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872B1 - 전류변성기의 급변경 어셈블리를 갖는 회로차단기 - Google Patents

전류변성기의 급변경 어셈블리를 갖는 회로차단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872B1
KR0137872B1 KR1019890010955A KR890010955A KR0137872B1 KR 0137872 B1 KR0137872 B1 KR 0137872B1 KR 1019890010955 A KR1019890010955 A KR 1019890010955A KR 890010955 A KR890010955 A KR 890010955A KR 0137872 B1 KR0137872 B1 KR 0137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transformer
circuit breaker
assembly
ro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0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943A (ko
Inventor
리 맥키 제리
쥬니어 윌리암 엘스워스비티
토마스 글렌로버트
Original Assignee
프랑크 엠. 사죠백
이턴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랑크 엠. 사죠백, 이턴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프랑크 엠. 사죠백
Publication of KR900003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6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closure of switch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01H71/125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characterised by sensing elements, e.g. current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igid pivoted member carrying the moving contact
    • H01H1/221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igid pivoted member carrying the moving contact and a contact pressure spring acting between the pivoted member and a supporting member
    • H01H1/22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igid pivoted member carrying the moving contact and a contact pressure spring acting between the pivoted member and a support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parallel contact bars
    • H01H2001/228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igid pivoted member carrying the moving contact and a contact pressure spring acting between the pivoted member and a support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parallel contact bars with insulating spacers between the contact 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4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H01H9/342Venting arrangements for arc chu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류변성기의 급변경 어셈블리를 갖는 회로차단기
제1도는 성형케이스 회로차단기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라인 2-2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외측극을 도시하는 제1도의 라인 3-3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라인 4-4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외측극들에 대해 사용된 완충기 조립체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제6도는 제3도의 라인 6-6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제7도는 제4도의 라인 7-7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라인 8-8을 따라 도시한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라인 9-9을 따라 도시한 확대 단면도.
제10도는 캠로울러 핀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제11도는 적층구리조립체의 분해사시도.
제12도는 크로스바아조립체의 분해사시도.
제13도는 제2도의 라인 13-13을 따라 도시한 저면도.
제14도는 제2도의 라인 14-14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라인 15-15을 따라 도시한 평면도.
제16도는 제14도의 라인 16-16을 따라 도시한 평면도.
제17도는 제1도의 라인 17-17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제18도는 조립식 선택장치 덱조립체의 분해시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성형케이스 회로 차단기21:하우징
22:베이스24:덮개
28:프레임30:접점
40,50:스태브54:전류변성기
58:작동장치60:토글조립체
68:접점아암 운반체72:크로스바아 조립체
74:크레이들78:가압스프링
82:래치조립체98:트립 바아
109:접점 조립체118:자기반발부재
176:캠로울러핀 조립체218:절연슬리브
234:고무스톱조립체236:완충기
본 발명은 성형케이스의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주전류 변성기를 회로차단기 분야에서 빠르고 용이하게 대체하기 위한 주전류 변성기용 급변경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성형 케이스 회로차단기에 대해서는 알러져있으며, 미합중국 특허 제4,489,295호, 4,638,277호, 4,656,444호 및 4,679,018호의 명세서에 기재되어있다. 그러한 회로차단기는 과부하 및 비교적 높은 레벨의 단락과 같은 과전류 상태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전기회를 보호하는데 사용된다. 과부하 상태는 회로차단기의 공칭전류정격의 약 200-300%이며, 고레벨 단락상태는 회로차단기의 공칭전류 정격의 1000%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성형케이스 회로차단기는 최소 한쌍의 분리가능 접점을 포함하는데, 이 접점들은 케이스 바깥에 배치된 핸들에 의해 수동으로 동작할 수 있거나, 과전류 상태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자동동작모드에서, 접점들은 작동장치 또는 자기반발부재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자기반발부재는 비교적 높은 레벨의 단락상태하에서 접점들들 분리시킨다. 더욱 구체적으로 말하면, 자기반발부재는 피벗식으로 장착된 접점아암과 고정도체사이에 접속되며, 보통 2개의 다리를 형성하는 V자형 부재이다. 고레벨 단락상태중에 자기반발부재의 다리들 사이에서 이에 흐르는 전류로인해 가지 반발력이 발생되고, 잇달아 피벗식으로 장착된 접점아암이 개방되게 된다.
3극 회로차단기와 같은 다극회로 차단기에서 자기반발부재를 갖는 3개의 분리접점 조립체가 각 극마다 하나씩 구성된다. 접점아암 조립체는 자기반발부재에 의해 독자적으로 작동된다. 예를 들어, A 위상에서의 고레벨 단락의 경우, A 위상 접점이 자기반발부재에 의해 완전 개방되며, B 및 C 위상에 대한 자기반발부재는 A 위상 접점 조립체의 동작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회로차단기 작동장치는 그러한 상태에서 다른 두극을 트립하도록 사용된다. 이것은 모터와 같은 회전 부하에 접속된 회로차단기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달일 위상조정(phasing)과 같은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 행해진다. 그러한 상태에서, 모든 위상이 트립되지 않을 경우, 모터는 발전기로서 동작하여 고장의 원인이 될수도 있다.
다른 자동동작 모드에서, 3극 모두에 대한 접점 조립체는 전류감지회로 및 기계식 작동장치에 의해 함께 트립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말하면, 과전류 상태를 감지하도록 회로차단기 하우징내에 전류 변성기가 구성된다. 과전류 상태가 감지될 때 전류변성기는 전자회로에 신호를 공급하고, 이 전자회로는 작동 장치를 작동시켜 접점들을 분리되게 한다.
때때로, 회로차단기가 조립되어진 후 전류 변성기를 제거하는 것이 필요한다. 전류변성기를 대체하는 데는 여러 이유가 있다. 제1이유로는 최초 설치된 전류변성기에는 결점이 있다. 제2이유로는 전류변성기를 재배치할 경우, 고장전류 변성기가 설치된다. 게다가 이중속도 회로차단기 즉 1600/2000암페어의 한속도에서 다른 속도까지 변경할 경우, 전류변성기를 재배치할 필요가 있다. 몇몇 회로차단기는 전류변성기에 필요한 것들을 제제하는 스위치로서 사용된다.
