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791B1 - Direct phone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Direct phone control method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791B1
KR0145791B1 KR1019940040040A KR19940040040A KR0145791B1 KR 0145791 B1 KR0145791 B1 KR 0145791B1 KR 1019940040040 A KR1019940040040 A KR 1019940040040A KR 19940040040 A KR19940040040 A KR 19940040040A KR 0145791 B1 KR0145791 B1 KR 0145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state
loop
resul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400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28019A (en
Inventor
오윤환
Original Assignee
박성규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규,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성규
Priority to KR1019940040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5791B1/en
Publication of KR960028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0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791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77Preventing the dialling or sending of predetermined telephone numbers or selected types of telephone numbers, e.g. long distance nu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전화기에 있어서 휴대장치 뿐아니라 고정장치에 대해서도 장거리 직통전화발신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휴대장치 또는 고정장치중 한 장치가 후크오프상태가 되면, 전화기 루프를 온시키고, 해당 유무선 전화기에 DDD차단모드가 설정된 상태인 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DDD차단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후크 오프상태로 설정된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다이얼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체크하고, 입력되는 다이얼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첫 번째로 입력된 다이얼 번호가 '0'인 지를 분석한다. 분석결과,첫번째로 입력된 다이얼 번호가 '0'이면 장거리 직통전화발신으로 인정하여 후크 오프로 설정된 장치를 통해 경고톤이 발생되도록 제어하고, 전화기 루프를 오프시킨다. 따라서 DDD차단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휴대장치 뿐아니라 고정장치를 이용한 장거리 직통전화 발신도 차단할 수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electively blocking long-distance direct dialing for a fixed device as well as a portable device in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at a portable device or a fixed device is hooked off. If it is, turn on the telephone loop and check if the DDD blocking mode is set for the wired or wireless telephone. As a result of the check, when the DDD blocking mode is set,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dial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device set to the hook-off state, and when the dial information is input, the first dial number is '0'. Analyze As a result, when the first dial number is '0', it is recognized as a long-distance direct telephone call and controls to generate a warning tone through the device set to hook-off and turn off the telephone loop. Therefore, when the DDD blocking mode is set, it is possible to block not only a portable device but also a long-distance direct telephone call using a fixed device.

Description

유무선 전화기에 있어서 장거리 직통전화발신 차단방법Blocking long distance direct dialing in wired and wireless telephones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유무선 전화기의 고정장치에 대한 블럭도이고,1 is a block diagram of a fixture of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거리 직통전화발신 차단방법에 대한 동작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blocking a long distance direct-dial c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키입력부 20:마이컴10: key input unit 20: microcomputer

30:후크상태 검출부 35:RF 송수신부30: hook state detection unit 35: RF transceiver

40:경고톤 발생부 50:스피커40: Warning tone generating part 50: Speaker

60:DTMF(Dual-Tone Multi-Frequency)발생부60: DTMF (Dual-Tone Multi-Frequency) Generator

70:통화회로부 70a:루프제어회로70: call circuit part 70a: loop control circuit

70b:네트워크 회로70b: network circuit

본 발명은 유무선 전화기의 장거리 직통전화(Direct Distance Dialing:이하 DDD라고 약함)의 발신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는 물론이고 고정장치에 대해서도 DDD발신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현된 유무선 전화기에 있어서 장거리 직통전화발신 차단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electively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a direct distance dial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DDD) of a wired / wireless telephon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selectively selecting DDD transmission for a fixed device as well as a portable device of a wired / wireless teleph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ng distance direct telephone call blocking method in a wired / wireless telephone implemented to be blocked.

