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331B1 - 자동 헤드스위칭 조정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헤드스위칭 조정장치 및 그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331B1
KR0137331B1 KR1019940022642A KR19940022642A KR0137331B1 KR 0137331 B1 KR0137331 B1 KR 0137331B1 KR 1019940022642 A KR1019940022642 A KR 1019940022642A KR 19940022642 A KR19940022642 A KR 19940022642A KR 0137331 B1 KR0137331 B1 KR 0137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head switching
delay data
signal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2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1839A (ko
Inventor
최낙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22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331B1/ko
Priority to JP7230524A priority patent/JP2793153B2/ja
Priority to DE19533246A priority patent/DE19533246C2/de
Priority to US08/525,152 priority patent/US6304399B1/en
Priority to CN95117136A priority patent/CN1086834C/zh
Publication of KR960011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3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2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 G11B15/14Masking or switching periodically, e.g. of rotating h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2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스위칭시점과 수직동기와의 간격이 VHS포맷을 만족하는 지연데이타를 찾아 조정작업을 자동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자동 헤드스위칭 조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헤드스위칭신호와 수직동기신호와의 시간간격이 VHS포맷을 만족하는지를 검출하는 6.5H검출부를 구비한다. 마이콤은 자동조정모드가 시작되면 제1헤드는 고정하고 제2헤드만을 이동시키면서 지연데이타를 단계적으로 변경시키고, 6.5H검출부의 출력신호를 이용해 헤드스위칭과 수직동기와의 간격이 설정범위이내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시간간격이 설정범위를 벗어난 경우 지연데이타를 계속 변경시키면서 다시 설정범위이내인지를 판단한다. 시간간격이 설정범위이내일 경우 이때의 지연데이타를 저장하고 제1헤드와 제2헤드를 모두 이동시켜 상기 지연데이타만큼 헤드의 스위칭위치를 변경시킨다. 따라서, 조정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정작업을 정확하게 함은 물론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헤드스위칭 조정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종래의 헤드스위칭 조정장치의 블럭구성도.
제2도의 (가)-(마)는 헤드스위칭신호를 만드는 과정을 나타낸 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자동 헤드스위칭 조정장치의 블럭구성도.
제4도의 (가)-(카)는 본 발명의 자동 헤드스위칭 조정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각부 입출력파형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자동 헤드스위칭 조정방법을 보인 제어흐름도.
제6도의 (가)-(다)는 6.5H검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입출력파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60 : 마이콤3, 10 : 서보부
4, 5 : 드럼20 : 드럼기준카운터
30 : 헤드스위칭발생부40 : 드럼위상검출부
50 : 6.5H검출부70 : 이이피롬
본 발명은 헤드스위칭시점과 수직동기와의 지연시간이 6.5H인지를 검출하여 그때 마이콤에서 출력되는 헤드스위칭 지연데이타에 의해 자동으로 헤드스위칭 조정을 할 수 있도록 한 자동 헤드스위칭 조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스위칭조정은 여러개의 헤드에 의해 픽업된 신호를 가지고 1프레임을 구성할 때 드럼에 부착된 영상헤드와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신호와의 상대적위치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조정이다. 수동조정방식으로 헤드스위칭을 조정할 경우 라인의 작업자들은 가변저항을 돌려 헤드스위칭시점과 영상신호의 수직동기와의 간격을 맞추는 작업을 하게 된다.
제1도는 종래의 헤드스위칭 조정장치의 블럭구성도로서 자동조정방식일 경우이다. 제1도에서 영상처리부(1)내의 전치증폭기는 현재 영상헤드가 픽업하고 있는 영상신호의 양, 즉 엔벨로프상태를 검출하여 이 정보를 마이콤(2)에 입력시킨다. 마이콤(2)은 이 엔벨로프검출신호에 따라 헤드스위칭 지연데이타(tp)를 변동시키는 직렬데이타를 출력하는데, 이 데이타는 엔벨로프검출신호에 저전위상태가 없을때까지 계속 내보낸다. 마이콤(2)의 출력단에는 서보부(3)가 연결되어, 드럼(4)으로부터 인가된 상태신호(D-PG, D-FG)를 이용하여 헤드스위칭신호를 만든다. 이때 서보부(3)는 마이콤(2)으로부터 인가된 직렬데이타를 받아 실제로 그 양만큼 헤드의 상대위치가 바뀌도록 드럼모터의 제어신호를 변경시킨다. 드럼(4)에서는 드럼모터가 회전하면 부착된 영상헤드에 의해 영상신호를 읽어 영상처리부(1)로 보낸다. 마이콤(2)은 영상처리부(1)로부터 엔벨로프검출신호를 입력받아 이 신호가 항상 고전위상태이면 그 때의 헤드스위칭 지연데이타(tp)를 저장한다.
