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351Y1 - 복합전자렌지의 고주파누설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복합전자렌지의 고주파누설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351Y1
KR0139351Y1 KR2019950021597U KR19950021597U KR0139351Y1 KR 0139351 Y1 KR0139351 Y1 KR 0139351Y1 KR 2019950021597 U KR2019950021597 U KR 2019950021597U KR 19950021597 U KR19950021597 U KR 19950021597U KR 0139351 Y1 KR0139351 Y1 KR 01393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cover
wall
coupling portion
cover member
high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15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398U (ko
Inventor
이석희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215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351Y1/ko
Publication of KR9700103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3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3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3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6Prevention of microwave leakage, e.g. door seal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캐비티와 히터커버부재를 기밀하게 결합시켜 고주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합전자렌지의 고주파누설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히터커버부재(26)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ㄷ자 형상의 히터커버부재(26)의 히터커버결합부(26a)와, 상기 조리실(3)내로 부터 외부로 고주파의 누설을 차단하도록 상기 히터커버부재(26)의 히터커버결합부(26a)와 결합되는 ㄷ자형상의 내측벽결합부(5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전자렌지의 고주파누설방지장치
제1도는 종래의 복합전자렌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A-A를 따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복합전자렌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복합전자렌지의 히터커버부재와 내측벽이 압착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결합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5 : 내측벽
5a : 내측벽결합부 5b,5c : 절곡부
25 : 가열수단 26 : 히터커버부재
26a : 히터커버결합부 26b,26c : 절곡부
본 고안은 내측벽과 히터커버부재를 기밀하게 결합시켜 고주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합전자렌지의 고주파누설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합전자렌지는 제1도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내의 일측에 장착되어 음식물을 수용 및 가열조리되도록 조리실(3)을 형성하는 내측벽(3)과, 상기 렌지본체(1)내의 타측에 구획형성된 기계실(7)과, 상기 내측벽(5)의 바닥에 회전가능케 장착되어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조리되도록 회전되는 턴테이블(9)과, 상기 기계실(7)의 일측벽에 장착되어 고압을 발생시키는 전원공급수단(11)과, 상기 내측벽(5)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조리실(3) 내부로 고주파를 안내하는 도파관(13)과, 상기 도파관(13)의 측벽에 장착되어 상기 전원공급수단(11)의 고압을 인가받아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15)과, 상기 기계실(7)의 후측벽에 장착되어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켜 렌지가동시 렌지내부를 냉각시키는 송풍수단(17)과, 상기 내측벽(5)의 외부 후측벽에 커버부재(19)를 매개로 장착되어 조리실(3)내의 열풍을 순환시키는 열풍순환수단(21)과, 상기 내측벽(5)의 외부 측면에 고정 결합되어 외부의 공기를 조리실(3) 내부로 안내하는 덕트부재(23)와, 상기 내측벽(5)의 천정에 장착되어 조리실(3)의 온도를 상승시켜 음식물을 가열 조리하는 가열수단(2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벽(5)의 천정부에는 상기 가열수단(25)에서 가열된 열이 외부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가열수단(25)을 지지하는 히터커버부재(26)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내측벽(5)에는 그 일측벽에 상기 기계실(7)과 연통되어 외부의 공기가 조리실(3) 내부로 유입되도록 흡입구(5a)가 형성되어 있고, 그 타측벽에는 조리실(3)내의 공기가 배기되도록 배기구(5b)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후측벽에는 상기 열풍순환수단(21)의 송풍력에 의해 조리실(3)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열풍순환구(27)가 형성되어 있고, 그 천정에는 상기 가열수단(25)의 가동에 의한 발열에 의해 발생되는 열기가 조리실(3) 내부로 유입되도록 열기흡입구(29)가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4)는 도어를 나타내고, 부호(1a)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멍을 나타내고, 부호(31)은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부재를 나타내고, 부호(29)는 상기 가열수단에서 발생된 열이 통과하는 열기흡입구를 나타내고, 부호(22)는 열풍순환수단(21)이 가동됨에 따라 회전되는 송풍팬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복합전자렌지의 고주파누설방지장치는 마그네트론(15)의 발진에 의해 가열조리를 행할 경우에는 턴테이블(9) 상측에 음식물을 올려놓고 도어(4)를 닫은 다음 도시하지 않은 조작수단에 의해 조작조건을 선택하면 전원공급수단(11)을 통해 고압의 전압을 인가받아 마그네트론(15)이 가동되어 고주파가 발생되고, 상기 고주파는 도파관(13)을 따라 이동되어 도파관(13) 일측과 연통된 캐비티(5)의 상부측을 통하여 조리실(3) 내부로 발산됨과 동시에, 턴테이블(9)의 상부에 놓인 음식물의 내부로 침투 및 흡수됨으로써, 음식물을 가열 조리시키게 된다.
