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537Y1 - 정수기용 필터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537Y1
KR0137537Y1 KR2019960014862U KR19960014862U KR0137537Y1 KR 0137537 Y1 KR0137537 Y1 KR 0137537Y1 KR 2019960014862 U KR2019960014862 U KR 2019960014862U KR 19960014862 U KR19960014862 U KR 19960014862U KR 0137537 Y1 KR0137537 Y1 KR 01375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water purifier
preventing means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48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0976U (ko
Inventor
김서곤
Original Assignee
김서곤
주식회사솔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서곤, 주식회사솔고 filed Critical 김서곤
Priority to KR20199600148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537Y1/ko
Publication of KR9800009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09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5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5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1Filter housing constructions including arrangement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e.g. pressure resisting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정수기용 필터에 있어서, 본 고안에서는 여과체가 물을 정수하는 과정에서 여과체와 불순물의 결합으로 여과체가 수축되거나 엉켜지지 않도록 하여 정수되지 않은 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체가 완전히 제거하고. 정수되는 물의 신뢰성을 확보함으로써 안전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잇는 정수기용 필터를 제공할 목적으로 내부에 공간부를 마련하며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공이 뚫어지며 형성하는 몸체와 이 몸체에 삽입 설치하며 물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여 정수하는 여과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삽입 설치하며 여과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변형 방지수단을 포함하는 정수기용 필터를 제공함으로써, 정수되지 않은 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체가 지속적으로 완전히 제거할 수 있고, 정수되지 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정수기용 필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의 일부 절개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정수기용 필터를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필터 2 : 공간부
4 : 배수공 6 : 몸체
8 : 여과체 10 : 변형 방지수단
12 : 유입공 14 : 상판
16 : 통공 18 : 고정부재
20,22 : 결합홈 24 : 고정홈
[이용분야]
본 고안은 정수기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의 몸체 내부에 제공되는 여과체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여 여과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정수기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중래의 기술]
근자에 이르러 식수가 오염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동안에 대부분의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식수를 여과하여 마시고 있다.
현재 식수를 여과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정수기는 물을 유입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구와 정수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를 구비하는 몸체와, 물의 유입을 제어하는 밸브와, 유입된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한 몸체에 설치되는 필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정수기는 밸브를 열면 유입구를 통해 정수되지 않은 물이 몸체 내부를 통하여 필터로 유입되고, 필터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여과체에 의해 정수되어 배출구를 통하여 나오면서 식수로 사용된다.
이러한 정수기에서 물을 여과하는 필터의 기능이 저하되면, 그것의 수명이 다하게 되는 것이므로 필터의 관리가 중요한 관건이 된다.
종래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용 필터(100)는 내부에 공간부(102)를 마련하는 몸체(104)와, 몸체(104)의 공간부(102)에 삽입 설치하여 물을 정수하는 여과체(106)와, 몸체(104)의 상단 내주면에 삽입 고정하는 상판(108)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몸체(104)의 아래면에는 여과체(106)에 의해 정수된 물을 배출할수 있도록 외부와 통하는 배수공(110)을 형성하고 외주면 일측에는 정수기의 몸체에 필터(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내부로 절곡되며 파여져 형성하는 고정홈(11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판(108)의 내면에는 정수기의 몸체에서 필터(100)의 몸체(104)내부로 물을 유입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공(114)이 뚫려져 있다.
상기한 종래의 필터(1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수기의 몸체에서 정수되지 않은 물이 상판(108)의 유입공(114)을 통하여 몸체(104)의 공간부(102)로 유입되면, 이 물은 몸체(104)의 공간부(102)에 제공되어 있는 여과체(106)에 의해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이 제거된다.
그리고, 여과체(106)에 의해 정수된 물은 몸체(104)의 아래면에 형성하는 배수공(110)을 통하여 정수기의 몸체에 형성하는 배출구를 경유하여 나오게 되므로 정수된 물을 식수로 사용할 수 있다.
