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987Y1 - 개별 고장표시와 영구접지 기능을 갖는 과전압 자동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개별 고장표시와 영구접지 기능을 갖는 과전압 자동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987Y1
KR0138987Y1 KR2019950022552U KR19950022552U KR0138987Y1 KR 0138987 Y1 KR0138987 Y1 KR 0138987Y1 KR 2019950022552 U KR2019950022552 U KR 2019950022552U KR 19950022552 U KR19950022552 U KR 19950022552U KR 0138987 Y1 KR0138987 Y1 KR 01389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voltage
ground
molten
permanent
pro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25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1358U (ko
Inventor
이경재
용세정
정기호
Original Assignee
최덕인
한국표준과학연구원부설기초과학지원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덕인, 한국표준과학연구원부설기초과학지원연구소 filed Critical 최덕인
Priority to KR20199500225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987Y1/ko
Priority to US08/604,436 priority patent/US5699220A/en
Priority to BE9600200A priority patent/BE1009570A4/fr
Publication of KR9700113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3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9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9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00Details of spark gaps
    • H01T1/12Mean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park gap f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1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having a single gap or a plurality of gaps in parallel
    • H01T4/12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having a single gap or a plurality of gaps in parallel hermetically sealed

Abstract

본 고안은 개별 고장표시와 영구접지기능을 갖는 과전압 자동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낙뢰 써어지를 비롯한 이상 과전압이 교환기 시스템측 전자회로로 침입할 시 부하기기를 신속, 정확하고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또한 지속적인 과전압 요인이 유입될 시는 영구접지와 개별고장 표시기능이 자동 동작되어 통신시스템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보호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장확인이 용이하여 통신시스템의 운용과 유지보수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이고 유용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별 고장표시와 영구접지기능을 갖는 과전압 자동 보호장치
제1도는 종래의 과전압 자동 보호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분해 사시도.
(b)는 정상상태시의 등가 회로도.
(c)는 정상상태시의 동작상태도.
(d)는 과전압 유입시 등가 회로도.
(e)는 과전압 유입시 동작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개별 고장표시와 영구 접지 기능을 갖는 과전압 자동 보호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분해 사시도.
(b)는 정상 상태시의 등가 회로도.
(c)는 정상상태시의 동작상태도.
(d)는 과전압 유입시 고장표시와 영구접지 동작 등가 회로도.
(e)는 과전압 유입시 고장표시와 영구접지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가스튜브방전관현재가 12, 13 : 전극면
11a : 접지극 14 : 영구접지측 스프링 접속바
24 : 고장표시등측 스프링 접속바 14c, 14d, 24c, 24d : 접점
15, 16 : 용융절연체 18 : 고장표시등
19 : 전원 L1, L2 : 가입자측 선로
T1, T2 : 교환기측 선로
본 고안은 통신시스템의 과전압 자동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낙뢰 써어지를 비롯한 이상 과전압이 교환기 시스템측 전자 회로로 침입할시 부하기기를 신속, 정확하고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또한 지속적인 과전압 요인이 유입될시는 영구접지와 개별 고장 표시 기능이 자동 동작되어 통신시스템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보호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장확인이 용이하여 통신시스템의 운용과 유지 보수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이며 유용한 개별고장표시와 영구접지기능을 갖는 과전압 자동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의 (a)는 종래의 과전압 