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2553B1 - Suspension apparatus for steerable wheel - Google Patents

Suspension apparatus for steerable wheel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2553B1
KR0142553B1 KR1019920014774A KR920014774A KR0142553B1 KR 0142553 B1 KR0142553 B1 KR 0142553B1 KR 1019920014774 A KR1019920014774 A KR 1019920014774A KR 920014774 A KR920014774 A KR 920014774A KR 0142553 B1 KR0142553 B1 KR 0142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steering
vehicle body
wheel
a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47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40003765A (en
Inventor
이언구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20014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2553B1/en
Publication of KR940003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7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2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2553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02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상측이 인슐레이터 지지부로 차체에 지지되며, 하단이전측 로워 아암의 중간부 외측으로 탄성부시를 개재시킨 연결부로 연결되고 중간부에 전후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날개부의 양단에 어퍼 아암이 연결되는 스트러트아암과;양 선단으로 차체측단이 탄성부시를 개재시킨 연결부로 연결되고 휠측단은 조향너클의 상측단에 평면상으로 모아져 볼 죠인트로 연결되는 연결부에 연결되는 한쌍의 어퍼 아암과;상기 어퍼아암의 하측에 내측단에 탄성부시를 개재시킨 연결부로 연결되고 휠 측단은 조향너틀의 하측단에 볼죠인트에 의한 연결부로 연결된 한쌍의 로워아암으로 형성되어 어퍼아암이 만나는 점과 로워아암이 만나는 점을 연결한 선을 킹핀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가상 킹핀(kingpin)축의 설정을 용이하게 하고 가상의 링크를 만들어 롤 센터(Roll-Center)의 높이 변화율을 작게하여 설계 자유도를 높히고 조향 현상에 대한 민감도를 감소시켜 직진 안정성을 위시한 제반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upper side is supported by the vehicle body by the insulator support part, and the strut arm is connected to the both ends of the wing part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art through the elastic bushing outside the middle part of the lower arm of the lower side, and protrude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middle part. ; A pair of upper arm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vehicle body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through the elastic bush, and the wheel side e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ball joint is collected in a plane on the upper end of the steering knuckle; Under the upper arm A line connecting the point where the upper arm meets the point where the lower arm meets, formed by a pair of lower arm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teering nut by connecting joints with ball joints on the lower end of the steering nut. By providing a steering wheel suspension of a vehicle with a king pin shaft, the virtual kingpin shaft can be easily set and Create a link nophigo the design freedom by reducing the rate of change of the roll center height (Roll-Center) reduces the sensitivity of the steering phenomenon will have to enhance the overall handling stability wisihan a straight stability.

Description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Steering wheel suspension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현가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현가장치의 작동 설명을 위한 정면도,2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usp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작용에 의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의 설명도,3 to 4 are explanatory diagrams of the effects obtained by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종래 기술의 설명을 위한 일반적인 현가장치의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suspension for explaining the prior ar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스트러트 아암 2:조향너클1: Strut Arm 2: Steering Knuckle

3,4:로워아암 5:날개편3, 4: Lower arm 5: Wings

6,7:어퍼아암 10:지지부6,7: Upper arm 10: Support par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 킹핀(kingpin)축의 설정을 용이하게 하고 가상의 링크를 만들어 롤센터(Roll-Center)의 높이 변화율을 작게 하여 조정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캠버, 캐스터 변화에 대한 설계 자유도를 높힐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wheel suspension of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facilitate setting of a virtual kingpin shaft and to create a virtual link to reduce the height change rate of a roll center, thereby improving adjustment safe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wheel suspension of an automobile, which enables the design freedom of camber and caster changes.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있어서의 현가장치(Suspension System)라함음 차축과 프레임을 연결하고,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과 자동차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장치로서, 노면에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상하방향의 연결이 유연하여야 하고, 휠에 발생되는 구동력, 제동력, 선회시의 원심력등을 이겨낼 수 있는 수평 방향의 연결이 견고해야만 한다.In general, a suspension system in automobiles is a device that connects the axle and the frame and absorbs vibrations and shocks received from the road surface while driving to improve ride comfort and vehicle safety. For this purpose, the up and down connection should be flexible, and the conn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can withstand the driving force, braking force and centrifugal force in turning should be strong.

