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410B1 - Driving control system on the multi-synchronous display system - Google Patents

Driving control system on the multi-synchronous display system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410B1
KR0136410B1 KR1019950016641A KR19950016641A KR0136410B1 KR 0136410 B1 KR0136410 B1 KR 0136410B1 KR 1019950016641 A KR1019950016641 A KR 1019950016641A KR 19950016641 A KR19950016641 A KR 19950016641A KR 0136410 B1 KR0136410 B1 KR 0136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unit
horizontal
frequency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66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02821A (en
Inventor
이종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16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410B1/en
Publication of KR970002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8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410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4Deflection circuits ; 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05Power supply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싱크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시 고정전원을 사용하므로 멀티 싱크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었던 점을 감안하여 수평발진부의 구형파 출력을 입력받아 스위칭되는 구동전류 스위칭부, 수평출력부의 플라이 백 트랜스의 플라이 백 펄스의 크기를 감지하여 화면 사이즈 변화량을 감지하는 사이즈 변화량 감지부, 상기 사이즈 변화량 감지부의 출력을 DC로 만드는 전압 변환부,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주파수/전압 변환부, 상기 주파수/전압 변환부의 출력과 전압 변환부의 출력의 차를 증폭하는 비교증폭부, 상기 비교증폭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수평출력을 최적화하기 위해 구동전류를 조절하는 구동전류 조절부, 상기 구동전류 스위칭부의 스위칭에 따라 구동 전류 조절부의 출력을 증폭하여 수평출력부를 구동하는 구동전류 증폭부를 구비하여 각 모드에 따른 주파수 및 화면 사이즈의 변화량에 대응되는 구동전류를 공급하여 구동조건을 최적화함으로써 각 모드에 따른 적절한 멀티 싱크 구동이 가능토록 하며 멀티 싱크 구동시 각 모드에 따라 수평편향감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화면 사이즈의 변화에도 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 control device for a multi-sink display device. In the related art, since a conventional fixed power source is used to drive a display device, a drive current switched by receiving a square wave output of a horizontal oscillation unit can not be properly handled. Size chang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size of the fly back pulse of the switching unit, the flyback transformer of the horizontal output unit for detecting the size change of the screen, Voltage conversion unit for making the output of the size change detection unit to DC, Frequency o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nput A frequency / voltage converter for converting a voltage into a voltage, a comparison amplifier for amplifying a difference between an output of the frequency / voltage converter and an output of the voltage converter, and an output of the comparison amplifier to adjust a driving current to optimize a horizontal output. Drive current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drive current switching unit The drive current amplifier unit amplifies the output of the drive current control unit to drive the horizontal output unit, and supplies a drive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change amount of the frequency and screen size according to each mode to optimize the driving conditions to drive the appropriate multi-sync drive according to each mode. It is possible to keep the horizontal deflection sensitivity constant in each mode during multi-sync driving and to optimally cope with the change of screen size.

Description

멀티 싱크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제어장치Drive control device of multi-sync display device

제 1 도는 일반적인 수평편향회로도1 is a general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diagram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싱크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제어장치의 블럭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drive control apparatus for a multi-sync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3 도는 제 2 도의 상세회로도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FIG.

제 4 도는 (가)는 주파수에 따른 제 3 도의 주파수/전압 변환부 및 비교증폭부의 출력 파형도4 is an output waveform diagram of a frequency / voltage converter and a comparative amplifier of FIG.

(나)는 주파수에 따른 제 3 도의 비교증폭부의 출력 및 수평구동 트랜스 1차 측 전압의 파형도(B) is a waveform diagram of the output and the horizontal drive transformer primary voltage of the comparative amplifier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1 : 수평발진부12 : 구동전류 스위칭부11 horizontal oscillation unit 12 drive current switching unit

13 : 수평출력부14 : 화면 사이즈 변화량 감지부13 horizontal output unit 14 screen size change detection unit

15 : 전압 변환부16 : 주파수/전압 변환부15: voltage converter 16: frequency / voltage converter

17 : 비교증폭부18 : 구동전류 조절부17: Comparative amplifier 18: drive current control unit

19 : 구동전류 증폭부19: driving current amplifier

본 발명은 멀티 싱크(Multi-Sync)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모드에 따른 수평주파수의 변화 및 화면 사이즈의 변화에 대응하는 구동전류를 공급하여 수평출력의 구동을 최적화하도록 한 멀티 싱크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 control apparatus for a multi-sync display device, and in particular, to supply a drive current corresponding to a change in horizontal frequency and a change in screen size according to an input mode to optimize driving of a horizontal output. A drive control device for a multi-sync display device.

