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216Y1 - 세탁기의 수위감지센서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수위감지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216Y1
KR0140216Y1 KR2019960001646U KR19960001646U KR0140216Y1 KR 0140216 Y1 KR0140216 Y1 KR 0140216Y1 KR 2019960001646 U KR2019960001646 U KR 2019960001646U KR 19960001646 U KR19960001646 U KR 19960001646U KR 0140216 Y1 KR0140216 Y1 KR 01402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water level
case
washing machine
leve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16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1893U (ko
Inventor
윤관태
Original Assignee
서명환
주식회사대한중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명환, 주식회사대한중천산업 filed Critical 서명환
Priority to KR20199600016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216Y1/ko
Publication of KR9700518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18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2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2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기의 수위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1)와, 보빈(2), 커버(3) 및, 기타 내장부품들로 수위조절센서가 이루어지되, 케이스(1)에 보빈(2)과 이 보빈(2)의 외주면을 감싸는 코일(4)이 인서트성형되어 일체화되어지고, 보빈(2)에 하우징(2b)이 형성되며, 주파수조정나사(12)가 2개가 구비되어진 구조로 되어,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수위감지기능이 향상되며, 콘넥터와의 고정성이 향상되어지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수위감지센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수위감지센서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선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요부분해도.
제4도는 종래 기술로서, 제1도에 대한 대응도.
제5도는 종래 기술로서, 제2도에 대한 대응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보빈(Bobbin)
2a : 고정턱 2b : 하우징
3 : 커버 4 : 코일
4a : 터미날 5 : 코어
6 : 푸셔 7 : 다이어프램(Diaphragm)
8 : 스프링가이드 9 : 1차스프링
10 : 2차스프링 11 : 어드져스트보울트
12 : 주파수조정나사 13 : 콘넥터
14 : 케이블 15 : 페턴서키트보드
16 : 페턴서키트보드커버 17 : 브라켓트
18 : 프로텍터
본 고안은 세탁기에 내장되어지는 수위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수위감지기능이 향상되며, 콘넥터와의 고정성이 향상되어지도록 된 세탁기의 수위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생활이 윤택해짐에 따라 세탁기가 가정에서의 필수품으로 wk리하게 되었는데, 많은 양의 빨래감을 처리할 수 있고 또한 세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대형세탁기가 연구·생산되어지는 추세이고, 이에 따라 소비자의 구매도 대형세탁기를 선호하게 되었다.
상기 세탁기는 크게 수동세탁기와 자동세탁기로 구분되어지는데, 기술이 급속도로 발달되어짐에 따라 자동세탁기를 통상 세탁기라고 지징하고 있는 바, 본 명세서에서의 세탁기 역시 자동세탁기를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세탁기의 기능이 보강되고 다양화됨에 따라 많은 부품들이 내장되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작업자가 전원버튼과 세탁선택버튼을 조작하면 세탁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바, 본 고안은 상기 부품중, 세탁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CPU에 전달하여 줌으로써 이 CPU에 의해 세탁량에 따라 적절한 수위를 유지하며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위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종래 수위감지센서는 세탁기 자체에 페턴서키트보드가 내장되어진 것과, 페턴서키트보드가 수위감지센서 자체에 구비되어진 것으로 구분되어지는데, 이하 언급되어 설명되어지는 수위감지센서는 