상기와 같은 현가장치에는 구조상으로 일체 차축 현가장치와, 독립현가장치로 구분되는데, 일체 차축 현가장치는 버스, 화물차등과 같은 대형차량과 승용차의 뒤차축에 적용되며, 독립 현가장치는 차축을 분할하여 양휠이 서로 관계없이 움직이게 하여 승차감과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한것으로서 승용차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Suspension system as described above is divided into an axle suspension system and an independent suspension system in structure, the axle suspension system is applied to the rear axle of large vehicles such as buses, trucks and passenger cars, the independent suspension system divides the axle As the two wheels mov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o improve ride comfort and stability, they are mainly applied to passenger cars.

이러한 현가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독립 현가장치에 관계되는데, 독립 현가장치에는 여러종류의 현가장치가 있으며 조향륜에 적용되는 현가장치로는 주로 맥퍼슨 타입(Macpherson strut type) 현가장치와 위시본 타입(Wishbone type) 현가장치가 적용되고 있다.In this suspension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ependent suspension device. In the independent suspension device, there are various types of suspension devices, and the suspension device applied to the steering wheel is mainly a Macperson strut type suspension device and a wishbone type. (Wishbone type) Suspension system is applied.

상기와 같은 조향륜 현가장치에 있어서는 노면으로 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함은 물론 주행중 자동차의 바른 자세를 유지하여 주어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고 선회시 조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다.In the steering wheel suspension system as described above, it is designed to absorb vibrations or shocks received from the road surface and to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of the vehicle while driving to ensure driving stability and to ensure steering safety during turning.

즉, 조향륜은 조향동작을 하기 때문에 킹핀으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방향을 변환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며, 또한 어떤 기하학적인 각도를 두고 설치되어 상기 조향륜으로서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at is, the steering wheel is installed to change the direction from side to side with the kingpin as the steering wheel is operated, and is installed at a certain geometric angle to satisfy the condition as the steering wheel.

이와같이 조향륜이 기하학적인 각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휠 얼라인먼트(Front Wheel Alignment)라 하며, 상기의 휠 얼라인먼트에는 여러 요소로 구별되나 이의 요소들이 서로 보완작용은 조향륜으로서의 이상적인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는데, 휠 얼라인먼트의 요소중 킹핀 경사각은 캠버(Camber)와 함께 핸들의 조작력을 경감시키고 제동및 주행시의 충격을 흡수하며, 핸들의 복원력을 증대시켜 주게 되므로 직진성을 안정되게 하여 자동차의 주행 안정성과 선회시의 조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this way, the steering wheel is installed at a geometric angle, called a wheel alignment, and the wheel alignment is classified into various elements, but its elements complement each other to make an ideal function as a steering wheel. Among the elements of the wheel alignment, the king pin inclination angle, together with the camber, reduces the steering force of the steering wheel, absorbs the shock during braking and driving, and increases the restoring force of the steering wheel. It ensures the stability of steering.

상기에서 킹핀 경사각은 자동차를 앞에서 보았을때 킹핀축이 수선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두고 설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의 킹핀축과 휠의 중심선과의 거리를 오프셋(Offset)이라 하는데, 보통 휠 센터에서의 오프셋과 지면에서의 오프셋 두가지로 분류하여 휠 센터에서의 오프셋은 주로 구동력이나 엔진 브레이크가 걸릴때 직진성에 영향을 미치며 지면에서의 오프셋 량이 적으면 적을수록 조향에 대한 민감성이 감소되어 안정성이 좋아지게 되고 제동및 선회시의 조종 안정성이 좋아지게 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kingpin inclination angle means that the kingpin shaft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waterline when the vehicle is viewed from the front. The distance between the kingpin shaft and the center line of the wheel is called an offset, Two kinds of offset and ground offset can be used to offset the wheel center, which mainly affects the straightness when the driving force or engine brake is applied. The smaller the offset amount on the ground, the better the stability due to the reduced sensitivity to steering. Improved steering stability during braking and turning

그리고 자동차의 안전성에 있어서는 차체의 진동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자동차는 주행 중에 차체의 상하진동(Bounce) 이외헤 로울링(Rolling), 피칭(Picthing), 요우잉(Yawing)이 일어나기 마련이며, 이들 진동을 유연하게 흡수하여야만 승차감은 물론 안정성이 향상되게 된다.And when it comes to car safety,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vibration of the car body. In the vehicle, rolling, pitching, yawing, etc. are generated in addition to the up and down vibration of the vehicle body, and the riding comfort and the stability are improved only by absorbing these vibrations flexibly.