통상적인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회로차단기 분야에서 전류변성기를 재배치할 경우, 어려움이 따르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특히 이러한 재배치가 회로차단기 분야에서 광범위 하게 제거되므로 상대적으로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그 내부에 배치된 전류트랜스용 급변경 조립체와, 베이스 및 커버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한쌍의 분리가능한 접점과, 하나 이상의 라인-측도체와, 하나 이상의 로드-측도체와, 작동 매카니즘과, 전기트립장치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로서 상기 베이스의 공동내에 배치된 주전류 변성기와, 상기 전류 변성기가 하우징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일측면상의 개구를 구비하는데, 상기 주전류변성기는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상기라인-측도체 또는 상기 로드-측도체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공동을 폐쇄하기 위한 제거가능한 커버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과 관련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전류변성기를 가진 회로차단기를 제공한 것으로서 특히 회로차단기가 조립되어진 후 빠르고 용이하게 대체가능한 회로차단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빠르게 변화하는 전류변성기의 조립체를 가진 성형케이스의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전류변성기는 과전류상태를 감지하는데 사용되고 전류차단기를 트립시키기 위해 신호를 전기트립장치에 인가한다. 빠르게 변환하는 조립체는 전류변성기가 장착되어진 하우징의 개방공동에 인접해서 설치된 절연제거 가능한 판을 포함한다. 전류변성기는 회로차단기 프레임에 확고하게 고착되는 로드-측도체 주위에 도너츠 형태로 배치되어있다. 전류변성기와 로드-측 도체는 회로차단기 프레임내의 하나의 측면상에 통합적으로 형성된공동 내구에 배치된다. 전류 변성기를 재배치할 경우, 이동 가능한 판은 제거된다. 다음에 로드-측 도체는 고착되지 않고 도체의 길이방향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로차단기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전류 변성기는 회로차단기로부터 제거된다. 새로운 성형케이스 회로차단기를 설치할경우 단계는 역순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을 참조해 보면, 성형 성형케이스 회로차단기(20)는 절연하우징(22)을 구비하는데, 이 하우징(21)은 성형 베이스(22) 및 성형 덮개(24)를 가지며, 이들는 분리선(26)에서 조립된다. 베이스(22)의 내부 공동은 회로 차단기의 여러 부품들을 운반하기 위한 프레임(28)으로서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Westinghouse시리즈 C, R-프레임 성형 케이스 회로차단기가 설명되지만, 그러나 본 발명의 원리는 여러 형태의 성형 케이스 회로차단기에 적용될 수 있다.
하우징(21)내에는 최소 한쌍의 분리가능 접점들(30)이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고정 주 접점(32) 및 이동가능 주 접점(34)을 포함하는 주 접점쌍(30)이 구성된다. 고정 주 접점(32)은 복수의 고정구(38)로 프레임(28)에 볼트 접속된 라인측 도체(3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라인측 도체(36)에는 T자형 스태브(40)가 복수의 고정구(42)로 고정도니다. 스태브(40)의 하향으로 매달린 다리(44)는 회로차단기 하우징(21)의 후면으로부터 회측으로 연장한다. 이 다리(44)는 분전반(도시생략) 상에 배치된 라인측 도체안으로 플러그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이동가능 주 접점(34)은 복수의 고정구(48)로 프레임(28)에 고정된 부하측 도체(4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다른 T자형 스태브(50)가 복수의 고정구(52)로 부하측 도체(46)에 접속된다. 스태브(50)의 다리(53)는 회로차단기 하우증(21)의 후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데, 분전반내의 부하측 도체안으로 플러그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부하측 도체(46) 주위로는 도너트형 전류 변성기(CT)(54)가 배치된다. 이 전류 변성기(54)는 회로차단기(20)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과부하 상태와 같은 어느 상태하에서 회로차단기(20)를 트립하기 위해 전자 트립 장치(도시 생략)에 신호를 공급하게끔 사용된다. 그런데, 전자 트립 장치는 본 발명의 부분은 아니다.
주 접점들(30)의 개폐시키기 위해 작동장치(58)가 제공된다. 작동 장치 토글 조립체(60)를 포함하는데, 이 토글 조립체는 한쌍의 상측 토글링크(62) 및 한쌍의 하측 토글 링크(64)를 포함한다. 각 상측 토글 링크(62)는 한 단부에서 피벗 지점(66)주위로 하측 토글 링크(64)에 피버식으로 접속된다. 각 하측 토글 링크(64)는 피벗 지점(70)에서 접점 아암 운반체(68)에 피벗식으로 접속된다. 접점 아암 운반체(68)는 크로스 바아 조립체(72)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상측 토글 링크(62)는 각각 피벗 지점(76)에서 크레이들(74)의 매달린 아암(73)에 피벗식으로 접속된다. 피벗 지점(66)과 작동 핸들(80) 사이에는 가압 스프링(78)이 접속된다. 가압 스프링(78)은 래치 조립체(82)로 부터 크레이들(74)이 분리될때마다 토글 조립체(60)를 가압하여 내려 앉게 하고, 이로인해 이동가능 주 접점들(34)이 피벗 지점(83) 주위로 회전하게 되어 주 접점들(30)이 분리되게 된다.
래치 조립체(82)는 크레이들(74)과 토글 조립체(60)를 래치시킨다. 이 래치 조립체(82)는 피벗 지점(88)에서 단부간에 피벗식으로 접속된 한쌍의 래치 링크(84,86)를 포함한다. 하측 래치 링크(84)의 자유 단부는 피벗 지점(90) 주위로 프레임(28)에 피벗식으로 접속된다. 상측 래치 링크(86)의 자유 단부는 피벗 지점(94) 주위로 래치 레버(92)에 피벗식으로 접속된다. 래치 레버(92)의 다른 단부는 피벗 지점(96) 주위로 프레임(28)에 피벗식으로 접속된다.
외측으로 연장하는 레버(100)가 매달린 트립 바아(98)에 의해 래치 조립체(82)의 동작이 제어된다 레버(100)는 래치 조립체(82)가 래치 위치에 있을때 상기 래치 링크(86)의 피벗식으로 접속된 단부상에 형성된 캠 표면(102)과 결합한다. 과전류 상태에 응답하여 트립 바아(98)는 시침방향으로 회전하여 캠 표면(102)으로 부터 레버(100)를 이동시킨다. 일단 래치 레버(92)가 래치 표면(102)에 아무것도 없게 했을 경우, 하측 래치 링크(84) 및 프레임(28)사이에 접속된 가압 스프링(104)에 의해 하측 래치 링크(84)가 촤측으로 토글되어 래치 레버(92)가 시침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인해 크레이들(74)이 해제된다. 일단 크레이들(74)이 래치 조립체(82)로 부터 해제되면, 크레이들(74)은 가압 스프링(78)에 의해 역시침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인해 토글 조립체(60)가 내려 앉게 되고, 잇달아 주 접점들(30)이 분리된다. 회로는 핸들(80)을 폐쇄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리셋된다. 핸들(80)은 피벗 지점(108)주위로 피벗되는 역 U자형 작동 레버(106)와 일체로 형성된다.