페턴서키트보드가 세탁기 자체에 내장되어진 것으로 하며, 그 구조는 제4도와, 제5도에 도시되어져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21)와, 이 케이스(21)에 삽입고정되어지는 보빈(22), 상기 케이스(21)에 조립되어지는 커버(23), 상기 보빈(22) 삽입부의 외주면과 케이스(21)의 삽입구멍 사이에 고정되어지는 코일(24), 상기 보빈(22)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지는 코어(25), 이 코어(25)에 삽입되어지는 푸셔(26), 이 푸셔(26)에 밀착되어지도록 상기 케이스(21)에 내장되어지는 다이어프램(27), 1차스프링(29)과 2차스프링(30)이 양면에 각각 고정되어지는 스프링가이드(28), 이 스프링가이드(28)에 고정되고 상기 푸셔(26)에 삽입되어지는 1차스프링(29), 상기 스프링가이드(28)와 어드져스트보울트(31)에 고정되어지는 2차스프링(30), 이 2차스프링(30)이 외부로 이탈되어지는 것이 방지되어지도록 상기 보빈(22)에 고정되어지는 어드져스트보울트(31) 및, 상기 보빈(22)에 삽입되어 코일(24)을 따라 상·하 이동되어짐으로써 주파수를 조정하여주는 주파수조정스크류(32)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되, 상기 보빈(22)의 측부에 구비되어진 연결부에는 고정턱(22a)이 형성되고, 이 고정턱(22a)에는 상기 코일(24)의 리드(Lead)부인 터미날(24a)이 돌출되게 인출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종래의 수위감지센서는 세탁기에 내장되어짐에 있어서, 상기 터미날(24a)이 페턴서키트보드와 버퍼IC 및 PCU에 순차적으로 접속되어지고, 상기 케이스(21)가 호스를 매개로 세탁조의 저면부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물이 세탁조에 공급되어 수위가 변화되어지면, 상기 호스내부의 공기압이 증가되어지고, 이 공기압이 상기 호스와 연통되어진 커버(23)내부로 전달되어, 상기 다이어프램(27)이 보빈(22)쪽으로 이동되어 이 다이어프램(27)에 밀착되어진 푸셔(26)가 1차스프링(29)를 밀어부치며 보빈(22)쪽으로 이동되어짐으로써 코어(4)가 푸셔(26)과 함께 이동되어지는데, 이와 같이 코어(4)가 이동되어지면, 코어(4)의 위치변화에 따라 변화되어지는 코일(24)의 자속력과 유도기전력이 상기 터미날(24a)에 케이블을 매개로 연결되어진 페턴서키트보드에 전달되어지고, 이 페턴서키트보드에 의해 물리적인 입력데이타가 전기적인 데이타로 전환되어 CPU에 전달되어, 이 CPU에 의해 물공급장치가 제어되어짐으로써, 작업자에 의해 선택되어진 물공급량만큼 물공급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된다.
또한, 상기 주파수조정나사(32)를 조작하여 주파수조정나사(32)를 코일(24)을 따라 이동시키게 되면, 코일(24)의 자속력과 유도기전력이 미세하게 변화되어짐으로써, CPU의 물공급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각각의 업체에서 생산되어진 세탁기에 내장되어지는 CPU와 호환성을 갖게 되어 사용범위가 확대되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수위감지센서는 케이스(21)와 보빈(22)이 별개의 부품으로 되어 있어서, 조립시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케이스(21)에 보빈(22)을 삽입고정시켜야 됨으로써 조립이 번거롭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어지는 한편, 상기 수위감지센서를 세탁기에 설치한 후 수위감지센서의 터미날에 콘넥터(33)를 삽입하여 고정턱(22a)에 콘넥터(33)를 고정시키게 되는데, 세탁기가 작동하게 되면 모터의 작동에 따른 진동의 발생으로 인하여 콘넥터(33)가 상기 고정턱(22a)으로부터 이탈되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짐으로써 수위감지센서의 수위감지신호가 CPU에 전달되어지지 못하고 단락되어 세탁기가 오작동되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수위감지센서는 주파수를 조정하도록 되어진 주파수조정나사(32)가 1개로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주파수조정나사(32)를 1개로 이용할 경우 0~2KHZ로 주파수의 이용범위가 한정되어, 대형세탁기일 경우에는 상기 수위감지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사실상 무의미하게 되고, 주파수를 조정할 경우, 모터의 진동으로 인하여 주파수조정나사(32)가 조정위치에서 이탈되어지기가 용이하게 되어 주파수의 미세조정이 난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수위감지기능이 향상되며, 콘넥터와의 고정성이 향상되어지도록 하는 세탁기의 수위감지센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와, 보빈, 커버 및, 기타 내장부품들로 수위조절센서가 이루어지되, 케이스에 보빈과 이 보빈의 외주면을 감싸는 코일이 인서트성형되어 일체화되어지고, 보빈에 하우징이 형성되며, 주파수조정나사가 2개의 구비되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수위감지센서의 평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I-I선 