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931Y1 - 화면 부분 모자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화면 부분 모자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931Y1
KR0138931Y1 KR2019950037524U KR19950037524U KR0138931Y1 KR 0138931 Y1 KR0138931 Y1 KR 0138931Y1 KR 2019950037524 U KR2019950037524 U KR 2019950037524U KR 19950037524 U KR19950037524 U KR 19950037524U KR 0138931 Y1 KR0138931 Y1 KR 01389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saic
analog
output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75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6218U (ko
Inventor
노수현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500375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931Y1/ko
Publication of KR9700262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2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9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9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면 부분 모자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화면을 모자이크 하고자 하는 경우 화면 전체에 대해서 모자이크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CRT상에 디스플레이함에 있어, 모자이크 처리하고자 하는 부분을 설정하면, 이에 대응하는 비디오 신호에 대해서만 모자이크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므로서, 사용자는 임의의 부분에 대해서만 모자이크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화면 부분 모자이크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록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각 노드점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의 출력파형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테나 12 : 튜너
14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 16 : 지연기
18 : 모자이크 발생기 20 : 제1 합성부
22 : 제2 합성부 24 : 제3 합성부
26 : 반전기 28 :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30 : 비디오 신호 처리부 32 : CRT(Cathode Ray Tube)
34 : 위치 조정부 36 : 블랭킹 신호 발생기
본 고안은 텔레비젼 수상기의 화면 부분 모자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CRT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중 일부분의 화면에 대해서만 모자이크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 부분 모자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화면을 모자이크 하고자 하는 경우 방송국에서 직접 모자이크 된 방송신호를 제외하고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자체적으로 화면을 모자이크 하는 경우 일부분에 대해서 모자이크를 하지 못하고 전체 화면에 대해서만 모자이크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CRT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부분에 화면에 대해서만 모자이크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된 화면 부분 모자이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안테나와 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 중 비디오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할 수 있도록 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과,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일정시간 지연할 수 있도록 된 시간 지연수단과,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모자이크 신호로 변환할 수 있도록 된 모자이크 발생수단과, 화면의 모자이크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된 모자이크 위치 설정수단과, 상기 설정된 위치에 대한 블랭킹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된 블랭킹 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시간 지연수단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와 블랭킹 신호 발생수단에서 출력된 블랭킹신호를 합성할 수 있도록 된 제1 합성수단과, 상기 블랭킹 신호 발생수단에서 출력되는 블랭킹 신호를 반전할 수 있도록 된 블랭킹 신호 반전수단과, 상기 모자이크 발생수단에서 출력되는 모자이크 신호와 상기 블랭킹 신호 반전수단에서 출력되는 블랭킹 신호를 합성할 수 있도록 된 제2 합성수단과, 상기 제1 합성수단과 제2 합성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합성하여 디지탈/아날로그 변환수단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된 제3 합성수단과, 상기 제3 합성수단의 비디오 신호 출력을 아날로그 신호를 변환하여 비디오 신호 처리수단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수단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예시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도에 도시한 것처럼, 안테나(10)와 튜너(12)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 중 비디오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4)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4)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일정시간 지연하는 지연기(16)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4)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모자이크 신호로 변환하는 모자이크 발생부(18)와, 화면의 모자이크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설정부(34)와, 상기 설정된 위치에 