그먼트에 대한 성능 감시, 연속성 감시 및 루프백 시험등의 고장 관리 기능이 수행된다(93). 유지보수 기능의 수행 후 망요소 B와 D는 그 결과를 TMN에게 보고한다(94).
위의 과정을 수행한 후 TMN은 TMN 가상 세그먼트의 종료를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
위와 같이 B-ISDN망의 유지보수는 궁극적으로 TMN의 요구에 의한 모든 유지보수 기능의 수행이 이루어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진행되지만 TMN의 요구뿐만 아니라 각 망요소의 요구에 의한 가상 연결의 유지보수시에도 위의 과정이 적용된다.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로서, 제9a도는 TMN의 수행 과정 흐름도이고, 제9b도는 각 망요소의 수행 과정 흐름도이다.
대기 상태에서(100) 망요소로 부터 임의의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가상 세그먼트를 설정할 것을 요구받으면(101) TMN은 요구된 두 망요소간의 가능한 모든 가상 세그먼트 형상을 추출한 후에(102) 망요소 반복 상태로 천이한다(103). 이후 상기 추출한 가상 세그먼트중 시험하고자 하는 가상 세그먼트의 종단점 역할을 수행할 두 망요소를 순서대로 하나씩 선택한다(104). 이후 선택된 두 망요소로 해당 가상 연결에 대한 가상 세그먼트의 종단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요구한 후에(105) 망요소 보고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106).
상기 망요소 보고 대기 상태(106)에서 선택된 두 망요소로 부터 종단으로의 변환 완료를 보고받으면(107) 임의의 각종 유지보수 기능의 수행을 선택된 두 망요소로 요구한 후에(108) 망요소 결과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109).
상기 망요소 결과 대기 상태(109)에서 선택된 두 망요소로 부터 가상 세그먼트의 두 종단간에 수행된 유지보수 기능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110) 저장한 후에(111) 선택된 두 망요소로 종료를 요구한 다음에(112) 요구된 모든 망요소들간의 가상 세그먼트에 대한 시험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113) 가능한 모든 가상 세그먼트 형상에 대한 유지보수 기능의 수행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망요소 반복 상태(103)로 천이하여 다음으로 시험할 가상 세그먼트의 두 종단을 선택하는 과정을 반복하고, 가능한 모든 가상 세그먼트 형상에 대한 유지보수 기능의 수행이 완료되었으면 유지보수 기능 수행의 결과로서 검출된 장애 및 성능 이상에 따라 필요한 복구 조치를 수행하고 종료한다(114).
상기 망요소 보고 대기 상태(106)에서 선정한 가상 세그먼트의 두 종단점중 임의의 한쪽 종단점으로 부터 종단으로의 변환 불가를 보고받아(115) 가상 세그먼트 설정을 요구한 망요소에게 보고한 후에 (116) 상기 망요소 반복 상태(103)로 천이한다.
상기 대기 상태(100)에서 임의의 망요소로 부터의 요구가 아닌 TMN 자체의 주기적인 장애 처리로서 유지보수 기능 수행을 요구받으면(117) TMN은 요구된 두 망요소간의 가능한 모든 가상 세그먼트 형상을 추출한 후에(118) TMN 반복 상태로 천이한다(119). 이후 상기 추출한 가상 세그먼트중 시험하고자 하는 가상 세그먼트의 종단점 역할을 수행할 두 망요소를 순서대로 하나씩 선택한다(120). 이후 선택된 두 망요소로 해당 가상 연결에 대한 가상 세그먼트의 종단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요구한 후에(121) 망요소 보고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122).
상기 망요소 보고 대기 상태(122)에서 선택된 두 망요소로 부터 종단으로의 변환 완료를 보고받으면(123) 임의의 각종 유지보수 기능의 수행을 선택된 두 망요소로 요구한 후에(124) TMN 결과 대기 상태를 천이한다(125).
상기 TMN 결과 대기 상태(125)에서 선택된 두 망요소로 부터 가상 세그먼트의 두 종단간에 수행된 유지보수 기능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126) 저장한 후에(127) 선택된 두 망요소로 종료를 요구한 다음에(128) 요구된 모든 망요소들간의 가상 세그먼트에 대한 시험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129) 가능한 모든 가상 세그먼트 형상에 대한 유지보수 기능의 수행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TMN 반복 상태(119)로 천이하고, 가능한 모든 가상 세그먼트 형상에 대한 유지보수 기능의 수행이 완료되었으면 유지보수 기능 수행의 결과로서 검출된 장애 및 성능 이상에 따라 필요한 복구 조치를 수행하고 종료한다(130).
