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3925B1 -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prod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production method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3925B1
KR0143925B1 KR1019950022208A KR19950022208A KR0143925B1 KR 0143925 B1 KR0143925 B1 KR 0143925B1 KR 1019950022208 A KR1019950022208 A KR 1019950022208A KR 19950022208 A KR19950022208 A KR 19950022208A KR 0143925 B1 KR0143925 B1 KR 0143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cine
japanese encephalitis
virus
hantan
encephalitis vac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22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06486A (en
Inventor
이호왕
유선자
안창남
김훈
Original Assignee
권계홍
주식회사녹십자
이호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계홍, 주식회사녹십자, 이호왕 filed Critical 권계홍
Priority to KR1019950022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3925B1/en
Publication of KR970006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4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3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3925B1/en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일본뇌염백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본뇌염백신의 제조 공정중 현재 사용되고 있는 3주-4주된 마우스 대신에 미숙한 뇌세포를 가진 생후 1-7일된 마우스 또는 조직배양된 초대 햄스터 신장 상피세포에서 일본뇌염바이러스를 배양하여 백신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새로 개션된 일본뇌염백신의 뇌단백질과 Myelin basic protein 함량이 종전 백신의 1/10 - 1/100로 현저히 감소되므로서 쥐 뇌단백질의 혼입에서 나타나는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wherein 1-7 days old mouse or tissue cultured primary hamster kidney epithelium with immature brain cells instead of the 3 to 4 week mice currently us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The vaccine was prepared by culturing the Japanese encephalitis virus in the cells. As a result, the brain protein and Myelin basic protein contents of the newly vaccinated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are significantly reduced to 1/10-1/100 of the previous vaccine, thereby preventing side effects of incorporation of rat brain proteins.

Description

일본뇌염백신의 제조방법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production method

제 1도는 일본뇌염바이러스와 뇌염 백신을 랫트의 근육에 각각 접종한 후 측정한 향체 곡선이며1 is a harrow curve measured after inoculating Japanese encephalitis virus and encephalitis vaccine into rat muscle

제 2도는 일본뇌염-한탄바이러스 혼합백신을 2주 간격으로 2회 주사한 랫트의 항체곡선이며2 is the antibody curve of rats injected with Japanese encephalitis-Hantan virus mixed vaccine twice at intervals of 2 weeks

제 3도는 일본뇌염백신과 한탄바이러스백신을 각각 햄스터의 근육에 접종한 후의 향체형성 곡선을 나타내며FIG. 3 shows the formation of harrows after inoculation of the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and Hantan virus vaccine into the muscles of hamsters.

제 4도는 한탄-일본뇌염 혼합백신을 햄스터 2회 접종한 후 일본뇌염 및 한타바이러스에 대한 항체형성 곡선이다.Figure 4 shows the antibody formation curves for Japanese encephalitis and hantavirus after inoculation of hamster-vaccinated vaccine with Hantan-Japan encephalitis twice.

제 5도는 초대 햄스터 신장상피 세포에서 배양한 일본뇌염바이러스와 한탄바이러스의 성장곡선이며5 is a growth curve of Japanese encephalitis virus and Hantan virus in primary hamster kidney epithelial cells.

제 6도는 초대 햄스터 신장 상피세포에서 조직배양한 일본뇌염-한탄바이러스로 만든 혼합백신을 햄스터 근육에 접종한 후의 항체곡선이다.FIG. 6 shows the antibody curve after inoculation of hamster muscle with a mixed vaccine made from Japanese encephalitis-Hantan virus cultured from primary hamster kidney epithelial cells.

[기술분야][Technical Field]

본 발명은 일본뇌염백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백신에서 뇌단백질의 유임으로 나타나는 부작용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는 식규한 일본뇌염 백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eparing a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that can completely eliminate the side effects of the presence of brain protein in the existing vaccine.

[배양기술][Cultivation technology]

한국,일본,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는 매년 사망율이 높은 일본뇌염과 유행성 출혈열이라는 무서운 전염병이 공존하고 있으며 많은 환자가 발생,사망하고 있다. 유행성출혈열은 아시아 뿐만 아니라 구라파,아프리카 및 미대륙에서도 발생하나 일본뇌염은 아세아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아세아에 속한 한국,북조선,일본,중국,월남,스리랑카,인도 및 말레이시아 등지에서는 유행성출혈열과 일본뇌염 환자가 동시에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두가지 무서운 전염병에 대한 예방 대책이 시급하다.In Korea, Japan, China, and Southeast Asia, the mortality epidemic of Japanese encephalitis and epidemic hemorrhagic fever coexists with high mortality every year, and many patients die and die. Epidemic hemorrhagic fever occurs not only in Asia, but also in Europe, Africa and the Americas, but Japanese encephalitis occurs only in Asia. Therefore, in South Korea, North Korea, Japan, China, Vietnam, Sri Lanka, India, and Malaysia belonging to Asia, epidemic hemorrhagic fever and Japanese encephalitis patients can occur at the same time.