일반적으로, DDD발신 차단기능은 불특정 다수의 임의적인 DDD사용으로 인한 전화료의 증가를 막기 위하여 제공되는 전화기의 부가 서비스이다. 기존의 전형적인 유무선 전화기에 구현된 DDD발신 차단기능은, 휴대장치에 대해서만 DDD발신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다. 따라서 DDD발신을 차단하는 모드를 설정하여도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여전히 DDD 발신이 가능하였다.In general, the DDD call blocking function is an additional service of a telephone provided to prevent an increase in telephone charges due to an unspecified number of arbitrary DDDs. The DDD call blocking function implemented in a typical typical wired and wireless telephone is implemented to block DDD call only for a portable device. Therefore, even if a mode for blocking DDD transmission was set, DDD transmission was still possible using a fixed devic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유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는 물론 고정장치에 대해서도 DDD발신을 차단할 수 있는 유무선 전화기에 있어서 장거리 직통전화발신 차단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long-distance direct telephone call blocking method in a wired / wireless telephone that can block DDD transmission for a portable device as well as a fixed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휴대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고주파(RF) 송수신부, 후크상태를 검출하는 후크상태 검출부, 소정의 경고톤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경고톤을 발생하는 경고톤 발생부, 국선선로와의 루프형성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루프제어회로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통화회로부, 듀얼톤 멀티프리퀀시(DTMF) 발생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키입력부 및 마이컴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고정장치를 구비한 유무선 전화기의 장거리 직통전화발신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마이컴을 고주파 송수신부를 통해 인가되는 정보와 후크상태 검출부를 통해 인가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고정장치와 후대장치의 후크 오프상태를 체크하는 제 1 체크단계;제 1 체크단계 수행결과, 고정장치와 휴대장치중 한 장치가 후크 오프상태로 인식되면, 마이컴은 국선선로와 루프가 형성되도록 상기 루프제어회로를 제어하는 단계;루프가 형성되면, 마이컴은 장거리 직통전화를 차단하기 위한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지를 체크하는 제 2 체크단계;제 2 체크단계 수행결과, 장거리 직통전화 차단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고정장치와 휴대장치중 제 1 체크단계에서 후크 오프상태로 체크된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다이얼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체크하는 제 3 체크단계;제 3 체크단계 수행결과, 입력되는 다이얼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후크 오프상태로 체크된 장치의 후크 상태를 다시 체크하는 제 4 체크단계; 제 4체크단계 수행결과, 해당 장치의 후크가 오프상태이면, 제 3 체크단계로 리턴하는 단계; 제 3 체크단계 수행결과, 입력되는 다이얼 정보가 존재하면, 첫 번째로 입력된 다이얼정보가 '0'인 지를 체크하는 제 5 체크단계; 제 5 체크단계 수행결과, 첫 번째로 입력된 다이얼정보가 '0'이면, 해당 장치를 통해 경고톤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경고톤이 발생되도록 제어한 후, 루프제어회로를 제어하여 유무선 전화기의 국선선로와 형성된 루프를 오프시키는 단계; 제 5 체크단계 수행결과, 첫 번째로 입력된 다이얼정보가 '0'이 아니면 정상적인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입력된 다이얼정보를 상기 듀얼톤 멀티프리퀀시(DTMF) 발생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adio frequency (RF) transceiver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portable device, a hook stat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hook state, a predetermined warning tone is to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Warning ton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warning tone, a call circuit unit configured to include a loop control circuit for setting loop formation with a trunk line, a dual tone multi-frequency (DTMF) generating unit, and user information can be input. A method for blocking long-distance direct dialing of a wired / wireless telephone having a fixing device configured to include a key input unit and a micom, the microcom is fixed by analyzing information applied through a high frequency transceiver and a hook state detection unit A first checking step of checking a hook-off state of the device and the supporting device;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checking step, If one of the portable devices is recognized as a hook-off state, the microcomputer controls the loop control circuit to form a loop with the trunk line; and when the loop is formed, the microcomputer is set to a mode for blocking a long distance direct call. A second check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second check step has been performed; and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second check step, there is dial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device checked in the hook-off state in the first check step of the fixed device and the portable device when the long distance direct-phone blocking mode is set. A third check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third check step is performed; a fourth check step of checking again a hook state of a device checked in a hook-off state when there is no input dial information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third check step; If the hook of the device is in the off state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fourth checking step, returning to the third checking step; A fifth check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first input dial information is '0' if the dial information to be input exists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third check step; When the first dial information is '0', performing a warning check through the corresponding device; After the warning tone is generated, controlling the loop control circuit to turn off the loop formed with the trunk line of the wired or wireless telephone; And if the first dial information is not '0', transmitting the dial information to the dual tone multi frequency (DTMF) generator so that a normal call can be made. It is don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라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유무선 전화기의 고정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로서, 키입력부(10), 마이컴(20), 후크상태 검출부(30), RF송수신부(35), 경고톤 발생부(40), 스피커(50), DTMF 발생부(60), 통화회로부(70)로 구성된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fixing device for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for performing a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key input unit 10, a microcomputer 20, a hook state detector 30, an RF transmitter / receiver 35, The warning tone generator 40, the speaker 50, DTMF generator 60, and the call circuit unit 70 is composed of.