트립 바아(98)는 전자 트립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데, 전자 트립 장치는 왕복식으로 장착된 플런저를 갖는 솔레노이드(도시생략)를 작동시키고, 상기 플런저가 레버(100)에 결합하여 이에 의해 잇달아 트립 바아(98)가 시침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래치 조립체(82)를 분리시킨다. 전자 트립 장치는 전류 변성기(54)에 의해 감지된 과전류 상태에 응답하여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킨다.
적층된 접점 조립체(109)가 복수의 이동가능 주 접점 조립체들(110)로 형성된다. 각 접점 조립체(110)는 함께 고정되어 상기 적층된 접점 조립체(109)를 형성한다. 각 접점 조립체(110)는 신장된 도체부(111) 및 점점 아암부(114)를 포함한다. 접점 아암부(114)중 어느 것은 이동가능 주 접점들(34)을 운반하는 반면 어느 아암부는 아크 접점(116)을 운반하는데 사용된다. 접점 아암부(114)는 반발 부재 즉, 가요성 분로(118)에 의해 고정 도체부(111)에 결합된다.
접점 조립체(109)를 형성하는 데는 몇가지 상이한 형태의 접점 조립체(110)가 사용된다. 제1형태(119)에서는 L자형 도체부(111)가 구성되는데, 이 도체부의 짧은 다리(124)상의 에지상에는 아치형 슬롯 즉 키호울(122)의 배치되어 있다. 키호울(122)은 자기 반발 부재(118)의 단부를 수용하게끔 사용된다. 또한, 접점 조립체(110)는 불규칙 형상의 접점 아암(114)을 포함하는데, 이 접점 아암은 주 이동가능 접점(34)이나 아크 접점(116)을 한 단부에서 운반한다. 또다른 아치형 슬롯 즉 키호울(122)이 접점 아암부(114)내에 형성되고 주 이동가능 접점(34) 또는 아크 접점(116)에 대항하여 한 한부에 배치되는데, 이것은 자기 반발 부재(118)의 다른 단부를 수용하게끔 사용된다. 자기반발부재(118)의 단부들은 키호울(122)안으로 삽입되기전에 크림프(crimp)된다. 접점 아암부(114)의 상부 에지(128)는 가압 스프링(130)을 수용하기 위한 장방형 리세스(129)로 형성된다. 스프링(130)의 다른 단부는 피벗식으로 장착된 브래킷(132)에 대해서 놓여진다. 또한, 접점 아암부(114)의 상부 에지(128)는 일체로 형성된 스톱(134)을 포함한다. 그 스톱(134)은 피벗식으로 장착된 브래킷(132)에 대해서 접점 아암부(114)의 운동을 정지시키게끔 사용된다.
스프링(130)은 접점 아암부(114)에 대해 하향 압력 즉 힘을 가하여 그것을 고정 주접점(32)에 대해 가압한다. 이 힘은 4내지 5파운드 일수있다. 자기반발부재 즉, 분로(118)에 흐르는전류에 따라 생성된 자기 반발력과 함께 스프링(130)으로 부터의 접점 압력은 회로차단기의 내압 정격을 제어한다. 회로 차단기의 내압 정격은 주 접점들(30)이 분리되기 시작하는 전류이다. 자기반발부재(118)를 통한 전류흐름과의 함수관계 이므로, 가압 스프링(130)은 어느 상태에서 회로차단기의내압 정격을 제어하기 위해 그힘에 대항하게끔 상용된다.
각 접점 아암부(114)는 개구(136)로 구성되는데, 이 개구는 접점 조립체(109)에 대한 피벗 지점을 형성하는 접점 아암부(114)을 함께 고정시키기 위한 핀(139)을 수용한다. 각 접점 조립체(110)의 고정 도체부(111)는 간격진 3개의 개구(137)로 구성되며, 이 개구들은 고정 도체부들(111)을 함께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리벳 즉 고정구(138)를 수용한다.
본 발명의 중요한 점은 회로차단기 하우징(21)의 베이스(22)에 접점 조립체(109)를 접속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회로차단기에서는 접점 조립체(109)는 그것의 베이스부에 호울을 드릴링 및 태핑함으로써 회로차단기의 베이스에 부착된다. 이어서, 회로차단기 베이스에 접점 아암 조립체를 고착시키기 위해 그 태핑된 호울안으로 고정구가 나사식으로 삽입된다. 그런데, 그러한 구성에서는 태핑된 호울이 회로차단기내의 동적인 힘으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느슨해 질수있다. 본 발명은 접점 아암 조립체(56)의 하부에 T자형 스롯을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상기 T자형 스롯은 조립체(109)내에 수용되는 사각머리 볼트를 수용한다.
따라서, 제2형태의 접점 조립체(140)는 고정 도체부(111)의 하부 에지(144)상에 형성된 T자형 슬롯(142)을 갖는 것이다. 이 T자형 슬롯(142)은 사각머리 볼트(147)를 수용하게끔 사용된다. 자기반발부재(118)뿐만 아니라 조립체(140)의 접점 아암부(114)는 접점 조립체(110)에 사용된 것 유사하다. T자형 슬롯을 갖는 접점 조립체(140)가 하부에지상에 형성된 그러한 T자형 슬롯(142)을 갖지 않는 인접 접점 아암 조립체들 사이에 개재되므로, 조립후 사각머리 볼트(112)는 T자형 슬롯(142)내에 수용된다.
또다른 형태의 접점 조립체(146)에서는, 고정 도체부(111)는 접점 조립체(119)에 구성된 것과 유사한다. 각 접점 조립체(119,146)간의 근복적인 차이점은, 조립체(146)에서의 접점 아암부(114)가 아크접점아암(148)을 주 접점들(30)이 형성하는 대신에 아크접점들(116)을 운반한다는 점이다.
이 아크접점들(116)은 주 접점들(30)이 분리될때 발생되는 아크를 소멸시킨다. 아크의 소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회로차단기 하우징(21)내에 아크 억제 슈트(152)가 구성된다. 각 아크 접점 아암(148)은 아암들(158)이 나란히 매달린 브래킷(156)을 수용하기 위한 장방형 리세스(129)로 형성된다. 브래킷(156)은 장방형 리세스(129)내에 수용된다. 또한, 브래킷(156)은 상향으로 배치된 돌출부(160)를 내장하는데, 이 돌출부는 피벗식으로 장착된 브래킷(132)의 하부(163)와 브래킷(156)사이에 배치된 스프링(162)을 수용하게금 사용된다. 주 접점 아암부(114)와 마찬가지로 아크접점아암(148)은 피벗지점(137)주위로 회전가능하다.
