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926Y1 - Smoke clearing device of ashtray for a car - Google Patents

Smoke clearing device of ashtray for a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926Y1
KR0138926Y1 KR2019960035926U KR19960035926U KR0138926Y1 KR 0138926 Y1 KR0138926 Y1 KR 0138926Y1 KR 2019960035926 U KR2019960035926 U KR 2019960035926U KR 19960035926 U KR19960035926 U KR 19960035926U KR 0138926 Y1 KR0138926 Y1 KR 01389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htray
vehicle
silencer
cigarette smoke
catalytic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592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22574U (en
Inventor
현봉수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35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926Y1/en
Publication of KR199800225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57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9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926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refuse, e.g. ash-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재떨이 담배 연기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운전자 및 탑승자가 차량의 실내에서 흡연을 할 때에 그 담배 연기가 차량의 외부로 신속히 빠질 수 있도록 강제 순환 장치를 재떨이에 구비함으로써, 종래에 이러한 순환 장치가 없어 사용자가 여러 가지 불편함을 겪던 것을 해소할 수 있는 자동차 재떨이 담배 연기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촉매 컨버터(1)와 소음기(3)로 구성되는 자동차 배기 가스 배출부와, 상기 촉매 컨버터(1)와 소음기(3) 사이를 연결되는 테일 파이프(5)에 별도로 일정 폭을 가진 배기 파이프(7)를 연장 결합하고, 그 끝단을 인스트루먼트 패널상에 구비되는 재떨이(9)부위와 적절하게 연결함으로써 별도의 환풍 장치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재떨이의 유해 가스를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차량 실내의 공기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ashtray and a cigarette smoke remov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y providing a forced circulation device in an ashtray so that the cigarette smoke can quickly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when a driver and a passenger smoke inside the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ashtray and a cigarette smoke removing device capable of eliminating various inconveniences of a user due to the absence of such a circulation device. That is, the exhaust pi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separately from the vehicle exhaust gas exhaust portion composed of the catalytic converter 1 and the silencer 3, and the tail pipe 5 connected between the catalytic converter 1 and the silencer 3 ( 7) is extended and the end is properly connected to the ashtray 9 provided on the instrument panel so that harmful gas from the ashtray can be discharged even if a separate ventilation device is not used. It can be kept in a comfortable state.

Description

자동차 재떨이 담배 연기 제거 장치Car Ashtray Cigarette Smoke Removal Device

본 고안은 자동차 재떨이 담배 연기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운전자 및 탑승자가 차량의 실내에서 흡연을 할 때에 그 담배 연기가 차량의 외부로 신속히 빠질 수 있도록 강제 순환 장치를 재떨이에 구비함으로써, 종래에 이러한 순환 장치가 없어 사용자가 여러 가지 불편함을 겪던 것을 해소할 수 있는 자동차 재떨이 담배 연기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ashtray and a cigarette smoke remov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y providing a forced circulation device in an ashtray so that the cigarette smoke can quickly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when a driver and a passenger smoke inside the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ashtray and a cigarette smoke removing device capable of eliminating various inconveniences of a user due to the absence of such a circulation devic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는 완전 밀폐되어 있으며 창문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외부공기를 자동차의 실내에 흡입하기 위해서는 윈도우를 열거나 자동차에 설치되어 있는 흡입구를 열어 외부 공기를 자동차의 실내로 흡입시키게 된다.In general, the interior of a car is completely enclosed, and in order to inhale the outside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while the windows are closed, the outside air is sucked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y opening the window or opening the inlet installed in the vehicle.

또한 에어콘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외부 공기를 자동차의 실내로 흡입시킬 수 있는 에어컨의 분출구를 이용하게 된다. 에어컨의 분출구는 종류에 따라 배치형식이 다르다. 대쉬 형식의 에어컨은 에어컨의 분출구가 조수석 앞부분의 대쉬 패널(Dash Panel)에 구비되어 있고 인스트루먼트(Instrument) 형식의 에어컨은 에어컨의 분출구가 조수석 앞 부분의 인스트루먼트 부근이나 중앙부분에 장착되어 있어 대쉬 형식에 가까운 배치로 구비되어 있거나 인스트루먼트의 중앙 및 좌·우에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an air conditioner, a blower outlet of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sucking outside air into a vehicle interior is used. The outlets of air conditioners differ in layout from type to type. In the air conditioner of the dash type, the air outlet of th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in the dash panel in front of the front passenger seat.In the instrument type air conditioner, the air outlet of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instrument in front of the front passenger seat or in the center part. It is provided in close proximity or in the center, left and right of the instrument.

