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364Y1 - 위성방송안테나의 케이블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위성방송안테나의 케이블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364Y1
KR0137364Y1 KR2019950012365U KR19950012365U KR0137364Y1 KR 0137364 Y1 KR0137364 Y1 KR 0137364Y1 KR 2019950012365 U KR2019950012365 U KR 2019950012365U KR 19950012365 U KR19950012365 U KR 19950012365U KR 0137364 Y1 KR0137364 Y1 KR 01373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nb
cable
arm
connection structure
satellite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23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8880U (ko
Inventor
최용환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500123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364Y1/ko
Publication of KR9600388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88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3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3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성방송안테나의 케이블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LNB(32)를 지지하여 주기위한 아암(30)의 내부에 케이블 안내로(34)가 형성되고, 상기 LNB(32)의 단부에 상기 아암의 안내로(34)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채널이 형성되며, 케이블의 연결단자(48)가 상기 고정채널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안내로로 돌출되게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어, 케이블과 연결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되므로써 바람등과 같은 외부의 거친환경으로부터 보호가 되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줄 수 있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위성방송안테나의 케이블 연결구조
제1도는 위성방송 수신안테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종래의 위성방송 수신안테나의 케이블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도파관과 LNB가 수평으로 연결된 경우.
(b)는 도파관과 LNB가 수직하게 연결된 경우.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제3도의 A부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방송위성 12 : 안테나반사경
14 : 도파관(feedhorn) 16 : LNB(low noise block-down converter)
18 : 동축케이블 20 : 아암
22 : 지지브라켓 24 : 연결단자
30 : 아암 32 : LNB
34 : 안내로 36 : 케이블
38 : 도파관 40 : 고정채널
42 : 아암의 선단부 44 : 나사
46 : LNB의 돌출부 48 : 연결단자
50 : 고무패킹
본 고안은 위성방송안테나의 케이블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성방송 수신안테나의 LNB(low noise block-down converter)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BS튜너로 전달하는 동축케이블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성방송은 지상방송국에서 발사된 방송신호를 약 35,000-36,000Km 적도 상공 정지궤도상에 위치한 방송위성으로 중계하여 지상으로 재발사하면 각 가정에서는 파라볼라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신하게 되는 것으로, 전파범위 안에서는 난시청지역이 없이 선명한 화면과 완벽한 음향으로 시청할 수 있어 현재 각광받고 있는 방송매체이다.
그러나 이러한 위성방송은, 3-13GHz 범위의 SHF(super high frequency) 주파수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적절한 수신기기 시스템이 요구될 뿐아니라, 또한 극초단파에서 마이크로파로 주파수가 높아지면 전자파의 전파손실이 크고, 급전선의 손실이 증가하기 때문에 전파를 공간으로 복사할 때 가능한 모든 에너지를 한 방향으로 집중시켜 에너지를 최대한 유용하게 사용하여야 하는 바, 극초단파대 이상의 파는 파장이 매우 짧고, 그 성질이 여러 가지 점에서 빛과 비슷하므로 광학의 원리와 메가폰이 음파를 일정한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작용을 이용하여 지향성을 예리하게 한 파라볼라 안테나가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파라볼라 안테나는 포물면반사기와 그 초점에 도파관을 설치한 구조의 안테나를 말하는 것으로, 그 동작원리는 포물면경에 평행하게 입사된 빛은 포물면경에 반사된 후 포물면의 초점으로 광선을 집중시키게 된다는 광학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즉, 포물면에 반사되어 전파되는 전자파는 반사점에 관계없이 초점으로 집중되므로써 수신감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위성방송 수신안테나시스템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위성(10)에서 발사된 전파를 반사시키게 된 안테나반사경(12)과, 상기 안테나반사경(12)의 초점에서 설치되어 반사된 전파가 유입되게 된 도파관(14) 및 상기 도파관(14)으로 전달된 전파를 1/10의 주파수로 저잡음증폭시키는 LNB(16)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LNB(1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동축케이블(18)을 통해 BS튜너로 공급되게 되는 바, 이 LNB의 출력신호는 1GHz대의 높은 주파수로서 광대역 FM이므로 양호한 수신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케이블과 LNB의 연결이 안정되어야 하고, 또한 옥외에 설치되기 때문에 거친 환경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종래의 동축케이블의 연결구조는 제2도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20)에 지지브라켓(22)으로 고정설치된 LNB(16)의 연결단자(24)에 단순히 동축케이블(18)이 삽입고정되어 연결되므로써, 동축케이블(18)과 그 연결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미관상 좋지 않을 뿐아니라 빗물이 스며들어가는 누수현상이 발생되므로써 동축케이블의 부식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뿐아니라 연결된 동축케이블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된 LNB와 동축케이블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LNB를 지지하여 주기위한 아암의 내부에 케이블 안내로가 형성되고, 상기 LNB의 단부가 상기 아암의 안내로에 삽입되어 고정설치되며, 동축케이블의 연결단자가 상기 케이블 안내로의 삽입된 부분에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에 따르면, 동축케이블이 상기 아암의 안내로를 따라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LNB의 연결단자에 고정 결합시키게 된 것으로, 상기 동축케이블과 LNB의 연결부위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써 누수가 발생되지 않을 뿐아니라 동축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됨이 없이 아암의 내부를 따라 설치되어 있어 바람등과 같은 외부의 거친환경으로부터 보호가 되므로써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미관처리가 용이하게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동축케이블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제4도는 상기 연결부분을 확대도시한 결합단면도로서, 안테나의 지지후레임(미도시)로부터 뻗어나온 아암(30)과, 상기 아암(30)에 의해 LNB(32)가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아암(30)은 LNB(32)를 지지하여 주게 된 것으로 안테나의 지지축으로부터 뻗어나와 LNB(32)를 안테나의 초점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므로써, 안테나로부터 반사된 전파가 도파관을 통해 LNB(32)로 최대한 유입되도록 하고, 내부에는 중공의 안내로(34)가 구비되어 있어, 케이블(36)이 상기 안내로(34)를 따라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LNB(32)는 전단부에 도파관(38)이 고정설치되고, 이 도파관(38)과는 수직하게 연결되어지며, 하부에는 소정깊이의 원형 고정채널(40)이 형성되어져, 상기 아암의 선단부(42)가 이 고정채널(40)에 삽입되어져 나사(44)로 고정하므로써 상기 아암에 의해 LNB(32)가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아암의 안내로(34)로 삽입된 LNB의 돌출부(46)에 연결단자(48)가 형성되어져 있어, 상기 아암의 안내로(34)를 따라 설치된 케이블(36)이 이 연결단자(48)에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상기 케이블의 연결단자(48)에 빗물이 흘러들지 않도록 상기 LNB의 고정채널(40)내에 고무패킹(50)을 삽입하여 아암(30)을 삽입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LNB(32)에 연결되는 케이블(36)이 아암의 내부에 형성된 안내로(34)를 따라 설치되고, LNB의 연결단자(48)가 상기 아암의 안내로(34)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므로써, 케이블(36)과 연결단자(48)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되어 바람 또는 빗물등의 거친환경으로부터 영향을 적게 받고, 또한 LNB(32)가 상기 아암의 안내로(34)에 삽입고정되도록 하므로써 별도의 고정부재가 필요치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서술된 것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고, 이를 가지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되며, 단지 본 고안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내에 존재하는 변형예는 모두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