[문제점]
그러나, 상기한 정수기용 필터는, 몸체의 공간부에 제공하는 여과체가 물을 정수하는 불순뭉과 결합하며 수축되면서 엉켜져서 필터로 유입하는 정수되지 않은 물을 완전히 정수하지 못하여 정수되는 물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한 여과체는 오랜기간 사용할 때 그 형상이 변형되면서 여과능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여과체를 제때에 확인하여 교체해야 함으로 수시로 필터를 분해하여 관찰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수단]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여과체가 물을 정수하는 과정에서 여과체와 불순물의 결합으로 여과체가 수축되거나 앙켜지지 않도록 하여 정수되지 않은 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체가 완전히 제고하고, 정수되는 물의 신뢰성을 확보함으로써 안전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정수기용 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정수기용 필터는 내부에 공간부를 마련하며 하부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수공이 뚫려진 몸체와, 이 몸체에 삽입되며 물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여 정수하는 여과체와, 상기 몸체의 공간부에 삽입 설치되어 여과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변형 방지수단을 포함한다.
[작용]
이러한 정수기용 필터는 변형 방지수단에 의해 여과체가 정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과체의 수축 및 엉켜짐 등의 형태의 변형을 방지함으로 정수되지 않은 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체가 완전히 제거할 수 있고 정수되는 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정수기용 필터(1)는 내부에 물을 일정량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2)가 형성되어 있으며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공(4)이 뚫려진 몸체(6)를 갖는다.
그리고, 정수기용 필터(1)는, 물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정수하는 여과체(8)를 상기 몸체(6)의 공간부(2)에 삽입 설치하고 있다.
상기 몸체(6)의 공간부(2)부에 삽입 설치된 여과체(8)는 오랜기간 사용할때에도 그 형태를 보존하여 주는 변형 방지수단(10)에 의해 오랜기간 사용할때에도 여과 능력이 저하되지 않게 된다.
상기한 정수기용 필터(1)는, 물을 몸체(6) 내부로 유입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공(12)를 구비한 상판(14)이 몸체(6)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몸체(6)에는 외주면에 고정홈(24)을 형성하여 정수기에 설치할 때 정확한 위치에 확실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변형 방지수단(10)은, 상기 몸체(6)의 공간부(2)내로 삽입되면서 여과체(8)를 정개하여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여과체(8)를 분할하여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변형 방지수단(10)이 여과체(8)를 분할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고정부재(18)가 사용된다.
상기한 고정부재(18)는 서로 교차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에 결합홈(20)(22)이 형성되며, 또 이 고정부재(18)는 여과되는 물이 원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측에는 통공(16)들을 형성하고, 하측에는 노치(17)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통공(16)은 고정부재(18)의 주변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길어지는 슬릿의 형태를 가지므로서 물의 순환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노치(17)는 아래면에 양끝단에서 중앙으로 경사지며 그 폭이 점차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된다.
이 노치(17)의 변은 여과체(8)를 절개할 수 있도록 예리한 날(21)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재(18)는 1쌍이 직교하는 상태로 사용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 고정부재(18)를 2개 이상 사용하여 여과체(8)를 제3도에 도시된 4분할 이상으로 분할시킬 수 있다.
물론, 여과체(8)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변형 방지수단(10)은 하나의 고정부재(18)를 사용하여 여과체(18)를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필터(1)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몸체(6)의 공간부(2)내로 여과체(8)를 설치한다.
그리고, 변형 방지수단(10)을 여과체(8)를 절개하면서 이 여과체(8)를 분할 지지할 수 있도록 몸체(6)의 공간부(2)내로 삽입 설치한다.
이때, 변형 방지수단(10)을 형성하는 고정부재(18)는 노치(17)이 변이 예리한 날(21)로 형성되어 있고, 노치(17)의 아래면이 양끝단에서 중앙으로 경사지며 그 폭이 점차로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어 변형 방지수단(10)이 용이하게 여과체(8)를 절개하면서 분할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6)의 상단 내주면에 상판(14)을 외주면이 삽입하면서 삽입 고정하면 필터(1)의 조립이 완료한다.
그리고, 조립된 필터(1)를 몸체(6)에 형성하는 고정홈(24)을 이용하여 정수기의 몸체에 고정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정수기용 필터(1)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수기의 몸체에서 정수되지 않은 물이 상판(14)의 유입공(12)을 통하여 필터(1)의 몸체(2)내부로 유입하고, 이 물은 몸체(6)의 공간부(2)에 제공하는 여과체(8)에 의해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이 제거된다.