제 1 도에 도시된 키입력부(10)는 사용자가 원한는 정보를 입력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이얼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와 DDD차단모드의 설정 및 해제를 위한 모드키 등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마이컴(20)은 키입력부(10)로부터 전송되는 키신호, 후크상태 검출부(30)로부터 전송되는 후크검출신호 및 RF송수신부(35)를 통해 휴대장치(미도시됨)로 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경고톤 발생부(40), DTMF 발생부(60), 전화 통화회로부(70)의 동작을 제어하고, RF송수신부(35)를 통해 미도시된 휴대장치로 데이터가 송출되도록 제어한다.The key input unit 10 shown in FIG. 1 is a means for inputting information desired by a user,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numeric key for inputting a dial number and a mode key for setting and releasing a DDD blocking mode. The microcomputer 20 transmits the ke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key input unit 10, the hook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hook state detection unit 30, and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device (not shown) through the RF transmitter / receiver 35. Based on this, the operation of the warning tone generating unit 40, the DTMF generating unit 60, and the telephone call circuit unit 70 is controlled, and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device not shown through the RF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35.

후크상태 검출부(30)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5V와 그라운드(GND) 사이에 저항(R1) 미 콘덴서(C1)를 직렬로 연결하고, 콘덴서(C1)와 병렬로 후크 스위치(Hook-SW, HS로 표기함)를 연결하고, 저항(R1) 및 콘덴서(C1)의 사이 접점을 마이컴(20)의 후크검출 입력단(Hook Det)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고정장치의 후크상태를 검출한다. 즉, 후크상태 검출부(30)느 고정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송수화기가 놓여진 경우에는 후크 스위치(HS)가 오프상태로 설정되어 '5V'의 전압이 마이컴(20)의 후크검출 입력단(Hook Det)으로 전송되도록 동작된다. 반면에 고정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송수화기가 들린 경우에는 후크 스위치(HS)가 온상태로 되어 마이컴(20)의 후크 검출 입력단(Hook Det)으로 '0V'전압이 인가되도록 동작한다. 이에 따라 마이컴(20)은 후크 검출 입력단(Hook Det)으로 '5V'전압이 인가된 경우에는 고정장치가 '후크 온'상태인 것으로 인식하고, 후크 검출 입력단(Hook Det)으로 '0V'전압이 인가된 경우에는 고정장치가 '후크 오프'상태인 것으로 인식한다.As shown in FIG. 1, the hook state detector 30 connects a resistor R1 uncondenser C1 in series between 5V and ground GND, and a hook switch Hook- in parallel with the capacitor C1. SW, HS) and the contact between the resistor R1 and the capacitor C1 are connected to the hook detection input terminal Hook Det of the microcomputer 20 to detect the hook state of the fixing device. . That is, when the handset provided in the fixed device of the hook state detection unit 30 is placed, the hook switch HS is set to the off state so that a voltage of 5V is applied to the hook detection input terminal Hook Det of the microcomputer 20. It is operated to be transmit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handset provided in the fixing device is lifted, the hook switch HS is turned on to operate '0V' voltage to the hook detection input terminal Hook Det of the microcomputer 20. Accordingly, when the '5V' voltage is applied to the hook detection input terminal (Hook Det), the microcomputer 20 recognizes that the fixing device is in the 'hook on' state, and the '0V' voltage is applied to the hook detection input terminal (Hook Det). If approved, the lock is considered to be in the 'hook off' state.

