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943B1 -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 - Google Patents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943B1
KR0138943B1 KR1019940033378A KR19940033378A KR0138943B1 KR 0138943 B1 KR0138943 B1 KR 0138943B1 KR 1019940033378 A KR1019940033378 A KR 1019940033378A KR 19940033378 A KR19940033378 A KR 19940033378A KR 0138943 B1 KR0138943 B1 KR 0138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a
variable resistor
misconvergence
correction circuit
vertical d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3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6030A (ko
Inventor
신인섭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40033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943B1/ko
Publication of KR960026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6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9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4Deflection circuits ; 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수직편향코일(V1, V2)에 직렬 연결된 코마프리코일(CF1, CF2)과, 상기 코마프리코일(CF1, CF2)에 병렬 연결된 가변저항(VR1)으로 구성된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에 있어서; 상기 코마프리코일(CF1, CF2)과 가변저항(VR1) 사이에 분할 보정용 가변저항(VR2, VR3)을 병렬로 접속한 후, 상기 가변저항(VR2, VR3)에 복수개의 다이오드(D1~D4)를 직렬로 연결하여 상기 가변저항(VR1, VR2, VR3)을 선택적으로 조정하여 코마프리코일(CF1, CF2)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함으로써 수직편향자계 상하 언발란스(YH)를 보정하도록 한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
제1도는 종래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에 의한 자계의 발생을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에 의한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의 회로도,
제3도는 종래의 미스컨버젼스가 발생한 상태의 화면 특성도,
제4도는 이 발명에 따른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도,
제5도는 이 발명에 의거 미스컨버젼스가 보정된 상태의 화면 특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ㄷ자편V1, V2:수직편향코일
CF1, CF2:코마프리코일VR1~VR3:가변저항
D1~D4:다이오드
이 발명은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ㄷ자형 코마프리 보정장치에 권선된 코마프리코일들에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하여 수직센터 라스터 왜곡을 보정함과 동시에 수직편향자계 상하 언발란스(YH)를 조정하도록 한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향요크는 수직편향코일과 수편편향코일을 가지고 있다. 상기 수직편향코일과 수평편향코일은 각각 전자빔을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편향시켜 스크린의 각 화소에 정확하게 주사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편향요크의 특성상 전자빔이 상기 수직편향코일과 수평편향코일에 의해 편향될때, 전자빔이 각 화소에 정확하게 주사되지 않고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 오차를 미스컨버젼스라 칭한다.
한편, 상기 미스컨버젼스는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발생되는데 여기서, 그린드롭(Green Drop) 미스컨버젼스란 스크린에 주사되는 전자빔중 녹색(G)빔이 적색(R)빔과 청색(B)빔 보다 위 또는 아래로 치우쳐 포커싱되는 현상을 말하며, 즉, 적색(R)빔과 청색(B)빔은 정상적인 상태로 주사되고, 녹색(G)빔이 정위치에서 벗어난 상태로 주사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VCR 왜곡이 발생되며, VCR 왜곡은 통상적으로 코마프리 보정장치를 이용하여 보정된다.
제1도는 종래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에 의한 자계의 발생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ㄷ자편(10, 20)에 한쌍의 코마프리코일이 권선되어 있으며, 이때, 화살표 방향으로 발생된 자계중 스크린 외곽에 주사되는 적색(R)빔과 청색(B)빔은 녹색(G)빔 보다 편향력이 약해서 수직편향자계 상하 언발란스(YH)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하여 제2도에 도시된 보정회로가 적용되며, 상기 보정회로는 수직편향코일(V1, V2)에 코마프리코일(CF1, CF2)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코마프리코일(CF1, CF2)에 가변저항(VR1)이 병렬로 연결된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보정회로에서 가변저항(VR1)값을 조정하여 코마프리코일(CF1, CF2)에 흐르는 전류량을 조정함으로써 수직편향자계 상하 언발란스(YH)를 보정하도록 하였으나, 상기 코마프리코일(CF1, CF2)에 흐르는 전류량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없으므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미스컨버젼스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ㄷ자형 코마프리 보정장치에 가변저항들과 다이오드들을 추가로 접속 체용한 보정회로를 적용함으로써 수직편향자계 상하 언발란스(YH)를 보정하도록 한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의 특징은, 수직편향코일들에 직렬 연결된 코마프리코일들과, 상기 코마프리코일들에 병렬 연결된 가변저항으로 구성된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에 있어서; 상기 코마프리코일들과 가변저항 사이에 분할 보정용 가변저항들을 병렬로 접속한 후, 상기 가변저항들에 복수개의 다이오드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수직편향자계 상하 언발란스(YH)를 보정하도록 한 점에 있다.