단면도이며, 제3도는 제2도의 요부분해도인 바, 케이스(1)와, 이 케이스(1)에 인서트성형되어지는 보빈(2), 상기 케이스(1)에 조립되어지는 커버(3), 상기 보빈(2) 삽입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보빈(2)과 함께 인서트성형되어지는 코일(4), 상기 보빈(2)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지는 코어(5), 이 코어(5)에 삽입되어지는 푸셔(6), 이 푸셔(6)에 밀착되어지도록 상기 케이스(1)에 내장되어지는 다이어프램(7), 1차스프링(9)과 2차스프링(10)이 양면에 각각 고정되어지는 스프링가이드(8), 이 스프링가이드(8)에 고정되고 상기 푸셔(6)에 삽입되어지는 1차스프링(9), 상기 스프링가이드(8)와 어드져스트보울트(11)에 고정되어지는 2차스프링(10), 이 2차스프링(10)이 외부로 이탈되어지는 것이 방지되어지도록 상기 보빈(2)에 고정되어지는 어드져스트보울트(11) 및, 상기 보빈(2)에 삽입되어 코일(4)을 따라 상·하 이동되어짐으로써 주파수를 조정하여주는 2개의 주파수조정스크류(12)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되, 상기 보빈(2)의 측부에 구비되어진 연결부에는 고정턱(2a)이 형성되고, 이 고정턱(2a)에는 상기 코일(4)의 리드(Lead)부인 터미날(4a)이 돌출되게 인출되며, 이 터미날(4a)의 하부에 하우징(2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3도에 도시되어진 미설명부호 14는 콘넥터(13)와 페턴서키트보울트(15)의 연결부재인 케이블이고, 15는 물리적값을 입력받아 전기적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하여주는 페턴서키트보드이며, 또한 16은 페턴서키트보드(15)를 보호하여주는 페턴서키트보드커버이고, 17은 상기 수위조절센서를 세탁기에 고정시에 이용되는 브라켓트(17)이며, 18은 페턴서키트보드(15)를 이용하지 않을 시에 외부로부터의 간섭을 방지하여주는 프로텍터이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수위감지센서는, 케이스(1)의 성형시 외주면에 코일(4)이 감싸여진 보빈(2)이 인서트성형되어 일체화됨으로써, 상기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조립시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케이스(21)에 보빈(22)을 삽입고정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는 한편, 하우징(2b)이 보빈(2)의 연결부에 구비되어짐으로써, 모터가 작동되어 진동이 발생되어지더라도 상기 고정턱(2a)에 고정되어진 콘넥터(13)가 하우징(2b)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고정턱(2a)으로부터 콘넥터(13)가 이탈되어지는 것이 억제되어진다.
또한,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주파수를 조정하도록 되어진 주파수조정나사(12)가 2개로 보강되어짐으로써 주파수의 이용범위가 0~2KHZ로 확대되어, 일반 중·소형세탁기는 물론 대형세탁기에 이용되더라도 그 기능을 충분하게 발휘하게 되고, 주파수를 조정할 경우, 모터의 진동으로 인하여 주파수조정나사(12)가 조정위치에서 이탈되어지더라도 1개의 주파수조정나사(12)가 보강되어짐으로써 주파수의 미세조정이 용이하게 되어진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세탁기의 수위감지센서에 의하면, 케이스에 보빈과 코일이 인서트성형되어 일체화되어짐으로써 조립공수가 절감되어 생산성이 향상되어지고, 보빈에 하우징이 구비되어짐으로써 고정턱으로부터 콘넥터가 이탈되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CPU의 제어에 의한 세탁기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주파수조정나사가 2개로 보강되어짐으로써 주파수의 이용범위가 확대되고 미세조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수위감지센서의 기능이 향상되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케이스(1)와, 이 케이스(1)에 삽입고정되어지는 보빈(2), 상기 케이스(1)에 조립되어지는 커버(3),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과 케이스(1)의 삽입구멍 사이에 고정되어지는 코일(4), 상기 보빈(2)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지는 코어(5), 이 코어(5)에 삽입되어지는 푸셔(6), 이 푸셔(6)에 밀착되어지도록 상기 케이스(1)에 내장되어지는 다이어프램(7), 1차스프링(9)과 2차스프링(10)이 양면에 각각 고정되어지는 스프링가이드(8), 이 스프링가이드(8)에 고정되고 상기 푸셔(6)에 삽입되어지는 1차스프링(9), 상기 스프링가이드(8)와 어드져스트보울트(11)에 고정되어지는 2차스프링(10), 이 2차스프링(10)이 외부로 이탈되어지는 것이 방지되어지도록 상기 보빈(2)에 고정되어지는 어드져스트보울트(11) 및, 상기 보빈(2)에 삽입되어 코일(4)을 따라 상·하 이동되어짐으로써 주파수를 조정하여주는 주파수조정나사(12)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되, 상기 보빈(2)의 측부에 