현재 지구상에서 발생하는 유행성출혈열 환자는 매년 약 20만명에 달하며 사망율이 4-60%에 이른다. 중국에서는 매년 수만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러시아에서도 약 8천명 그리고 한국에서는 수백-이천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는 반면, 구라파 전역에서는 임상증상이 심한 환자와 경한 환자가 혼재되어 매년 수백-수천명이 발생하고 있다. 1993년 여름에는 미국에서도 새로운 한탄바이러스에 의한 괴질환자가 수십명 발생하고 사망율이 70%나 되었을 뿐만 아니라 현재 미국 전지역에서도 이런 환자가 확인되었기 때문에 공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미대륙에서는 현재까지 125여명의 환자가 미국,캐나다 및 브라질에서 발생하고 약 86명이 사망하여 69%의 사망율을 나타내었다. 유행성출혈열의 병원체인 한탄바이러스는 1976년 처음으로 한국에서 발견되고 1989년에는 인체용 백신이 개발되어(Hantavax) 현재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일본뇌염바이러스는 1935년 일본에서 뇌염 환자의 뇌조직에서 최초로 분리되었고 1954년에는 인체용 백신이 개발되어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널리 사용되어 일본뇌염 예방에 큰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일본뇌염백신은 4주된 마우스의 뇌에서 증식한 바이러스로 백신을 만들기 때문에 백신 중에 함유된 마우스 뇌세포 단백질로 부작용이 항상 문제가 되어왔다. 1994년 여름 우리나라에서 일본뇌염백신을 맞은 국민학교 학생 2명이 쇼크로 사망하여 큰 물의를 일으켰으며 다른 예방주사에 대한 기피현상마저 나타나 정부는 예방백신으로 인한 피해보상제도까지 마련하였다. 일본뇌염백신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마우스 뇌조직의 단백질과 Myelin basic protein의 함량인데, 특히 후자는 예방백신 접종후 휴유증으로 나타나는 척수 뇌염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심각한 문제가 된다. 연구 통계에 의하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일본뇌염백신을 맞았을 경우 약 10만명중 1명이 마비성 척수뇌염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There are about 200,000 epidemic hemorrhagic fever cases on earth each year with a mortality rate of 4-60%. Tens of thousands of patients occur in China each year, and about 8,000 in Russia and hundreds-2,000 in Korea, while hundreds of thousands of patients occur in Europe, with severe clinical symptoms and mild patients. . In the summer of 1993, there were dozens of new cases of the disease caused by the new Hantan virus and death rate of 70% in the United States. To date, more than 125 patients have occurred in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Brazil, with about 86 deaths, with a mortality rate of 69%. Hantan virus, a pathogen of epidemic hemorrhagic fever, was first discovered in Korea in 1976 and a human vaccine was developed in 1989 (Hantavax). On the other hand, Japanese encephalitis virus was first isolated from brain tissue of encephalitis patients in Japan in 1935, and human vaccine was developed in 1954 and widely used in various countries in Asia to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Japanese encephalitis. However, currently used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s are vaccines made from viruses grown in the brains of four-week-old mice, so side effects have always been a problem with mouse brain cell proteins contained in the vaccine. In the summer of 1994, two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ho suffered from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died of shock and caused great controversy. The evacuation of other vaccines appeared, and the government prepared a compensation system for the vaccine. The problem with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is the content of protein of mouse brain tissue and Myelin basic protein, especially the latter is a serious problem because it causes spinal encephalitis appearing as a resting period after vaccination. According to research statistics, one out of 100,000 people can develop paralytic spinal encephalitis if they have the current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이에 본 발명자들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일본뇌염 예방주사에서 나타나는 부작용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는 순수한 일본뇌염의 항원을 얻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순수한 항원의 획득은 유행성출혈열의 항원과 혼합시 일본뇌염과 유행성출혈열을 동시에 예방할 수 있는 혼합백신의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attempted to obtain an antigen of pure Japanese encephalitis that can completely eliminate the side effects of the currently used Japanese encephalitis injection. In addition, the acquisition of pure antigens allows the development of mixed vaccines that can simultaneously prevent Japanese encephalitis and epidemic hemorrhagic fever when mixed with antigens of epidemic hemorrhagic fever.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Problems to Solve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뇌조직 단백질과 Myelin basic protein의 함량을 낮춘 안전한 일본뇌염백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paring a safe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lowering the content of brain tissue protein and Myelin basic protein.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본 발명은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본뇌염백신의 제조 공정중 현재 사용되고 있는 3주-4주된 마우스 대신에 미숙한 뇌세포를 가진 생후 1-7일된 마우스 또는 조직배양된 초대 햄스터 신장 상피세포에서 일본뇌염바이러스를 배양하여 백신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새로 개선된 일본뇌염백신의 뇌단백질과 Myelin basic protein의 함량이 종전 백신의 1/10 - 1/100로 현저히 감소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1-7 day old mouse or tissue cultured primary hamster kidney with immature brain cells instead of the 3 to 4 week old mice currently us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vaccine was prepared by culturing Japanese encephalitis virus in epithelial cells. As a result, the contents of brain protein and Myelin basic protein of the newly improved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were significantly reduced to 1/10-1/100 of the previous vaccin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일본뇌염백신 단독과 유행성출혈열백신과 혼합된 백신을 제조하여 각 동물에서 항체가를 측정하였으며 각 바이러스의 배양배지도 마우스와 조직배양 세포로 다양화시켜 보았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사항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Vaccines mixed with the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alone and the epidemic hemorrhagic fever vaccine were prepared, and antibody titers were measured in each animal. The culture medium of each virus was also diversified into mice and tissue culture cells. The example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1]Example 1