이와같은 차체의 진동에 있어서, 자동차의 선회시에 발생되는 진동은 차체가 옆 방향으로 진동되는 것을 뜻하는 로울링이 심하게 발생되며, 이의 로울링이 선회시의 안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In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body, the vibration generated during the turning of the vehicle is severely generated, which means that the vehicle body is vibr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its rolling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stability during the turning.

즉, 로울링은 어떤점을 기준으로 하여 발생되며, 이 점을 로울센터(Roll Center)라고 칭하며 자동차의 로울링은 차체의 무게 중심이 로울센터 보다 높기 때문에 발생 되는데, 롤 센터 높이가 많이 변하면 한쪽에서 다른쪽으로의 무게 이동량이 많이 변하게 되고, 이러한 현상은 타이어에서의 슬립 앵글 변화가 많이 발생되므로 조향변화가 심하게 도어 직진 안전성을 비롯한 조종 안정성이 나빠지게 된다.In other words, the rolling is generated based on a certain point, which is called a roll center, and the rolling of the car occurs becaus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r body is higher than the roll center. The amount of weight movement from the side to the other side is changed a lot, and this phenomenon causes a lot of slip angle change in the tire, so that the steering change is severely worsened the steering stability including the door straight safety.

따라서 일반적으로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는 롤 센터 높이 변화율이 작은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general, it is preferable that the roll center height change rate is small in order to secure running stability.

상기와 같은 내용을 고려하여 종래 조향륜 현가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conventional steering wheel suspension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content as follows.

제5도는 일반적인 맥퍼슨 타입 현가장치로서, 맥퍼슨 현가장치는 조향너클(51)과 일체로 되어 있으며, 쇽 업소오버(52)가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스트러트 아암(53)과, 로워 아암(54) 및 보울 죠인트(55)로 구성된다.5 is a general McPherson-type suspension, in which the McPherson suspension is integrated with the steering knuckle 51, the strut arm 53, the lower arm 54, and the shock absorber 52 included therein. It is composed of a bowl joint 55.

이러한 현가장치에 있어서는 구조가 간단하고 스프링 밑 질량이 작으며 엔진룸의 유효체적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킹핀 오프셋(a)를 줄이거나 '-'로 하기 위하여는 스트러트 아암(53)의 상측 지지점(56)을 엔진룸측으로 이동시키거나 보올 죠인트(55) 부분을 외측으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상기에서와 같이 스트러트 아암(53)의 상측 지지점(56)을 엔진룸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엔진 룸의 유효체적이 줄어들고 킹핀각(α)이 지나치게 크게 되어 선회성능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문제점이 있다.This suspension has the advantage of simple structure, small mass under the spring and simpler effective volume of the engine compartment. However, in order to reduce the king pin offset (a) or set it to '-', the strut arm 53 It is necessary to move the upper support point 56 of the engine room side or the joint (55) portion to the outside, if the upper support point 56 of the strut arm 53 to move to the engine room sid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ective volume of the room is reduced and the king pin angle α is excessively large, which adversely affects the turning performance.

그리고 보울 죠인트(55)을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휠(57)측으로 형성되는 브레이크 디스크와의 간섭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며 킹핀오프셋(a)을 작게하는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bowl joint 55 is moved outward, it is almost impossible to move the bowl joint 55 by interference with the brake disk formed on the wheel 57 sid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king pin offset a is difficult to be made small.

또한, 휠(57)이 상하진동을 하거나 차체의 로울링시 스트러트 아암(53)의 차체에 대한 순간중심(C1)은 로워 아암(54)의 내측 연장선에 위치하게 되고, 그의 위치는 스트러트 아암(53)의 축방향에 대하여 상측 지지부(56)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로워 아암(53)의 연장선과 만나는 점에서 위치하게 된다.Further, when the wheel 57 vibrates up and down or when the vehicle body rolls, the instantaneous center of gravity C 1 of the strut arm 53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is located at the inner extension of the lower arm 54, and its position is the strut arm. It extends vertically from the upper support part 56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of 53, and is located in the point which meets the extension line of the lower arm 53. As shown in FIG.