또한 트렁크 형식의 에어컨은 에어컨의 분출구가 뒷좌석 뒤쪽에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공기를 실내로 흡입시키기 위해서는 자동차 실내에 구비되어 있는 에어컨의 분출구를 열어 외부공기를 자동차 실내로 흡입하게 된다. 즉 에어컨의 분출구는 인스트루먼트 상부에 디프로스터 분출구가 구비되어 있고 운전석 및 조수석 앞 대쉬 패널 좌우에는 사이드 벤트(Vent) 분출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운전석 및 조수석 앞 대쉬 패널 하부에는 로어 벤트 분출구가 구비되어 있어 외부의 공기를 자동차의 실내에 흡입시키기 위해서는 상기의 에어컨 분출구를 열어야 한다.In addition, the trunk-type air conditioner has an air outlet at the back of the rear seat. Therefore, in order to suck the outside air into the room, the air outlet of the air conditioner provided in the car interior is opened to inhale the outside air into the car interior. In other words, the air conditioner outlet has a defroster outlet at the top of the instrument, side vent outlets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ash panel in front of the driver's and front passenger seats, and a lower vent outlet at the lower front of the driver and front passenger seats. In order to inhale air into the interior of a vehicle, the air conditioner outlet must be opened.

또한 상기와 같은 에어컨의 분출구인 디프로스터 분출구, 사이드 벤트 분출구 및 로어 벤트 분출구는 에어컨을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에어컨 분출구를 닫으면 외부의 공기가 차단되며 상기 에어컨 분출구를 열면 외부공기가 차내로 유입되어 차내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ir conditioner outlet, the defroster outlet, the side vent outlet, and the lower vent outlet are closed when the air conditioner outlet is closed while the air conditioner is not operated, the outside air is blocked, and when the air conditioner outlet is opened,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vehicle. You can ventilate the air in your car.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 배기장치를 이용할 경우에는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노출시켰다. 즉 에어컨의 분출구인 디프로스터 분출구, 사이드 벤트 분출구 및 로어 벤트 분출구를 이용하여 차내의 환기를 시키는 경우 에어컨 분출구를 통하여 외부공기가 차내로 유입되지만 차내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주행중에도 창문을 열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when using the conventional vehicle exhaust system as described above, various problems were exposed. In other words, when ventilating the car using the defroster spout, the side vent spout, and the lower vent spout of the air conditioner,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car through the air conditioner spout, but there is no device that can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window. There was an inconvenience to open it.

더욱이 차내에서 흡연을 하는 경우나 차내의 실내 공기가 순환되지 않을 경우에는 운전자의 정신집중을 흐리게 하고 운전자의 피로를 가중시켜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차내 공기의 순환구조는 운전자의 안전 및 건강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다.Furthermore, when smoking in the car or when the indoor air is not circulated in the car, the circulation of the air in the car is a safety and health as it causes the driver's mental concentration to increase the driver's fatigue and cause a safety accident. It is essential for that.

또한 자동차 내부를 환기시키기에는 그동안의 에어콘이나 외부 공기 흡입 구조가 또 다른 동력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기피되어 왔다. 이와같은 종래 주행 차량의 환기 구조와 배출 가스 상태를 살펴본 결과 별도의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높은 압력을 이용하여 차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Also, in order to ventilate the inside of a car, air conditioners and external air intake structures have been avoided in that they require another pow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ventilation structure and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of the conventional driving vehicle as described above, a device capable of ventilating the air in the vehicle by using the high pressure of the exhaust gas that is not required for a separate power is needed.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운전자 및 탑승자가 차량의 실내에서 흡연을 할 때에 그 담배 연기가 차량의 외부로 신속히 빠질 수 있도록 강제 순환 장치를 재떨이에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환풍 장치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재떨이의 유해 가스를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차량 실내의 공기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is to provide a forced circulation device in the ashtray so that the cigarette smoke can quickly fall out of the vehicle when the driver and passengers smoke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Even if a separate ventilation device is not used, it is possible to discharge harmful gas from the ashtray, so that the air inside the vehicle is always kept in a comfortable state.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촉매 컨버터(1)와 소음기(3)로 구성되는 자동차 배기 가스 배출부와, 상기 촉매 컨버터(1)와 소음기(3) 사이를 연결되는 테일 파이프(5)에 별도로 일정 폭을 가진 배기 파이프(7)를 연장 결합하고, 그 끝단을 인스트루먼트 패널상에 구비되는 재떨이(9)부위와 적절하게 연결함으로써 달성되며 특히 상기 배기 파이프(7)의 일정 부위에 소음기(3)로의 담배 가루의 유입을 막도록 애쉬 필터(71)를 형성하고, 테일 파이프(5)와 배기 파이프(7)의 연결부에는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역류 방지 밸브(7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fixed separately to the vehicle exhaust gas discharge portion consisting of the catalytic converter 1 and the muffler (3), and the tail pipe (5) connected between the catalytic converter (1) and the muffler (3). By extending and coupling the exhaust pipe 7 with its width, the end is properly connected to the ashtray 9, which is provided on the instrument panel, in particular to a silencer 3 at a certain part of the exhaust pipe 7. The ash filter 71 is formed to prevent the inflow of tobacco powder, and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tail pipe 5 and the exhaust pipe 7 is provided with a non-return valve 72 to prevent backflow of the exhaust gas discharged. It features.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인 담배 연기 제거 장치의 개략 사시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igarette smoke remo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담배 연기 제거 장치의 작용 개념도2 is a conceptual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tobacco smoke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촉매 컨버터3 : 소 음 기1: catalytic converter 3: silencer