일반적으로 일반 TV수상기와 같이 주파수가 고정된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고정전원을 이용해 전류증폭하여 수평출력을 구동시켜왔으며, 이러한 구동회로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동기신호(Hsync)를 입력받아 구형파의 구동파형을 발생하는 수평발진부(1)와, 상기 수평발진부(1)의 출력을 수평 구동 트랜스(T1)를 사용하여 전류증폭하여 수평출력부(3)의 수평출력 트랜지스터(TR2)를 구동하는 수평구동부(2)로 구성된다.In general, in a display device having a fixed frequency, such as a general TV receiver, a horizontal power is driven by amplifying a current using a fixed power supply. The driving circuit receives a square sync signal (Hsync) as shown in FIG. The horizontal oscillator 1 generating a driving waveform of the current and the output of the horizontal oscillator 1 are amplified by using a horizontal drive transformer T1 to drive the horizontal output transistor TR2 of the horizontal output unit 3. It consists of the horizontal drive part 2.

상기 구성의 수평편향회로에서 상기 수평발진부(1)는 입력수평동기신호(Hsync)에 동기된 구평파를 출력하며, 이에 따라 상기 수평구동부(2)의 트랜지스터(TR1) 가 스위칭되어 수평구동 트랜스(T1)의 2차측에 1차측의 펄스가 수평구동 트랜스(T1)의 턴비에 의해 전류증폭되어 출력되며, 상기 수평구동 트랜스(T1)의 1차측에는 저항(R1)을 통해 전압원(Vcc)으로 부터 고정된 전원전압이 공급된다.In the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of the above configuration, the horizontal oscillator 1 outputs a square wave synchronized with the input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Hsync. Accordingly, the transistor TR1 of the horizontal driver 2 is switched so that the horizontal drive transformer ( The pulse of the primary side on the secondary side of T1) is amplified and output by the turn ratio of the horizontal drive transformer T1, and from the voltage source Vcc on the primary side of the horizontal drive transformer T1 through the resistor R1. A fixed supply voltage is supplied.

그리고 상기 수평구동부(2)의 출력은 수평출력부(3)의 수평출력 트랜지스터(TR2)를 통하여 출력되게 되며, 이 수평출력부(3)는 댐핑 다이오드(D1)와 공진 콘덴서(C1) 및 수평편향코일(L1) 및 수평편향전류를 보정하는 S보정 콘덴서(C2)를 이용하여 수평출력을 안정되게 구동하게 된다.In addition, the output of the horizontal driving unit 2 is output through the horizontal output transistor TR2 of the horizontal output unit 3, and the horizontal output unit 3 is a damping diode (D1), resonant capacitor (C1) and horizontal The horizontal output is stably driven by using the deflection coil L1 and the S correction capacitor C2 for correcting the horizontal deflection current.

한편, TV 수상기와 같이 주파수가 고정된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고정전원을 이요하여 전류증폭하여 수평출력을 구동시켜왔으나 최근 PC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1대의 디스플레이장치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까지 대응되도록 하는 멀티 싱크 대응 추세이다.On the other hand, in a display device with a fixed frequency such as a TV receiver, a fixed power supply is used to drive a horizontal output by amplifying current. However, recently, a display device such as a PC monitor uses a single display device to cope with different frequency bands. It is a response trend.

그리고 멀티 싱크에 대응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화면 사이즈도 윈도우 환경에 대응되도록 하기 위해 상시적으로 가변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수평출력구동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주파수 및 화면 사이즈 변화에 대응되는 구동조건을 맞추어야 한다.In order to cope with the multi-sync, the screen size must be constantly changed to cope with the window environment. Therefore, in order to optimize the horizontal output drive, the driving conditions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and screen size change must be adjusted.

