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640Y1 - 댐퍼장치 - Google Patents

댐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640Y1
KR0136640Y1 KR2019930004894U KR930004894U KR0136640Y1 KR 0136640 Y1 KR0136640 Y1 KR 0136640Y1 KR 2019930004894 U KR2019930004894 U KR 2019930004894U KR 930004894 U KR930004894 U KR 930004894U KR 0136640 Y1 KR0136640 Y1 KR 01366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device
cam
bracket
damping for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48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3380U (ko
Inventor
구본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300048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640Y1/ko
Publication of KR9400233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33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6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6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02Details
    • G11B15/67507Ejection damping means

Landscapes

  • Gears, Ca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댐퍼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기술에 의한 댐퍼장치는 다수의 기어열 조합에 의한 구동방식으로 부품수가 많거나 소음이 크다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댐핑력의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던바, 본 고안은 상면에 요홈부(10)을 형성한 브래키트(11)와, 상기 브래키트(11)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캠(12)과, 상기 요홈부(10)의 내주연에 부착되는 완충재(13)와, 상기 완충재(13)의 내측에 부착되어 상기 캠(12)과 탄력적으로 면접촉되는 탄성밴드(14)로 구성하여, 댐핑력을 순간순간 변화시켜 일정순간에 원하는 댐핑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브이씨알등의 댐퍼장치로 이용하면, 초기 이젝트동작에서는 비교적 고속의 개폐동작을 얻을 수 있고, 이젝트동작완료시에는 완만한 댐핑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댐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댐퍼장치
제1도 및 제2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댐퍼장치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제1도는 기계식 댐퍼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유체식 댐퍼장치의 개략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댐퍼장치의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요홈부 11 : 브래키트
12 : 캠 13 : 완충재
14, 14' : 탄성밴드 14a : 일단부
15, 16 : 고정핀 17 : 인장코일스프링
본 고안은 댐퍼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댐핑력을 순간순간 변화시켜 일정순간에 원하는 댐핑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댐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댐퍼장치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기어(1)열을 조합하여 기어트레인에 의해 댐핑력을 발생시키는 기계식 댐퍼장치와, 점성유체(2)의 점성력을 이용하여 댐퍼력을 발생시키는 유체식 댐퍼장치로 구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댐퍼장치는 다수의 기어열 조합에 의한 구동방식으로 부품수가 많거나 소음이 크다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댐핑력의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댐핑력을 순간순간 변화시켜 일정순간에 원하는 댐핑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댐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면에 요홈부를 형성한 브래키트와, 상기 브래키트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캠과, 상기 요홈부의 내주연에 부착되는 완충재와, 상기 완충재의 내측에 부착되어 상기 캠과 탄력적으로 면접촉되는 탄성밴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댐퍼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댐퍼장치의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댐퍼장치는 상면에 요홈부(10)을 형성한 브래키트(11)와, 상기 브래키트(11)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캠(12)과, 상기 요홈부(10)의 내주연에 부착되는 완충재(13)와, 상기 완충재(13)의 내측에 부착되어 상기 캠(12)과 탄력적으로 면접촉되는 탄성밴트(1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램(12)은 요홈부(10)에 편심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밴드(14)은 일측이 단절된 원형으로, 일단부(14a)가 고정핀(1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4도는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상기 캠(12)의 브래키트 요홈부(10)의 동심축상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밴드(14')가 불규칙적인 단면으로 분리형성됨과 아울러 일단부(14'a)가 고정핀(1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4')의 양단부(14a')(14b)가 인장코일스프링(17)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댐퍼장치는 댐핑작용을 필요로 하는 부재에 캠(12)을 연결하여 구동하게 되면, 캠(12)의 회전하면서 탄성밴드(14)(14')에 면접촉되어 마찰력이 발생되며, 이에따라 댐퍼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캠(12)이 요홈부(10)에 편심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캠(12)의 회전위치에 따라 탄성부재(14)(14')와 캠(12)간의 접촉부위가 상이하므로 댐핑력이 순간순간 변화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댐퍼장치에 의하면, 댐핑력을 순간순간 변화시켜 일정순간에 워하는 댐핑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브이씨알등의 댐퍼장치로 이용하면, 초기 이젝트동작에서는 비교적 고속의 개폐동작을 얻을 수 있고, 이젝트동작완료시에는 완만한 댐핑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댐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효과 있다.

Claims (4)

  1. 상면에 요홈부(10)을 형성한 브래키트(11)와, 상기 브래키트(11)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캠(12)과, 상기 요홈부(10)의 내주연에 부착되는 완충재(13)와, 상기 완충재(13)의 내측의 부착되어 상기 캠(12)과 탄력적으로 면접촉되는 탄성밴드(14)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12)은 요홈부(10)에 편심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밴드(14)은 일측이 단절된 원형으로, 일단부(14a)가 고정핀(15)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12)이 브래키트 요홈부(10)의 동심축상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밴드(14')가 불규칙적인 단면으로 분리형성됨과 아울러 일단부(14'a)가 고정핀(16)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4')의 양단부(14a')(14b')가 인장코일스프링(17)으로 연결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KR2019930004894U 1993-03-30 1993-03-30 댐퍼장치 KR01366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4894U KR0136640Y1 (ko) 1993-03-30 1993-03-30 댐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4894U KR0136640Y1 (ko) 1993-03-30 1993-03-30 댐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380U KR940023380U (ko) 1994-10-22
KR0136640Y1 true KR0136640Y1 (ko) 1999-04-15

Family

ID=19352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4894U KR0136640Y1 (ko) 1993-03-30 1993-03-30 댐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6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380U (ko) 199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8885A (en) Tension arrangement for transmission belts
US6213881B1 (en) Damper device
RU2003112688A (ru) Система привода вспомогательных механизмов, включающая в себя мотор/генератор
KR0136640Y1 (ko) 댐퍼장치
EP0180977A3 (en) Rotor shaft having damper member mounted thereon
US6076419A (en) Gear arrangement
US20060191364A1 (en) Angular motion driving mechanism and gear wheel for use in such mechanism
JP2002070963A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装置
KR100786205B1 (ko) 하모닉 감속기
US3106620A (en) Cam actuated switch
KR101273873B1 (ko) 타원형의 내부를 가진 하우징을 포함하는 오토 텐셔너
KR200338383Y1 (ko) 스프링 플레이트
US4995488A (en) Control device for a coupling means such as a clutch
SU1165841A1 (ru) Мальтийский механизм
KR100445152B1 (ko) 수동변속기의 클러치 구비형 토오션 댐퍼
JPS6030408A (ja) エンジンの動弁装置
KR950008019Y1 (ko) 회전 장식구의 회전자의 좌우 회전량 증가장치
JPH0324931Y2 (ko)
KR20050088891A (ko) 풀리편을 이용한 벨트-풀리 방식 무단변속기
KR200346493Y1 (ko) 쟈카드직기의 실린더 구동장치
KR100435740B1 (ko) 엔진의 크랭크축 토셔널 댐퍼풀리
TW202033409A (zh) 電動撥鏈器的保護結構
KR200152576Y1 (ko) 회전체의 회전 밸런스 조정장치
JPH10246786A (ja) 指針駆動機構におけるバネ受構造
KR100227944B1 (ko) 장력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