일본뇌염백신의 제조Preparation of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일본뇌염백신에 사용한 일본뇌염바이러스는 국제 표준주인 나카야마주를 사용하였으며 백신제조에는 생후 4주된 마우스와 생후 7일된 마우스 두가지를 사용하였다. 0.01㎖의 일본뇌염바이러스 부유액을 1CR 마우스 뇌내에 접종한 후 접종한 마우스의 약 3분의 1이 마비되고 뇌염으로 사망하는 3-5일 후에 무균적으로 뇌를 채취하여 공지의 일본뇌염백신의 제조방법에 새로운 여과방법을 추가하여 백신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이 알콜올 프로타민 정제법, 초원심 침전 정제법과 특수 여과법을 사용하였다.The Japanese encephalitis virus used for the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was Nakayama, an international standard strain. Two vaccines were used for the production of vaccines: four-week-old mice and seven-day-old mice. Preparation of a known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by inoculating 0.01 ml of Japanese encephalitis virus suspension into the brain of 1CR mouse and aseptically extracting the brain after 3-5 days of paralysis and death of encephalitis. The vaccine was prepared by adding a new filtration method to the method. As the preparation method, alcoholol protamine purification method, ultracentrifugation precipitation purification method and special filtration method were used as follows.

[실시예 2]Example 2

일본뇌염백신의 향원 역가Flavor Potency of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백신속에 함유된 일본뇌염바이러스 향원은 ELISA법으로 향원의 역가를 측정하여 일정한 양의 향원이 항상 백신속에 함유되도록 하였다. 향원의 역가는 한탄바이러스향원 역가 측정법을 도입하였으며 ELISA unit/0.1㎖ 였으며 0.02%의 젤라틴이 함유되었다.The Japanese encephalitis virus source contained in the vaccine was measured by the ELISA method so that a certain amount of the source was always contained in the vaccine. The titer of fragrance was introduced by Hantan virus fragrance titer, ELISA unit / 0.1ml and contained 0.02% gelatin.

[실시예 3]Example 3

기존 백신과 비교실험Comparative experiment with existing vaccine

일본뇌염 및 한탄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는 간접형광체법, ELISA법 및 중화항체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항체가는 양성반응을 나타낸 혈청의 최고 희석배수로 표시하였다. 실험동물로는 건강한 SPE/ICR 마우스를 백신 제조용 동물로 사용하였으며 SD 랫트, 마우스, 기니아픽 및 LVG 햄스터를 바이러스 증식용 및 항체 분석용 동물로 사용하였고 바이러스 및 백신을 접종한 동물들은 항상 동물사육용 안전 캐비넷내에서 사육하였고 바이러스 및 백신을 접종한 동물들은 항상 동물사육용 안전 캐비넷내에서 사육하였다. 1)개량한 일본뇌염백신과 유행성출혈열백신의 단백질과 Myelin basic protein의 함량Antibodies against Japanese encephalitis and Hantan virus were measured by indirect fluorescent method, ELISA method and neutralizing antibody method, and antibody titer was expressed as the highest dilution factor of seropositive serum. Healthy SPE / ICR mice were used as vaccine animals, and SD rats, mice, guinea pigs, and LVG hamsters were used for virus propagation and antibody analysis. Virus and vaccine animals were always used for animal breeding. Animals vaccinated and vaccinated in safety cabinets were always housed in animal safety cabinets. 1) Contents of improved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and epidemic hemorrhagic fever vaccine and Myelin basic protein