RF송수신부(35)는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에 무선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통화를 위한 루프가 형성되었을 때, 고정장치의 통화회로부(70)와 미도시된 휴대장치간에 오디오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경고톤 발생부(40)는 마이컴(20)에 의해 제어되어 고정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스피커(50)를 통해 경고톤이 출력되도록 스피커(50)로 경고톤을 발생한다.The RF transmitter / receiver 35 is configured to wirelessly transmit data between the portable device and the fixed device. In particular, when a loop for a call is formed, an audio signal can be transmitted between the call circuit unit 70 of the fixed device and a portable device not shown. The warning tone generating unit 40 is controlled by the microcomputer 20 to generate a warning tone to the speaker 50 so that the warning tone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50 provided in the fixing device.

그리고, DTMF발생부(60)는 마이컴(20)으로부터 전송되는 다이얼링 신호에 상응하는 DTMF신호가 발생되도록 구성되고, 통화 회로부(70)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제어회로(70a)와 네트워크 회로(70b)로 구성되어 마이컴(20)으로부터 인가되는 루프 제어신호에 의해 전화루프를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고, 전화루프가 온되었을 때, 국선과 네트워크 회로(70b)를 통해 통화가 가능하도록 동작된다. 네트워크 회로(70b)는 정상적인 통화 진행시 음성전송을 비롯한 기타 정보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운영되는 회로이다.The DTMF generation unit 60 is configured to generate a DTMF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al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icrocomputer 20, and the call circuit unit 70 is connected to the loop control circuit 70a as shown in FIG. The circuit loop 70b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turn on / off the telephone loop by a loop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microcomputer 20, and when the telephone loop is turned on, a call can be made through the trunk line and the network circuit 70b. It works. The network circuit 70b is a circuit operated to enable transmission of voice and other information during normal call progress.

이와 같이 구성된 고정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장거리 직통전화발신 차단방법은 제 2 도에 도시된 흐름도와 같이 동작된다.In the fixed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long distance direct telephone call bloc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shown in FIG.

먼저, 마이컴(20)은 제 200 단계에서 후크상태 검출부(30)로부터 전송되는 후크검출신호와 RF송신부(35)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고정장치 또는 휴대장치가 후크 오프상태인 지를 체크한다.First, the microcomputer 20 analyzes the hook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hook state detection unit 30 and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RF transmitter 35 in step 200 to check whether the fixed device or the portable device is in the hook off state. .

즉, 제 1 도에 도시되 바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되는 후크상태 검출부(3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가 '5V(하이)'인 경우에는 마이컴(20)은 고정장치의 후크상태가 '후크 온'상태인 것으로 인식하고, 반면에 전송되는 데이터가 '0V(로우)'인 경우에는 고정장치의 후크상태가 '후크 오프'상태인 것을 인식한다. 그리고 휴대장치의 경우에는 RF송수신부(35)로부터 전송되는 코드를 분석하여 후크 온/오프상태를 파악한다.That is, when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hook state detection unit 30 configured and operated as shown in FIG. 1 is '5V (high)', the microcomputer 20 is in the hook state of the fixing device in the 'hook on' state. On the other hand, when the transmitted data is '0V (low)', the hook state of the fixing device is recognized as the 'hook off' state. In the case of a portable device, the hook on / off state is determined by analyzing a code transmitted from the RF transmitter / receiver 35.

