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7111B1 -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에서의 동적 관리정보트리 유지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에서의 동적 관리정보트리 유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7111B1
KR100327111B1 KR1019990061941A KR19990061941A KR100327111B1 KR 100327111 B1 KR100327111 B1 KR 100327111B1 KR 1019990061941 A KR1019990061941 A KR 1019990061941A KR 19990061941 A KR19990061941 A KR 19990061941A KR 100327111 B1 KR100327111 B1 KR 100327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node
integrated access
node system
management information
information t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1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3840A (ko
Inventor
조은영
김종민
노장래
고병도
Original Assignee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오길록
Priority to KR1019990061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7111B1/ko
Publication of KR20010063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3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4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comprising hierarchical management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33Object-oriented techniques, for representation of network management data, e.g. 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CORB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에서의 동적 관리정보트리를 유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관리객체는 통신관리망 대리자 기능 블록이 수행되기 위한 메모리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유지되고 또한 통신관리망 관리자의 요구가 실행되기 위해서 관리객체를 탐색하는 시간도 적게 소요되도록 한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에서의 동적 관리정보트리 유지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에 적용되는 동적 관리정보트리 유지 방법에 있어서, 동적관리정보트리를 구성하기 위한 객체를 선택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선택된 객체를 생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의 운용 중에 객체를 추가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선택되어 생성된 관리 객체 중 소정의 객체를 삭제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며, 통신망 관리 등에 이용된다.

Description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에서의 동적 관리정보트리 유지 방법{Method For Managing Dynamic Management Information Tree on Integrated Access Node System}
본 발명은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Multi-Service Access Network System ; 이하, 'MAIN'이라 칭함)에서의 동적 관리정보트리를 유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이 통신관리망(Telecommunications Management Network ; 이하, 'TMN'이라 칭함)에 접속되어 통신관리망 대리자 역할을 수행할 경우 관리정보트리에는 비동기식(Asynchronous Transfer Mode ; 이하, 'ATM'이라 칭함) 전송, 동기식(Synchronous Digital Hierachy ; 이하, 'SDH'라 칭함) 전송, 디지털 가입자 라인(Digital Subscriber Line ; 이하 'DSL'이라 칭함), 브이파이브(이하, 'V5'라 칭함) 관리를 위한 객체 인스턴스를 포함하게 된다.
이렇게 다양한 관리 객체들이 액세스 노드(Access Node ; 이하, 'AN'이라 칭함)와 다수 개의 자국장치(Optical Network Unit ; 이하, 'ONU'라 칭함) 사이에서 유지되려면 관리정보트리가 매우 거대해지고, 이로 인하여 큰 메모리 용량이 요구되며, 또한 관리객체만을 탐색하는 데에도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관리객체가 대리자 기능 블록이 수행되기 위하여 메모리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유지되고 또한 통신관리망 관리자의 요구가 실행되기 위해서 관리객체를 탐색하는 시간도 적게 소요되도록 한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에서의 동적 관리정보트리 유지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도 1의 액세스노드에서 수행되는 통신관리망 대리자 기능 블록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관리정보트리 유지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서비스 노드 102 :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
103 : 액세스 노드 104 : 자국장치
107 : 가입자 단말 108 : 감시제어부
109 : 통신관리망 대리자 기능 블록
211 : 구성관리 객체부 212 : 장애관리 객체부
213 : 성능관리 객체부 214 : 지원 객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에 적용되는 동적관리정보트리(Managing Dynamic Management Information Tree) 유지 방법에 있어서, 동적관리정보트리를 구성하기 위한 객체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객체의 플래그를 지정하여 객체를 생성하도록 하는 초기화 요구 메시지를 감시제어부(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 이하, OAM 이라 칭함)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의 운용 중에 구성 객체 플래그의 변경에 따라, 구성 객체를 추가하도록 하는 구성 객체 추가 메시지를 감시제어부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의 운용 중에 구성 객체 플래그의 변경에 따라, 구성 객체를 삭제하도록 하는 구성 객체 삭제 메시지를 감시제어부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 내지 제 3 단계의 메시지에 따라, 관리 객체를 생성/추가/삭제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용량의 프로세서를 구비한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에, 동적관리정보트리를 구성하기 위한 객체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객체의 플래그를 지정하여 객체를 생성하도록 하는 초기화 요구 메시지를 감시제어부(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 이하, OAM 이라 칭함)로 전송하는 제 1 기능; 상기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의 운용 중에 구성 객체 플래그의 변경에 따라, 구성 객체를 추가하도록 하는 구성 객체 추가 메시지를 감시제어부로 전송하는 제 2 기능; 상기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의 운용 중에 구성 객체 플래그의 변경에 따라, 구성 객체를 삭제하도록 하는 구성 객체 삭제 메시지를 감시제어부로 전송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제 1 기능 내지 제 3 기능에 의한 메시지에 따라, 관리 객체를 생성/추가/삭제하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될 통합 액세스 노드시스템(102)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MAIN(102)은 통신관리자 기능블록(109)과 감시제어부(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 이하, 'OAM' 이라 칭함)(108)를 포함하는 액세스 노드(103)와 최대 32개의 자국장치(Optical Network Unit ; 이하, 'ONU'라 칭함)(104)로 구성된다. 이때, 액세스 노드(103)와 ONU(104)간에는 에스티엠(STM)-4급의 이중 선로(106)를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이중 선로 중 하나의 선로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액세스 노드(103)와 ONU(104)간에는 계속해서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MAIN(102)과 서비스 노드(101)간에는 에스티엠-1급의 이중 선로(105)를 이용하여 연결되므로 해당 서비스 노드와 연결되는 모든 서비스 가입자들에게도 이중화된 선로를 제공하여 서비스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자국장치(104)와 가입자 단말(107)간의 연결은 경제성을 고려하여 이중화가 실현되어 있지 않다.