그러나 종래와 같이 고정전원을 사용하는 구동회로에서는 하나의 주파수이외의 다른 주파수에는 대응되지 않아 설정된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 입력시에는 구동펄스의 전류가 감소하여 수평편향감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으며, 주파수가 높을 경우에는 구동전류가 과도하게 흘러 열폭주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즉, 고정전원을 사용하는종래의 기술은 멀티 싱크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었다.However, in the driving circuit using a fixed power supply as in the prior art, the frequency of the driving pulse decreases when the frequency is lower than the set frequency because it does not correspond to any frequency other than one frequency, and thus the horizontal deflection sensitivity cannot be kept constant. If it is high, there is a risk of excessive run current caused thermal runaway. 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technology using the fixed power supply could not cope with multi-sync properly.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모드에 따라 입력되는 수평주파수 및 수평출력단의 플라이 백 펄스의 크기를 검출하여 검출결과에 따라 각 모드의 수평출력구동을 최적화하도록 함으로써 적절한 멀티 싱크의 구동이 가능토록 한 멀티 싱크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the horizontal frequency and the magnitude of the flyback pulse of the horizontal output stage according to each mode to optimize the horizontal output drive of each mode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ive control apparatus for a multi-sink display device capable of appropriately driving a multi-sink.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수평발진부의 구형파 출력을 입력받아 스위칭되는 구동전류 스위칭부와, 수평출력부의 플라이백 트랜스의 플라이 백 펄스의 크기를 감지하여 화면 사이즈 변화량을 감지하는 화면 사이즈 변화량 감지부와, 상기 화면 사이즈 변화량 감지부의 출력을 DC로 만드는 전압변환부와,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주파수/전압 변환부와, 상기 주파수/전압 변환부의 출력과 전압 변환부의 출력의 차를 증폭하는 비교증폭부와, 상기 비교 증폭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수평출력을 최적화하기 위해 구동전류를 조절하는 구동전류 조절부와, 상기 구동전류 스위칭부의 스위칭에 따라 구동전류 조절부의 출력을 증폭하여 수평출력부를 구동하는 구동전류 증폭부를 구비하는 멀티 싱크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제어장치에 있다.A characteristic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creen size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size of the screen by sensing the size of the flyback pulse of the flyback transformer of the drive current switching unit and the horizontal output unit is switched to receive the square wave output of the horizontal oscillator A change amount detecting unit, a voltage converting unit for making the output of the screen size change amount detecting unit into DC, a frequency / voltage converting unit for converting a frequency of an input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nto a voltage, and an output and voltage conversion of the frequency / voltage converting unit A comparative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negative outputs, a drive current adjusting unit for receiving the output of the comparing amplifying unit and adjusting a driving current to optimize a horizontal output, and an output of the driving current adjusting unit according to switching of the driving current switching unit; Sink display having a driving current amplifier for driving the horizontal output unit by amplifying the signal This device is in the drive control device.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싱크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제어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Hsync)에 동기된 구형파를 발생하는 수평 발진부(11), 상기 수평발진부(11)의 구형파를 입력받아 스위칭되는 구동전류 스위칭부(12), 수평출력부(13)의 플라이 백 트랜스(FBT)의 플라이백 펄스의 크기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사이즈 변화를 감지하는 화면 사이즈 변화량 감지부(14), 상기 사이즈 변화량 감지부(14)의 출력을 DC로 만드는 전압변환부(15),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Hsymc)의 주파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주파수/전압 변환부(16), 상기 주파수/전압 변환부(16)의 출력과 전압 변환부(15)의 출력의 차를 증폭하는 비교증폭부(17), 상기 비교증폭부(17)의 출력, 즉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Hsync)의 주파수 및 화면 사이즈 변화가 반영된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신호에 따라 수평출력을 최적화 하기 위해 구동전류를 조절하는 구동전류 조절부(18), 상기 구동전류 스위칭부(12)의 스위칭에 따라 구동전류 조절부(18)의 출력을 증폭하여 수평출력부(14)를 구동하는 구동전류 증폭부(19)로 구성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drive control apparatus for a multi-sync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oscillator 11 and the horizontal oscillator 11 generating a square wave synchronized with an input horizontal sync signal Hsync. Detects the change in screen size by detecting the size of the displayed screen size by detecting the size of the flyback pulse of the flyback transformer (FBT) of the driving current switching unit 12 and the horizontal output unit 13 which are switched by receiving a square wave of A unit 14, a voltage converter 15 for making the output of the size change amount detector 14 into DC, a frequency / voltage converter 16 for converting a frequency of an input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mc into a voltage, Comparative amplifier 17 for ampl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of the frequency / voltage converter 16 and the output of the voltage converter 15, the output of the comparison amplifier 17, that is,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input ) Frequency and screen size changes The drive current control unit 18 adjusts the drive current to optimize the horizontal output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by receiving the zeroed signal, and outputs the drive current control unit 18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drive current switching unit 12. It consists of a drive current amplifier 19 for amplifying and driving the horizontal output unit 14.