이러한 후크상태 체크결과, 고정장치 또는 휴대장치중 한 장치가 후크 오프상태인 것으로 인식되면, 마이컴은(20)은 제 201 단계에서 제 202 단계로 진행되어 전화기 루프가 온상태로 설정되도록 루프제어신호 출력단(LOOP CON)을 통해 통화회로부(70)로 루프제어신호를 전송한다.As a result of the check of the hook state, if one of the fixed device and the portable device is recognized as the hook-off state, the microcomputer 20 proceeds from step 201 to step 202 so that the loop control signal is set to the on state. The loop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all circuit unit 70 through the output terminal LOOP CON.

통화 회로부(70)는 마이컴(20)으로부터 루프를 온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루프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제 1 도에 도시된 루프제어회로(70a)로 인가한다. 루프제어회로(70a)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가 마이컴(20)의 루프제어신호 출력단(LOOP CON)에 연결된 NPN형 트랜지스터(Q1), 트랜지스너(Q1)의 베이스와 마이컴(20)의 루프제어신호 출력단(LOOP CON)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R2) 및 다이오드(D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된 바이어스 저항(R3),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베이스를 연결하고 국선선로측에 에미터를 연결하고 네트워크 회로(70b)에 콜렉터를 연결한 PNP형 트랜지스터(Q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와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간의 정합을 위한 저항(R4), 트랜지스터(Q2)와 네트워크 회로(70b) 사이의 각각의 접점과 그라운드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 제너다이오드(ZD) 및 콘덴서(C2)로 구성되어 마이컴(20)으로부터 전송되는 루프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된다.When the loop control signal for setting the loop to the ON state is applied from the microcomputer 20, the communication circuit unit 70 applies the loop control circuit 70a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1, the loop control circuit 70a includes a base and a microcomputer of the NPN transistor Q1 and the transistor Q1 whose base is connected to the loop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 LOOP CON of the microcomputer 20. The base is connected to the resistor (R2) and diode (D1)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loop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 (LOOP CON) of 20), the bias resistor (R3) connected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1), and the collector of the transistor (Q1). And a resistor (R4) and a transistor for matching between the base of the transistor (Q2) and the collector of the transistor (Q1), the PNP transistor (Q2) having an emitter connected to the trunk line and a collector connected to the network circuit 70b. It consists of a Zener diode ZD and a capacitor C2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each contact point and ground between Q2 and the network circuit 70b and operates according to a loop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icrocomputer 20.

즉, 제 202 단계에서 마이컴(20)은 전화기 루프를 온상태로 제어하기 위하여 루프제어신호 출력단(LOOP CON)을 통해 '하이'레벨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루프제어회로(70a)의 트랜지스터(Q1,Q2)은 모두 온(ON)되어 국선선로와 네트워크회로(70b)간의 루프를 온시킨다.That is, in step 202, the microcomputer 20 outputs a 'high' level signal through the loop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 LOOP CON in order to control the telephone loop to the on state. Accordingly, the transistors Q1 and Q2 of the loop control circuit 70a are all turned on to turn on the loop between the trunk line and the network circuit 70b.

이와 같이 전화기 루프가 온되면, 마이컴(20)은 제 204 단계로 진행되어 DDD발신을 차단하기 위한 DDD차단모드가 설정된 상태인 지를 체크한다. 체트결과, DDD차단모드가 설정된 상태가 아니면 제 206 단계로 진행되어 정상적인 통화가 진행될 수 있도록 처리를 한다.When the telephone loop is turned on in this way, the microcomputer 20 proceeds to step 204 to check whether the DDD blocking mode for blocking DDD transmission is set.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DDD blocking mode is not se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06 to process a normal call.