자동보호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b),(c)는 정상상태시의 등가회로도 및 동작 상태도이며, (d), (e)는 임계치 이상의 과전압 요인이 유입될시 동작한 등가회로도 및 동작 상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입자측 선로(L1,L2)가 과전압보호소자인 가스튜브방전관(1)의 양측 전극면(2,3)에 접속되고 상기 양측 전극면(2,3)에 홈부(2a,3a)가 형성되어, 그 홈부(2a,3a)에 단턱부(5a,6a)를 갖는 용융절연체(5,6)가 삽입되며, 상기 가스튜브방전관(1)의 접지극(1a)을 삽입한 스프링 접속바(4)의 양측 접속편(4a,4b)이 상기 용융절연체(5,6)를 누르게 설치되어, 과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용융절연체(5,6)가 녹음으로써 상기 스프링 접속바(4)의 양측 접속편(4a,4b)이 양측 전극면(2,3)에 접촉되어 가입자측 선로(L1,L2)로부터 유입되는 과전압 요인을 접지(7)로 흐르게 되도록 구성되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보호장치에 있어서는 낙뢰 및 이상과전압 써어지가 가입자측 선로(L1,L2)로부터 교환기측 선로(T1,T2)로 유입될시 가스튜브방전관(1)은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가스가 이온화되면서 가입자측 선로(L1,L2)에 접속되어 있는 가스튜브방전관(1)의 전극면(2,3)과 접지(7)측이 자동 방전하여 과전압 요인이 교환기측 선로(T1,T2)로 유입되는 것을 방호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지속적으로 과전압 요인이 유입될시는 과전압보호소자인 가스튜브방전관(1)에서 발화가 생겨 열화로 인한 특성변화 및 파손등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그 가스튜브방전관(1)의 양전극면(2,3)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그의 홈부(2a,3a)에 삽입된 용융 절연체(5,6)가 제1도의 (e)와 같이 녹게 되어 스프링 접속바(4)의 양측 접속편(4a),(4b)이 그 전극면(2,3)에 접촉되므로 제1도의 (d)의 등가회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때 가입자측 선로(L1,L2)로부터 유입되는 지속적인 과전압요인이 접지극(1a)을 통해 접지(7)로 흐르게 되어 교환기측 선로(T1,T2)의 부하기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과전압 보호장치에 있어서는 지속적인 과전압요인이 유입될 시 가스튜브방전관(1)이 발화가 되면서 용융절연체(5,6)가 녹아 과전압요인을 접지(7)로 흘러 보냄으로써 교환기측의 시스템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는 있지만, 이를 교체하기 전에는 가입자측 선로는 접지측과 영구적으로 단락 상태가 됨으로써 통화를 할 수 없게 되어 양질의 통화 서어비스는 물론 운용 및 보수유지 관리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감안하여, 지속적인 과전압 요인이 가입자측 선로로부터 유입될 시 영구적으로 접지가 됨과 동시에 개별 고장 표시등이 점등되어 그 고장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검출할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개별 고장표시와 영구접지 기능을 갖는 과전압 자동보호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분해 사시도이고, (b)는 정상상태시의 등가회로도, (c)는 정상상태시의 동작상태도, (d)는 과전압 유입시 고장 표시와 영구접지 동작 등가 회로도, (e)는 과전압 유입시 고장표시와 영구 접지 동작상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입자측 선로(L1,L2)가 과전압 보호소자인 가스튜브방전관(11)의 양전극면(12,13)에 접속되고, 상기 양측 전극면(12,13)에 홈부(12a,13a)가 형성되어, 그 홈부(12a,13a)에 단턱부(15a,16a)를 갖는 용융절연체(15,16)가 삽입되며, 상기 용융절연체(15,16)의 중앙에 분리대(15b,16b)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 분리대(15b,16b)를 사이에 두고 소정거리에 통공(15c,15d,16c,16d)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튜브 방전관(11)의 접지극(11a)을 삽입한 영구접지측 스프링 접속바(14)의 양측 접속편(14a,14b)에 내측을 향하는 돌기접점(14c,14d)이 형성되고, 그 돌기접점(14c,14d)이 상기 용융절연체(15,16)의 통공(15c,16c)에 절반깊이쯤 끼워져 누르게 설치되고, 고장표시등(18)에 접속한 고장표시등측 스프링 접속바(24)의 양측 접속편(24a,24b)에 내측을 향하는 돌기접점(24c,24d)이 형성되고, 그 돌기접점(24c,24d)이 상기 용융절연체(15,16)의 통공(15d,16d)에 절반깊이쯤 끼워져 누르게 설치되어, 가입자측 선로(L1,L2)에 유입되는 과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용융절연체(15,16)가 녹음으로써 그 용융절연체(15,16)의 통공(15c,16c,14d,16d)에 끼워져 있는 돌기접점(14c,14d,24c,24d)이 상기 양측 전극면(12,13)에 접촉되며, 이에 따라 가입자측 선로(L1,L2)에 유입되는 과전압 요인을 접지극(11a)을 통해 접지(17)로 흐르게 함과 아울러 개별 고장표시등(18)이 점등되어 고장상태임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하면 다음과 같다.
가입자측 선로(L1,L2)에 임계치 이하의 과전압 요인이 유입될시는 과전압보호소자인 가스튜브방전관(11)이 양측전극면(12,13)과 접지측(17) 사이에서 자동방전되어, 가입자측선로(L1,L2)는 접지(17)와 폐로회로를 형성하여 과전압 요인을 제한시키다가 과전압 요인이 제거되면, 자동적으로 가입자측 선로(L1,L2)는 접지(7)측과 개로회로가 형성되면서 정상적인 통신시스템 운영이 된다.