상기 망요소 보고 대기 상태(122)에서 선정한 가상 세그먼트의 두 종단점중 임의의 한쪽 종단점으로 부터 종단으로의 변환 불가를 보고받으면(131) 상기 TMN 반복 상태(119)로 천이한다.
각 망요소 입장에서의 가상 세그먼트 형상 변경 및 유지보수 과정을 살펴보면, 운용 상태(200)에서 TMN으로 부터 가상 세그먼트의 종단점 변경을 요구받으면(201) 해당 가상 연결에 대하여 수행 가능한지를 검사하여(202) 가상 연결이 이미 존재하지 않거나 요구한 가상 연결의 계층의 요구된 가상 세그먼트 계층과 일치하지 않는 등의 변환 기능 수행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가상 세그먼트 종단 기능 수행 불가를 TMN으로 보고한 후에(203) 상기 운용 상태로 천이한다(200). 종단점 변경이 가능한 경우에는 망요소 양쪽의 하위제어 프로세서를 경유하여(204) 가상 연결의 망 또는 가입자와의 양쪽 인터페이스의 하드웨어적인 변환 과정을 수행하고(205) 변환 완료를 TMN으로 보고한 후에(206) 유지보수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207).
상기 유지보수 대기 상태(207)에서 TMN으로 부터 임의의 유지보수 기능의 수행을 요구받아(208) 이를 수행한 후에(209) 그 수행 결과를 다시 TMN으로 보고한 후에(210) 종료 대기 상태(211)로 천이한다.
TMN이 지시한 임의의 모든 유지보수 과정을 완료한 후에 상기 종료 대기 상태(211)에서 TMN으로 부터 가상 세그먼트의 종료를 요구받으면(212) 다시 하위제어 프로세서에게 종료를 요구하여(213) 양쪽 인터페이스의 하드웨어적인 변환을 완료하고(214) 이를 TMN으로 보고한 후에(215) 수행된 유지보수 기능의 결과에 근거하여 망요소 내에서 수행될 수 있는 임의의 복구 조치등의 보수 기능을 수행한 다음에(216) 상기 운용 상태로 천이한다(200).
상기 운용 상태(200)에서 망요소의 장애 검출 신호를 수신하면(217) TMN으로 가상 세그먼트 변경을 요구한 후에(218) 상기 운용 상태로 천이한다(200).
이처럼 TMN 및 망요소의 동작에 의하여 임의의 망요소간의 가상 세그먼트를 형성하고 이에 대한 가능한 유지보수 기능이 수행된다. 유지보수 기능의 수행은 위와 같이 TMN이 능동적인 입장에서 수행할 수도 있지만 망요소가 능동적인 입장이 되어 가상 세그먼트의 설정 및 유지보수 기능의 수행을 주도하여 망의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TMN 가상 세그먼트 형상 관리를 이용한 ATM 계층의 유지보수에서 장애 위치의 확인 및 국부화를 위하여 가장 활용도가 높은 가상 경로 세그먼트 OAM 셀 및 가상 채널 세그먼트 OAM 셀을 각각의 계층에서 보다 유동적으로 실시간에 활용함에 따라 망요소간 장애 시험, 확인 및 복구에 정확성과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위제어 프로세서와 하위제어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망요소; 및 상기 망요소에 Q3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된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을 구비하는 장치에 적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대기 상태에서 상기 TMN 자체의 주기적인 장애 처리로서 유지보수 기능 수행을 요구받으면 상기 TMN은 요구된 두 망요소간의 가능한 모든 가상 세그먼트 형상을 추출하여 시험하고자 하는 가상 세그먼트의 종단점 역할을 수행할 두 망요소를 순서대로 하나씩 선택한 후에 선택된 두 망요소로 해당 가상 연결에 대한 가상 세그먼트의 종단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요구한 다음에 망요소 보고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1단계(100,117 내지 122); 각 망요소는 운용 상태에서 상기 TMN으로 부터 가상 세그먼트의 종단점 변경을 요구받으면 해당 가상 연결에 대하여 수행 가능한지를 검사하여 변환 기능 수행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가상 세그먼트 종단 기능 수행 불가를 상기 TMN으로 보고한 후에 상기 운용 상태로 천이하고, 종단점 변경이 가능한 경우에는 망요소 양쪽의 상기 하위제어 프로세서를 경유하여 가상 연결의 망 또는 가입자와의 양쪽 인터페이스의 하드웨어적인 변환 과정을 수행하고 변환 완료를 TMN으로 보고한 후에 유지보수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2단계(200 내지 207); 상기 망요소 보고 대기 상태에서 선택된 두 망요소로 부터 종단으로의 변환 완료를 보고받으면 상기 TMN은 임의의 각종 유지보수 기능의 수행을 선택된 두 망요소로 요구한 후에 TMN 결과 대기 상태로 천이하고, 선정한 가상 세그먼트의 두 종단점중 임의의 한쪽 종단점으로 부터 종단으로의 변환 불가를 보고받으면 TMN 반복 상태로 천이하는 제3단계(119,123 내지 125,131); 상기 유지보수 대기 상태에서 상기 TMN으로 부터 임의의 유지보수 기능의 수행을 요구받으면 각 망요소는 이를 수행하여 수행 결과를 다시 상기 TMN으로 보고한 후에 