일본뇌염백신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백신에 함유된 뇌세포 단백질과 Myelin basic protin의 함량이다. 세계보건기구의 백신 추천기준에는 일본뇌염백신의 단백질 함량은 80㎍/㎖이하이어야 하며 Myelin basic protin은 2.0ng/㎖이하로 되어 있다. 본 실험에서 4주된 마우스와 7일된 마우스의 뇌조직에서 추출한 일본뇌염바이러스 향원의 역가와 단백질의 양을 비교하였는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The most problematic in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s is the amount of brain cell protein and Myelin basic protin in the vaccine. According to the WHO vaccine recommendation criteria, the protein content of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should be less than 80µg / ml, and Myelin basic protin should be less than 2.0ng / ml. In this experiment, we compared the titer and protein amount of the Japanese encephalitis virus aroma extracts from brain tissues of 4 and 7 days old mic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세계 보건기구의 추천 기준은 80ug/ml임.*-World Health Organization recommends 80ug / ml.

**--세계 보건기구의 추천 기준은 2.0g/ml임.**-World Health Organization recommendation standard is 2.0g / ml.

4주된 마우스에서 만든 백신중에 함유된 단백질은 22㎍/㎖ 였고 Myelin basic protin의 함량은 0.8ng/㎖ 이었다. 그러나 7일된 마우스에서 만든 일본뇌염백신의 단백질의 함량은 17㎍/㎖였고 Myelin basic protin은 0.08ng/㎖였다. 즉 7일된 마우스에서 만든 일본뇌염백신이 4주된 마우스에서 만든 백신보다 단백질의 양이 5㎍/㎖나 적었ㄷ으며 특히 Myelin basic protin의 양은 4주된 쥐에서 만든 백신의 10분의 1에 불과하였다.The protein contained in the 4-week-old vaccine was 22 µg / ml and Myelin basic protin content was 0.8 ng / ml. However, the protein content of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in 7-day-old mice was 17 µg / ml and Myelin basic protin was 0.08 ng / ml. The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produced in 7-day-old mice contained 5 µg / ml less than the vaccine produced in 4-week-old mice. In particular, the amount of Myelin basic protin was only one tenth of that produced in four-week-old mice.

1주일된 마우스에서 만든 유행성출혈열백신에 함유된 단백질은 10-12㎍/㎖이고 Myelin basic protin은 0.01ng/㎖이하로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측정방법으로는 검출할 수 없었다.The protein contained in the epidemic hemorrhagic fever vaccine produced in 1 week old mice was 10-12 ㎍ / ml and Myelin basic protin was less than 0.01 ng / ml.

이상의 결과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일본뇌염백신 보다 7일된 마우스에서 새로 만든 백신이 생화학적으로 10배나 순수하기 때문에 부작용도 없을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생후 7일된 마우스에서 만든 유행성출혈열백신을 혼합한 혼합백신의 경우 Myelin basic protin의 함량이 0.08ng/㎖이하이기 때문에 문제가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품인 뇌염-유행성출혈열 혼합백신은 현재 단독으로 사용하고 있는 일본뇌염백신에서 간혹 나타나는 부작용도 없애고 뇌염과 출혈열의 혼합백신을 접종하므로서 두가지 질병을 동시에 예방할 수 있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above results are expected to have no side effects because the new vaccine is 10 times biochemically pure in mice 7 days older than the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Therefore, in case of mixed vaccine mixed with epidemic hemorrhagic fever vaccine made in 7-day-old mouse, the content of Myelin basic protin is less than 0.08ng / ml, so there will be no problem. Therefore, the inventive encephalitis- pandemic hemorrhagic fever vaccine can eliminate the side effects that sometimes occur in the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which is used alone, and inoculate the mixed vaccine of encephalitis and hemorrhagic fever. .

2)새로 개량한 일본뇌염백신과 유행성출혈열백신을 접종한 동물의 형광항체가 생후 4주된 마우스와 생후 7일된 마우스 노조직에서 만든 일본뇌염백신과 유행성 출혈열 백신을 햄스터에 접종한 후 일본뇌염바이러스와 한탄바이러스에 대한 형과항제를 조사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2) The encephalitis vaccine and pandemic hemorrhagic fever vaccines made from old tissues of 4 weeks old mouse and 7 days old mouse with fluorescent antibody of the newly inoculated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and epidemic hemorrhagic fever vaccine Investigations on the anti-diarrheal agents for hantan virus are shown in Table 2 below.