대한 블랭킹 신호를 발생하는 블랭킹 신호 발생기(36)와, 상기 지연기(16)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와 블랭킹 신호 발생기(36)에서 출력된 블랭킹 신호를 합성하는 제1 합성부(20)와, 상기 블랭킹 신호 발생기(26)에서 출력되는 블랭킹 신호를 반전하는 반전기(26)와, 상기 모자이크 발생기(18)에서 출력되는 모자이크 신호와 상기 반전기(26)에서 출력되는 블랭킹 신호를 합성하는 제2 합성부(22)와, 상기 제1 합성부(20)와 제2 합성부(2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합성하여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28)로 출력하는 제3 합성부(24)와, 상기 제3 합성부(24)의 비디오 신호 출력을 아날로그 신호를 변환하여 비디오 신호 처리부(30)로 출력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28)로 구성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2는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CRT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각 노드점에서 출력되는 출력파형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안테나(10)와 튜너(12)를 통하여 수신된 방송신호 중 비디오 신호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4)에 인가되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4)는 인가받은 아날로그의 비디오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지연기(16)와 모자이크 발생기(18)에 각각 공급한다. 즉,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4)는 제2도의 (a)와 같은 비디오 신호를 지연기(16)와 모자이크 발생기(18)에 각각 공급하는 것이다(본 고안의 파형설명에서는 비디오 신호의 합성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디지탈 변환된 상태의 비디오 신호가 아닌 아날로그 상태의 비디오 신호 파형으로 설명한다).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4)에서 출력되는 제2도의 (a)와 같은 비디오 신호를 인가받은 지연기(16)는 인가된 비디오 신호를 제2도의 (b)와 같이 일정시간 지연(여기서 일정시간을 시간 지연하는 이유는 비디오 신호의 모자이크 발생기(18)에서 시간 지연되는 것을 감안하여 이에 해당하는 시간을 지연하는 것이다)시켜 제1 합성부(20)에 인가하게 된다.
또한, 모자이크 발생기(18)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4)에서 출력되는 제2도의 (a)와 같은 비디오 신호를 인가 받아 모자이크 처리하여 제2도의 (c)와 같은 파형으로 제2 합성부(22)에 인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연기(16)에 의해 시간 지연된 비디오 신호가 제1 합성부(20)에 인가되고, 모자이크 발생기(18)에 의해 모자이크 신호로 변환된 비디오 신호가 제2 합성부(22)에 인가되는 중에 사용자가 화면중 일부분에 대하여 모자이크를 형성하기 위하여 위치 조정부(34)를 통하여 모자이크 하고자 하는 위치를 설정하면, 설정된 위치 데이타가 블랭킹 신호 발생기(36)에 인가되므로 블랭킹 신호 발생기(34)에서 이에 해당하는 블랭킹 신호가 출력되어 제1 합성부(20)에 인가되게 된다.
위치 설정부(34)를 통하여 전체 화면 중 모자이크 하고자 하는 화면의 위치를 설정하면, 블랭킹 신호 발생기(36)는 지연기(16)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와 같은 동기를 갖는 신호 중 모자이크 하고자 하는 부분이 블랭킹된 블랭킹 신호를 발생시켜 반전기(26)와 제1 합성부(20)에 각각 인가하게 된다.
즉, 블랭킹 신호 발생기(36)는 하나의 화면을 구성하는 한 수직 주기의 비디오 신호 중 설정된 부분에 해당하고 한 수평 주기에 해당하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신호에 대해서는 블랭킹 처리하여 제2도의 (d)와 같은 파형을 제1 합성부(20)와 반전부(26)에 각각 인가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1 합성부(20)는 블랭킹 신호 발생기(36)에서 출력되는 블랭킹 신호와 지연기(16)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합성하여 제2도의 (e)와 같은 파형을 제3 합성부(24)로 출력하고, 제2 합성부(22)는 모자이크 발생부(18)에서 출력되는 모자이크 신호와 반전부(26)에서 출력되는 제2도의 (f)와 같은 신호를 합성하여 제2도의 (g)와 같은 신호를 제3 합성부(24)에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3 합성부(24)에서는 제2 합성부(20)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제2 합성부(2)에서 합성된 신호를 재합성하여 제2도의 (h)와 같은 비디오 신호를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28)로 출력하므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28)는 이를 아날로그 신호를 다시 변환하여 비디오 신호 초리부(30)로 출력한다. 그러므로, CRT(32)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중 위치 설정부(34)에 의해 설정된 부분의 화면만이 모자이크 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CRT상에 디스플레이함에 있어, 모자이크 처리하고자 하는 부분을 설정하면, 이에 대응하는 비디오 신호에 대해서만 모자이크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므로서, 사용자는 임의의 부분에 대해서만 모자이크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안테나와 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 중 비디오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일정시간 지연하는 지연기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모자이크 신호로 변환하는 모자이크 발생부와, 화면의 모자이크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설정부와, 상기 설정된 위치에 대한 블랭킹 신호를 발생하는 블랭킹 신호 발생기와, 상기 지연기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와 블랭킹 신호 발생기에서 출력된 블랭킹 신호를 합성하는 제1 합성부와, 상기 블랭킹 신호 발생기에서 출력되는 블랭킹 신호를 반전하는 반전기와, 상기 모자이크 발생기에서 출력되는 모자이크 신호와 상기 반전기에서 출력되는 블랭킹 신호를 합성하는 제2 합성부와, 상기 제1 합성부와 제2 합성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합성하여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로 출력하는 제3 합성부와, 상기 제3 합성부의 비디오신호 출력을 아날로그 신호를 변환하여 비디오 신호 처리부로 출력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부분 모자이크 장치.