종료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4단계(208 내지 211); 상기 TMN 결과 대기 상태에서 선택된 두 망요소로부터 가상 세그먼트의 두 종단간에 수행된 유지보수 기능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에 선택된 두 망요소로 종료를 요구한 다음에 요구된 모든 망요소들간의 가상 세그먼트에 대한 시험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가능한 모든 가상 세그먼트 형상에 대한 유지보수 기능의 수행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TMN 반복 상태로 천이하고, 가능한 모든 가상 세그먼트 형상에 대한 유지보수 기능의 수행이 완료되었으면 유지보수 기능 수행의 결과로서 검출된 장애 및 성능 이상에 따라 필요한 복구 조치를 수행하고 종료하는 제5단계(119,126 내지 130); 및 상기 종료 대기 상태에서 상기 TMN으로 부터 가상 세그먼트의 종료를 요구받으면 각 망요소는 다시 하위제어 프로세서에게 종료를 요구하여 양쪽 인터페이스의 하드웨어적인 변환을 완료하고 이를 TMN으로 보고한 후에 수행된 유지보수 기능의 결과에 근거하여 망요소내에서 수행될 수 있는 임의의 복구 조치등의 보수 기능을 수행한 다음에 상기 운용 상태로 천이하는 제6단계(200,212 내지 2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의 TMN 가상 세그먼트 형성 관리를 이용한 유지보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 상태에서 망요소의 장애 검출 신호를 수신하면 각 망요소는 상기 TMN으로 가상 세그먼트 변경을 요구한 후에 상기 운용 상태로 천이하는 제7단계(200,217,218); 상기 대기 상태에서 망요소로부터 가상 세그먼트를 설정할 것을 요구받으면 상기 TMN은 요구된 두 망요소간의 가능한 모든 가상 세그먼트 형상을 추출하여 시험하고자 하는 가상 세그먼트의 종단점 역할을 수행할 두 망요소를 순서대로 하나씩 선택한 후에 선택된 두 망요소로 해당 가상 연결에 대한 가상 세그먼트의 종단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요구한 다음에 망요소 보고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8단계(100 내지 106); 각 망요소는 운용 상태에서 상기 TMN으로 부터 가상 세그먼트의 종단점 변경을 요구받으면 해당 가상 연결에 대하여 수행 가능한지를 검사하여 변환 기능 수행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가상 세그먼트 종단 기능 수행 불가를 상기 TMN으로 보고한 후에 상기 운용 상태로 천이하고, 종단점 변경이 가능한 경우에는 망요소 양쪽의 상기 하위제어 프로세서를 경유하여 가상 연결의 망 또는 가입자와의 양쪽 인터페이스의 하드웨어적인 변환 과정을 수행하고 변환 완료를 TMN으로 보고한 후에 유지보수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9단계(200 내지 207); 상기 망요소 보고 대기 상태에서 선택된 두 망요소로부터 종단으로의 변환 완료를 보고받으면 상기 TMN은 임의의 각종 유지보수 기능의 수행을 선택된 두 망요소로 요구한 후에 망요소 결과 대기 상태로 천이하고, 선정한 가상 세그먼트의 두 종단점중 임의의 한쪽 종단점으로 부터 종단으로의 변환 불가를 보고받으면 망요소에게 보고한 후에 망요소 반복 상태로 천이하는 제10단계(103,107 내지 109,115,116); 상기 유지보수 대기 상태에서 상기 TMN으로 부터 임의의 유지보수 기능의 수행을 요구받으면 각 망요소는 이를 수행하여 수행 결과를 다시 상기 TMN으로 보고한 후에 종료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11단계(208 내지 211); 상기 TMN 결과 대기 상태에서 선택된 두 망요소로부터 가상 세그먼트의 두 종단간에 수행된 유지보수 기능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에 선택된 두 망요소로 종료를 요구한 다음에 요구된 모든 망요소들간의 가상 세그먼트에 대한 시험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가능한 모든 가상 세그먼트 형상에 대한 유지보수 기능의 수행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망요소 반복 상태로 천이하고, 가능한 모든 가상 세그먼트 형상에 대한 유지보수 기능의 수행이 완료되었으면 유지보수 기능 수행의 결과로서 검출된 장애 및 성능 이상에 따라 필요한 복구 조치를 수행하고 종료하는 제12단계(103,110 내지 114); 및 상기 종료 대기 상태에서 상기 TMN으로 부터 가상 세그먼트의 종료를 요구받으면 각 망요소는 다시 하위제어 프로세서에게 종료를 요구하여 양쪽 인터페이스의 하드웨어적인 변환을 완료하고 이를 TMN으로 보고한 후에 수행된 유지보수 기능의 결과에 근거하여 망요소내에서 수행될 수 있는 임의의 복구 조치등의 보수 기능을 수행한 다음에 상기 운용 상태로 천이하는 제13단계(200,212 내지 2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의 TMN 가상 세그먼트 형성 관리를 이용한 유지보수 방법.