그리고 제 3도는 상기 각부의 상세 회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구동전류 스위칭부(12)는 상기 수평발진부(11)의 구형파 출력에 따라 스위칭되는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1)와, 상기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1)의 드레인단에 병렬로 접속된 노이즈 제거용 저항(R11) 및 콘덴서(C11)로 된 스누버(12a)로 구성된다.FIG. 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each part. The driving current switching unit 12 includes a field effect transistor FET1 switched according to a square wave output of the horizontal oscillator 11, and the field effect transistor FET1. And a snubber 12a made of a noise removing resistor R11 and a condenser C11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drain terminal.

또한, 상기 수평출력부(13)는 종래와 동일구성이며, 상기 화면 사이즈 변화량 감지부(14)는 플라이 백 트랜스(FBT)자체로써 플라이 백 트랜스(FBT)의 턴비에 따른 플라이 백 트랜스(FBT)의 2차측 펄스크기의 감지에 따라 화면 사이즈 변화량을 감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output unit 13 i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nventional, the screen size change amount detecting unit 14 is a fly back transformer (FBT) itself fly back transformer (FBT) according to the turn ratio of the fly back transformer (FBT) The screen size change amount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secondary pulse size.

그리고 상기 전압변환부(15)는 정류용 다이오드(D12) 및 평활용 콘덴서(C12) 및 저항(R12)으로 구성되며, 상기 비교증폭부(17)는 상기 주파수/전압 변환부(16)의 출력이 반전 입력단(-)에 입력된고 상기 전압변환부(15)의 출력이 비반전 입력단(+)에 입력되어 두값의 차를 증폭하는 증폭기(OP1)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전류 조절부(18)는 상기 증폭기(OP1)의 출력을 증폭하는 트랜지스터(TR12)를 구비한다.The voltage converter 15 includes a rectifier diode D12, a smoothing capacitor C12, and a resistor R12. The comparative amplifier 17 is an output of the frequency / voltage converter 16. An amplifier OP1 input to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 and output of the voltage converter 15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 to ampl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values, and the driving current adjusting unit 18 ) Includes a transistor TR12 that amplifies the output of the amplifier OP1.

그리고 상기 구동전류 증폭부(19)는 상기 트랜지스터(TR12)의 에미터단에 접속된 저항(R18)과, 상기 저항(R18)에 병렬로 접속된 리플 제거용 콘덴서(C16)와, 상기 저항(R18)에 1차측이 접속되어 상기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1)의 스위칭에 따라 2차측에 전압을 유기하는 수평구동 트랜스(T11)와, 상기 수평구동 트랜스(T11)의 2차측에 병렬로 접속된 스피드 향상용 저항(R19) 및 콘덴서(C17)로 구성된다.The driving current amplifier 19 includes a resistor R18 connected to the emitter terminal of the transistor TR12, a ripple removing capacitor C16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resistor R18, and the resistor R18. ) Is connected to the primary side, and the horizontal drive transformer T11, which induces voltage on the secondary side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field effect transistor FET1, and the speed improvement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secondary side of the horizontal drive transformer T11. And a capacitor R17 and a capacitor C17.