여러가지 형태의 접점 조립체(119,140,146)는 L자형 도체부(111)내의 개구들(137)이 정렬되도록 함께 적층된다. 이어서, 모든 L자형 도체부(111)를 함께 고정지시키 위해 리벳 즉 고정구(138)가 개구(136)안으로 삽입된다. 피벗 지점(139)을 형성하는 핀 즉 리벳은 접점 아암부(114) 및 아크 접점 아암(148)내의 개구들(136)을 통하여 삽입되어 모든 접점 아암부(114)를 함께 접속시키고 또한 피벗식 브래킷(132)에 접속시킨다. 각 접점 아암 조립체의 고정도체부(111)와 분로(118)사이에는 배리어(166)가 배치된다. 배리어(166)는 또한 각 접점 아암부(114,148)사이에 구성된다. 이 완성된 조립체가 접점 조립체(109)를 형성한다.
분로 즉 자기반발부재(118)는 구리와 같은 도전물질의 연속적인 얇은 스트립으로 감겨진 형태의 적층된 부재이다. 이 적층된 형태의 분로부재(118)는 한쌍의 다리(168,170)를 형성하는 V자형 부재로 이루어진다. 다리들(168,170)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로 인해 자기력이 발생되고, 이 자기력에 의해 다리들(168,170)이 반발된다. 어느 레벨의 과전류(예를들어 내압 정격)이상으로 전개된 가지 반발력은 주 접점들(30)을 다소 급속히 완전 개방시키기에 충분하다. 가압 스프링(130)은 자기반발부재(118)에 의해 발생된 자기 반발력에 대항하여 전류 변성기(54) 및 전자 트립장치로 하여금 과전류 상태를 감지하도록 하고, 회로차단기의 내압 정격 보다 작은 과전류 상태의 경우 작동장치(58)에 의해 접점들을 트립시키거나 분리시킨다.
자기반발부재의 가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부재(118)의 최상부(172)가 고리 형태로 변형되거나 벌브 형태로 변형되며, 이것은 제7도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다. 부재(118)의 연장하는 다리들(168,170)은 각 주 접점 아암 조립체 및 아크 접점 아암 조립체의 접점 아암부(114) 및 고정 도체부(111)내의 키호울(122)안으로 크림프되어 삽입된다. 일단 분로 다리들의 단부가 키호울(122)안으로 삽입되면 조립체는 양측에 적층된다. 이 적층 처리는 고정 도체부(110) 및 접점 아암부(114 또는 148)에 분로 다리들(158,170)을 고착시키게끔 사용된 땜납의 위킹(wicking)을 방지하기 위해 키호울(122)에 인접하여 조립체내에 홈(174)을 구성한다.
캠 로울러 핀 조립체(176)는 어느 상태중에 이동가능 접점들(34)과 고정 접점들(32) 사이에 힘을 유지하게끔 사용됨과 아울러, 회로차단기가 기계식 작동 장치(58)에 의해 트립될대까지 완전개방이 발생될때 이들 접점간의 분리를 유지하게끔 사용되는 이중 목적 조립체이다. 정상 동작중에, 과전류가 회로차단기(20)의 내압 정격 보다 작을 경우 캠로울러 핀 조립체(176)는 피벗식으로 장착된 브래킷(132)내에 일체로 형성된 캠표면(180)에 지탱되고, 캠 표면은 접점 아암 조립체(109)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이것은 점점 아암 조립체(109)에 크로스 바아 조립체(72)를 결합시킨다. 토글 조립체(60)가 크로스바아 조립체(72)에 결합되므로, 이에 의해 주 접점들(30)의 동작이 기계식 작동장치(58)에 의해 제어된다. 지금까지 설명되었듯이, 접점 조립체(109)내의 가압 스프링으로 인해 고정 주접점(32)에 대해 이동가능 접점(34)에서 하향 압력 즉 힘이 발생된다. 회로차단기(20)의 내압 정격보다 작은 과전류 상태의 경우, 접점 아암들(114,118)은 축(137) 주위로 피벗한다. 그러한 과전류 상태중에, 자기반발부재(118)의 연장하는 다리들(168,170)에 의해 발생된 자기 반발력으로 인해 점점 아암들(114,148)이 역시침 방향으로 축(139)주위로 회전하여 주 접점들(30)을 가압하여 작동장치(58)가 회로차단기를 트립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축(137) 주위로의 접점 아암들(114,148)의 피벗식 운동으로 인해 자기반발부재(118)는 주접점들(30)을 폐쇄 또는 완전 개방 시키도록 동작한다.
회로차단기의 내압정격 이하의 과전류 상태의 경우, 캠로울러 핀 조립체(176)는 캠 표면(180)에 지탱되어 접점 조립체(109)를 크로스 바아 조립체(72)에 기계적으로 결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류 변성기(54)는 과전류 상태를 감지하여 전자 트립 장치에 신호를 공급하고, 잇달아 전자 트립 장치에 의해 작동장치(58)가 회로차단기를 트립시키고 주 접점들(30)을 개방시킨다. 그러나, 내압 정격보다 큰 비교적 큰 과전류 상태의 경우, 접점 아암 조립체(109)에 대한 피벗 지점은 접점 조립체(109)가 와전 개방 되게끔 변화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자기반발부재(118)에 의해 발생된 가지 반발력으로 인해 캠로울러 핀 조립체(176)과 캠표면(180)으로 부터 제2캠 표면(182)으로 이동하여 이동가능 접점 조립체(109)를 또다른축(183) 주위로 피벗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기반발부재에 의해 발생된 가지 반발력은 주 접점들(30)을 완전 개방시킨다. 완전 개방후, 캠 로울러 핀 조립체(176)가 캠 표면(182)에 도달하면 주 접점들(30)은 분리된채 유지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 과전류 상태가 중단된후, 주접점들(30)이 분리된채 유지시키는 자기 반발력은 전혀없다.