액세스 노드(103)는 통신관리망 대리자 기능 블록(109)과 OAM(108)을 포함한다. OAM(108)은 프로세서간 통신(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메시지를 통하여 통신관리망 대리자 기능 블록(109)을 감시하는 기능을 한다.
통신관리망 대리자 기능 블록(109)은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102)이 수용할 수 있는 신호와 이를 구성하는 하드웨어의 설비와 상태를 제어한다. 그리고,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102) 및 이와 연결된 망의 성능을 평가/보고하고, 장애를 인식하여 보고/진단/복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도 1의 액세스노드에서 수행되는 통신관리망 대리자 기능 블록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액세스 노드(103)에서 수행되는 통신관리망 대리자 기능 블록(109)의 기능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통신관리망 대리자 기능 블록(109)은 구성 관리 객체부(211), 장애 관리 객체부(212), 성능 관리 객체부(213) 및 지원 객체부(214)로 구성된다.
구성관리 객체부(211)는 통합 액세스 노드 시스템에서 수용할 수 있는 신호와 이를 구성하는 하드웨어의 설비와 상태 제어 기능에 관련된 객체들을 수용한다.
장애 관리 객체부(212)는 망과 망 요소의 장애를 인식하여 보고하고 진단 및 복구에 관련된 기능을 수행한다.
성능 관리 객체부(213)는 망과 망 요소의 성능에 대한 평가와 보고 기능을 수행한다.
지원 객체부(214)는 구성, 장애, 성능 관리 객체부(211, 212, 213)들을 지원하는 기능의 객체들로 구성된다.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102)에서는 TMN에 접속되어 대리자로서 표준화된 관리 기능의 수행을 위하여 이상의 객체들로 구성된 정보베이스가 필요하다. 특히 구성 관리 객체부(211)는 ATM 전송, SDH 전송, DSL, V5 관리 기능에서의 전송 신호 객체와 교차연결 관리 객체, 다중 구간 절체 관리 객체, 장치 유니트, 유니트 절체 객체 등을 유지함으로써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102)의 전반적인 구성 관리를 수행한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관리정보트리(Management Information Tree : 이하, 'MIT'라 칭함)를 유지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102)이 동작되면 통신관리망 대리자 기능 블록(109)이 동작한다. 이때, 통신관리망 대리자 기능 블록(109)이 어떤 동작을 수행할 것인지의 메시지를 확인한다(300). 이 경우 통신관리망 대리자 기능 블록(109)의 동작은 각각의 객체 플래그를 지정하는 동적 MIT 선택 출력 동작(301), 구성 객체의 추가/삭제를 위한 MIT 변경 선택 출력 동작(321), 동적 MIT 선택 출력 동작(301) 및 MIT 변경 선택 출력 동작(321)에 따른 객체 생성을 위한 초기화 응답/보고 동작(329)과 종료 동작(331)이 있다.우선, 동적 MIT 선택 출력 동작(301)을 보면, 초기화 이전에 동적 MIT를 구성할 수 있는 선택 메뉴가 출력된다(301). 먼저 실제 장치의 형상을 구성하는 장치 객체를 포함할 것인지 문의하여(302) 장치 객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입력되면 장치구성 객체 플래그를 지정한다(303).
다음으로, 신호 종단점 감시를 위한 신호 객체를 포함할 것인지 문의하여 (304), 신호 객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입력되면, 신호 구성 객체 플래그를 지정한다(305).
이후, ATM 객체의 포함 여부를 문의하여(306), ATM 객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입력되면 ATM 구성 객체 플래그를 지정한다(307).