여기서, 상기 구동전류 스위칭부(12) 및 구동전류 증폭부(19)는 일반적인 수평편향 회로의 수평구동부에 해당된다.Here, the driving current switching unit 12 and the driving current amplifying unit 19 correspond to a horizontal driving unit of a general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화면 사이즈 변화량 감지부(14)는 수평출력부(13)의 출력이 플라이 백 트랜스(FBT)의 턴비에 의해 플라이 백 트랜스(FBT)의 2차측에 유기되는 펄스의 크기를 감지하여 이를 전압변환부(15)로 출력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creen size variation detection unit 14 has a magnitude of a pulse in which the output of the horizontal output unit 13 is induced on the secondary side of the fly back transformer FBT by the turn ratio of the fly back transformer FBT. Detects and outputs it to the voltage converter 15.

이에 따라 상기 전압변환부(15)는 상기 플라이 백 트랜스(FBT)의 플라이 백 펄스의 크기를 정류용 다이오드(D12) 및 평활용 콘덴서(C13)를 이용하여 DC로 변환하여 비교증폭부(17)에 입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압변환부(15)의 출력은 플라이 백 펄스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플라이 백 펄스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사이즈가 달라지므로 상기 플라이 백 펄스의 크기를 감지하는 것은 결국 화면 사이즈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voltage converter 15 converts the magnitude of the flyback pulse of the flyback transformer FBT into DC using the rectifying diode D12 and the smoothing capacitor C13, thereby comparing the amplitude of the flyback pulse 17. Will be entered. In this case, the output of the voltage converter 15 vari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ly back pulse, and the displayed screen size varies according to the fly back pulse. Therefore, detecting the size of the fly back pulse eventually changes the screen size. To detect.

한편, 상기 주파수/전압 변환부(16)는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Hsync)의 주파수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비교증폭부(17)로 입력한다.Meanwhile, the frequency / voltage converter 16 converts the frequency of the input horizontal sync signal Hsync into a voltage and inputs the voltage to the comparison amplifier 17.

따라서 상기 비교증폭부(17)는 상기 주파수/전압 변환부(16)의 출력과 전압 변환부(15)의 출력의 차를 증폭기(OP1)에서 증폭하여 출력하게 된다.Therefore, the comparison amplifier 17 amplifies and outpu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of the frequency / voltage converter 16 and the output of the voltage converter 15 by the amplifier OP1.

이때, 상기 증폭기(OP1)의 출력전압은 (-R16/R15)×FV+(1+(R16/R15))×V1으로, 여기서 FV는 주파수/전압 변환부(15)의 출력전압으로 이는 입력신호의 주파수에 대응되는 전압값이고, V1은 중폭기(OP1)의 비반전 입력단(+)에 인가되는 전압으로 전압원(Vcc)의 전압이 저항(R13), (R14)에 의해 분압된 전압에 화면 사이즈의 변화량을 합한값이다.At this time, the output voltage of the amplifier OP1 is (−R16 / R15) × FV + (1+ (R16 / R15)) × V1, where FV is the output voltage of the frequency / voltage converter 15, which is an input signal. V1 is a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of, and V1 is a voltage applied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 of the heavy amplifier OP1. The voltage of the voltage source Vcc is displayed on the voltage divided by the resistors R13 and R14. It is the sum of the changes in size.

즉, 상기 증폭기(OP1)의 출력은 상기주파수/전압 변환부(16)의 출력 및 화면 사이즈 변화량 감지부(14)의 출력이 DC 값으로 변환된 값의 차의 증폭값이므로 입력모드에 따른 주파수 및 화면 사이즈 변화량을 반영시킨 값이 되며, 제 4 도 (가)는 주파수에 따른 상기 주파수/전압 변환부(16)의 출력(a) 및 증폭기(OP1)의 출력(b)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That is, since the output of the amplifier OP1 is an amplification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of the frequency / voltage converter 16 and the output of the screen size change detection unit 14 converted to a DC value, the frequency according to the input mode. And a value reflecting the screen size change amount, and FIG. 4A shows a relationship between the output a of the frequency / voltage converter 16 and the output b of the amplifier OP1 according to frequency. .

