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413B1 - 베터리의 저전압 발생시 전원 제어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베터리의 저전압 발생시 전원 제어회로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413B1
KR0140413B1 KR1019950015227A KR19950015227A KR0140413B1 KR 0140413 B1 KR0140413 B1 KR 0140413B1 KR 1019950015227 A KR1019950015227 A KR 1019950015227A KR 19950015227 A KR19950015227 A KR 19950015227A KR 0140413 B1 KR0140413 B1 KR 0140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voltage
central processing
processing unit
voltage detection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5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441A (ko
Inventor
허만철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15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413B1/ko
Publication of KR970004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4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7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according to available power supply, e.g. switching off when a low battery condition is det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저전압 공급시 위치 도그회로의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중앙처리장치가 동작 불능의 상태가 되어도 계속 워치 도그회로가 동작하여 불필요한 전류의 소비가 많았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중앙처리장치가 동작 불능 상태일 경우에 워치 도그회로의 전원전압을 차단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이상동작을 사전에 제거하며, 불필요한 전류의 소비를 억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

Description

베터리의 저전압 발생시 전원 제어회로 및 방법.
제1도는 종래의 중앙처리장치의 이상동작 감시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베터리의 저전압 발생시 전원 제어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중앙처리장치 40:스위칭부
50:워치 도그회로 60:저전압 감지부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에서 자동 전원제어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의 공급전원이 저전압일 경우에 감시회로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중앙처리장치의 이상동작 감시 회로도로서,
중앙처리장치(10)가 이상동작을 할 경우에는 감시펄스가 워치 도그회로(20)로 인입되지 않으므로 이때 상기 워치 도그회로(20)는 이르 감지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10)로 리셋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10)를 리셋 시킨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전원 공급수단인 배터리의 전압이 서서히 내려가서 중앙처리장치(10)가 동작 불능 상태가 되어도 계속 워치 도그회로(20)가 동작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10)가 더 이상의 작업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치하는 잠금기능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상기 워치 도그회로(20)에 공급되는 전압에 의하여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가 지속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전압이 설정전압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 워치 도그회로의 전원을 차단하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불필요한 베터리 전력의 소모를 방지하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발명에 따른 베터리의 저전압 발생시 전원 제어 회로도로서,
중앙처리장치(10)는 베터리로부터 전원전압을 공급받아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감시펄스를 발생하여 워치 도그회로(50)로 인가하고 저전압 감지부(60)로부터 저전압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동작을 정지하고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스위칭부(40)는 상기 베터리와 워치 도그회로(5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저전압 감지부(60)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워치 도그회로(50)를 베터리로부터 차다한다. 상기 워치 도그회로(50)는 상기 베터리로부터 전원전압이 유입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30)로부터 감시펄스가 입력되고 이에 대응하는 리렛신호를 상기 중앙처리장치(30)에 제공한다. 사기 저전압 감지부(60)는 베터리로부터 유입되는 전원전압을 감지하여 설정된 감지전압 까지 떨어질 경우에 동작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30) 및 스위칭부(40)로 저전압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베터리로부터 설정전압 이상의 전압이 공급될 경우 중앙처리장치(30)는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나, 만약 베터리의 공급전압이 저전압 감지부(60)에 설정된 감지전압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는 상기 저전압 감지부(60)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30) 및 스위칭부(40)로 저전압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상시 중앙처리장치(30)는 저전압 감지부(60)로부터 저전압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모든 동작을 정지하고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이상동작 상태가 발생하므로 워치 도그회로(50)는 상기 중앙처리장치(30)로 리셋신호를 출력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위칭부(40)는 상기 저전압 감지부(60)로부터 출력되는 저전압 감지 신호를 받아 상기 워치 도그회로(50)로 공급되는 베터리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절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베터리로부터 저전압 공급시 발생할 수 있는 중앙처리장치의 이상동작을 사전에 제거 할 수 있고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이상동작을 감시하여 이상동작 발생시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워치 도그회로를 구비한 감시회로 전원 제어장치에 있어서, 베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설정된 전압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 저전압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저전압 감지수단과, 상기 베터리와 워치 도그회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저전압 감지수단으로부터 저전압 감지신호가 입력 될시에 상기 워치 도그회로로 공급되는 상기 베터리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절체하는 스위칭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회로 전원 제어장치.
  2.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이상동작을 감시하여 이상동작 발생시 상시 중앙처리장치로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워치 도그회로를 구비한 감시회로 전원 제어방법에 있어서, 베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설정된 전압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 저전압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저전압 감지과정과, 상기 저전압 감지과정으로부터 저전압 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워치 도그회로를 베터리로부터 차단 시키는 전원 오프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회로 전원 제어방법.
KR1019950015227A 1995-06-09 1995-06-09 베터리의 저전압 발생시 전원 제어회로 및 방법 KR0140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227A KR0140413B1 (ko) 1995-06-09 1995-06-09 베터리의 저전압 발생시 전원 제어회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227A KR0140413B1 (ko) 1995-06-09 1995-06-09 베터리의 저전압 발생시 전원 제어회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441A KR970004441A (ko) 1997-01-29
KR0140413B1 true KR0140413B1 (ko) 1998-07-01

Family

ID=19416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5227A KR0140413B1 (ko) 1995-06-09 1995-06-09 베터리의 저전압 발생시 전원 제어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41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441A (ko) 1997-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8087B1 (ko) 휴대용 정보처리기기의 전원공급 제어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59251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power saving mode
US5551077A (en) Portable telephone equipment with condition restoration
JP2005323479A (ja) 電源回路及びその電源回路を有する機器
US7213160B2 (en) Power management apparatus, power management method, and power management system
KR0140413B1 (ko) 베터리의 저전압 발생시 전원 제어회로 및 방법
US7047431B2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for allowing a computer to wake up before receiving notification of power failure
JP3411516B2 (ja) 直流安定化電源
CN111371073B (zh) 一种输出短路保护电路及其保护控制方法
JP3918833B2 (ja) 遠方監視システム
JP2000278108A (ja) ウォッチドッグ回路および充電制御装置
US10340798B2 (en) Switching control method for a dual auxiliary power supply
KR200486844Y1 (ko) 사물 인터넷 기반의 컴퓨터 전원 제어 장치
KR20000025277A (ko)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전원 제어 회로
KR100304610B1 (ko) 건전지사용전자기기의전원제어장치및방법
CN113131600B (zh) 一种电源控制系统、电器设备及电器设备控制方法
KR100418043B1 (ko) 무선전화기의배터리과방전방지장치및방법
CN110048472B (zh) 控制器的备用电源操作方法
KR10065148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전압 상태에서 긴급통화 방법
KR19980046941A (ko) 배터리 과방전 방지장치
KR0184483B1 (ko) 불안정한 동작전압 공급시 오동작 방지회로
JPH05108503A (ja) 停電処理方式
KR900001483B1 (ko) 시스템 콘트롤러가 내장된 전원 제어회로의 구동방법
KR100607938B1 (ko) 건전지 사용 전자기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4054560A (ja) 電源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