즉, 이때 제2도의 (c)와 같이 용융절연체(15,16)의 통공(15c,16c,15d,16d)에 끼워져 있는 영구접지측 스프링 접속바(14)의 양측 접속편(14a,14b)의 돌기접점(14c,14d) 및 고장표시등측 스프링 접속바(24)의 양측 접속편(24a,24b)의 돌기접점(24c,24d)이 양측 전극면(12,13)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태로 되어 제2도의 (b)와 같은 등가회로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정상적인 통신시스템 운영이 된다.
한편, 가입자측 선로(L1,L2)에 과전압 보호소자인 가스튜브 방전관(11)의 임계치 이상의 지속적인 과전압 요인이 유입되면, 가스튜브 방전관(11)의 양측전극면(12,13)과 접지(17)측이 접속되어 그 양측 전극면(12,13)에서 열이 발생되므로, 용융절연체(15,16)가 용융되면서 접지측 스프링 접속바(14)의 양측 접속편(14a,14b)에 형성된 돌기접점(14c,14d)이 제2도의 (e)와 같이 가스튜브 방전관(11)의 양측 전극면(12,13)과 접속되어 가입자측 선로(L1,L2)로부터 유입되는 과전압을 접지극(11a)을 통해 안전하게 접지(17)로 흘릴 수 있고, 또한 이때 용융절연체(15,16)가 임계치 이상의 과전압 요인에 의해 제2도의 (e)와 같이 녹게 되면 개별 고장표시등(18)의 일측 전극면이 접속되어 있는 고장표시등측 스프링 접속바(24)의 양측 접속편(24a,24b)의 돌기접점(24c,24d)이 가스 튜브 방전관(11)의 양측 전극면(12,13)에 상기 영구접지측 스프링 접속바(14)와 연동으로 접속된다. 즉, 용융절연체(15)가 과전압 요인에 의해 녹는 경우에는 제2도의 (e)와 같이 스프링 접속바(14),(24)의 일측 접속편(14a),(24a)에 형성된 돌기 접점(14c),(24c)이 가스튜브 방전관(11)의 전극면(12)에 모두 접속되고, 또한 용융절연체(16)가 과전압 요인에 의해 녹는 경우에는 스프링 접속바(14),(24)의 타측 접속편(14b),(24b)에 형성된 돌기접점(14d),(24d)이 가스튜브 방전관(11)의 전극면(13)에 모두 접속되어 제2도의 (d)와 같은 등가회로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때 전원(19)이 개별고장표시등(18)을 통한 후 상기 스프링 접속바(24,14)의 일측 접속편(24a,14a)을 통하거나 타측 접속편(24b,14b)을 통해 접지(17)로 흐르게 되면서 상기 개별고장표시등(18)이 점등되어 고장상태임을 표시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입자측 선로에 과전압소자인 가스튜브 방전관의 임계치 전압 이상의 과전압 요인이 유입될 때 영구접지 상태로 되어 통신 시스템을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이때 그 과전압 보호소자의 고장상태를 표시하여 주며, 이에 따라 많은 보호장치가 밀집되어 있는 상태에서 육안으로도 용이하게 고장상태의 보호장치를 신속, 정확하게 검출하여 교체할 수 있어 통신시스템 운용 및 보수유지가 매우 편리함은 물론, 양질의 통화 서어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가입자측 선로(L1,L2)에 접속됨과 아울러 홈부(12a,13a)가 형성될 양전극면(12,13)을 구비하고 접지에 접속된 접지극(11a)을 갖는 가스튜브 방전관(11)과, 단턱부(15a,16a)에 통공(15c,15d,16c,16d)이 형성되고 상기 양전극면(12,13)의 홈부(12a,13a)에 삽입되는 용융절연체(15,16)와, 상기 가스튜브 방전관(11)의 접지극(11a)이 삽입되고 양측 접속편(14a,14b)의 내측에 돌기접점(14c,14d)이 형성되어 상기 용융절연체(15,16)의 통공(15c,16c)에 끼워져 누르게 설치되는 영구접지측 스프링 접속바(14)와, 개별 고장표시등(18)에 접속되고 양측 접속편(24a,24b)의 내측에 돌기접점(24c,24d)이 형성되어 상기 용융절연체(15,16)의 통공(15d,16d)에 끼워져 누르게 설치되는 고장표시등측 스프링 접속바(24)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고장표시와 영구접지기능을 갖는 과전압 자동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용융절연체(15,16)의 단턱부(15a,16a)의 중앙에 분리대(15b,16b)를 형성하고, 그 분리대(15b,16b)를 사이에 두고 소정거리에 통공(15c,15d,16c,16d)을 형성하여, 영구접지측 스프링 접속바(14) 및 고장표시등측 스프링 접속바(24)를 대향되게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고장 표시와 영구접지기능을 갖는 과전압 자동 보호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영구접지측 및 고장표시등측 스프링 접속바(14,24)의 돌기접점(14c,14d,24c,24d)은 용융절연체(15,16)의 통공(15c,15d,16c,16d)에 절반 깊이쯤 끼워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고장표시와 영구접지기능을 갖는 과전압 자동 보호장치.