그리고 순간중심 C1와 휠(57)의 접지부와의 연결선과 차체의 센터라인(CL)의 교점이 되는 위치가 로울 센터(RC)가 된다.The lower center RC is a position at which the connection line between the instantaneous center C 1 and the ground portion of the wheel 57 intersects with the center line CL of the vehicle body.

그러나 상기에서의 순간중심 C1과 로울 센터(RC)는 현가장치의 기구학적인 구성상 설정된 한 위치에 제한적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캠버, 캐스터 변화에 대한 설계 자유도가 극히 제한적이며, 롤 센터의 변화가 크게 발생되어 조종 안정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instantaneous center C 1 and the roll center RC are limited to one position set by the kinematic configuration of the suspension system, the design freedom of camber and caster change is extremely limited, and the change of the roll center is larg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teering stability is not goo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 킹핀축(kingpin)의 설정을 용이하게 하고 가상의 링크를 만들어 롤 센터(Roll-Center)의 높이 변화율을 작게 하여 조정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캠버, 캐스터 변화에 대한 설계 자유도를 높힐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setting of the virtual kingpin axis and to create a virtual link height change rate of the roll center (Roll-Center) It is to provide a steering wheel suspension of a vehicle that can reduce the size of the wheel, improve the safety of adjustment, and increase the design freedom of the camber and caster change.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측이 인슐레이터 지지부로 차체에 지지되며, 하단이전측 로워 아암의 중간부 외측으로 탄성부시를 개재시킨 연결부로 연결되고 중간부에 전후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날개부의 양단에 어퍼 아암이 연결되는 스트러트 아암; 양 선단으로 차체측단이 탄성부시를 개재시킨 연결부로 연결되고 휠측단은 조향너클의 상측단에 평면상으로 모아져 볼 죠인트로 연결되는 연결부에 연결되는 한쌍의 어퍼 아암과; 상기 어퍼 아암의 하측에 내측단에 탄성부시를 개재시킨 연결부로 연결되고 휠측단은 조향너틀의 하측단에 볼 죠인트에 의한 연결부로 연결된 한쌍의 로워아암으로 형성되어 어퍼아암이 만나는 점과 로뤄아암이 만나는 점을 연결한 선을 킹핀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In order to realize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ide is supported by the vehicle body by the insulator support part,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art through the elastic bushing outside the middle part of the lower arm of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part of the wing part protruding forward and backward in the middle part is formed. Strut arms to which arms are connected; A pair of upper arm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vehicle body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through the elastic bushing, and the wheel side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collected in a plane on the upper end of the steering knuckle and connected to the ball joint; The lower end of the upper arm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via the inner end via the elastic bush, and the wheel side end is formed of a pair of lower arm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teering nut by connecting joints with ball joints, and the upper arm meets the point of the lower arm.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steering wheel suspension of a vehicle having a kingpin shaft connected to a meeting point.

이하, 상기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현가장치의 일 실시예도로서, 스트러트 아암(1)은 쇽업소오버(8)와 스프링(9)의 조립체로 구성되어 상단이 일슐레이터 지지부(10)로서 차체에 지지되며, 하단은 전측 로워 아암(3)의 중간부 외측으로 탄성부시를 개재시킨 연결부(11)로 연결되어 차체의 상하방향으로 입력되는 힘을 주로 지지하게 된다.1 is an embodiment of the susp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t arm (1) is composed of the assembly of the shock absorber (8) and the spring (9), the upper end is supported by the vehicle body as the isolator support (10)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1 through the elastic bush outside the middle of the front lower arm 3 to mainly support the force inpu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그리고 상기 스트러트 아암(1)의 중간부에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고착되는 날개편(5)의 양측단에 어퍼아암(6)(7)의 차체측단이 탄성부시를 개재시킨 연결부(12)(13)로 연결된다.And the connection part 12 in which the vehicle body side ends of the upper arms 6 and 7 were interposed by the elastic bush in the both side ends of the blade piece 5 fixed in the state which protrudes in the front-back direction to the middle part of the said strut arm 1, Connected to (13).