한편, 상기 증폭기(OP1)의 출력은 구동전류 조절부(18)의 증폭용 트랜지스터(TR12)를 통하여 증폭되어 출력되며, 이 트랜지스터(TR12)의 출력은 저항(R18)을 통해 수평구동 트랜스(T11)의 1차측에 공급되며, 이때 주파수에 따른 상기 증폭기(OP1)의 출력(a) 및 수평구동 트랜스(T11)의 1차측에 인가되는 전압(b)의 관계는 제 4 도 (나)와 같다. 그리고 상기 수평구동 트랜스(T1)의 1차측 전압은 수평발진부(11)의 구형파 출력에 따른 구동전류 스위칭부(!2)의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1)의 스위칭에 따라 2차측으로 유기되어 저항(R19) 및 콘덴서(C17)에 의해 스피드 업되어 수평출력부(!3)를 구동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output of the amplifier OP1 is amplified and output through the amplifying transistor TR12 of the driving current adjusting unit 18, and the output of the transistor TR12 is a horizontal driving transformer T11 through the resistor R18. Is supplied to the primary sid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utput a of the amplifier OP1 and the voltage b applied to the primary side of the horizontal drive transformer T11 according to the frequency is shown in FIG. . In addition, the primary voltage of the horizontal drive transformer T1 is induced to the secondary side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field effect transistor FET1 of the driving current switching unit! 2 according to the square wave output of the horizontal oscillation unit 11 and the resistor R19. ) And the capacitor C17 are speeded up to drive the horizontal output unit! 3.

이때, 상기 저항(R18)에 공급되는 전압은 입력모드에 따른 주파수 및 화면 사이즈 변화량을 반영시킨 값이 상기 비교증폭부(17)를 통하여 각 모드에 따라 가변되는 값이므로 주파수 및 화면 사이즈에 대응되는 구동전류로 수평출력부(13)를 구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voltage supplied to the resistor R18 corresponds to the frequency and the screen size because the value reflecting the frequency and the screen size change amount according to the input mode is a value that varies according to each mode through the comparison amplifier 17. The horizontal output unit 13 can be driven by the drive current.

즉, 본 발명은 각 모드에 따른 적절한 멀티 싱크 구동을 위해서는 수평출력구동을 최적화하여 주파수 및 화면 사이즈 변화에 대응되는 구동조건을 맞추어야 하므로 주파수 및 화면 사이즈에 대응되는 구동전류를 각 모드에 따라 최적화하기 위해 수평구동 트랜스(T11)의 1차측에 연결된 저항(R18)에 공급되는 전압을 각 모드에 맞도록 가변하여 입력신호에 따라 적절한 멀티 싱크의 구동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conditions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and the screen size change are to be adjusted by optimizing the horizontal output drive for the proper multi-sync driving according to each mode, so that the driving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and the screen size is optimized according to each mode. To this end, the voltage supplied to the resistor R18 connected to the primary side of the horizontal drive transformer T11 is varied to suit each mode, so that an appropriate multi-sink driving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모드에 따른 주파수 및 화면 사이즈의 변화량에 대응되는 구동전류를 공급하여 수평출력구동조건을 최적화함으로써 각 모드에 따른 적절한 멀티싱크의 구동이 가능토록 하며, 멀티 싱크 구동시 각 모드에 따라 수평편향감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화면 사이즈의 변화에도 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optimizes the horizontal output driving condition by supplying a driving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change amount of the frequency and the screen size according to each mode, so that it is possible to drive an appropriate multi-sync according to each mode, and to drive the multi-sync drive. According to the visual mode, the horizontal deflection sensitivity is kept constant and it is effective to cope with the change of the screen size.

