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174Y1 - 기립형 정미기 - Google Patents

기립형 정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174Y1
KR0137174Y1 KR2019950028497U KR19950028497U KR0137174Y1 KR 0137174 Y1 KR0137174 Y1 KR 0137174Y1 KR 2019950028497 U KR2019950028497 U KR 2019950028497U KR 19950028497 U KR19950028497 U KR 19950028497U KR 0137174 Y1 KR0137174 Y1 KR 01371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bran
rice
discharge passage
pipe
st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84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6340U (ko
Inventor
이진구
Original Assignee
이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구 filed Critical 이진구
Priority to KR2019950028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174Y1/ko
Publication of KR9700163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63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1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1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목적]
정미기에서 미강 배출통로의 청소를 용이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미강이 퇴적되는 부분이 쉽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청소를 쉽게 할 수 있게 개량한 기립식 정미기.
[구성]
미강 배출통로(18)의 바닥이 상기한 공급관(26)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한정되고, 상기한 미강 배출통로(18)를 정의하기 위하여 둘로 분할 형성된 관체(34a)(34b) 중의 어느 하나가 외부로 확장 형성된 미강 수집부(40)를 보유함과 아울러 상기한 배출관(26)이 미강 수집부(40)의 일측으로 연통 설치되어서 상기한 미강 배출통로(18) 상에 조성되는 미강 퇴적부가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기립형 정미기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정미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묘사된 미강 배출통로의 덮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관련된 다른 변형예를 묘사하는 측면도.
제4도는 제2도에 관련된 또 다른 변형예를 묘사하는 측면도.
제5도는 종래의 기립형 정미기에 관련된 구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기대 18 : 미강 배출통로
20 : 배출관 26 : 공급관
32 : 플랜지 34a,34b : 관체
40 : 미강 수집부 360b : 확장면
본 고안은 기립형 정미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미과정에서 발생되는 미강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제거해 낼 수 있도록 미강 배출통로를 개량한 기립형 정미기에 관한 것이다.
기립형 정미기는 제5도의 도시와 같이 모터(2)에 의해 회전되는 중공 로터(4)가 기대(6)의 내부 중앙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 축(4)을 둘러싸는 기대(6)에는 고정 연마석(8)과 스크린(10)이 축방향에 따라 번갈아 고정 배치되어 대략 8각의 평단면을 이루게 되어 있다.
상기한 중공로터(4)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나란히 뚫려진 급기공(12)과, 적어도 1쌍의 회전 연마석(14)이 배치되어서 고정 연마석(8) 및 스크린(10)과 협동하게 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한 고정 연마석(8)과 스크린(10)의 외측방에는 축방향으로 분할된 반원통형의 투명관체(16)가 서로 마주보게 장착되어서 미강 배출통로(18)를 형성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미강 배출통로(18)는 중공로터(4)의 외주를 타고 하측방으로 연장된 다음, 다시 배출관(20)으로 연통되어서 외부로 미강을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있고, 또 그 도중의 바닥부에는 중공로터(4)의 외주에 장착된 임펠러(2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바닥으로 쌓여지는 미강을 배출관(20)으로 압송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렇게 배관된 배출관(20)에는 별도 설치된 사이크론의 흡기 휀으로 부터 부압이 가해져서 밀어 넣어지는 미강을 흡인 배출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중공로터(4)는 외주 소정부위에 스크루 컨베이어(24)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공급관(26)을 통해 공급되는 쌀은 도면의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루 컨베이어(24)에 의해 중공로터(4)의 상방으로 압송되고, 여기를 통과할 때에 고정 연마석(8)과 회전 연마석(14) 사이에서, 그리고 스크린(10)과 회전 연마석(14) 사이에서 마찰되면서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정미된 쌀은 상방으로 압송되기 시작하여 미리 중량추(28)에 의해 일정의 압력으로 닫쳐져 있는 게이트(30)를 통해 자동 배출되어 수거된다.
상술한 정미과정 중에 알곡으로부터 박리되는 미강의 배출은 다음과 같다.