구비되어진 연결부에는 고정턱(2a)이 형성되고, 이 고정턱(2a)에는 상기 코일(4)의 리드(Lead)부인 터미날(4a)이 돌출되게 인출되어진 수위감지센서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에 보빈(2)과 이 보빈(2)의 외주면을 감싸는 코일(4)이 인서트성형되어 일체화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수위감지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의 연결부에 하우징(2b)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수위감지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조정나사(12)가 2개가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수위감지센서.
KR2019960001646U 1996-02-03 1996-02-03 세탁기의 수위감지센서 KR01402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1646U KR0140216Y1 (ko) 1996-02-03 1996-02-03 세탁기의 수위감지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1646U KR0140216Y1 (ko) 1996-02-03 1996-02-03 세탁기의 수위감지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893U KR970051893U (ko) 1997-09-08
KR0140216Y1 true KR0140216Y1 (ko) 1999-05-15

Family

ID=19450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1646U KR0140216Y1 (ko) 1996-02-03 1996-02-03 세탁기의 수위감지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2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833B1 (ko) * 2007-08-28 2012-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수위감지센서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9432B1 (ko) * 1999-02-25 2001-05-02 구자홍 세탁기의 수위/진동 센서 고정장치
KR100336421B1 (ko) * 2000-04-11 2002-05-10 이종갑 기판 자재 제조공정에서의 현상액 거품 제거방법 및제거장치
KR100377760B1 (ko) * 2000-12-29 2003-03-2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수위센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833B1 (ko) * 2007-08-28 2012-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수위감지센서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893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0216Y1 (ko) 세탁기의 수위감지센서
US4167301A (en) Power cord strain relief
WO2003001545A3 (en) Circuit breaker
CN102002842A (zh) 用于保护洗衣机用压力传感器的设备
CN216338554U (zh) 一种可识别的自动投料装置
JP6334110B2 (ja) 洗濯機
KR101171882B1 (ko) 물 이용 기기용 수위감지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회로기판 조립체
US20020137388A1 (en) Power adapter and the power cord take-up device thereof
EP1942220B1 (en) Sensor device for determining the angular position of a wash drum of a washing machine
KR200176605Y1 (ko) 개선된 컨트롤 보드를 갖는 세탁기
EP0680127A3 (fr) Dispositif d'enroulement d'un cordon électrique autour d'un boítier d'appareil
KR200381117Y1 (ko) 가전 기기의 코드릴
JP4589557B2 (ja) 洗濯機
KR910007910Y1 (ko) 복사기의 발 스위치
PL362390A1 (en) Adapter for fixing water level regulators
KR200267229Y1 (ko) 독립형 센서 스위치
KR960001126B1 (ko) 진공 청소기 출력 제어장치
KR100703656B1 (ko) 세탁기 동력전달장치용 솔레노이드구조
KR19980063373U (ko) 세탁기의 급수밸브 고정구조
KR100731630B1 (ko) 편향요크용 권형 결합구조
JPH0637834Y2 (ja) 排水用ホース
KR200155405Y1 (ko) 세탁기용 플러그
KR200142506Y1 (ko) 세탁기
ES8103217A1 (es) Caja de mando para un accionamiento de posicionado para ma- quinas de coser industriales
CN114207209A (zh) 洗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