5 : 테일 파이프7 : 배기 파이프5: tail pipe 7: exhaust pipe

9 : 재 떨 이 71 : 애쉬 필터9: ashtray 71: ash filter

72 : 역류 방지 밸브72: non-return valve

도 1은 본 고안인 담배 연기 제거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크게 촉매 컨버터(1)와 소음기(3)로 구성되는 자동차 배기 가스 배출부와, 상기 촉매 컨버터(1)와 소음기(3) 사이를 연결되는 테일 파이프(5)에 별도로 일정 폭을 가진 배기 파이프(7)를 연장 결합하고, 그 끝단을 인스트루먼트 패널상에 구비되는 재떨이(9)부위와 적절하게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igarette smoke remo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exhaust gas exhaust portion consisting of the catalytic converter 1 and the silencer 3 is largely separated from the tail pipe 5 connected between the catalytic converter 1 and the silencer 3. It extends and connects the exhaust pipe 7 which has a structure, and the end is suitably connected with the ashtray 9 part provided in the instrument panel.

구체적으로는 본 고안에 따른 담배 연기 제거 장치의 작용 상태도를 나타낸 첨부도면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촉매 컨버터(1)와 소음기(3)로 구성되는 자동차 배기 가스 배출부와, 상기 촉매 컨버터(1)와 소음기(3) 사이를 연결되는 테일 파이프(5)에 별도로 일정 폭을 가진 배기 파이프(7)를 연장 결합하고, 그 끝단을 인스트루먼트 패널상에 구비되는 재떨이(9)부위와 적절하게 연결하며, 특히 상기 배기 파이프(7)의 일정 부위에 소음기(3)로의 담배 가루의 유입을 막도록 애쉬 필터(71)를 형성하고, 테일 파이프(5)와 배기 파이프(7)의 연결부에는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역류 방지 밸브(72)가 구비되어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tobacco smoke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an automobile exhaust gas exhaust portion composed of a catalytic converter 1 and a silencer 3, and the catalytic converter 1 And a separate exhaust pipe (7)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to the tail pipe (5) connected between the muffler and the silencer (3), and the end thereof properly connected to the ashtray (9) provided on the instrument panel In particular, the ash filter 71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exhaust pipe 7 to prevent the inflow of tobacco powder into the silencer 3, and the exhaust pipe is discharged to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tail pipe 5 and the exhaust pipe 7. In order to prevent backflow of the gas, a backflow check valve 72 is provided.