여기서, 여과체(8)는 변형 방지수단(10)에 의해 분할 지지되어 있어 여과체(8)가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과 결합할 때 여과체(8)가 수축하거나 엉켜지지 않는다.
그리고, 여과체(8)에 의해 정수된 물은 몸체(6)의 아래면에 형성하는 배수공(4)을 통하여 정수기의 몸체에 형성하는 배출구를 경유하여 나오게 되며 식수로 사용된다.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정수기용 필터는 여과체가 물을 정수하는 과정에서 여과체와 불순물의 결합으로 여과체가 수축되거나 엉켜지지 않아 정수되지 않은 물에 포함된 불순물이 여과체에 의해 지속적으로 완전히 제거할 수 있고, 정수되는 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6)

  1. 내부에 공간부(2)를 마련하며 하부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수공(4)이 뚫려진 몸체(6)와, 이 몸체(6)의 공간부(2)에 삽입되며 물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여 정수하는 여과체(8)와, 상기 몸체(6)의 공간부(2)에 삽입설치되어 여과체(8)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변형 방지수단(10)을 포함하는 정수기용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변형 방지수단(10)은 노치(17)가 형성되어 여과체(8)내에서 물의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고정부재(18)로 이루어지는 정수기용 필터.
  3. 제1항 또는 제2항 있어서, 변형 방지수단(10)은 상단 중앙에 전,후면이 통하도록 절곡되며 파여진 결합홈(20)을 형성하는 고정부재(18)와, 하단 중앙에 상기 결합홈(20)과 서로 삽입되면서 결착하도록 하는 전,후면이 통하도록 절곡되며 파여진 또다른 결합홈(22)을 구비하는 또다른 고정부재(18)가 서로 직교하며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정수기용 필터.
  4. 제2항에 있어서, 고정부재(18)는 노치(17)의 상부에 통공(16)이 복수개 형성하는 정수기용 필터.
  5. 제2항에 있어서, 노치(17)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가면서 점차로 좁아지는 정수기용 필터.
  6. 제2항에 있어서, 노치(17)은 변은 예리한 날(21)로 형성되는 정수기용 필터.
KR2019960014862U 1996-06-04 1996-06-04 정수기용 필터 KR01375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4862U KR0137537Y1 (ko) 1996-06-04 1996-06-04 정수기용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4862U KR0137537Y1 (ko) 1996-06-04 1996-06-04 정수기용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976U KR980000976U (ko) 1998-03-30
KR0137537Y1 true KR0137537Y1 (ko) 1999-03-20

Family

ID=19457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4862U KR0137537Y1 (ko) 1996-06-04 1996-06-04 정수기용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53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976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88993A2 (en) Multiple-disc type filters
US4744901A (en) Multiple disc type filter and disc construction useful therein
KR100398998B1 (ko) 유체필터
CA3099478C (en)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EP0162446B2 (en) Hollow-fiber filter module
JP3646145B2 (ja) ポンプの吸入口用の濾過器
BRPI0413043B1 (pt) Elemento de filtro e conjunto de filtro para elemento de filtro.
KR0142860B1 (ko) 스페이서에 의해 분리된 여과 요소를 포함하는 여과 장치
US6338797B1 (en) Filter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6203699B1 (en) Filtration membrane module
EP0267866B1 (en) Multiple-disc filter
KR0137537Y1 (ko) 정수기용 필터
US5807481A (en) Oil filter assembly with support for removable planar filter
CN106102876B (zh) 用于过滤流体的外壳组件和过滤模块
EP0177434A2 (en) Multiple-disc filter
WO2001080968A1 (en) Filtration device for a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EP1268029A1 (en) Improved filtration device for a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KR100624154B1 (ko) 침지형 중공사막 모듈
EP3520885A1 (en) Flat-plate filter for water treatment and flat-plate filter module comprising same
EP3606640A1 (en) Filter element and filter arrangement having fluid filters and filter element
US20070169445A1 (en) Filter flow turbine
KR200230337Y1 (ko) 와이형 스트레이너
JP3492429B2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
JPH10258221A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及びろ過装置
JP3981692B2 (ja) ノッチワイヤ、ノッチワイヤエレメント及び濾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