KR1019950012616A 1995-05-19 1995-05-19 종합정보통신망의 티엠엔가상 세그먼트 형상 관리를 이용한 유지보수 방법 KR0146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2616A KR0146445B1 (ko) 1995-05-19 1995-05-19 종합정보통신망의 티엠엔가상 세그먼트 형상 관리를 이용한 유지보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2616A KR0146445B1 (ko) 1995-05-19 1995-05-19 종합정보통신망의 티엠엔가상 세그먼트 형상 관리를 이용한 유지보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3645A KR960043645A (ko) 1996-12-23
KR0146445B1 true KR0146445B1 (ko) 1998-08-17

Family

ID=19414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2616A KR0146445B1 (ko) 1995-05-19 1995-05-19 종합정보통신망의 티엠엔가상 세그먼트 형상 관리를 이용한 유지보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64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665B1 (ko) * 1997-07-11 200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티엠엔 관리대행자 시스템의 블록 생성/소멸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6109A (ko) * 1998-12-31 2000-07-25 김영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tmn을 이용한 이동통신망 관리장치및 그 제어방법
KR100459033B1 (ko) * 2001-12-05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이티엠 교환기의 프레임릴레이 연결 관리 구조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665B1 (ko) * 1997-07-11 200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티엠엔 관리대행자 시스템의 블록 생성/소멸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3645A (ko) 1996-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4994B2 (ja) Atm網とノード装置および故障通知制御方法
US5974046A (en) Maintenance method for subscriber lines of broadband network termination apparatus in an asynchronous transfer mode permanent virtual connection switching system
CN100583910C (zh) 使用若干独立的环回测试在dsl通信网络中的端节点之间进行链路测试的方法和装置
KR100249737B1 (ko) 쇼트 셀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7486613B2 (en) Protection-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in asynchronous transfer mode system with ring topology
KR0146445B1 (ko) 종합정보통신망의 티엠엔가상 세그먼트 형상 관리를 이용한 유지보수 방법
US6266325B1 (en) Method of controlling path audit in switches
EP0944284A2 (en) Asynchronous transfer mode communications network managing device
KR100434159B1 (ko) 에이티엠 오에이엠의 연속성 검사 방법
KR100513030B1 (ko) 비동기 전송망의 교환가상회선을 이용한 온라인 전용회선관리방법
KR100327111B1 (ko)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에서의 동적 관리정보트리 유지 방법
US7593412B1 (en) Method to manage SAAL resources in distributed implementation environment
JP3599458B2 (ja) Atm交換機におけるソフトウェアとハードウェアの整合処理方式
KR100291593B1 (ko) 비동기전달모드 정합장치에서의 세그멘트 경보표시신호/원격결함표시 셀 처리 방법
KR100475182B1 (ko) 비동기 전송모드 스위치 시스템의 링크 진단 방법
CN100393054C (zh) 一种实现弹性永久虚连接的系统和方法
KR100357849B1 (ko) 광가입자 전송 시스템에서의 연속성 검사 방법 및 장치
JP2001313649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コネクション切替方法
KR100417820B1 (ko) 비동기전송모드 오에이엠의 물리계층 검사 및 오에이엠 셀생성 방법
KR100256700B1 (ko) 관리 대행자 시스템에서 전용선 가상 연결 설정 방법
Hale et al. The VB5 interface
KR100434345B1 (ko) 비동기전송모드 망에서 오에이엠의 장애관리 방법
KR100258081B1 (ko) 에이티엠 교환기 보전 기능 구성방법
KR100312213B1 (ko) 복합프로토콜변환장치의운용및유지보수방법
KR100243674B1 (ko) 통신관리망 환경에서 가상경로 연결 정보 출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