외측극들상에는 캠로울러 핀 조립체(176)의 각 단부에 2개의 접촉지점이 있다. 하나의 접촉지점(184)이 단부의 중간에 위치한다. 그 지점은 캠로울러 핀 조립체(176)가 피벗식으로 장착된 브래킷(132)의 캠표면들(180,182)을 딸 지탱되는 지점이다. 다른 접촉지점(186)은 캠로울러 핀 조립체(176)의 단부에 있는데, 그것은 크로스바아 조립체(72)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절연 슬리브내의 한쌍의 슬롯(188)내에 수용된다. 완전개방 상태가 발생할 경우 접촉 지점들(184,186)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한 상태에서, 캠 로울러 핀 조립체(176)상에는 비교적 큰 비틀림 및 마찰력이 발생되는데, 이 힘들로 인해 완전 개방 속도가 감소될 수 있거나 회로차단기가 완전개방이 발생된후 트립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성에 따르면, 구성된 캠 로울러 핀 조립체(176)는 완전 개방 상태중에 발생될 수 있는 마찰력 및 비틀림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각 단부에서 각 접촉 지점(184,186)에 대해 독자적으로 회전가능한 부분을 갖는다.
캠 로울러 핀 조립체(176)는 각 단부에 위치한 연장축(194)을 갖는 원통형부(192)를 포함한다. 각 축(194) 상에는 소형 로울러(196) 및 대형 로울러(198)가 배치된다. 로울러들(196,198)이 축(194)상에 위치한후, 로울러들(196,198)을 축(194)에 고착시키게끔 리테이닝 링(197)이 사용된다. 소형 로울러(196)는 피벗식으로 장착된 브래킷(132)사으이 캠 표면들(180,182)과 결합하도록 사용되는 반면, 대형 로울러(198)는 절연스리브(190)내의 슬롯(188)내에 수용된다. 공통축상에 지지된 각 로울러들이 각 접촉 지점에 대해 사용되므로 양 로울러들은 독자적으로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완전개방 상태와 같이 접촉지점들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되는 상태에서는 마찰력이 크게 감소하고 그에 따라 회로차단기(20)가 보다 원활히 작동한다.
캠 로울러 핀 조립체(176)는 핀(230)에 결합되며, 피벗식으로 장착된 브래킷(132)이 그 핀(230)주위로 복수의 스프링(200)에 의해 회전한다. 캠 로울러 핀 조립체(176)의 원통형부(192)내에 형성된 방사상 홈(204)은 스프링(200)의 갈고리형 단부를 수용한다. 유사한 형태희 홈(도시생략)이 핀(139)상에 형성될수 있으며, 핀(230)에 캠 로울러 핀 조립체(176)를 결합시키도록 스프링(200)의 축방향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200)의 다른 단부틀 수용한다.
크로스 바아 조립체(72)는 캠 로울러 핀 조립체(176)에 의해 각 극에 대해 접점 조립체(109)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크로스 바아 조립체(72)는 장방형 단면으로 형성될수 있는 신장된 축(206)을 포함한다. 그 신장된 축(206)은 토글 조립체(60)의 하측 토글링크(64)에 결합된 한쌍의 접점 아암 운반체(68)를 지지하도록 사용된다. 2개의 접점 아암 운반체(68)는 다극회로차단기(20)에서 중앙극에 인접하여 구성된다. 각 접점 아암 운반체(68)은 짧은 다리(212)에서 개구(210)를 갖는 L자 형태이다. 개구(210)는 장방형이며, 접점 아암 운반체(68)가 축(206)상에 미끄러지게 수용되어 그와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축(206)의 단면 영역보다 다소 크다.
접점 아암 운반체(68)는 토글 조립체(650)로부터 하측 토글 링크(64)를 수용하게끔 간격진 한쌍의 L자형 브래킷(214)으로 형성된 적층 조립체이다. 하측 토글링크(64)내의 개구(피벗 지점(70)을 형성함)는 L자형 부재(214)내의 개구(215)와 정렬된다. 접점 아암 운반체(68)와 하측 토글링크)64) 사이의 피벗가능 접속부를 형성하기 위해 개구를 통하여 금속핀(216)이 삽입된다. 보통 장방형 단면 보어를 갖는 절연 슬리브(218)는 크로스 바아축(206)의 단부상에 미끄러시게 수용된다. 이 절연 슬리브(218)는 외측극들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서로 마주보고 배치된 판부들(220,222)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절연 슬리브(218)와 일체로 형성된다. 판부(220,222)는 절연슬리브(218)의 대향단부상에 배치되고, 내측으로 향하는 한쌍의 장방형 슬롯(188)을 내장한다. 한쌍의 슬롯(188)은 캠 로울러 핀 조립체(176)의 로울러들(196,198)을 수용하게끔 사용된다. 또한, 서로 마주보고 배치된 판(220,222)은 정렬된 한쌍의 개구(226)로 구성되며, 이 개구들은 피벗식 브래킷(132)내의 개구들(228)과 정렬된다. 회전가능 브래킷(132)과 일체로 형성된 절연슬리브 조립체(218) 사이의 피벗접속부를 구성하도록 핀(230)이 개구내에 고착된다.
절연 슬리브(218)의 판부들 사이의 간격은 피벗식으로 장착된 브래킷(132)을 수용할 정도의 크기이다. 따라서, 과전류 상태로 인하여 접점 아암 운반체들 사이에서 발생된 어느 자기 반발력으로 인해 접점 아암 운반체(109)이 반발되고 잇달아 절연 슬리브(218)가 축(206)에 대해 가압된다. 자기 반발력에 의해 접점 아암 운반체(68)가 축(206)을 따라 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접점 아암 운반체(68)는 축(206)에 용접되어 있다. 절연 슬리브 조립체(218)는 축(206)상에 성형되거나 별도로 성형되어 에폭시와 같은 고착제로 축(206)에 고착되고 하나 이상의 금속 핀(232)에 의해 축(206)에 핀 접속될 수 있는데, 이 핀은 축(206) 및 슬리브(218)내의 개구내에 가로질러 삽입되어 축(206)에 대한 슬리브(218)의 축방향 운동을 방지한다. 또한, 금속 핀(232)은 절연 슬리브(218)내의 개구(도시 생략)안으로 플러시 삽입되며, 절연 물질로 덮여질 수도 있다. 각 외측 극상에는 접점 조립체(109)가 고정 주 접점(32)으로부터 분리될때 회로차단기의 덮개(24)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스톱 조립체(234)가 구성된다. 비교적 큰 과전류 상태중에, 특히 접점 아암 조립체(109)가 자기반발부재(118)에 의해 완전 개방될대 상당한 힘이 발생된다. 종래의 회로차단기에서는, 접점 조립체(109)가 덮개(24)에 부딪치지 못하게 하기 위해 덮개 내측에 완충재가 아교접착되어 있다. 그러나, 어느 경우에는 덮개(24)에 대한 손상이 그래도 발생한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성은 접점 조립체(109)가 덮개(24)에 부딪치지 못하게 하게끔 사용되는 외측 극들상의 고무 스톱 조립체(234)에 관한 것이다. 이 고무 스톱 조립체(234)는 회로차단기 하우징(21)의 덮개(24)로부터 간격진 완충기(236)를 포함한다. 완충기(236)를 덮개(24)로부터 간격지게 함으로써 덮개(24)에 대한 손상이 방지된다.