KR2019950022552U 1995-08-28 1995-08-28 개별 고장표시와 영구접지 기능을 갖는 과전압 자동 보호장치 KR01389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2552U KR0138987Y1 (ko) 1995-08-28 1995-08-28 개별 고장표시와 영구접지 기능을 갖는 과전압 자동 보호장치
US08/604,436 US5699220A (en) 1995-08-28 1996-02-21 Overvoltage automatic prevention apparatus having an individual fault display and permanent ground functions
BE9600200A BE1009570A4 (fr) 1995-08-28 1996-03-06 Appareil pour la protection automatique contre les surtensions presentant des fonctions de signalisation individuelle des defauts et de mise a la terre permanen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2552U KR0138987Y1 (ko) 1995-08-28 1995-08-28 개별 고장표시와 영구접지 기능을 갖는 과전압 자동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358U KR970011358U (ko) 1997-03-29
KR0138987Y1 true KR0138987Y1 (ko) 1999-05-15

Family

ID=19421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2552U KR0138987Y1 (ko) 1995-08-28 1995-08-28 개별 고장표시와 영구접지 기능을 갖는 과전압 자동 보호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699220A (ko)
KR (1) KR0138987Y1 (ko)
BE (1) BE1009570A4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6626A (en) * 1988-06-03 1989-10-24 Reliance Comm/Tec Corporation Central office protector module with alarm indicator
DE4026004A1 (de) * 1990-08-14 1992-02-20 Krone Ag Schutzschaltung und schutzstecker in telekommunikationsanlagen
JP3290209B2 (ja) * 1992-08-22 2002-06-10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避雷管
US5282109A (en) * 1993-05-27 1994-01-25 Tii Industries Back-up air gaps
SE514854C2 (sv) * 1994-04-12 2001-05-07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g för indikering av säkringsf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E1009570A4 (fr) 1997-05-06
US5699220A (en) 1997-12-16
KR970011358U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9221B1 (ko) 통신장치용 보호회로 및 보호플러그
CA1067953A (en) Line protector for communication circuit
CA2359789C (en) Compact fused disconnect switch
KR101873065B1 (ko) 토크 제한 터미널을 구비하는 전기 퓨즈
CA1331479C (en) Line protector for a communications circuit
US20070025042A1 (en) Protection apparatus
US4161762A (en) Gas tube arrester prot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protector
US4642723A (en) A heat protection device for overvoltage arrester magazines
US5321574A (en) Circuit breaker/surge arrestor package in which the arrestor uses an MOV that is thermally de-coupled from the breaker's thermal trip circuit
CA1257323A (en) Station protector for telecommunications systems
KR0138987Y1 (ko) 개별 고장표시와 영구접지 기능을 갖는 과전압 자동 보호장치
CA1157908A (en) Valve type voltage arrester device
US4008452A (en) Current limiting fuse device for relatively high current
KR0138988Y1 (ko) 개별 고장표시와 영구접지 기능을 갖는 과전류 자동 보호장치
KR890002940A (ko) 고전압회로용 휴즈
JP3089352B2 (ja) 保護装置付蓄電池
KR20100094531A (ko) 열동형 과부하 보호 기능을 구비한 과전압 피뢰기
AU665692B2 (en) Protective plug for terminal and disconnect blocks of the telecommunication and data technique
US2891193A (en) Spark gap assembly
CN219592117U (zh) 一种便于更换熔断器的浪涌保护器
EP4258318A1 (en) Fuse assemblies and protective circuits and methods including same
KR19990019539U (ko) 휴즈 단락시 자동복원장치
KR100661685B1 (ko) 누설 전류 방지 기능을 구비한 ptc 차단기
GB2379342A (en) Short-circuit current limiter
KR980009841U (ko) 개별 고장표시와 영구접지기능을 갖는 통신용 과전류 자동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4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