가열수단(25)의 발열에 의해 가열 조리를 행할 경우에는 턴테이블(9)의 상부에 음식을 올려놓고 도어(4)를 닫은 다음 도시하지 않은 조작버튼을 선택하면, 전원공급수단(11)을 통해 고압의 전압을 인가받아 가열수단(25)이 가동되어 발열되면서 고온의 열을 발생시키게 되고, 또 가열수단(25)의 동작과 동시에 전원을 인가받아 열풍순환수단(21)이 가동되어 송풍팬(22)이 회전됨으로써, 커버부재(19)내에 형성된 열기가 내측벽(5)의 열풍흡입구(29)를 통하여 조리실(3) 내부로 공급됨과 동시에, 턴테이블(9)의 상부에 놓인 음식물을 가열 조리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마그네트론(15)의 동작시나 또는 가열수단(25)의 동작시 렌지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 즉 내측벽(5)의 외부벽에 장착된 전원공급수단(11), 마그네트론(15) 및 열풍순환수단(21)의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열기는 송풍수단(17)의 동작에 의한 송풍력에 의해 기계실(7)의 후측벽에 형성된 다수개의 유입구멍(1a)을 통하여 기계실(7)의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화살표방향과 같이 렌지내부로 넓게 확산되는 외부공기의 접촉에 의해서 냉각되어 지고, 공기배출부재(31)를 통하여 렌지외부로 배출되어 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복합전자렌지는 내측벽(5)과 히터커버부재(26)가 기밀하게 결합되지 못하여 상기 내측벽(5) 내부의 고주파가 누설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측벽과 히터커버부재를 기밀하게 결합하여 고주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합전자렌지의 고주파 누설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조리실을 형성하는 내측벽과, 이 내측벽의 천장부에 결합되어 가열수단을 지지하는 히터커버부재를 구비한 복합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히터커버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히터커버결합부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조리실내로부터 외부로 고주파의 누설을 차단하도록 상기 히터커버부재의 히터커버결합부와 상호결합되는 내측벽결합부도 ㄷ자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제3도와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복합전자렌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복합전자렌지의 히터커버부재와 내측벽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결합단면도이다.
또한, 제1도 내지 제2도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인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체(1)내의 일측에 장착되어 음식물을 수용 및 가열조리되도록 조리실(3)을 형성하는 내측벽(5)과, 상기 내측벽(5)의 바닥에 회전가능케 장착되어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조리되도록 회전되는 턴테이블(9)과, 상기 내측벽(5)의 외부 후측벽에 커버부재(19)를 매개로 장착되어 조리실(3)내의 열풍을 순환시키는 열풍순환수단(21)과, 상기 내측벽(5)의 천정에 장착되어 조리실(3)의 온도를 상승시켜 음식물을 가열 조리하는 가열수단(2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벽(5)의 천정부에는 상기 가열수단(25)에서 가열된 열이 외부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가열수단(25)을 지지하는 히터커버부재(26)가 압착 결합되어 있다.