  1. LNB(32)를 지지하여 주기위한 아암(30)의 내부에 케이블 안내로(34)가 형성되고, 상기 LNB(32)의 단부에 상기 아암의 선단부(42)가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깊이의 고정채널(40)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채널(40)의 내부에 위치한 돌출부(46)에 케이블의 연결단자(48)가 형성되어져 상기 케이블 안내로(34)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 위성방송안테나의 케이블 연결구조.
KR2019950012365U 1995-05-31 1995-05-31 위성방송안테나의 케이블 연결구조 KR01373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2365U KR0137364Y1 (ko) 1995-05-31 1995-05-31 위성방송안테나의 케이블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2365U KR0137364Y1 (ko) 1995-05-31 1995-05-31 위성방송안테나의 케이블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880U KR960038880U (ko) 1996-12-18
KR0137364Y1 true KR0137364Y1 (ko) 1999-04-01

Family

ID=19414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2365U KR0137364Y1 (ko) 1995-05-31 1995-05-31 위성방송안테나의 케이블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36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880U (ko) 1996-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667B1 (ko) 위성신호 수신장치 및 위성신호 수신방법
US7522115B2 (en) Satellite ground station antenna with wide field of view and nulling pattern using surface waveguide antennas
US6121939A (en) Multibeam antenna
CA2379151C (en) Ka/ku dual band feedhorn and orthomode transducer (omt)
CA1257694A (en) Antenna system
US5309167A (en) Multifocal receiving antenna with a single aiming direction for several satellites
US5606334A (en) Integrated antenna for satellite and terrestrial broadcast reception
US4282530A (en) Cylindrical paraboloid weather cover for a horn reflector antenna with wave absorbing means
US4731616A (en) Antenna horns
DE69710081D1 (de) Antenne für satellitenempfang
US6166704A (en) Dual elliptical corrugated feed horn for a receiving antenna
US3133284A (en) Paraboloidal antenna with compensating elements to reduce back radiation into feed
US6052099A (en) Multibeam antenna
KR0137364Y1 (ko) 위성방송안테나의 케이블 연결구조
EP0452077A1 (en) Antenna arrangements
US6570542B2 (en) Integrated dual-directional feed horn
JPH0552082B2 (ko)
JP3781074B2 (ja) アンテナ装置
KR0144211B1 (ko) 위성접시안테나용 원편파 수신 컨버터
CA1201199A (en) Dielectric rod feed for reflector antennas
KR0153660B1 (ko) 위성방송 수신장치
KR102284920B1 (ko) 다중 위성신호 수신용 안테나 시스템
JPH1127037A (ja) マルチビームアンテナ
Malviya et al. Review paper on Efficiency Improvement in the Parabolic Reflector Dish Antenna System
KR20010066698A (ko) 안테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