고무 스톱 조립체(234)의 중요한 특성은 2세트의 아암들(240,242)이 간격져서 나란히 매달린 이중 목적 브래킷(238)을 포함한다는 점이다. 비교적 긴 세트의 아암(240)을 핀(246)을 수용하기 위해 그 자유 단부(244)에서 정렬된 개구들(243)을 내장한다. 완충기(236)는 핀(246)에 미그러지게 수용되도록 직경을 가진 중앙 보어를 갖는 원통형상이다. 핀(246)은 원통형 완충기보다 다소 더 길어서 그 단부들이 아암들(240)로 부터 외측으로 연장한다. 핀의 이 연장부는 프레임(28)내에 형성된 일체로 성형된 보어들(248)내에 수용되어 고무 스톱 조립체(234)에 대한 추가의 지지부를 제공한다. 비교적 짧은 세트의 연장 아암(242)은 크로스 바아 조립체(42)에 대한 피벗 접속보를 제공하게끔 사용된다.
브래킷(238)의 후미부(219)는 개구(250)로 구성된다. 연장하는 한쌍의 이어(254)를 갖는 배리어 판(252)이 한쌍의 개구(256)로 구성되며, 이 개구는 브래킷(238)내의 개구(250)와 정렬한다. 개구들(250,256)은 회로차단기의 프레임에 고무 스톱 조립체(234)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도시 생략)를 수용한다.
토글 조립체(60)를 포함하는 작동장치(58)가 중앙극에 인접하기 때문에, 다른 고무 스톱 조립체(257)가 중앙극에 대해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완충기(260)를 운반하기 위해 신장된 금속 바아(258)가 제공된다. 완충기(260)는 신장된 금속 바아(258)에 고착된 신장된 L자형 부재이다.
신장된 금속 바아의 길이는, 그것이 완충기(260)를 초과 연장하여 서로 마주보고 배치된 측판들(262)의 슬롯(도시생략)내에 수용되는 만큼의 크기이며, 측판들(262)은 중앙극에 인접 배치되어 프레임(28)에 단단히 고정된다. 중앙극 조립체(257)의 장착은 중앙극 접점 조립체(109)가 그와 접촉하지 못하게 하도록 작동장치(58)로부터 간격져서 행해진다.
주 전류 변성기(54)는 이 분야에서 CT 신속 변경 조립체(264)에 의해 다소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대체되어진다. CT 신속 변경 조립체(264)는 회로차단기를 넓은 범위에 걸쳐 분해할 필요없이 전류변성기(54)의 대체를 간소화시킨다. 전류 변성기(54)를 대체하기 위한 한가지 이유는 전류 변성기(54)의 고장이다. 전류 변성기(54)를 대체하기 위한 또다른 이유는 1600/2000암페어의 정격을 갖는 회로차단기에서와 같이 이중 정력 회로 차단기가 한 정격에서 다른 정격으로 변화한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1600암페어의 정격에서 회로차단기와 함께 사용되는 전류 변성기는 2000 암페어 정격에서는 사용이 적합하지 못하다.
CT신속 변경 조립체(264)는 부하측 도체(46) 주위로 배치된 주 전류 변성기(54) 및 제거가능 판(266)을 포함한다. 전류 변성기(54)는 도너트형 전류 변성기인데, 이 변성기는 부하측 도체(46)를 1차 권서으로서 활용한다.
주 전류 변성기(54)는 하주징(21)으로 부터의 제거를 허용하기 위해 한 측이 개방된 프레임(28)에서의 일체로 형성된 공동(267)내에 배치된다. 부하측 도체는 프레임(28)내의 일체로 형성된 공동(269)내에 배치되어 그 종방향 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하우징(21)에서 제거되도록 되어 있다. 전류 변성기(54)를 하우징(21)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제거가능 판(266)이 제거된다. 판(266)이 제거된후, 부하측 도체(46)에서 분리시키기 위해 6개의 고정구(48)를 푸는 것이 필요하다. 이 볼트들이 제거된후, 부하측 도체(46)로부터 스태브(50)를 분리시키기 위해 4개 이상의 고정구(52)가 부하측 도체(46)로부터 분리되면, 도체(46)는 종방향 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미끄러져 나갈수 있다. 도체(46)가 제거된후, 전류 변성기(54)가 회로차단기 하우징(21)으로부터 제거되어 다른 전류 변성기로 대체될 수 있다. 전류 변성기(54)를 대체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상기 단계들을 거꾸로 시행하면 된다. 따라서, CT 신속 변경 조립체가 이 분야에서 전류 변성기의 신속하고도 용이한 대체를 위해 고려된 것임은 명백하겠다.
복합 배리어/보조 전류 변성기 기판(268)이 제공되는데, 이 기판은 몇 가지 목적을 갖는다. 제1목적은 회로차단기 내부 부품들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배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판(268)은 하우징(21)의 개방부(271)을 밀폐시킨다. 제2목적은 보조 변성기(270)를 장착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3목적은 주 전류 변성기(54) 및 전자 트립 장치에 보조 변성기(270)를 접속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4목적은 회로차단기(20)내에서 발생된 열을 대기로 배출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복합 배리어/보조 CT 기판(268)은 E자형 인쇄 회로 기판(272)으로 구성된다. 이 기판(272)은 베이스(22)의 측벽(276)에 형성된 서로 마주보고 배치된 슬롯들(274)내에 수용된다. 기판(272)의 하부는 프레임(28)의 수직으로 직립한 다리부(278)의 상부에 놓여진다. 이 E자형 인쇄 회로 기판(272)은 래치 조립체(82)와 하우징(21) 개방부(27) 사이에 배치되면, E자형상을 형성하는 간격진 한쌍의 슬롯(282)을 내장한다. 슬롯(282)은 프레임(28)내에 형성된 수직으로 직립한 측벽(284)을 수용하게끔 되어 있다.
3개의 보조 변성기(270)가 각 극마다 하나씩 구성된다. 보조 변성기(270)는 1차 및 2차 권선을 가지며, 전자 트립 장치에 인가된 전류를 낮추는데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각 주 전류 변성기(54)의 2차 권선은 대응하는 보조 번류 변성기(270)의 1차 권선에 인가된다. 이어서, 보조 변성기(270)의 2차 권성이 전자 트립 장치에 인가된다.