이하, 이 발명에 따른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이 발명에 따른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도이다.
제4도를 참조하면, 상기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는 수직편향코일(V1, V2)에 코마프리코일(CF1, CF2)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코마프리코일(CF1, CF2)에 가변저항(VR1)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코마프리코일(CF1, CF2)과 가변저항(VR1)사이에 분할 보정용 가변저항(VR2, VR3)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변저항(VR2, VR3)에 복수개의 다이오드(D1~D4)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먼저, 가변저항(VR1)을 조정하게 되면, 다이오드(D1~D4)가 양방향으로 도통되어 코마프리코일(CF1, CF2)흐르는 전류량이 제어되어 크로스 패턴이 수정되어 VCR 왜곡이 보정된다.
다음, 가변저항(VR2)을 조정하게 되면, 다이오드(D4, D3) 및 코마프리코일(CF2)이 도통하게 되므로 하측 수직편향자계 언발란스(YH)가 보정된다.
그 다음, 가변저항(VR3)을 조정하게 되면, 다이오드(D1, D2) 및 코마프리코일(CF1)이 도통하게 되므로 상측 수직편향자계 언발란스(YH)가 보정된다. 따라서 제5도의 화면 특성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편향자계 상/하 언발란스(YH)가 보정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에 의하면, 수직편향코일들에 직렬 연결된 코마프리코일들과, 상기 코마프리코일들에 병렬 연결된 가변저항으로 구성된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에 있어서; 상기 코마프리코일들과 가변저항 사이에 분할 보정용 가변저항들을 병렬로 접속한 후, 상기 가변저항들에 복수개의 다이오드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수직편향자계 상하 언발란스(YH)를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발명에 의한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는 ㄷ자형 코마프리 보정장치에 가변저항들과 다이오드들을 추가로 접속 체용하여 조정되는 가변저항에 따라 코마프리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수직편향자계 상측과 하측의 언발란스(YH)를 개별적으로 보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수직편향코일(V1, V2)에 직렬 연결된 코마프리 코일(CF1, CF2)과, 상기 코마프리코일(CF1, CF2)에 병렬 연결된 가변저항(VR1)으로 구성된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에 있어서; 상기 코마프리코일(CF1, CF2)과 가변저항(VR1) 사이에 분할 보정용 가변저항(VR2, VR3)을 병렬로 접속한 후, 상기 가변저항(VR2, VR3)에 복수개의 다이오드(D1~D4)를 직렬로 연결하여 수직편향자계 상하 언발란스(YH)를 보정하도록 한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
KR1019940033378A 1994-12-09 1994-12-09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 KR0138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3378A KR0138943B1 (ko) 1994-12-09 1994-12-09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3378A KR0138943B1 (ko) 1994-12-09 1994-12-09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6030A KR960026030A (ko) 1996-07-20
KR0138943B1 true KR0138943B1 (ko) 1998-06-15

Family

ID=19400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3378A KR0138943B1 (ko) 1994-12-09 1994-12-09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9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695A (ko) * 2002-01-30 2003-08-09 삼성전기주식회사 화면 불균형 개선 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695A (ko) * 2002-01-30 2003-08-09 삼성전기주식회사 화면 불균형 개선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6030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225462A (ja) カラ−受像管
KR0138943B1 (ko)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
KR100347178B1 (ko) 화면 불균형 개선 회로
KR100201761B1 (ko) 편향요우크 및 그것을 구비해서 이루어진 컬러음극선관장치
KR0154175B1 (ko)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100193574B1 (ko)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JPH08102270A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100193575B1 (ko)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US6285141B1 (en) Deflection yoke and cathode ray tube
KR100267267B1 (ko) 편향요크의 vcr 보정장치
KR100342417B1 (ko)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
KR0180663B1 (ko) 미스컨버젼스보정장치
KR200144625Y1 (ko)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100193576B1 (ko) 편향요크의 직교도 보정회로
KR0172482B1 (ko)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100443743B1 (ko)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의 개선 회로
US6252359B1 (en) Deflection apparatus
KR200144626Y1 (ko)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100451947B1 (ko)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
KR100422046B1 (ko)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의 개선 회로
KR960015318B1 (ko) 칼라수상관용 편향장치 및 칼라수상관장치
JP3358270B2 (ja) 偏向ヨーク
KR100451930B1 (ko)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
KR200153781Y1 (ko) 편향 요크의 보정회로
KR0120082Y1 (ko)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