제2도는 서보부(3)에서 헤드스위칭신호를 만드는 방법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제2도의 (가)는 드럼(4)에서 발생된 위상발생기신호(D-PG)이고, 제2도의 (나)는 주파수발생기신호(D-FG)이다. 제2도의 (다)는 헤드스위칭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파형도로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한 수동조정방식과 마이콤을 이용한 자동(디지탈)조정방식으로 구분된다. 수동조정방식일 경우 헤드스위칭시점은 위상발생기신호(D-PG)의 하강에지에서 첫번째로 오는 주파수발생기신호(D-FG)의 상승에지까지의 시간(tfg)과, 서보부의 롬사양, 즉 SP헤드인지 SLP헤드인지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지연시간(tROM)과,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시정수(tMM)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두 지연시간(tfg, tROM)은 기구적으로 거의 고정된 상태이므로 가변저항을 조정하여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시정수 ( fg D fg D D D 2 15 D 15 8 D sc
D D D 15 D

Claims (7)

  1. 마이콤의 지연데이타에 따라 서보부에서 헤드스위칭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신호와 기준신호와의 오차에 따라 드럼의 위상제어를 행하여 헤드스위칭을 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보부내의 헤드스위칭발생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입력된 헤드스위칭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비교함으로써 두 신호의 시간간격이 설정값을 만족하는지를 검출하는 6.5H검출부와;
    6.5H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헤드스위칭 지연데이타와 헤드위치를 고정 또는 이동시키기 위한 데이타를 함께 서보부로 출력하고 헤드스위칭시점과 수직동기신호와의 시간간격이 설정값을 만족할 때의 지연데이타를 저장하는 마이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헤드스위칭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6.5H검출부는 헤드스위칭신호와 수직동기신호와의 시간간격이 5H보다 크고 8H보다 작은 VHS포맷을 만족하는 설정범위내에 있는지를 검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헤드스위칭 조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헤드스위칭신호와 수직동기신호와의 시간간격이 설정값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헤드스위칭 지연데이타를 단계적으로 변경시키는 직렬데이타와, 제1헤드위치는 고정시키고 제2헤드위치만을 이동시키기 위한 데이타를 함께 서보부로 출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헤드스위칭 조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헤드스위칭신호와 수직동기신호와의 시간간격이 설정값을 만족할 경우 이때의 지연데이타를 저장하고, 상기 지연데이타와 제1헤드와 제2헤드를 모두 이동시키기 위한 데이타를 함께 서보부로 출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헤드스위칭 조정장치.
  5. 헤드스위칭 지연데이타를 이용해 헤드스위칭신호를 만들고 이 신호에 따라 드럼의 위상제어를 행하여 헤드스위칭을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자동조정모드가 시작되면 제1헤드는 고정하고 제2헤드만을 이동시키면서 헤드스위칭 지연데이타를 단계적으로 변경시키고 헤드스위칭시점과 수직동기와의 시간간격이 설정범위이내인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 시간간격이 설정범위를 벗어난 경우 헤드스위칭 지연데이타를 계속 변경시키면서 다시 설정범위이내인지를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시간간격이 설정범위이내일 경우 이때의 헤드스위칭 지연데이타를 저장하고 제1헤드와 제2헤드를 모두 이동시켜 상기 지연데이타만큼 헤드의 스위칭위치를 변경시키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헤드스위칭 조정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은 자동조정모드가 시작되면 드럼속도가 변하지 않도록 제1헤드위치는 고정시키고 제2헤드위치만을 이동시키기 위한 데이타를 출력하는 단계와; 제2헤드가 이동할 경우 헤드스위칭 지연데이타를 단계적으로 변경시키는 직렬데이타를 출력하는 단계와; 헤드스위칭시점과 수직동기와의 시간간격이 설정범위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헤드스위칭 조정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은 헤드스위칭시점과 수직동기와의 시간간격이 설정범위이내일 경우 이때의 헤드스위칭 지연데이타를 저정함과 동시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헤드스위칭 지연데이타를 출력할 때 제1헤드와 제2헤드의 위치를 모두 이동시키기 위한 데이타를 함께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출력된 지연데이타만큼 헤드스위칭위치가 바뀌도록 드럼속도를 변경시켜 헤드스위칭을 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헤드스위칭 조정방법.