이에따라 어퍼 아암(6)(7)의 휠측단은 조향너클(2)의 상측단에 평면상으로 모아져 볼 죠인트로 연결되는 연결부(14)(15)거리에 비하여 상당한 거리를 두고 연결되어지게 된다.Accordingly, the wheel side ends of the upper arms 6 and 7 ar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teering knuckle 2 in a planar distance and are connec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compared to the distance of the connecting parts 14 and 15 connected to the ball joint.

또한, 로워아암(3)(4)은 차체측단이 차체에 탄성부시를 개재시킨 연결부(16)(17)에 의하여 일정의 거리를 두고 연결되고 휠측단은 조향너클(2)의 하측단에 볼 죠인트를 개재시킨 연결부(18)(19)로 연결되어진다.In addition, the lower arm (3) (4) is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side end at a certain distance by the connecting portion (16) (17) with the elastic bushing through the vehicle body and the wheel side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teering knuckle (2) 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18, 19 through the joint.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토워아암(3)(4)의 차체측단 연결부(16)(17) 및 어퍼아암(6)(7)의 스트러트측단 연결부(16)(17),(12)(13)와 휠측 연결부(18)(19),(14)(15)의 높이는 필요로 하는 현가장치의 특성에 따라 변형이 가능한데, 본 발명에서는 그 일예로 로워 및 어퍼 아암(3)(4),(6)(7)모두를 수평이 유지되는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trut side end connecting portions 16, 17, 12 and 13 of the vehicle body side end connecting portions 16 and 17 and the upper arms 6 and 7 of the towing arms 3 and 4. ) And the height of the wheel-side connecting portions 18, 19, 14 and 15 can be modifi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spension requ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lower and upper arms 3 (4) and ( 6) (7) Although all of them are shown in a horizontal state, they are not limited thereto.

도면 중 비설명 부호 20은 조향륜에 있어서의 휠(21)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타이로드로서, 조향너클(2)과는 보올이음(22)으로 연결된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20 denotes a tie rod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wheel 21 in the steering wheel, and is connected to the steering knuckle 2 by a bowl joint 22.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제2도 내지 제4도를 보면서 설명하되, 제2도에서는 연결부에 대한 부호는 표시하지 않고 순간 중심에 대한 부호를 도시하였음을 전제하며, 그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but in FIG. 2, the reference for the instantaneous center is shown without the reference for the connection part. Same as

즉, 휠(21)이 상하진동을 하거나 차체가 로울링시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의 순간 중심을 살펴보면 스트러트 아암(1)에 대한 어퍼 및 로워 아암(6)(7),(3)(4)의 순간중심(C1)(C2)은 이의 연결부(12)(13),(11)가 되고, 어퍼 및 로워 아암(6)(7),(3)(4)에 대한 휠(21)의 순간중심(C3)(C4)은 이들의 휠측단 연결부(14)(15),(18)(19)가 되며, 차체에 대한 로워아암(3)(4)의 순간중심은(C5)은 로워아암(3)(4)의 차체측단 연결부(16)(17)가 된다.That is, when the wheel 21 vibrates up and down or when the vehicle body rolls, looking at the instantaneous center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suspension, the upper and lower arms 6, 7, and 3 for the strut arm 1 The instantaneous center of gravity C 1 (C 2 ) becomes its joints 12, 13, 11 and the wheels for the upper and lower arms 6, 7, 3, 4 The instantaneous center of gravity C 3 (C 4 ) becomes their wheel side connections 14, 15, 18 and 19, and the instantaneous center of the lower arm 3 and 4 relative to the vehicle body (C 5 ) becomes the vehicle body side end connection portions 16 and 17 of the lower arms 3 and 4.

그리고 차체에 대한 스트러트 아암(1)의 순간중심(C6)은 스트러트 아암(1)의 하단 연결부(11)와 로워 아암(3)의 차체측 연결부(16)의 내측 연장선에 위치하게 되고, 그의 위치는 스트러트 아암(1)의 축방향에 대하여 상측 지지부(10)에서 직각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로워아암(3)(4)의 연장선과 만나는 점에서 위치하게 된다.And the instantaneous center C6 of the strut arm 1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is located at the inner extension of the lower connection portion 11 of the strut arm 1 and the vehicle side connection portion 16 of the lower arm 3, and its position Extends perpendicularly from the upper support 10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trut arm 1 and is positioned at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extension lines of the lower arms 3 and 4.