본 고안의 실시 과정을 첨부 도면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촉매 컨버터(1)와 소음기(3)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빠른 유속을 이용 상대적으로 배기 파이프(7)내로 재떨이(9)의 담배 연기가 유입되어 소음기(3)를 통해 차량 외부로 배기 가스와 더불어 빠져 나가게 된다. 배기 파이프(7)는 소음기(3) 후부에 구비될 수 있고 그림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촉매 컨버터(1)에 이어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기 파이프(7)의 설치 위치는 배기 가스의 역류를 최소로 줄이면서 가장 효과적으로 담배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위치에 실시함이 바람직하다.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the cigarette of the ashtray 9 into the exhaust pipe 7 relatively using the fast flow rate of the exhaust gas discharged through the catalytic converter 1 and the silencer 3. Smoke enters and exits with the exhaust gas through the silencer 3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e exhaust pipe 7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muffler 3 and may be installed after the catalytic converter 1 as shown in the figure. In this way,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exhaust pipe 7 is preferably carried out at a position that can effectively discharge the cigarette smoke to the outside while minimizing the reverse flow of the exhaust gas to a minimum.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운전자 및 탑승자가 차량의 실내에서 흡연을 할 때에 그 담배 연기가 차량의 외부로 신속히 빠질 수 있도록 강제 순환 장치를 상술한 바와 같이 재떨이에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환풍 장치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재떨이의 유해 가스를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차량 실내의 공기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forced circulation device in the ashtray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cigarette smoke can quickly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when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smoke inside the vehicle, so that a separate ventilation device is not used. Even if it is not possible, it is possible to discharge harmful gas from the ashtray, so that the air inside the vehicle can be always kept in a comfortable state.

Claims (2)

촉매 컨버터(1)와 소음기(3)로 구성되는 자동차 배기 가스 배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촉매 컨버터(1)와 소음기(3) 사이를 연결되는 테일 파이프(5)에 별도로 일정 폭을 가진 배기 파이프(7)를 연장 결합하고, 그 끝단을 인스트루먼트 패널상에 구비되는 재떨이(9)부위와 적절하게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재떨이 담배 연기 제거 장치In the vehicle exhaust gas exhaust structure composed of the catalytic converter 1 and the silencer 3, the exhaust pi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separately from the tail pipe 5 connected between the catalytic converter 1 and the silencer 3 ( 7) the automobile ashtray cigarette smoke remo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nsion is coupled, and the end thereof is properly connected to the ashtray (9) portion provided on the instrument pane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파이프(7)의 일정 부위에 소음기(3)로의 담배 가루의 유입을 막도록 애쉬 필터(71)를 형성하고, 테일 파이프(5)와 배기 파이프(7)의 연결부에는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역류 방지 밸브(7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재떨이 담배 연기 제거 장치2. The ash filter (71)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sh filter (71)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exhaust pipe (7) to prevent the inflow of tobacco dust into the muffler (3), and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tail pipe (5) and the exhaust pipe (7). Is equipped with a non-return valve 72 in order to prevent the back flow of the exhaust gas discharged, ashtray cigarette smoke removing device
KR2019960035926U 1996-10-28 1996-10-28 Smoke clearing device of ashtray for a car KR013892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926U KR0138926Y1 (en) 1996-10-28 1996-10-28 Smoke clearing device of ashtray for a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926U KR0138926Y1 (en) 1996-10-28 1996-10-28 Smoke clearing device of ashtray for a c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574U KR19980022574U (en) 1998-07-25
KR0138926Y1 true KR0138926Y1 (en) 1999-04-01

Family

ID=19471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5926U KR0138926Y1 (en) 1996-10-28 1996-10-28 Smoke clearing device of ashtray for a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926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574U (en)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25494B2 (en) Dust reduction device
KR101146394B1 (en) Air cleaner for a car
KR0138926Y1 (en) Smoke clearing device of ashtray for a car
JP3951981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JP2998332B2 (en) Cooling unit for ceiling-mounted vehicles
CN216374110U (en) Vehicle air conditioner auxiliary system and vehicle air conditioning equipment
JP3957160B2 (en) Car interior ventilation system
KR200200666Y1 (en) Purifier system for air duct of a vehicle
KR0134512B1 (en) The device for providing fresh air into the room of a car
KR100726729B1 (en) Ventilating apparatus of the rear bumpur using the under cover
KR200367931Y1 (en) An apparatus for discharging indoor air of automobile
KR980007153U (en) Car indoor air exhaust system
KR200367919Y1 (en) An apparatus for discharging indoor air of automobile
JP3818126B2 (en) air purifier
KR200367921Y1 (en) An apparatus for discharging indoor air of automobile
KR102448655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0191663B1 (en) A ventilating structure of tobacco smog for a vehicle
KR19990020014A (en) Tobacco smoke exhaust device of car
KR910000339Y1 (en) Vantilation facilities for automobile
KR19980045304A (en) Car Air Purifier
KR970004472Y1 (en) Smoke suction system for a vehicle
KR0118416Y1 (en) Ventilating device of side airduct for a vehicle
KR19980035601U (en) Automotive Ventilation System
JPH04190814A (en) On-vehicle air purifier
JPS601021A (en) Ventilator of car with ho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