그러나, 제 204 단계의 체크결과, DDD차단모드가 설정된 상태이면, 입력된 다이얼번호가 DDD번호에 해당되는 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하여 마이컴(20)은 제 204 단계에서 제 208 단계로 진행되어 키입력부(10) 또는 RF송수신부(35)로부터 다이얼 입력이 있는 지를 체크한다. 즉, 제 200단계의 체크결과 고정장치의 후크 상태가 오프된 경우에 제 208 단계에서 마이컴(20)은 키 입력부(10)로부터 다이얼정보가 입력되는 지를 체크하고, 제 200 단계의 체크결과 휴대장치의 후크 상태가 오프된 경우에 제 208 단계에서 마이컴(20)은 RF 송수신부(35)로부터 다이얼정보가 입력되는 지를 체크한다.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04 that the DDD blocking mode is se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put dial number corresponds to the DDD number. To this end, the microcomputer 20 proceeds from step 204 to step 208 to check whether there is a dial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10 or the RF transmitter / receiver 35. That is, when the hook state of the fixing device is turned off in step 200, the microcomputer 20 checks whether dial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10 in step 208. If the hook state is off, the microcomputer 20 checks whether dial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RF transceiver 35 in step 208.

체크결과, 다이얼정보에 대한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마이컴(20)은 제 210 단계로 진행되어 후크상태 검출부(30) 또는 RF송수신부(35)를 통해 전송된는 신호에 의해 고정장치 또는 휴대장치의 후크가 온상태인 지를 체크한다. 이 때, 체크대상은 상술할 제 208 단계이 설명시 언급한 바와 같이 제 200 단계에서 후크 오프상태로 인식된 장치가 된다. 즉, 제 200 단계에서 고정장치가 후크 오프상태인 것으로 파악된 경우에 제 210 단계에서는 고정장치의 후크가 온상태인 지를 체크하고, 제 200 단계에서 휴대장치가 후크 오프상태인 것으로 파악된 경우에 제 210 단계에서는 휴대장치의 후크가 온상태인 지를 체크한다.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input of the dial information is not made, the microcomputer 20 proceeds to step 210 and the signal of the fixed device or the portable device is transmitted by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hook state detector 30 or the RF transmitter / receiver 35. Check if the hook is on. At this time, the check target is a device recognized as a hook off state in step 200, as described in step 208 described above.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200 that the fixing device is in the hook-off state, in step 210, it is checked whether the hook of the fixing device is on, and in step 200, when the portable device is found to be in the hook-off state, In operation 210, it is checked whether the hook of the portable apparatus is on.

체크결과, 해당 장치의 후크가 온상태이면, 작업을 종료한다. 그러나 체크결과, 해당 장치의 후크가 온상태가 아니면 오프상태이므로, 제 208 단계로 리턴되어 다이얼정보가 입력되는 지를 체크한다.If the check indicates that the hook of the device is on, the operation is terminated. However, as a result of the check, since the hook of the device is not in the on state, it is in the off state.

한편, 제 208 단계의 체크결과, 다이얼정보가 입력되 경우에 마이컴(20)은 제 212 단계로 진행되어 첫 번째로 입력된 다이얼번화가 '0'인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첫 번째로 입력된 아이얼번화가 '0'이 아니면, 마이큼(20)은 제 214 단계로 진행되어 DTMF발생부(60)로 입력된 다이얼번호를 전송하여 다이얼 입력에 대응하는 DTMF신호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DTMF신호는 네트워크 회로(70b)로 전송되어 종래와 같이 처리되어 정상적인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al information is input in step 208, the microcomputer 20 proceeds to step 212 to check whether the first dialed number is '0'.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first input iron number is not '0', the number 20 goes to step 214 and the DTMF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al input is transmitted by transmitting the dial number input to the DTMF generating unit 60. Generates. The generated DTMF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network circuit 70b and processed as in the prior art so that a normal call can be made.