또한, 차체에 대한 휠(21)의 순간중심(C7)은 스트러트 아암(1)의 축방향에 대하여 상측 지지부(10)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선과, C4C5의 연장선과의 교점으로 이것은 휠(21)의 상하 운동시 수시로 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instantaneous center C 7 of the wheel 21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is the intersection of the line extending perpendicularly from the upper support 10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trut arm 1 and the extension line of C 4 C 5 .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wheel 21 is often changed.

따라서 상기 스트러트 아암(1)에 대한 어퍼아암(6)(7)의 순간중심(C1)과 차체에 대한 스트러트 아암(1)의 순간중심(C6)을 연결하여 도면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선분 C1C6이 가상의 스윙아암 즉, 가상의 어퍼아암이 된다.Therefore, the line segment shown by the dotted line in the figure is connected by connecting the instantaneous center C 1 of the upper arms 6 and 7 with respect to the strut arm 1 and the instantaneous center C 6 of the strut arm 1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C 1 C 6 becomes the virtual swing arm, that is, the virtual upper arm.

이에따라 가상의 어퍼아암인 선분의 길이는 제3도에서와 같이 대단히 길어서 순간중심(C1)의 상하 변위에 대한의 선회각은 극히 미소하다.As a result, the line is a virtual upper arm The length of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a very long moment center (C 1), as shown in FIG. 3 The turning angle is extremely smile.

그러므로 순간중심(C1)의 높이 변화는 상대적으로 작게 되며, 이것은 순간중심 C7과 휠(11)의 접지부와의 연결선과 차체의 센터라인(CL)의 교점이 되는 로울 센터(RC)의 높이(H) 변화가 작게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로울센터(RC)의 높이(H) 변화가 작다는 것은 주행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안정되는 것이므로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height change of the instantaneous center C 1 is relatively small, which is the intersection of the center line CL of the vehicle body with the connection line between the instantaneous center C 7 and the ground of the wheel 11 and the center line CL of the vehicle body. It means that the change in height (H) is made small, and the change in height (H) of the roll center (RC) is small because the running stability is relatively stabl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unning stability.

또한, 상기와 같은 현가장치에 있어서의 킹핀축은 제4도에서와 같이 어퍼아암(6)(7)의 휠측단으로 연장하여 교차하는 교차점(B1)과 로워아암(3)(4)의 휠측단을 연장하여 교차되는 교차점(B2)이 연결되는 가상선분으로 형성되는 바, 킹핀축의 설정시 어퍼아암(6)(7)의 길이를 신축시키거나 로워아암(3)(4)의 외측 연결부(18)(19)의 거리 및 길이를 신축시켜 조정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따른 캠버, 캐스터각의 설정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ing pin shaft in the suspens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extends to the wheel side ends of the upper arms 6 and 7 as shown in FIG. 4 and intersects B 1 and the wheels of the lower arms 3 and 4 that intersect. It is formed of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intersection point B 2 intersecting by extending the side end. When the kingpin shaft is set, the length of the upper arm 6, 7 is stretched or the outer connection of the lower arm 3, 4 is formed. The distance and length of (18) and (19) can be stretched and adjusted, and the camber and caster angle can be easily set accordingly.

따라서 킹핀축의 설정이 용이하여 조향현상에 대한 민감도를 감소시켜 직진 안정을 위시한 제반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이에따른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t is easy to set the king pin shaft to reduce the sensitivity to steering phenomena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steering, including the straight stability, and to effectively use the space accordingly.

그리고 일반적인 맥퍼슨 타입 현가장치에서느 스프링을 차체와의 마찰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편심시켜야 하고 그 외경 자체가 커져야 하며, 조향시스트러트 아암 자체도 킹핀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므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일정의 공간을 확보 해야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러트 아암(1)의 상측 지지부(10)를 외측으로 밀어내어 엔진룸의 유효체적을 크게 할 수 있게 된다.And in general McPherson type suspension, the spring should be eccentric to avoid friction interference with the body and the outer diameter itself should be large, and the steering shaft arm itself also rotates around the kingpin shaft to secure a certain space to prevent interference.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pport 10 of the strut arm 1 can be pushed outward to increase the effective volume of the engine room.

