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147Y1 - 오링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오링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147Y1
KR0137147Y1 KR2019930019449U KR930019449U KR0137147Y1 KR 0137147 Y1 KR0137147 Y1 KR 0137147Y1 KR 2019930019449 U KR2019930019449 U KR 2019930019449U KR 930019449 U KR930019449 U KR 930019449U KR 0137147 Y1 KR0137147 Y1 KR 01371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crew rod
flange
contact
ring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94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9311U (ko
Inventor
최옥주
Original Assignee
장용균
주식회사에스.케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균, 주식회사에스.케이.씨 filed Critical 장용균
Priority to KR20199300194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147Y1/ko
Publication of KR9500093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3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1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1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028Tools for removing or installing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링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링이 장착될 물체가 올려지는 지지면을 갖는 고정플렌지와, 상기 고정플레지의 중앙에 그 일측단이 결합되어 있는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그 몸체 중앙에 마련된 가동플렌지와, 그 일단은 상기 고정플렌지의 지지면에 올려지는 물체의 오링 장착홈부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가동플렌지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 슬리이브와, 상기 나사봉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가동플렌지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 너트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 오링 장착장치를 이용하여 오링을 장착하게 되면, 오링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오링을 비틀림이 없는 상태로 장착하고자 하는 위치에 장착할 수가 있으므로 오링의 장착불량에 의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오링 장착장치
제1도는 오링이 장착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반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다른 오링 장착장치의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오링 장착장치의 사용상태의 분리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오링 장착장치를 사용하여 오링을 장착시킨 상태의 바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 고안에 따른 오링 장착 장치 2 : 슬리이브
3 : 고청플렌지 4 : 나사봉
5 : 가동플렌지 6 : 너트
본 고안은 오링(O-ring)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오링의 장착작업시에 발생할 수 있는 오링의 손상을 방지하며 오링의 전주에 걸쳐 균일한 힘으로 오링을 눌러 비틀림 없이 오링을 장착하기 위한 오링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또는 기름 등과 같은 유체를 취급하거나 이를 이용하여 소정의 작업을 행하는 각종 장치에서는 상기 유체가 소정의 밀폐화된 공간 내에서만 유동하게 하거나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유체가 밀폐화된 공간을 벗어나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sealing)이 필요한데, 이러한 실링을 하는 방법으로서 오링을 이용한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제1도 및 제2도는 이러한 실링을 위한 오링이 장착되어 있는 장치의 일 부분을 나타내 보였다.
원통형 중공관(9)의 축방향으로 중앙부위에는 오링수납부재(8)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오링수납부재(8)의 깊은 홈부(81)에 오링(7)이 장착되어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 이 오링(7)을 오링수납부재(8)의 깊은 홈부(81)에 장착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드라이버등과 같이 가늘고 긴 공구를 사용하여 오링을 눌러 장착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다소 깊은 위치에 오링을 장착하여야 할 경우에는 손으로 작업할 수가 없으므로 드라이버 같은 공구로 오링을 눌러 장착하여 왔으나, 이처럼 장착하게 되면 오링에 비틀림이 발생하여 오링이 균일하게 삽입되지 않으며 또한, 오링이 손상되어 유체가 누설될 가능성이 증대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오링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비틀림 없이 오링을 원하는 위치에 정확이 안착시키기 위한 오링 장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오링장착장치는, 오링이 장착될 홈부를 가지는 물체가 올려지는 지지면을 갖는 고정플렌지; 상기 고정플렌지의 중앙에 그 일측단이 결합되어 있는 나사봉; 상기 나사봉이 관통하는 그 몸체 중앙에 마련되어 그 나사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플렌지; 상기 나사봉에 그 나사봉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그 일단은 상기 고정플렌지의 지지면에 올려지는 물체의 오링 장착홈부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가동플렌지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 슬리이브; 및 상기 나사봉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가동플렌지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 너트;를 구비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오링 장착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오링 장착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5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오링 장착장치를 사용하여 오링을 장착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제6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오링 장착장치를 사용하여 오링을 장착시킨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면, 나사봉(4)의 일단에는 오링 수납부재(8)가 결합된 원통형 중공관(9)의 바닥면(91)에 접촉하는 지지면(31)을 가진 고정플렌지(3)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그 일단이 상기 오링수납부재(8)의 홈부(81)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슬리이브(2)의 타단에는 가동플렌지(5)에 접촉하는 접촉면(2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슬리이브(2) 위에 놓여지는 가동플렌지(5)의 중앙에는 나사봉(4)의 일단이 관통하는 관통공(51)이 마련되어 있다. 