급기공(12)은 배출관(20)을 통한 부압의 작용에 의해 외부 공기를 불어넣는 송풍효과를 가지고 있고, 이러한 송풍효과로 나타나는 중압은 정미된 쌀 중에 혼재된 미강이 스크린(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스크린(10)을 통과한 미강은 미강 배출통로(18)를 타고 낙하하여 배출관(20)을 통해 수거되는 것이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립형 정미기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은 바로 미강 배출통로(18)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즉, 정미되는 쌀에서 떨어져 나온 미강은 전분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미강 배출통로(18)의 구석진 부분으로 퇴적되면 대기 중의 습기를 빨아 들여서 굳어 버리게 되고,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하면 미강 퇴적층이 성장하여 상기한 미강 배출통로(18)를 좁혀 주기 때문에 미강의 배출 효과가 저하된다.
잘 알려져 있듯이 미강은 쌀의 전분질을 포함하고 있고, 또 전분질은 조해성(潮解性:습기를 흡수하면 녹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대기 중의 습기와 접촉하면 녹게 되고, 녹은 전분질은 점착성을 띠게 되므로 배출관(2)을 통한 부압의 작용에도 빨려 나가지 않고 남아 미강 배출통로(18)의 구석진 부위로 퇴적되고 건조되면 단단하게 굳어져 붙어 버린다.
이와 같이 미강이 미강 배출통로(18)의 내부에 붙어 굳어져 버리면 미강 배출효율이 저하됨은 물론, 퇴적된 미강이 임펠러(22)의 회전 반경 내로 침범하였을 때에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상술한 문제점 때문에 종래의 기립형 정미기에서는 미강 배출통로(18)의 청소를 위하여 둘로 분할된 반원통형의 투명관체(16)를 떼어 낼 수 있는 구조로 하고 있다.
투명관체(16)는 미강 배출통로(18)에 쌓여진 미강의 분량을 목측할 수 있어서 청소해야 할 시기 등을 결정하는 데에 대단히 편리한 이점은 있으나, 미강 배출통로(18)의 하측부는 공급관(26)의 연결부, 또 중공로터(4)를 지지하기 위한 아암 등이 배열되어 있어서 청소하기가 극히 어렵게 되어 있고, 특히 임펠러(22)가 배치된 부분은 청소가 불가능한 위치로 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미강 배출통로의 청소를 용이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미강이 퇴적되는 부분이 쉽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구조로 개량한 기립형 정미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공급관을 통해 중공로터의 외주로 쌀을 공급해서 상기한 중공로터의 상방으로 압송하면서 중앙의 회전 연마석과 주변의 고정 연마석 및 스크린 사이로 마찰시켜 정미되게 하고, 상기한 고정 연마석과 스크린의 외주측에는 1쌍의 관체를 장착하여 상기한 스크린을 통해 빠져 나오는 미강이, 일체로 연통된 배출관으로 가해지는 부압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한 기립형 정미기에 있어서, 상기한 미강 배출통로의 바닥이 상기한 공급관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한정되고, 상기한 미강 배출통로를 정의하기 위하여 둘로 분할 형성된 관체 중의 어느 하나가 외부로 확장 형성된 미강 수집부를 보유함과 아울러 상기한 배출관이 미강 수집부의 일측으로 연통 설치된 구성으로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에서 미강 수집부는 관체의 외주 상측 또는 하측으로 편중되게 형성되어서 측면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되거나 또는 중간부가 외주측으로 부풀어 오른 원호상의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배출관은 상기한 미강 수집부의 상방 혹은 측방으로 연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방으로 연통되어서 중공로터와 나란하게 배치되게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미강이 종래의 기립형 정미기와는 달리 미강 배출통로의 상방 혹은 측방으로 흡인 배출되는 것이므로 미강이 깊숙한 위치에 쌓여져 고착되는 일이 없게 되고, 설령 미강이 쌓여진다 해도 그 위치는 관체의 제거를 통해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는 장소가 되기 때문에 미강의 청소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상술한 본 고안은 미강 배출통로가 기대의 하측방으로 연장되지 않음에 따라 중공로터의 하측부 외주로 임펠러를 배치시킬 필요도 없게 되어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는 실용성도 갖추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정미기의 측단면도로서, 상술한 제5도와 동일한 부분은 설명의 중복을 피하고자 동일 부호로 표시하고 있다. 기대(2)의 대략 중간부에는 플랜지(32)가 확장 형성되어 있고, 둘로 분할된 1쌍의 관체(34a)(34b)는 상기한 플랜지(32)의 상방으로 적치되어 있다.