또한, 차체의 높이를 낮출 수 있는 바, 운전자의 시계를 높이고 히프 포인트(Hip Point)를 내릴 수 있어 자동차의 설계시 차체 중심을 낮출 수 있으며, 킹핀축 주위의 관성 모우멘트가 작아져 시미(Shimmy)현상을 억제하는데 유리한 발명인 것이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body can be lowered, the driver's clock can be increased and the hip point can be lowered, so that the center of the body can be lowered when designing the car. It is an advantageous invention to suppress the phenomenon.

Claims (1)

상측이 인슐레이터 지지부(10)로 차체에 지지되며, 하단이전측 로워아암(3)의 중간부 외측으로 탄성부시를 개재시킨 연결부(11)로 연결되고 중간부에 전후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날개부(5)의 양단에 어퍼 아암(6)(7)이 연결되는 스트러트 아암(1)과; 양 선단으로 차체측단이 탄성부시를 개재시킨 연결부(12)(13)로 연결되고 휠측단은 조향너클(2)의 상측단에 평면상으로 모야져 볼 죠인트로 연결되는 연결부(14)(15)에 연결되는 한싸의 어퍼아암(6)(7)과;상기 어퍼아암(2)(3)의 하측에 내측단에 탄성부시를 개재시킨 연결부(16)(17)로 연결되고 휠 측단은 조향너틀(2)의 하측단에 볼 죠인트에의한 연결부(18)(19)로 연결된 한쌍의 로워 아암(6)(7)으로 형성되어 어퍼아암(6)(7)이 만나는 점(B1)과 로워아암(3)(4)이 만나는 점(B2)을 연결한 선을 킹핀축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The upper side is supported by the vehicle body by the insulator support 10, the wing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1 through the elastic bush through the middle portion of the lower lower arm side lower arm 3 and protruding forward and backward in the middle portion ( A strut arm 1 to which upper arms 6 and 7 are connected at both ends of 5); At both ends, the vehicle body side ends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s 12 and 13 via the elastic bushing, and the wheel side ends are connected to the ball joints in a planar manner to the upper end of the steering knuckle 2 and the connection parts 14 and 15. Hana upper arm (6) (7) connected to;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arm (2) (3)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6) and (17) through the elastic bush in the inner end and the wheel side end of the steering nut At the lower end of (2), it is formed by a pair of lower arms (6) and (7) connected by connecting joints (18) and (19) by ball joints, where the upper arms (6) and (7) meet (B1) and the lower A steering wheel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e connecting the point (B2) where the arms (3) and (4) meet is a kingpin shaft.
KR1019920014774A 1992-08-17 1992-08-17 Suspension apparatus for steerable wheel KR01425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4774A KR0142553B1 (en) 1992-08-17 1992-08-17 Suspension apparatus for steerable whe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4774A KR0142553B1 (en) 1992-08-17 1992-08-17 Suspension apparatus for steerable whe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765A KR940003765A (en) 1994-03-12
KR0142553B1 true KR0142553B1 (en) 1998-08-01

Family

ID=19338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4774A KR0142553B1 (en) 1992-08-17 1992-08-17 Suspension apparatus for steerable whe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2553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765A (en) 199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0370B1 (en) Steering wheel suspension system
KR0131299B1 (en) 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
KR0131300B1 (en) Suspension apparatus
US5431429A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US5346241A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for a steerable wheel
US5558360A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for a steerable drive wheel
JPH0450166Y2 (en)
KR0136260B1 (en) Suspension apparatus
JPS6357307A (en) Double-link type suspension device
US5405162A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for steerable wheel
KR0142554B1 (en) Suspension system for a steerable wheel
KR0131309B1 (en) Suspension mounting for controlling change in camber and tread
US5380035A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for front wheels
US7784807B2 (en) Wheel suspension for motor vehicles
KR910008158B1 (en) Rear suspension apparatus
US5560637A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US3171642A (en) Vehicle wheel suspension having lateral compliance
KR0136259B1 (en) Rear suspension apparatus
KR0142553B1 (en) Suspension apparatus for steerable wheel
JP2920087B2 (en) Steering drive wheel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s
KR0131296B1 (en) Suspension apparatus
KR0131297B1 (en) Suspension apparatus
KR0139519B1 (en) Suspension system
KR100207104B1 (en) Steering wheel suspension for a vehicle
KR0131308B1 (en) Rear suspens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