나사봉(4)에 체결되어 가동플렌지(5)의 상부에 위치하는 너트(6)에는 가동플렌지(5)와 접촉하는 접촉면(61)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오링 장착장치(1)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그 일단에 고정플렌지(3)가 결합되어 있는 나사봉(4)을 오링수납부재(8)가 결합되어 있는 원통형 중공관(9)에 관통시켜 고정플렌지(3)의 지지면(31)에 원통형 중공관(9)의 바닥면(91)이 접촉하도록 하여 원통형 중공관(9)을 지지한다. 그리고, 원통형 중공관(9)에 결합되어 있는 오링수납부재(8)의 홈부(81)에 오링(7)을 삽입시키고, 슬리이브(2)를 원통형 중공관(9)의 상부로부터 삽입하여 그 일단부가 오링(7)에 접촉하도록 한 후, 가동플렌지(5)의 중심부에 마련되어 있는 관통공(51)에 나사봉(4)이 삽입되도록 하여 가동플렌지(5)의 일단이 오링(7)에 접촉하고 있는 슬리이브(2) 위로 올려둔다. 이러한 상태에서 나사봉(4)에 너트(6)를 체결한 후, 이 너트(6)를 조이면 가동플렌지(5)가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동플렌지(5)에 접촉하고 있는 슬리이브(2)가 하강하여, 오링수납부재(8)의 깊은 홈부(81)에 삽입되면서 오링(7)의 전주에 걸쳐 균일한 힘으로 오링(7)을 누르게 되고, 오링(7)은 원하는 위치에 장착된다. 여기에서 슬리이브(2)가 오링(7)을 오링(7)의 전주에 걸쳐 균일한 힘으로 눌러주므로 오링은 비틀림 없이 하강하며 오링수납부재(8)에 장착된다. 이렇게 오링(7)이 오링수납부재(8)의 홈부(81)에 장착된 상태도가 제6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오링(7)을 원하는 위치에 장착시킨 후에는 너트(6)를 풀러 고정플렌지(3)가 결합되어 있는 나사봉(4)과, 가동플렌지(5)와, 슬리이브(2)를 원통형 중공관(9)으로부터 이탈시키고 순차적으로 원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 오링 장착장치를 사용하여 오링을 장착하게 되면, 오링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오링을 비틀림이 없는 상태로 장착하고자 하는 위치에 장착할 수가 있으므로 오링의 장착불량에 의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오링이 장착될 홈부를 가지는 물체가 올려지는 지지면을 갖는 고정플렌지; 상기 고정플렌지의 중앙에 그 일측단이 결합되어 있는 나사봉; 상기 나사봉이 관통하는 그 몸체 중앙에 마련되어 그 나사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플렌지; 상기 나사봉에 그 나사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그 일단은 상기 고정플렌지의 지지면에 올려지는 물체의 오링 장착홈부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가동플렌지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 슬리이브; 및 상기 나사봉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가동플렌지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 너트;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링 장착장치.
KR2019930019449U 1993-09-24 1993-09-24 오링장착장치 KR01371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9449U KR0137147Y1 (ko) 1993-09-24 1993-09-24 오링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9449U KR0137147Y1 (ko) 1993-09-24 1993-09-24 오링장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311U KR950009311U (ko) 1995-04-19
KR0137147Y1 true KR0137147Y1 (ko) 1999-04-01

Family

ID=19364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9449U KR0137147Y1 (ko) 1993-09-24 1993-09-24 오링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14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311U (ko) 1995-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8755A (en) Vessel and pipeline insertion tool
CA2271045A1 (en) Clamping chuck for rotating tools
KR970073856A (ko) 워크 서포트
KR0137147Y1 (ko) 오링장착장치
US4636917A (en) Precalibrated element for securing and locking semiconductors and heat sinks arranged in alternating rows
US20040256779A1 (en) Work support
US4254801A (en) Quick-acting closure unit
US4865363A (en) Pipe connection device for scientific equipment
JPS54113580A (en) Automatic clamp device for tool
US5286070A (en) Saddle tee connector assembly
Boettcher et al. A simple device for loading gases in high-pressure experiments
EP0156152B1 (en) Self-sealing electrode guide
CN210650489U (zh) 碗形塞的安装工具
KR200146894Y1 (ko) 배관라인 등의 수밀도 체킹을 위한 수압확인장치
JP3005765B1 (ja) パイプ等の支持装置
CN110082045B (zh) 用于筒状部件的密封性检测的辅助工装夹具
KR890001678Y1 (ko) 스톱와셔 조립 장치
JP3416005B2 (ja) リークテスト装置、密封方法及び密封構造
US4513486A (en) Valve retainer for automotive valve repair
US3174745A (en) Fluid pressure operated vise or clamp
KR910005535B1 (ko) 박육스테인레스강관의 확관장치
JP2002355771A (ja) シール部材取付け治具
KR100264661B1 (ko) 자동차 엔진의 센서류 체결구조
JP4824222B2 (ja) 液体貯留容器の保持方法及び装置
JPS637288A (ja) ワ−ク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