생후 4주된 성숙한 마우스에서 만든 일본뇌염백신과 7일된 젖먹이 마우스에서 만든 일본뇌염백신의 항체가를 비교한 결과 면역성에서 차이가 없었다. 한탄바이러스백신은 아드주반트가 있는 것과 없는 것으 비교하였는데 아드주반트가 있어야만 항체가 생산되었다. 일본뇌염백신과 아드주반트가 없는 유행성출혈열백신을 혼합하여 만든 혼합백신에서는 일본뇌염바이러스에 대한 형체만 형성되었다. 일본뇌염백신과 아드주반트가 있는 유행성출혈열백신을 혼합하여 만든 혼합백신에서는 일본뇌염바이러스와 한탄바이러스에 대한 높은 역가의 항체를 동시에 증명하였다. 특히 이같은 혼합백신에서는 일본뇌염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뇌염 백신을 단독으로 주사할 때 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는데 이결과는 일본뇌염-유행성출혈열 혼합백신이 일본뇌염 단독백신보다 항체형성 과정에서 항체를 생산하는 세포를 자극하여 상승작용을 나타낸 것으로 해석된다.There was no difference in immunity between the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s made in 4 week-old mature mice and those of 7-day-old suckling mice. Hantan virus vaccines were compared to those with and without adjuvant. Antibodies were produced only with adjuvant. In a mixed vaccine made of a combination of the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and an adjuvant-free epidemic hemorrhagic fever vaccine, only the form for the Japanese encephalitis virus was formed. The combined vaccine, which was made by mixing the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and the epidemic hemorrhagic fever vaccine with adjuvant, simultaneously demonstrated high titers of antibodies against the Japanese encephalitis virus and Hantan virus. Particularly in such mixed vaccines, the antibody against the Japanese encephalitis virus was much higher than when the encephalitis vaccine was injected alone. It is interpreted that the synergy was shown by stimulating.

일본뇌염백신에서 바이러스 향원의 안정제로 사용하는 0.02%제라틴 용액을 한탄바이러스백신에서 아드주반트로 사용하는 알룸겔 같은 아드주반트의 역할을 한탄 백신에서 나타내지 못한 반면 일본뇌염백신에서는 젤라틴 용액이 아드주반트의 역활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In the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gelatin solution was not used as the adjuvant such as alumgel, which uses 0.02% gelatin solution used as stabilizer for viral sensitization in the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as the adjuvant in the hantan virus vaccine. It was found that he played the role of Juvant.

알룸겔이 함유된 한탄바이러스백신과 젤라틴 용액이 함유된 일본뇌염백신을 혼합하여 만든 혼합백신은 한탄바이러스 단독백신 보다 일본뇌염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더 많이 생산함을 알 수 있다. 제 1도는 살아있는 일본뇌염바이러스와 사멸되 일본뇌염백신을 랫트의 근육에 각각 접종한 후의 항체곡선으로서 백신을 2회 접종시 기왕성 항체반응이 나타났다. 중화 항체가는 생바이러스 주사시 1:512였고, 백신 주사시 1:100이었다. 제 2도는 일본뇌염-한탄바이러스 혼합백신을 2주 간격으로 2회 랫트의 근육에 주사한 항체곡선이다. 일본뇌염과 한탄바이러스에 대한 높은 형광항체가(2,048-8192)를 각각 증명할 수 있었음며, 중화항체의 역가도 각각 1:512와 1:128로 나타났다.It can be seen that the mixed vaccine made by mixing the Hantan virus vaccine containing alum gel and the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containing gelatin solution produces more antibodies to the Japanese encephalitis virus than the hantan virus alone. FIG. 1 shows the antibody curve after inoculation of live Japanese encephalitis virus and killed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into the muscles of rats. The neutralizing antibody titer was 1: 512 at live virus injection and 1: 100 at vaccine injection. FIG. 2 shows the antibody curve of Japanese encephalitis-Hantan virus mixed vaccine injected into rats' muscles twice every two weeks. High fluorescence antibodies (2,048-8192) against Japanese encephalitis and Hantan virus were demonstrated, respectively, and the titers of neutralizing antibodies were 1: 512 and 1: 128, respectively.