KR1019940022642A 1994-09-08 1994-09-08 자동 헤드스위칭 조정장치 및 그 방법 KR0137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642A KR0137331B1 (ko) 1994-09-08 1994-09-08 자동 헤드스위칭 조정장치 및 그 방법
JP7230524A JP2793153B2 (ja) 1994-09-08 1995-09-07 ヘッドスイッチング自動調整方法及びその装置
DE19533246A DE19533246C2 (de) 1994-09-08 1995-09-08 Verfahren und Steuerung einer automatischen Kopfumschaltung von Köpfen einer Videotrommel
US08/525,152 US6304399B1 (en) 1994-09-08 1995-09-08 Automatic head switch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N95117136A CN1086834C (zh) 1994-09-08 1995-09-08 磁头切换自动调整方法及其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642A KR0137331B1 (ko) 1994-09-08 1994-09-08 자동 헤드스위칭 조정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839A KR960011839A (ko) 1996-04-20
KR0137331B1 true KR0137331B1 (ko) 1998-05-15

Family

ID=19392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2642A KR0137331B1 (ko) 1994-09-08 1994-09-08 자동 헤드스위칭 조정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04399B1 (ko)
JP (1) JP2793153B2 (ko)
KR (1) KR0137331B1 (ko)
CN (1) CN1086834C (ko)
DE (1) DE19533246C2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10988C1 (ko) * 1988-03-31 1989-05-24 Nokia Graetz Gmbh, 7000 Stuttgart, De
US5243474A (en) * 1989-03-28 1993-09-0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utomatic tracking control system which utilizes a crosstalk envelope signal to vary a tracking control signal
US5448367A (en) * 1992-07-02 1995-09-05 Goldstar Co., Lt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generation of a head switching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793153B2 (ja) 1998-09-03
JPH08185650A (ja) 1996-07-16
CN1086834C (zh) 2002-06-26
CN1150680A (zh) 1997-05-28
DE19533246A1 (de) 1996-03-28
DE19533246C2 (de) 1997-08-28
KR960011839A (ko) 1996-04-20
US6304399B1 (en) 2001-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0410A (en) Scan tracking apparatus for helical scan video tape recorder
US4445092A (en) Periodic pulse forming circuit
KR0162215B1 (ko) 비정상 속력 재생시의 자동 트래킹 장치 및 그 방법
KR0137331B1 (ko) 자동 헤드스위칭 조정장치 및 그 방법
EP0587320B1 (en)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US4777538A (en) For stabilizing video image during recorded program changes
US4849830A (en) Picture stabilizing circuit for generating a forced synchronizing signal
JP2937826B2 (ja) 多重方式vtrのヘッドスイッチング自動調整方法及びその装置
US6282048B1 (en) Track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apstan motor speed
KR910020659A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용 자동트래킹 시스템
KR970008607B1 (ko) 슬로우 트래킹 자동 조정방법 및 장치
KR0118217Y1 (ko)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의 헤드스위치 자동조정회로
KR100194017B1 (ko) 자동 헤드 스위칭 서보회로 및 방법
KR0176533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저속재생시 트래킹제어방법 및 장치
JP2788371B2 (ja) 位相補正回路
KR970000154B1 (ko) 최적위치 트래킹 자동 제어방법
KR100196088B1 (ko) 브이티알의 자동트랙킹방법
JP2825171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0144881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 스위칭 펄스 자동 보정 장치 및 방법
KR0123757B1 (ko) 비디오레코더의 트랙킹장치
JPH0632466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のタンゼンシヤルサ−ボ信号発生装置
JPH0613174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6203434A (ja) 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JPH01236786A (ja) ビデオ信号の周波数特性補正装置
JPH02260263A (ja) 特殊再生時トラッキング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