상기 히터커버부재(26)는 상기 히터커버부재(26)의 가장자리를 따라 ㄷ자 형상의 히터커버부재(26)의 히터커버결합부(26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벽(5)의 상부에는 상기 히터커버부재(26)의 히터커버결합부(26a)와 결합되어 상기 조리실(3)내로부터 외부로 고주파의 누설을 차단하도록 ㄷ자형상의 내측벽결합부(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히터커버부재(26)의 히터커버결합부(26a) 및 내측벽(5)의 내측벽결합부(5a)의 중간부에는 절곡부(5b,5c)(26b,26c)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히터커버부재(26)의 히터커버결합부(26a)에 형성된 절곡부(26c)는 상기 내측벽(5)의 내측벽결합부(5a)에 형성된 절곡부(5b)(5c)사이에 배치되어 당접되며, 상기 내측벽(5)의 내측벽 결합부(5a)에 형성된 절곡부(5c)는 상기 히터커버부재(26)의 히터커버결합부(26a)에 형성된 절곡부(26b)(26c)사이에 배치되어 당접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4)는 도어를 나타내고, 부호(31)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부재를 나타내고, 부호(29)는 상기 가열수단에서 발생된 열이 통과하는 열기흡입구를 나타내고, 부호(22)는 열풍순환수단(21)이 가동됨에 따라 회전되는 송풍팬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복합전자렌지는 마그네트론(도시되지 않음)의 발진에 의해 가열조리를 행할 경우에는 턴테이블(9) 상측에 음식물을 올려놓고 도어(4)를 닫은 다음 도시하지 않은 조작수단에 의해 조작조건을 선택하면 전원공급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고압의 전압을 인가받아 마그네트론이 가동되어 고주파가 발생되고, 상기 고주파는 도파관(도시되지 않음)을 따라 이동되어 도파관 일측과 연통된 내측벽(5)의 상부측을 통하여 조리실(3) 내부로 발산됨과 동시에, 턴테이블(9)의 상부에 놓인 음식물의 내부로 침투 및 흡수됨으로써, 음식물을 가열 조리시키게 된다.
가열수단(25)의 발열에 의해 가열 조리를 행할 경우에는 턴테이블(9)의 상부에 음식을 올려놓고 도어(4)를 닫은 다음 도시하지 않은 조작버튼을 선택하면, 전원공급수단을 통해 고압의 전압을 인가받아 가열수단(25)이 가동되어 발열되면서 고온의 열을 발생시키게 되고, 또 가열수단(25)의 동작과 동시에 전원을 인가받아 열풍순환수단(21)이 가동되어 송풍팬(22)이 회전됨으로써 커버부재(19)내에 형성된 열기가 내측벽(5)의 열풍흡입구(29)를 통하여 조리실(3) 내부로 공급됨과 동시에, 턴테이블(9)의 상부에 놓인 음식물을 가열 조리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마그네트론의 동작시나 또는 가열수단(25)의 동작시 렌지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 즉, 내측벽(5)의 외부벽에 장착된 전원공급수단, 마그네트론, 및 열풍순환수단(21)의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열기는 송풍수단(도시되지않음)의 동작에 의한 송풍력에 의해 기계실의 후측벽에 형성된 다수개의 유입구멍을 통하여 기계실의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화살표방향과 같이 렌지내부로 넓게 확산되는 외부공기의 접촉에 의해서 냉각되어 지고, 공기배출부재(31)를 통하여 렌지외부로 배출되어 진다.