3)유행성출혈열백신, 일본뇌염백신 및 혼합백신을 접종한 동물의 중화 항체3) Neutralizing antibodies of animals inoculated with pandemic hemorrhagic fever vaccine,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and mixed vaccine

국립보건원 생물제제 표준평가 기준에 따라 한탄바이러스와 한탄바이러스백신, 일본뇌염바이러스와 일본뇌염백신 및 한탄-일본뇌염 혼합백신을 기니아픽과 마우스의 근육에 접종한 후 이들 바이러스에 대한 중화항체 형성을 조사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According to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iologic Standard Evaluation Criteria, anti-neutral antibody formation against these viruses was inoculated into the muscles of guinea pigs and mice by inoculating Hantan virus and Hantan virus vaccine, Japanese encephalitis virus and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and Hantan-Japan encephalitis vaccine It is shown in Table 4 below.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2,560 항원 unit의 살아있는 한탄바이러스를 접종한 기니아픽의 중화항체가는 1:113이었고, 같은 양의 유행성출혈열백신을 접종한 기니아픽의 중화항체가는 1:105였다. 또한 향원의 양을 2배 증가한 5,120unit를 접종한 기니아픽의 항체가는 1:300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탄바이러스 84/105주와 76/118주로 각각 만든 백신의 항체 역가는 310과 300으로 비슷하였다. 살아있는 일본뇌염바이러스 200unit를 접종한 기니아픽과 마우스에서는 1:4,581 이상의 중화항체가를 보였으며 12.5unit의 항원을 함유한 일본뇌염백신을 접종한 마우스에서도 1:4,266의 중화항체가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소량의 한탄바이러스 항원(512u/0.1㎖)함유한 혼합백신을 접종한 기니아픽에서는 중화 항체가가 1:30으로 낮았고, 다량의 한탄바이러스 항원(2,048u/0.1㎖)이 함유된 혼합백신을 접종한 동물에서는 한탄바이러스에 대해 1:289라는 높은 중화 항체가와 1:4,291이나 되는 일본뇌염바이러스에 대한 중화항체를 증명할 수 있었다. 한탄바이러스에 대한 중화항체는 기니아픽에서는 잘 형성되나 마우스에서는 좋지 않았다. 표 5는 일정한 양의 일본뇌염바이러스 항원과 여러가지 양의 한탄바이러스 항원을 혼합한 혼합백신을 기니아픽과 마우스에 접종한 후 국립보건원 검정 기누에 의하여 중화항체를 조직 배양세포에서 측정한 성적이며 결과는 표 4에 나타난 성적과 유사하다.As shown in Table 4, the neutralizing antibody titer of the guinea pigs inoculated with 2,560 antigen units of live hantan virus was 1: 113, and the neutralizing antibody titer of the guinea pigs inoculated with the same amount of pandemic hemorrhagic fever vaccine was 1: 105. In addition, the antibody value of guinea pigs inoculated with 5,120 units, which doubled the amount of aroma, was 1: 300. Antibody titers of vaccines made with the Hantan virus 84/105 and 76/118 strains were similar at 310 and 300, respectively. The guinea pigs and mice inoculated with 200 units of live Japanese encephalitis virus had a neutralizing antibody titer of 1: 4,581 or more, and the mice with the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containing 12.5 units of antigen showed a 1: 4,266 neutralizing antibody titer. However, in guinea pigs inoculated with a vaccine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Hantan virus (512u / 0.1ml), the neutralizing antibody titer was 1:30, and a mixed vaccine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Hantanvirus antigen (2,048u / 0.1ml) was used. Inoculated animals were able to demonstrate a high neutralizing antibody of 1: 289 against Hantan virus and a neutralizing antibody against Japanese encephalitis virus of 1: 4,291. Neutralizing antibodies against hantan virus were well formed in guinea pigs but not good in mice. Table 5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neutralizing antibodies in tissue culture cells by inoculation of guinea pigs and mice with a combination vaccine containing a certain amount of Japanese encephalitis virus antigen and various amounts of Hantan virus antigen. Similar to the grades shown in Table 4.

한탄바이러스백신에 있어서는 많은 양의 바이러스 항원이 있어야만 높은 역가의 중화항체를 생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한탄바이러스에 대한 충분한 중화항체를 얻으려면 적어도 1,024u/0.1㎖이상의 한탄바이러스 항원이 혼합백신 중에 있어야 한다는 사실이 증명되었다.It was found that high titers of neutralizing antibodies can only be produced in the anti-hanthan vaccine, but at least 1,024 u / 0.1 ml of the anti-tantan virus must be present in the mixed vaccine to obtain sufficient neutralizing antibodies against the anti-hantan virus. Has been proven.