다음으로, SDH 객체의 포함 여부를 문의하여(308), SDH 객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입력되면 SDH 구성 객체 플래그를 지정한다(309).
이후, V5객체의 포함 여부를 문의하여(310), V5객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입력되면 V5 구성 객체 플래그를 지정하고(311), 도 3b의 '나'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DSL 객체의 포함 여부를 문의하여(312), DSL 객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입력되면 DSL 구성 객체 플래그를 지정한다(313).
이후, 성능관리 객체부(213)에서 처리하는 성능 객체의 포함 여부를 문의하여(314) 포함하는 것으로 입력되면 성능 객체 플래그를 지정한다(315).
다음으로, 성능 관리 객체부(213)에서 처리하는 성능 이력 객체의 포함 여부를 문의하여(316), 성능 이력 객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입력되면 성능 이력 객체 플래그를 지정한다(317).
이후, 성능 관리 객체부(213)에서 처리하는 1일 주기의 이력 객체 포함 여부를 문의하여(318), 1일 주기의 이력 개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입력되면 1일 이력 객체 플래그를 지정한다(319).
이렇게 해서 모든 객체 포함 설정이 이루어지면 통신관리망 대리자 기능 블록(109)은 OAM(108)로 초기화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고(320), 시작상태인 동작 메시지 확인 단계(300)로 천이한다.
그리고, 동작 메시지 확인에 따라(300), OAM(108)으로부터 초기화 응답이나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면(329) 관리 객체 플래그에 따른 객체를 생성하고(330), 동작 메시지 확인 단계(300)로 천이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객체의 포함 여부가 초기화 이전에 지정되어 있으므로 관리 객체 플래그에 따라 장치 구성 객체, 신호 구성 객체, ATM 구성 객체, SDH 구성 객체, DSL 구성 객체 , 성능 관리 객체, 성능 이력 객체 등을 생성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객체 인스턴스로 MIT를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102)이 운용 중에, MIT 구성을 변경하도록 제공되는데 이러한 메시지가 입력되면(300), MIT 변경 선택 메뉴가 출력되는 과정을 수행한다. MIT 변경 선택 메뉴가 출력되는 과정(321)은 우선 구성 객체 플래그를 원하는 조합으로 변경한다(322). 구성 객체의 추가 기능인지 확인하여(323), 추가인 경우에는 내부적인 추가 메시지를 구성하고(324) 초기화 요구 메시지인 구성 추가 메시지를 OAM(108)으로 전송하고(325), 시작상태인 동작 메시지 확인 단계(300)로 천이한다.
만약, 추가 기능이 아니면(323), 구성 객체의 삭제 기능인지를 확인하여(326) 삭제 기능인 경우에는 입력된 구성 객체의 삭제 메시지를 생성하고(327) 초기화 요구 메시지인 구성 삭제 메시지를 OAM(108)으로 전송하고(328), 시작상태인 동작 메시지 확인 단계(300)로 천이한다. 구성 객체를 추가/삭제하면, 통신관리망 대리자 기능 블록(109)은 초기화 응답/보고 기능에서 처리하여 반영된 MIT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통신관리망 관리자의 추가/삭제 요구나 실제 장치의 구성 변경에 의한 것이 아니라 자체 관리 기능에 의해서 동적으로 MIT를 변경시키게 되는 것이다.
구성 관리 객체 유지는 통신관리망 대리자 관리 블록(109) 내의 프로세스 내에서 영구 수행되는데 만일 운영 체계 시스템(OS: Operating System)으로부터 종료 신호를 받으면(331) 프로세스 수행이 종료된다.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통신관리망 상에서 관리되는 정보 변환을 제공하며, 통신관리망 대리자 기능이 수행되는 장치의 메모리 한계 및 객체 탐색 효율을 고려한 가변적인 규모의 관리정보트리 유지가 가능하고, 통신관리망 대리자 기능이 가변적이므로, 적절한 수준에서 관리 정보 트리를 유지하여 관리자의 요구 수행에 따른 탐색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에 적용되는 동적관리정보트리(Managing Dynamic Management Information Tree) 유지 방법에 있어서,
    동적관리정보트리를 구성하기 위한 객체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객체의 플래그를 지정하여 객체를 생성하도록 하는 초기화 요구 메시지를 감시제어부(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 이하, OAM 이라 칭함)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의 운용 중에 구성 객체 플래그의 변경에 따라, 구성 객체를 추가하도록 하는 구성 객체 추가 메시지를 감시제어부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의 운용 중에 구성 객체 플래그의 변경에 따라, 구성 객체를 삭제하도록 하는 구성 객체 삭제 메시지를 감시제어부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 내지 제 3 단계의 메시지에 따라, 관리 객체를 생성/추가/삭제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에서의 동적 관리정보트리 유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운용 체계 시스템(OS : Operating System)으로부터 종료신호를 수신하여 동적 관리정보트리 유지 프로세스 수행을 종료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에서의 동적 관리정보트리 유지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장치 객체, 신호 객체,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객체, SDH(Synchronous Digital Hierachy) 객체, 브이파이브(V5) 객체, DSL(Digital Subscriber Line) 객체, 성능 객체, 성능 이력 객체, 1일 주기의 이력 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에서의 동적 관리정보트리 유지 방법.