상기한 1쌍의 관체(34a)(34b)는 투명한 것이 좋으나 불투명한 것이어도 실용상 지장은 없다. 또, 중공로터(4)의 중간부에는 단지 스크루 컨베이어(24)만이 설치되어 있을 뿐이고, 이 스크루 컨베이어(24)의 외주측에는 홉퍼와 일체로 연통된 공급관(26)이 연통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공급관(26)은 내부에 공급측 스크루 컨베이어(36)를 갖추고 있으며, 이것은 정미하고자 하는 쌀을 일정의 압력으로 공급시켜서 정미 효율을 높여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상기한 공급관(26)의 외주에는 급수관(38)이 연통되어 있어서 필요하다면 공급되는 쌀로 수분을 부여해 줄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한 공급측 스크루 컨베이어(36)는 별도의 모터(40)에 의해 구동된다.
본 고안에서 미강 배출통로(18)는 1쌍의 관체(34a)(34b)로 형성된다.
1쌍의 관체(34a)(34b)는 특별한 구조적 배려가 없어도 배출관(20)을 통해 가해지는 부압의 영향으로 단지 기대(6)상에 세워질 수 있는 정도만으로도 동작 중에 열려지거나 하는 일이 없이 안정되게 장착 보전된다.
상기한 1쌍의 관체(36a)(36b) 중에서 한쪽 관체(34b)는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미강 수집부(40)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미강 수집부(40)의 일측방으로 배출관(20)이 연통되어 있다.
상기한 배출관(20)에도 종래와 마찬가지로 사이크론을 경유한 휀의 부압이 가해지게 된다.
제2도는 상술한 1쌍의 관체(36a)(36b)를 더욱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다.
도면에서 한쪽 관게(36a)는 종래의 정미기에서와 동일하게 반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나, 이것에 대향하는 관체(36b)의 상면은 방사방향으로 더 연장된 확장면(360b)을 가지고, 이 확장면(360b)은 다시 하측단으로 비스듬시 이어져서 미강 수집부(40)를 한정하게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한 확장면(360b)에는 배출관(20)과 연통되는 접속관(362b)이 수직 설치된 구조를 보여 주고 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접속관(362b)은 제3도의 도시와 같이 한쪽 관체(36b)의 외주면 하측방에서 수평방향으로, 또는 제4도의 도시와 같이 대략 중간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3도에 예시한 관체(36b)는 하측면이 확장면(360b)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접속관(362b)이 하측방에서 수평으로 설치되고, 또 제4도에 예시한 관체(36b)는 확장면(362b)이 외측으로 만곡되게 돌출 형성된 측면으로 됨에 따라 대략 중간부에서 접속관(362b)이 수평으로 연장 설치디는 것이다.
상술한 접속관(362b)의 연장 방향은 본 고안에서 별로 문제로 되는 것은 아니나, 이것에 연통되는 배출관(20)이 정미소의 상측 공간을 이용하여 배관되게 하면,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게 되어 작업자에게 장애물로 되지 않으므로 더욱 능률적이고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배출관(20)을 통해 가해지는 부압의 영향으로 중공로터(4)의 급기공(12)을 통해 불어넣어지는 외부 공기에 의해 미강이 스크린(10)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오게 되는 작용은 종래와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이지만, 상기와 같이 빠져 나온 미강은 플랜지(32)에 의해 제한된 공간, 즉 공급관(26) 보다 상측으로 한정된 미강 배출통로(18)에서 배출관(20)을 통해 가해지는 부압의 영향으로 도면의 점선 화살표에 따라 흡인 배출되는 것이며, 이 때 가해지는 부압은 배출관(20)이 한쪽 관체(34b)의 일측으로 연통됨에 따라 작용되는 길이가 짧아져 종래의 정미기보다 더욱 강한 힘으로 미강을 흡인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미강의 배출과정에서 1쌍의 관체(34a)(34b)와 플랜지(32) 사이의 접촉부로 형성되는 모서리 부분에 미강이 퇴적되기도 하지만, 이렇게 퇴적된 미강은 양관체(34a)(34b)를 기대(6)에서 떼어놓는 즉시 완전히 노출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크린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오는 미강이 배출관을 통해 빠져나가지 않고 미강 배출통로 상에 퇴적되어 있어도, 상기한 미강 배출통로가 기대의 대략 중간부에서 외주측으로 연장 형성된 플랜지에 의해 한정된 공간으로 형성됨에 따라 양 관계를 플랜지에서 떼어놓는 즉시 용이하고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정미기에서와 같이 구석진 