그러나 제 212 단계의 체크결과, 첫 번째로 입력된 다이얼번호가 '0'이면 마이컴(20)은 DDD에 해당되는 다이얼번호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고, 제 216 단계로 진행되어 경고톤을 발생시킨다. 이 때, 해당 장치가 고정장치인 경우에는 마이컴(20)은 경고톤 발생부(40)를 제어하여 스피커(50)를 통해 해당 경고톤이 발생되도록 하고, 해당 장치가 휴대장치인 경우에는 RF송수신부(35)를 통해 경고톤 발생을 요구하는 코드정보를 송출하여 미도시된 휴대장치에 구비된 경고톤 발생부(미도시됨)를 제어하여 경고톤이 발생되도록 발생되도록 한다.However, if the first dial number is '0', the microcomputer 20 recognizes that the dial number corresponding to the DDD is input, and proceeds to step 216 to generate a warning tone. At this time, if the device is a fixed device, the microcomputer 20 controls the warning tone generating unit 40 to generate the corresponding warning tone through the speaker 50, and if the device is a portable device, RF transmission and reception By transmitting the code information requesting the warning tone generation through the unit 35 to control the warning tone generating unit (not shown)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not shown so that the warning tone is generated.

그 다음 제 218 단계로 진행되어 마이컴(20)은 전화 루프를 오프시키기 위하여, 루프제어신호 출력단(LOOP CON)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하이'에서 '로우'로 전환시킨다. 이에 따라 루프제어회로(70a)에 구비된 트랜지스터(Q1,Q2)이 모두 오프되어 국선선로와 네트워크 회로(70b)간의 루프는 오프된다. 이와 같이 전화기 루프가 오프되면, 마이컴(20)은 작업을 종료한다.In operation 218, the microcomputer 20 switches a signal output from the loop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 LOOP CON from 'high' to 'low' in order to turn off the telephone loop. As a result, all of the transistors Q1 and Q2 included in the loop control circuit 70a are turned off, and the loop between the trunk line and the network circuit 70b is turned off. When the telephone loop is turned off in this way, the microcomputer 20 ends the work.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무선 전화기에 있어서 DDD차단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현재 후크 오프로 설정된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첫 번째 다이얼정보를 체크하여 DDD발신으로 인식되는 경우에 통화를 차단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유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는 물론 고정장치를 통한 DDD발신도 선택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DD blocking mode is set in the wired / wireless telephone, the first dial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device set to the current hook-off is checked to block the call when it is recognized as the DDD call. As well as portable devices of wired and wireless telephone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electively block DDD transmission through a fixed device.

Claims (1)