[유행성출혈열 및 일본뇌염백신을 접종한 햄스터에서의 항체 형성][Antibody Formation in Hamsters Inoculated with Pandemic Hemorrhagic Fever and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제 3도는 일본뇌염백신과 84/105주, 76/118주 각각으로 만든 유행성출혈열백신을 각각 햄스터의 근육에 접종한 후의 항체형성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일본뇌염백신과 유행성출혈열백신을 약 1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하면 일본뇌염백신은 1:256, 84/105주로 만든 유행성출혈열백신은 1:2,048이라는 높은 역가의 형광 항체를 증명할 수 있었다. 제 4도는 일본뇌염-한탄 혼합백신을 햄스터에 2회 접종한 후의 항체형성 곡선인데 일본뇌염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는 뇌염 백신을 단독으로 주사하였을 때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한탄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는 단독으로 주사하였을때 보다 약하게 증명되었다.Figure 3 shows the antibody formation curves after inoculation of hamster muscles with pandemic hemorrhagic vaccines made with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and 84/105 and 76/118 strains, respectively. Two doses of the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and the epidemic hemorrhagic fever vaccine at about 1 month intervals demonstrated a high titer of fluorescent antibodies of 1: 2,048 for the epidemic hemorrhagic fever vaccine made with 1: 256 and 84/105 strains. Figure 4 shows the antibody formation curve after inoculating the hamster twice with the Japanese encephalitis-hantan mixed vaccine. The antibody against the Japanese encephalitis virus was higher than when the encephalitis vaccine was injected alone, but the antibody against the hantan virus was injected alone. It proved weaker when done.

이 결과는 일본뇌염-한탄 혼합백신을 랫트나 기니아픽에 주사하였을 때의 성적과 거의 유사하다.This result is almost similar to the results obtained when the Japanese encephalitis-hantan combination vaccine was injected into rats or guinea pigs.

[조직배양세포에서 증식한 일본뇌염바이러스 및 한탄바이러스로 만든 혼합백신][Mixed vaccine made with Japanese encephalitis virus and Hantan virus grown in tissue culture cells]

일본뇌염바이러스와 한탄바이러스를 조직 배양한 초대 햄스터 초대 신장 상피세포(Primary hamster kidney epithelial cells)에서 배양한 후 백신요 바이러스 하원으로 사용하였다. 제 5도는 초대 햄스터 신장 상치세포에서의 일본뇌염바이러스와 한탄바이러스의 성장곡선이다. 일본뇌염바이러스는 100 ID50의 바이러스를 조직 배양세포에 접종하면 7일 후에 약 107.0/1㎖의 바이러스 항원을 얻을 수 있었고 한탄바이러스 76/118주는 100 ID50의 바이러스를 접종하면 9일 후에 약 106.0/1㎖의 바이러스 항원을 얻을 수 있었으며 84/105주는 접종 7일후에 105.0/1㎖의 바이러스 항원을 얻을 수 있었다. 순수한 바이러스 향원을 초고속 원심침전으로 분리하여 0.05% 포르마린으로 4℃에서 2주간 처리 한 후, 뇌염 바이러스는 0.02%제라틴 용액에, 한탄바이러스는 알룸겔에 흡착하여 백신으로 사용하였다. 조직 배양한 일본뇌염-유행성출혈열 혼합백신은 마우스 뇌조직에서 만든 백신과 같이 일정한 양의 바이러스 항원을 혼합하여 만들었으며 햄스터와 기니아픽의 근육에 주사한 후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항체반응을 조사하였다. 제 6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조직 배양한 일본뇌염-한탄바이러스 혼합백신을 접종하고 3주 후에 일본뇌염바이러스에 대한 형광항체가를 측정하였는데 1:512였고, 한탄바이러스에 대한 형광항체가는 1:1,024였다.Japanese encephalitis virus and Hantan virus were cultured in primary hamster kidney epithelial cells in tissue culture and used as a vaccine virus virus house. 5 is a growth curve of Japanese encephalitis virus and Hantan virus in primary hamster kidney cells. Japanese encephalitis virus when inoculated with the virus in tissue culture cells 100 ID 50 when you could get a virus antigen of approximately 10 7.0 / 1㎖ inoculated with the virus to 100 ID 50 76/118 Hantaan virus after 7 days after 9 days about 10 6.0 / 1 ml of viral antigen was obtained, and 84/105 strains obtained 10 5.0 / 1 ml of viral antigen after 7 days of inoculation. Pure virus fragrance was isolated by ultra-fast centrifugation and treated with 0.05% formarin for 2 weeks at 4 ° C. Encephalitis virus was adsorbed in 0.02% gelatin solution and Hantan virus was used as vaccine. Tissue cultured Japanese encephalitis- pandemic hemorrhagic fever vaccines were prepared by mixing a certain amount of viral antigens, such as vaccines made in mouse brain tissues, and then injected into the hamster and guinea pig muscles and examined for antibody responses. As shown in FIG. 6, 3 weeks after the inoculation of the tissue cultured Japanese encephalitis-Hantan virus vaccine, the fluorescent antibody titer of the Japanese encephalitis virus was measured at 1: 512, and the fluorescent antibody titer of the hantan virus was 1: 1,024. .