곳에 퇴적하여 고착되는 미강으로 인한 고장 발생 및 수명 단축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미강 배출통로가 상기와 같이 일정 공간으로 한정됨에 따라 중공로터의 하측부에 임펠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품수의 절감 및 조립 수공의 간편화까지 도모할 수 있는 실용성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중공로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연마석을 중심으로 외주방에 고정 연마석 및 스크린이 배열되고 외부는 둘로 분할된 1쌍의 투명 또는 불투명 관체로 피복 보호되어 내측에 미강 배출통로를 형성하고 있는 구성으로 된 기립형 정미기에 있어서, 상기한 미강 배출통로(18)를 정의하기 위하여 둘로 분할 형성된 관체(34a)(34b) 중의 어느 한쪽 관체(34b)의 측면 일부가 외주방으로 확장되어 미강 수집부(40)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미강 수집부(40)에 배출관(20)이 연통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기립형 정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미강 수집부(40)는 해당 관체(34b)의 외주 상측 또는 하측면이 외주방으로 연장된 확장면(360b)에 의해 한정됨으로써 측면 사다리꼴 형상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형 정미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미강 수집부(40)는 해당 관체(34b)의 측면 중간부가 외측방으로 만곡 돌출되는 확장면(360b)에 의해 한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형 정미기.
KR2019950028497U 1995-10-12 1995-10-12 기립형 정미기 KR01371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8497U KR0137174Y1 (ko) 1995-10-12 1995-10-12 기립형 정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8497U KR0137174Y1 (ko) 1995-10-12 1995-10-12 기립형 정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340U KR970016340U (ko) 1997-05-23
KR0137174Y1 true KR0137174Y1 (ko) 1999-03-20

Family

ID=1942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8497U KR0137174Y1 (ko) 1995-10-12 1995-10-12 기립형 정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1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360B1 (ko) * 2006-12-20 2008-05-07 (주)디미원 원통 양방향 회전 연삭 도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360B1 (ko) * 2006-12-20 2008-05-07 (주)디미원 원통 양방향 회전 연삭 도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340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49705B1 (en) Dry barrel finishing machine
JPH06400A (ja) 竪型精穀機
CN112304030B (zh) 一种用于稻谷加工的吹洗烘干一体化装置
CN220000672U (zh) 一种毛辊高压喷淋清洗机
KR0137174Y1 (ko) 기립형 정미기
CN214717074U (zh) 一种电动石磨豆浆机
CN214183939U (zh) 一种砂石杂质分离设备
CN210358293U (zh) 一种中药饮片循环水洗药装置
CN215036445U (zh) 一种抛光机用高速转筒
CN217314758U (zh) 一种用于汽车零部件清洗的翻转装置
CN114029159A (zh) 废弃建筑物泥砂水洗处理系统
US5046287A (en) Wet grinding type of grinder with improved material discharge mechanism
CN220217992U (zh) 钉子抛光装置
CN218251712U (zh) 一种基于线路板生产的清洁装置
JPH05317460A (ja) ゴルフボール洗浄装置
KR200170951Y1 (ko) 기립형 정미기
CN218925510U (zh) 一种大米加工用除尘设备
CN212524208U (zh) 一种稻谷加工抛光装置
JPS5850742A (ja) ウエ−ハ洗浄乾燥装置
JP2003062300A (ja) パチンコ玉揚送装置
CN216441204U (zh) 一种机械零件的清洗装置
CN220072331U (zh) 一种干果除杂装置
CN109174251A (zh) 一种高效除杂型洗麦机
CN221157835U (zh) 一种原材料清洗沥水一体设备
CN219150902U (zh) 一种液压机零部件清洗维修保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