휴대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고주파(RF) 송수신부, 후크상태를 검출하는 후크상태 검출부, 소정의 경고톤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경고톤을 발생하는 경고톤 발생부, 국선선로와의 루프형성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루프제어회로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통화회로부, 듀얼톤 멀티프리퀀시(DTMF) 발생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키입력부 및 마이컴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고정장치를 구비한 유무선 전화기의 장거리 직통전화발신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고주파 송수신부를 통해 인가되는 정보와 후크상태 검출부를 통해 인가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고정장치와 휴대장치의 후크 오프상태를 체크하는 제 1 체크단계; 상기 제 1 체크단계 수행결과, 상기 고정장치와 휴대장치중 한 장치가 후크 오프상태로 인식되면, 상기 마이컴은 상기 국선선로와 루프가 형성되도록 상기 루프제어회로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루프가 형성되면, 상기 마이컴은 장거리 직통전화를 차단하기 위한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지를 체크하는 제 2 체크단계;상기 제 2 체크단계 수행결과, 상기 장거리 직통전화 차단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고정장치와 휴대장치중 상기 제 1 체크단계에서 후크 오프상태로 체크된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다이얼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체크하는 제 3 체크단계; 상기 제 3 체크단계 수행결과, 상기 입력되는 다이얼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후크 오프상태로 체크된 장치의 후크 상태를 다시 체크하는 제 4 체크단계; 상기 제 4체크단계 수행결과, 해당 장치의 후크가 오프상태이면, 상기 제 3 체크단계로 리턴하는 단계; 상기 제 3 체크단계 수행결과, 입력되는 다이얼 정보가 존재하면, 첫 번째로 입력된 다이얼정보가 '0'인 지를 체크하는 제 5 체크단계; 상기제 5 체크단계 수행결과, 첫 번째로 입력된 다이얼정보가 '0'이면, 해당 장치를 통해 경고톤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경고톤이 발생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루프제어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유무선 전화기의 상기 국선선로와 형성된 루프를 오프시키는 단계; 상기 제 5 체크단계 수행결과, 첫 번째로 입력된 다이얼정보가 '0'이 아니면 정상적인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입력된 다이얼정보를 상기 듀얼톤 멀티프리퀀시(DTMF) 발생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전화기에 있어서 장거리 직통전화발신 차단방법.High frequency (RF)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portable device, hook stat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hook state, warning ton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warning tone so that a predetermined warning tone can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trunk line Wired and wireless with a call circuit unit configured to include a loop control circuit to set loop formation with a dual tone multi frequency (DTMF) generator,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user information, and a fixing device configured to include a microcomputer In the method for blocking long-distance direct telephone call of the telephone, the microcomputer checks the hook-off state of the fixed device and the portable device by analyzing the information applied through the high-frequency transceiver and the hook state detection unit A first checking step;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check step, when one of the fixing device and the portable device is recognized as the hook-off state, the microcomputer controls the loop control circuit to form a loop with the trunk line; When the loop is formed, the microcomputer checks whether a mode for blocking a long distance direct call is set; a result of performing the second check step; A third checking step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dial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device checked in the hook-off state in the first checking step among the portable devices; A fourth check step of checking the hook state of the device checked as the hook-off state again when the input dial information does not exist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third check step; If the hook of the device is in the off state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fourth checking step, returning to the third checking step; A fifth checking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first input dial information is '0' if the dial information to be input exists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third checking step;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fifth check step, if the first input dial information is '0', controlling to generate a warning tone through the corresponding device; After the warning tone is generated, controlling the loop control circuit to turn off a loop formed with the trunk line of the wire / wireless telephone; And if the first dial information is not '0', transmitting the dial information to the dual tone multi frequency (DTMF) generator so as to make a normal call. Long distance direct telephone call blocking method for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KR1019940040040A 1994-12-30 1994-12-30 Direct phone control method KR01457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40040A KR0145791B1 (en) 1994-12-30 1994-12-30 Direct phone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40040A KR0145791B1 (en) 1994-12-30 1994-12-30 Direct phone control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019A KR960028019A (en) 1996-07-22
KR0145791B1 true KR0145791B1 (en) 1998-08-17

Family

ID=19405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40040A KR0145791B1 (en) 1994-12-30 1994-12-30 Direct phone control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5791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019A (en)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6367B1 (en) Cellular telephone
JPH09271066A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equipment
US4937852A (en) Corded to cordless telephone converter
US6704414B2 (en) Telephone line extension
KR100247676B1 (en) Automatic channel selection system for a cordless telephone
KR100557110B1 (en) Dialing method of wireless subscriber network terminal equipment
US20040204019A1 (en) Security system with telephone controller
KR0145791B1 (en) Direct phone control method
JPH0348562A (en) Dial unit
WO1996015614A1 (en) Independent volume control for multi-system radio telephone
KR100297353B1 (en) Device for Changing Phone Number Automatically
US6636586B1 (en) Telephone set device capable of vocalizing a telephone number being called
JP2896592B2 (en) Cordless button telephone equipment
KR0133421B1 (en) Paging terminal of an answering machine
KR970056709A (en) Telephone rate calculator and method
KR100227728B1 (en) Telephone with secret number function
KR100194470B1 (en) How to generate ringing tones from a cordless phone
KR0120014B1 (en) Free dial device & method of wireless phone
KR930001159B1 (en) Dialing signal sending mode changing method
KR970003984B1 (en) Long-distance phone control method
KR100377836B1 (en) Apparatus of telephone with function of receiving message selectively and controlling method of it
KR100194414B1 (en) Ring generation method according to password of wireless telephone
JP3585109B2 (en) High frequency coupling circuit
KR100195931B1 (en) Method and apparatus lengthening a discharging time in radio phone
KR100447644B1 (e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d / wireless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