Claims (4)

수평발진부의 구형파 출력을 입력받아 스위칭되는 구동전류 스위칭부와,A driving current switching unit which is switched by receiving a square wave output of the horizontal oscillation unit, 수평출력부의 플라이 백 트랜스의 플라이 백 펄스의 크기를 감지하여 화면 사이즈 변화량을 감지하는 화면 사이즈 변화량 감지부와,A screen size chang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size change of the screen size by detecting a flyback pulse of the flyback transformer of the horizontal output unit; 상기 화면 사이즈 변화량 감지부의 출력을 DC로 만드는 전압변환부와,A voltage converter configured to make the output of the screen size change amount detector DC;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주파수/전압 변환부와,A frequency / voltage converting unit converting the frequency of the input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nto a voltage; 상기 주파수/전압 변환부의 출력과 전압 변환부의 출력의 차를 증폭하는 비교증폭부와,A comparison amplifier for amplifying a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of the frequency / voltage converter and the output of the voltage converter; 상기 비교증폭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수평출력을 최적화하기 위해 구동전류를 조절하는 구동전류 조절부와,A driving current adjusting unit which receives an output of the comparison amplifier and adjusts a driving current to optimize a horizontal output; 상기 구동전류 스위칭부의 스위칭에 따라 구동전류 조절부의 출력을 증폭하여 수평출력부를 구동하는 구동전류 증폭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싱크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제어장치.And a driving current amplifying unit for amplifying the output of the driving current adjusting unit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driving current switching unit to drive the horizontal output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화면 사이즈 변화량 감지부는 플라이 백 트랜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싱크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제어장치.And the screen size change detection unit is a fly back transform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비교증폭부는 상기 주파수/전압 변화부의 출력이 반전 입력단에 입력되고 상기 전압 변환부의 출력이 비반전 입력단에 입력되는 증폭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싱크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제어장치.And the comparison amplifier comprises an amplifier in which an output of the frequency / voltage change unit is input to an inverting input terminal and an output of the voltage converter is input to a non-inverting input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전류 조절부는 상기 비교증폭부의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용 트랜지스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싱크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제어장치.And a driving transistor for amplifying the output of the comparison amplifier.
KR1019950016641A 1995-06-21 1995-06-21 Driving control system on the multi-synchronous display system KR01364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6641A KR0136410B1 (en) 1995-06-21 1995-06-21 Driving control system on the multi-synchronous displa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6641A KR0136410B1 (en) 1995-06-21 1995-06-21 Driving control system on the multi-synchronous display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821A KR970002821A (en) 1997-01-28
KR0136410B1 true KR0136410B1 (en) 1998-05-15

Family

ID=19417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6641A KR0136410B1 (en) 1995-06-21 1995-06-21 Driving control system on the multi-synchronous display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41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876A (en) * 1999-10-28 2001-05-15 박종섭 Regulating circuit for display siz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876A (en) * 1999-10-28 2001-05-15 박종섭 Regulating circuit for display siz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821A (en) 1997-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6410B1 (en) Driving control system on the multi-synchronous display system
KR0177103B1 (en) Spoiler for car
JPH0372783A (en) Sine wave deflection circuit
JPH07123288B2 (en) Display device
KR940017706A (en) Supply voltage control circuit of multi-mode monitor
JP2606295Y2 (e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US5625261A (en) Stabilizing circuit for stabilizing the horizontal picture size on the display of a television receiver
KR970004252A (en) Switching power supply
KR19980051598A (en) Duty change circuit
KR100195754B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horizontal output of monitor
JPS63310276A (en) Power source circuit for horizontal deflection output circuit
KR0123418B1 (en) A cricuit of mute signal in monitor system
KR910005876Y1 (en) Automatic horizontal amplitude control circuit
JP2919822B2 (en) Display device
KR930000449Y1 (en) High voltage changing auto-stabilization circuit
KR100217381B1 (en) Horizontal output circuit having output variant image
KR100187489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in television
JPH09205562A (en) Display device
KR900004197Y1 (en) Power control apparatus for monitor
JP2580172Y2 (en) AFT circuit
JP3216632B2 (en) Display device
KR19980052118A (en) Horizontal Oscillation Frequency Inverter
KR950009659B1 (en) Honizontal driving circuit for transfert aspect ritio
JPH0641423Y2 (e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KR100362144B1 (en) Signal transfer circuit using leakage curr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