인쇄 회로 기판(272)은 보조 변성기(272)와 전자 트립 장치간의 배선 장치로서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보조 변성기(270)의 1차 권선과 주 전류 변성기(54)의 2차 권선간에 필요한 전기 접속을 위해 전기 회로가 인쇄 회로 기판(272)상에 구성되는데, 이 전기 회로는 통상의 방식으로 기판(272)상에 구성된다. 인쇄 회로 기판(272)의 상부 우측 코너에는 주 접속기(286)가 구성된다. 이 접속기(286)는 인쇄 회로 기판(272)상에 형성된 전기 회로에 의해 보조 전류 변성기(270)의 2차 권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어서, 양단부(도시 생략)에서 접속기를 갖는 배선 장치가 인쇄 회로 기판(272)을 전자 트립 장치에 접속시키게끔 사용된다. 보조 변성기(270)는 인쇄 회로 기판(272)에 직접 장착된다. 인쇄 회로 기판(272)상에는 각 보조 변성기(270)에 인접하여 2차 접속기(288)가 배치된다. 이 2차 접속기(288)는 보조 변성기(270)의 1차 권성에 접속된다. 보조 변성기(270)의 1차 권선을 주 전류 변성기(54)의 2차 권선에 접속시키기 위해, 한 단부에서 접속기를 갖는 또다른 케이블(도시생략)이 제공되며, 이 접속기는 주 전류 변성기(54)를 기판(272)에 접속시킨다.
인쇄 회로 기판(272)의 연장하는 다리부(292)에는 배출 호울(290)이 구성된다. 이 배출 호울은 하우징(21)에서 발생된 열을 대기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복합 배리어/보조 CT 기판(268)에 의해 회로차단기의 조립이 간소화되어, 그에따라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회로차단기(20)의 내부 배선이 간소화된다.
부족 전압 해제 장치, 분로 트립 장치등과 같은 여러가지 선택장치를 회로 차단기에 부착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조립식 선택장치 덱 조립체가 제공된다. 부족 전압 해제 장치는 라인 저압이 소정값이 하로 떨어질때 자동적으로 주 접점들(30)을 개방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것은 모터와 같은 어느 부하가 그것의 과열을 야기할 수 있는 감소된 전압에서 동작하지 못하도록 행해진다. 부족 전압 해제 장치의 예가 미합중국 특허 제4,489,295호의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다. 분로 트립 장치(도시생략)는 왕복식으로 장착된 플런저가 트립 바아(98)에 인접하여 배치된 솔레노이드로 필수적으로 구성된다. 이 분로 트립 장치에 의해 회로차단기(20)가 원격 위치에서 트립되게 된다. 부족 전압 해제 장치나 분로 트립 장치가 모든 회로 차단기(20)에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들 항목은 주문 항목이며 보통 공장에 설치된다. 제조중에 그러한 주문 항목들을 회로차단기(20)에 추가하는데 드는 제조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선택장치 덱 접점 조립체립체(294)가 제공된다. 이 선택 장치 덱 조립체(294)는 프레임(28)에 의해 운반되는 회로차단기 덮개(24) 아래에 배치된 장방형 판을 포함하는데, 이 판은 트립 바아(98)와의 상호동작을 허용하기 위한 개구(296)를 갖는다. 또한, 판(294)은 브래킷(302)과 일체로 형성된 하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L자형 아암(300)을 수용 하기 위한 복수 세트의 슬롯(298)을 포함한다. 아암(300)을 수용하기 위한 브래킷(302)내의 복수 세트의 슬롯(298)은 L자형 아암들(300)과 상호 동작하여 여러 선택 장치들을 장방형 판(294)에 고착되게 함으로써 트립 바아(98)와 정렬하여 판(294)의 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L자형 아암들(300)은 브래킷(302)의 서로 마주보고 있는 부분들상에 구성되며, 복수세트의 슬롯(298)이 도시되어 있다. 브래킷(302)은 서로 마주 보는 슬롯들(304,306 또는 308)의 어느 세트안으로 수용되게끔 되어 있어 예를 들어 3개에 이르는 선택 장치를 주어진 회로차단기(20)에 구성되게 한다.
브래킷(302)은 복수의 개구(310)로 구성되는데, 이 개구들(310)에 의해 선택장치가 복수의 고정구(도시 생략)로 브래킷(302)에 부착되게 된다. 판(294) 내에는 브래킷(302)내의 개구들(310)과 정렬된 홈(312)이 구성된다. 이들 홈(312)은 선택장치를 브래킷(302)에 부착시키기끔 사용되는 고정구에 공간을 제공하여, 이로인해 브래킷(302)이 판(294)에 미끄러지게 수용될 수 있다.
여러 선택장치를 각각은 하향으로 연장하는 레버(도시 생략)을 갖는데, 이 레버는 회로차단기(20)가 트립되게 하도록 트립 바아와 결합하게끔 되어 있다. 선택장치가 브래킷(302)에 조립된후, 하향으로 연장하는 레버는 브래킷(302)의 후방 에지로부터 개구(296)를 통하여 하향으로 연장하여 트립 바아(98)와 상호 동작한다. 이어서, 브래킷(302)은 적소에 고착된다. 따라서, 선택 장치 덱 조립체가 회로 차단기의 주문 생산을 보다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하게 해준다는 것은 명백하겠다.