  4. 대용량의 프로세서를 구비한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에,
    동적관리정보트리를 구성하기 위한 객체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객체의 플래그를 지정하여 객체를 생성하도록 하는 초기화 요구 메시지를 감시제어부(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 이하, OAM 이라 칭함)로 전송하는 제 1 기능;
    상기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의 운용 중에 구성 객체 플래그의 변경에 따라, 구성 객체를 추가하도록 하는 구성 객체 추가 메시지를 감시제어부로 전송하는 제 2 기능;
    상기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의 운용 중에 구성 객체 플래그의 변경에 따라, 구성 객체를 삭제하도록 하는 구성 객체 삭제 메시지를 감시제어부로 전송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제 1 기능 내지 제 3 기능에 의한 메시지에 따라, 관리 객체를 생성/추가/삭제하는 제 4 기능
    을 포함하는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에서의 동적 관리정보트리 유지 방법.
KR1019990061941A 1999-12-24 1999-12-24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에서의 동적 관리정보트리 유지 방법 KR100327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1941A KR100327111B1 (ko) 1999-12-24 1999-12-24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에서의 동적 관리정보트리 유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1941A KR100327111B1 (ko) 1999-12-24 1999-12-24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에서의 동적 관리정보트리 유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3840A KR20010063840A (ko) 2001-07-09
KR100327111B1 true KR100327111B1 (ko) 2002-03-06

Family

ID=19629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1941A KR100327111B1 (ko) 1999-12-24 1999-12-24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에서의 동적 관리정보트리 유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71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826Y1 (ko) * 2008-04-24 2010-08-12 제천시 가로등의 지지기둥 조립체
KR101044265B1 (ko) * 2010-11-11 2011-06-28 박기주 멀티형 가로등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7349A (ko) * 1997-12-03 1999-07-05 이계철 분산형 엑세스망 운용 및 관리 시스템에서의 공통 관리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이용한 가입자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7349A (ko) * 1997-12-03 1999-07-05 이계철 분산형 엑세스망 운용 및 관리 시스템에서의 공통 관리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이용한 가입자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3840A (ko) 200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7138B1 (ko) 전기통신 시스템
US5295139A (en) Management system for partitioned multi-bandwidth communications network
US6223219B1 (en) Trail management across transport functionality of large and complex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6070188A (en) Telecommunications network management system
US5764955A (en) Gateway for using legacy telecommunications network element equipment with a 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
JPH10501909A (ja) 遠距離通信ネットワークに於けるネットワークエレメント
GB2331656A (en) Network management
US6944657B1 (en) Automatic network synchronization of the network configuration with the management information database
CN100479380C (zh) 网络设备管理方法、网络设备和网络设备管理系统
KR100327111B1 (ko)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에서의 동적 관리정보트리 유지 방법
JP3196827B2 (ja) ネットワーク通信システム
CN100461689C (zh) 多层次自动交换光网络中代理节点的保护方法
EP2217001B1 (en) Tap, lrm and resource st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CA2254607C (en) State machine for trail management system
KR100349670B1 (ko) 통합액세스노드시스템에서의 표준관리동작처리 오류 방지방법
CN101848052A (zh) 多域网络业务映射配置方法及系统
KR20010011277A (ko) 에이젼트 관리 객체 정보의 공유방법
KR100454179B1 (ko) 티엠엔 에이전트와 교환 시스템간의 연결 정보 일치 방법
KR20000039704A (ko) 비동기전송모드에서 통신 관리망 에이전트와 공통 객체 요구 중계 구조 관리부간의 통지 변환 방법
Lee An agent-manager scheme for the integrated transport network management
WO1997024836A1 (en) Telecommunications network management system
KR100258069B1 (ko) 10gbps 동기식 전송장치에서 다중화구간 절체 객체 일치성유지방법
KR100243677B1 (ko) 비동기전달모드 교환시스템에서의 연결관리 관련 에러 표시 방법
KR20040051314A (ko) 광전송 망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950001512B1 (ko) 통신처리 망관리장치 및 통신방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