이때, 상기 내측벽(5)의 내측벽결합부(5a)와 히터커버부재(26)의 히터커버결합부(26a)가 기밀하게 결합되어 즉, 상기 히터커버부재(26)의 히터커버결합부(26a)에 형성된 절곡부(26c)가 상기 내측벽(5)의 내측벽결합부(5a)에 형성된 절곡부(5b)(5c)사이에 배치되어 당접되어 있고, 상기 내측벽(5)의 내측벽 결합부(5a)에 형성된 절곡부(5c)는 상기 히터커버부재(26)의 히터커버결합부(26a)에 형성된 절곡부(26b)(26c)사이에 배치되어 당접되어 있어 고주파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여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복합전자렌지의 고주파누설방지장치에 의하면, 캐비티와 히터커버부재가 기밀하게 결합되어 렌지가동시 상기 캐비티 내부의 고주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체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3)

  1. 조리실(3)을 형성하는 내측벽(5)과, 이 내측벽의 천장부에 결합되어 가열수단(25)을 지지하는 히터커버부재(26)를 구비한 복합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히터커버부재(26)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히터커버결합부(26a)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조리실(3)내로부터 외부로 고주파의 누설을 차단하도록 상기 히터커버부재(26)의 히터커버결합부(26a)와 상호결합되는 내측벽결합부(5a)도 ㄷ자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전자렌지의 고주파누설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커버결합부(26a)의 중앙부가 하부로 돌출된 절곡부(26b,26c)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내측벽결합부(5a)의 중앙부가 하부로 돌출된 절곡부(5b,5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전자렌지의 고주파누설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커버부재(26)의 히터커버결합부(26a)에 형성된 절곡부(26c)는 상기 내측벽(5)의 내측벽결합부(5a)에 형성된 절곡부(5b)(5c)사이에 배치되어 당접되며, 상기 내측벽(5)의 내측벽 결합부(5a)에 형성된 절곡부(5c)는 상기 히터커버부재(26)의 히터커버결합부(26a)에 형성된 절곡부(26b)(26c)사이에 배치되어 당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전자렌지의 고주파누설방지장치.
KR2019950021597U 1995-08-21 1995-08-21 복합전자렌지의 고주파누설방지장치 KR01393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1597U KR0139351Y1 (ko) 1995-08-21 1995-08-21 복합전자렌지의 고주파누설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1597U KR0139351Y1 (ko) 1995-08-21 1995-08-21 복합전자렌지의 고주파누설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398U KR970010398U (ko) 1997-03-29
KR0139351Y1 true KR0139351Y1 (ko) 1999-03-20

Family

ID=19421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1597U KR0139351Y1 (ko) 1995-08-21 1995-08-21 복합전자렌지의 고주파누설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35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398U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19927Y1 (ko) 컨백션 전자렌지
KR100335050B1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KR20020042347A (ko) 전자레인지의 히터시스템
KR100301904B1 (ko) 할로겐램프를구비한전자레인지의냉각장치
KR100395559B1 (ko) 히터를 가지는 전자렌지
US6965101B2 (en) Cooling structure for oven door of microwave oven usable as pizza oven
KR0139351Y1 (ko) 복합전자렌지의 고주파누설방지장치
JPH09229377A (ja) 電子レンジ
KR100395929B1 (ko) 강제 대류식 전자렌지
KR100633173B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구조
KR0138560B1 (ko) 복합전자렌지
JPH1082529A (ja) 電子レンジの調理室形成装置
KR0129626Y1 (ko) 벽면매립형 전자렌지의 냉각공기순환장치
CA2446834C (en) Toroidal waveguide for a microwave cooking appliance
KR100390490B1 (ko) 전자렌지의 히팅장치
KR200189009Y1 (ko) 전자레인지의 고내공기 배기장치
KR0175881B1 (ko) 전자렌지의 턴테이블구동장치
KR920000557Y1 (ko) 오븐전자레인지의 전면부 냉각장치
KR19980017801U (ko) 전자렌지
KR100402459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히터 냉각장치
KR100377739B1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100377747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KR19980022666U (ko) 오븐렌지의 냉각장치
KR100303534B1 (ko) 전자렌지
GB2035768A (en) Combination microwave and convection ov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