KR2019950037524U 1995-11-30 1995-11-30 화면 부분 모자이크 장치 KR01389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7524U KR0138931Y1 (ko) 1995-11-30 1995-11-30 화면 부분 모자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7524U KR0138931Y1 (ko) 1995-11-30 1995-11-30 화면 부분 모자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218U KR970026218U (ko) 1997-06-20
KR0138931Y1 true KR0138931Y1 (ko) 1999-05-01

Family

ID=19431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7524U KR0138931Y1 (ko) 1995-11-30 1995-11-30 화면 부분 모자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93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699B1 (ko) * 2000-06-27 2002-11-23 이성환 방송 화면에서의 초상권 보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15654A (ko) * 2002-08-13 2004-02-19 윤상권 개인용 컴퓨터 작업화면 보안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699B1 (ko) * 2000-06-27 2002-11-23 이성환 방송 화면에서의 초상권 보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15654A (ko) * 2002-08-13 2004-02-19 윤상권 개인용 컴퓨터 작업화면 보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218U (ko)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6443B1 (ko) 멀티 미디어 디스플레이 장치
US6037994A (en) Sync signal processing device for combined video appliance
KR0138931Y1 (ko) 화면 부분 모자이크 장치
JP2974301B2 (ja) トリガ生成回路及び波形表示装置
US5548337A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a wide-aspect television
KR930007257A (ko) 텔레비젼 신호 변환장치
US6331875B1 (en) Method and device for arranging digitized image signals or data in orthogonal rows and columns
KR100311009B1 (ko) 공통 포맷을 이용하는 영상 포맷 변환 장치와 그 방법
JPH0990921A (ja) 画像合成装置及び受信装置
JP3355617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
JP2896013B2 (ja) テレビジョン方式変換システムのデータ処理回路
KR100265037B1 (ko) 텔레비젼의표준신호레벨검출라인발생방법및그장치
KR0147152B1 (ko) 메모리 어드레스를 이용한 다수화면분할 및 정지화면 구현 방법
KR100296745B1 (ko) 텔레비젼화상영역표시회로
KR940007547B1 (ko) 티브이 2화면 장치
KR960016593A (ko) 티브이의 자화면 화질 보상 회로
EP0573104A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correction circuit for correcting pictures to be displayed, and correction circuit for use in a display device
JP2539919B2 (ja) ハイビジョン受信機の時間軸圧縮装置
KR100287158B1 (ko) 복합동기신호발생장치
JP2000115719A (ja) 動き検出装置および動き検出方法、並びにそれを利用した走査線変換装置およびテレビ受信機
KR940001437B1 (ko) 더블필드 디지탈 tv의 외부색신호 처리장치
JPH07193747A (ja) 画像表示装置
JP2000134584A (ja) 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方法
JPH06311453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H05211632A (ja) 2画面テレビ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