[기대효과][Benefit]

새로 만든 일본뇌염백신 중에는 단백질 22㎍/㎖, Myelin basic protein 0.8ng/㎖이 함유되므로 뇌염백신 접종후의 부작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혼합백신의 경우 생물학적으로 순수한 항원이 요구되는데 상기 제조방법에 따른 일본뇌염의 항원과 한탄바이러스 항원을 혼합한 일본뇌염-유행성출혈열 혼합백신을 개발하므로서 한번의 접종으로 두가지 질병을 동시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The newly made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contains 22µg / ml protein and 0.8ng / ml Myelin basic protein, thus preventing side effects after encephalitis vaccine. In addition, biologically pure antigens are required in the case of mixed vaccines. By developing a Japanese encephalitis- pandemic hemorrhagic fever vaccine combined with the Japanese encephalitis antigen and the Hantan virus antigen according to the prepara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revent two diseases with a single inoculation. Can be harvested.

Claims (2)

일본 뇌염을 일으키는 일본 뇌염 바이러스를 생후 1-7일된 마우스 또는 조직배양된 초대 햄스터 신장 상피세포에 접종하여 배양하고 공지의 방법으로 바이러스 항원을 순수히 분리한 후 불활화 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뇌염 백신의 제조방법.Preparation of encephalitis vaccine prepared by inoculation of Japanese encephalitis virus causing Japanese encephalitis in 1-7 days old mouse or tissue cultured primary hamster kidney epithelial cells, purely isolated viral antigen by a known method, and then inactivated Way. 제 1항에 있어서, 일본 뇌염 백신의 아드주반트가 제라틴인 것을 특징으로 한는 일본 뇌염 백신의 제조방법.The method for producing a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juvant of the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is gelatin.
KR1019950022208A 1995-07-26 1995-07-26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production method KR01439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2208A KR0143925B1 (en) 1995-07-26 1995-07-26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produc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2208A KR0143925B1 (en) 1995-07-26 1995-07-26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produc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486A KR970006486A (en) 1997-02-21
KR0143925B1 true KR0143925B1 (en) 1998-07-01

Family

ID=66540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2208A KR0143925B1 (en) 1995-07-26 1995-07-26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produc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392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310B1 (en) * 2002-08-20 2008-10-27 주식회사 포스코 Automatic cleaning device of hot coil seg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486A (en)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95600B (en) Inactivated dengue virus vaccine with aluminium-free adjuvant
NZ311000A (en) Vaccine comprising a polysaccharide antigen-carrier protein conjugate and a free carrier protein
KR20170097116A (en) Foot-and-mouth disease vaccine
FI66020B (en) FRAMEWORK FOR ANTIGENIC IMMUNOGENIC SUBMITS OF HSV-1 AND HSV-2
KR101654023B1 (en) Live vaccine composition, inactivated vaccine composition and oral vaccine comprising the same from currently isolated attenuated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Perez et al. Production methods for rabies vaccine
US4400472A (en) Novel rabies virus strain and a process for its preparation
KR0143925B1 (en)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production method
CN105263518B (en) Novel vaccines composition comprising immunostimulatory oligonucleotide
KR20000069501A (en) In ovo vaccination against Newcastle Disease
KR0153085B1 (en) Japanese encephalitis-hemorrhagic fever renal syndrom
WO2005014803A1 (en) West nile virus vaccine
US3897549A (en) Herpes simplex type 2 virus vaccine and method of production and use
US4312947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vaccine against panleucopenia of the cat
US20050129707A1 (en) Vaccine comprising a polysaccharide antigen - carrier protein conjugate and free carrier protein
CN105169386B (en) A kind of novel universal type matrix vaccines adjuvant and its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EP0687471A1 (en) Production of an efficacious toxoplasma gondii bradyzoite vaccine in tissue culture
EP0491125B1 (en) Vaccines against equine herpes viruses and their preparation
WO2013011942A1 (en) Mutant canine madness virus and vaccine
KR0123538B1 (en) Vaccine mixture and diagnostic composition using antigens made of hantaan virus, seoul virus, puumala virus, belgrade virus and howang virus
Mancini et al. Cultivation of avian encephalomyelitis virus in vitro. 1. In chick embryo neuroglial cell culture
EP0002645B1 (en) Antigenic complex from neisseria gonorrhoeae, process and vaccine
RU2253467C1 (en) Dermatophitosis prevention and treatment vaccine for veterinary and medical use
CA2344336A1 (en) Vaccine preparations containing saponins
Li et al. Multiplication of poliomyelitis virus in monkey tissues grafted onto chorioallantois of chick embry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