Claims (8)

  1. 그 내부에 배치된 전류트랜스용 급변경 조립체와, 베이스 및 커버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한쌍의 분리가능한 접점과, 하나 이상의 라인-측도체와, 하나 이상의 로드-측도체와, 작동 매카니즘과, 전기트립 장치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공동내에 배치된 주전류 변성기와, 상기 전류 변성기가 하우징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일측면상의 개구를 구비하는데, 상기 주전류변성기는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상기 라인-측도체 또는 상기 로드-측도체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공동을 폐쇄하기 위한 제거가능한 커버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회로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류변성기는 도너츠형 전류변성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상기 라인측도체 또는 상기 로드측도체는 도체가 그의 길이방향축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상기 라인측도체 또는 상기 로드측 도체는 복수의 패스너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상기 로드측 또는 라인측 도체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스탭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으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탭에는 복수의 패스너에 의해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상기 라인측 또는 로드측 도체가 부착되고 상기 스탭으로부터 상기 패스너가 제거되고 상기 도체로부터 상기 패스너가 제거되어 상기 도체는 전류변성기가 제거되도록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될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7.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부와 커버부를 가진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의해 운반되는 한쌍이상의 분리가능한 접점을 구비하는데, 각쌍의 분리가능한 접점은 로드측도체의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라인-측도체에 연결된 고정접점과, 다른 하나의 상기 라인측도체 또는 상기 로드측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동 가능한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한쌍이상의 분리가능한 접점을 작동하는 작동 매카니즘과, 상기 한쌍이상의 분리가능한 접점을 작동하는 전기트립장치와, 상기 베이스 내의 공동에 배치되어 운반되는 주전류변성기와, 상기 전류변성기가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되도록 일측면상의 개구를 구비하여 상기 주전류 변성기는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상기라인측도체 또는 상기 로드-측도체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공동을 폐쇄하기위해 제거가능한 커버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8. 베이스부와, 커버부, 상기 베이스부에 고착되는 라인-측 및 로드측도체와, 작동 매카니즘을 포함하고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라인측 또는 로드-측도체 주위에 배치되고, 일단부에서 베이스 개구내의 공동에 배치되며 제거가능한 커버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회로차단기로부터 전류 변성기를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거가능한 커버를 제거하는 단계와; 전류변성기가 배치되는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상기 로드-측도체를 고착시키지 않는 단계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상기 로드-측도체 또는 상기 라인-측도체를 슬라이딩시킨 단계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전류변성기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기재된 바와같은 방법.
KR1019890010955A 1988-08-01 1989-08-01 전류변성기의 급변경 어셈블리를 갖는 회로차단기 KR0137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26,648 1988-08-01
US07/226,648 US4890081A (en) 1988-08-01 1988-08-01 CT quick change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943A KR900003943A (ko) 1990-03-27
KR0137872B1 true KR0137872B1 (ko) 1998-06-15

Family

ID=22849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0955A KR0137872B1 (ko) 1988-08-01 1989-08-01 전류변성기의 급변경 어셈블리를 갖는 회로차단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4890081A (ko)
EP (1) EP0353939B1 (ko)
JP (1) JP3224098B2 (ko)
KR (1) KR0137872B1 (ko)
CN (1) CN1028265C (ko)
AU (1) AU622194B2 (ko)
BR (1) BR8903775A (ko)
CA (1) CA1329406C (ko)
DE (1) DE68926639T2 (ko)
IE (1) IE80490B1 (ko)
MX (1) MX165904B (ko)
NZ (1) NZ229874A (ko)
PH (1) PH25628A (ko)
ZA (1) ZA8951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1378A (en) * 1993-04-08 1994-06-14 General Electric Company Molded case circuit breaker current transformer adapter unit
US5872495A (en) * 1997-12-10 1999-02-16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Variable thermal and magnetic structure for a circuitbreaker trip unit
DE19813888B4 (de) * 1998-03-28 2007-07-05 Abb Patent Gmbh Motorschutzeinrichtung
DE10013072B4 (de) * 2000-03-17 2006-06-22 Aeg Niederspannungstechnik Gmbh & Co Kg Primärleiteranordnung für den Stromleiter einer elektromagnetischen Auslöseeinheit
US7777601B2 (en) * 2005-04-20 2010-08-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ircuit breaker
DE102008050755A1 (de) * 2008-10-07 2010-04-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s Gerät mit einem elektrischen Anschluss
EP3056953A1 (de) * 2015-02-11 2016-08-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Autarkes Feldgerät der Automatisierungstechnik zur Fernüberwachung
CN108122717A (zh) * 2017-12-21 2018-06-05 郑立新 一种断路器
CN107946147A (zh) * 2017-12-21 2018-04-20 大亚电器集团有限公司 塑壳式漏电断路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7382A (en) * 1975-07-22 1976-10-19 I-T-E Imperial Corporation Unitized motor starter
US4037183A (en) * 1976-03-29 1977-07-19 I-T-E Imperial Corporation Replaceable solid state trip unit
US4090156A (en) * 1976-04-12 1978-05-16 I-T-E Imperial Corporation Circuit breaker having solid state and thermal-magnetic trip means
GB1602544A (en) * 1977-11-23 1981-11-11 Westinghouse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with interchangeable rating adjuster and interlock means
US4281359A (en) * 1980-03-14 1981-07-28 General Electric Company Static trip unit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s
US4489295A (en) * 1982-12-17 1984-12-18 Westinghouse Electric Corp. Circuit interrupter with improved electro-mechanical undervoltage release mechanism
US4656444A (en) * 1985-08-16 1987-04-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with force generating shunt
US4638277A (en) * 1985-10-01 1987-01-20 Westinghouse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with blow open latch
US4679018A (en) * 1986-01-15 1987-07-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with shock resistant latch trip mechanism
US4679019A (en) * 1986-05-14 1987-07-07 General Electric Company Trip actuator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265C (zh) 1995-04-19
JP3224098B2 (ja) 2001-10-29
US4890081A (en) 1989-12-26
JPH0282427A (ja) 1990-03-23
EP0353939A3 (en) 1991-07-31
ZA895125B (en) 1990-04-25
PH25628A (en) 1991-08-08
CA1329406C (en) 1994-05-10
NZ229874A (en) 1992-05-26
IE892175L (en) 1990-02-01
MX165904B (es) 1992-12-09
EP0353939B1 (en) 1996-06-12
BR8903775A (pt) 1990-03-20
AU622194B2 (en) 1992-04-02
AU3783089A (en) 1990-02-01
DE68926639D1 (de) 1996-07-18
EP0353939A2 (en) 1990-02-07
DE68926639T2 (de) 1997-01-30
IE80490B1 (en) 1998-08-12
CN1040114A (zh) 1990-02-28
KR900003943A (ko) 1990-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2776B1 (ko) 고무 스톱 조립체를 갖는 다극 회로차단기
KR0147295B1 (ko) 적층형 구리조립체를 갖는 회로차단기
EP0490332B1 (en) Circuit breaker
KR0148486B1 (ko) 전류 변환기 급속 교환장치 및 전동 스페이서
US5057806A (en) Crossbar assembly
KR0137872B1 (ko) 전류변성기의 급변경 어셈블리를 갖는 회로차단기
US4887057A (en) Cam roll pin assembly
KR0162076B1 (ko) 복합 배리어/보조전류 변성기 기판을 갖는 회로 차단기
KR0134633B1 (ko) 조립식 선택장치 덱 조립체를 갖는 회로 차단기
US4939491A (en) Combination barrier and auxiliary CT board
EP0353949B1 (en) Modular option deck assembly
CA1338593C (en) Laminated copper assembly
IE73215B1 (en) Crossba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