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920Y1 - 필터 재생용 오일여과기 - Google Patents

필터 재생용 오일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920Y1
KR0135920Y1 KR2019950006819U KR19950006819U KR0135920Y1 KR 0135920 Y1 KR0135920 Y1 KR 0135920Y1 KR 2019950006819 U KR2019950006819 U KR 2019950006819U KR 19950006819 U KR19950006819 U KR 19950006819U KR 0135920 Y1 KR0135920 Y1 KR 01359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oil
discharge pipe
pipe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68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5057U (ko
Inventor
이상경
Original Assignee
이상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경 filed Critical 이상경
Priority to KR20199500068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920Y1/ko
Publication of KR9600350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50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9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0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0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 F01M2001/1007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characterised by the purification means combined with other functions
    • F01M2001/1021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characterised by the purification means combined with other functions comprising self clean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오일여과기에 있어서, 그 여과기내의 필터를 재생사용할 수 있게 하여 여과기의 교체로 버려지는 폐여과기의 발생을 방지하고 오일여과기를 번거롭지 않으면서 경제적으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한 필터재생용 오일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오일유입관과 배출관이 관착된 뚜껑체와, 필터가 내입된 하부본체가 결합형성된 오일여과기에 있어서, 필터를 극미세공이 다수 형성된 내유성 탄력발포물로 된 파이프체로 형성하여 그 내외면을 보호스프링으로 감싸게 하고 그 저면은 받침판 및 승강판으로 받쳐지게 하되, 받침판은 하부본체의 저면에 설착한 퇴유관을 중심으로 설착된 스프링에 의해 탄설하고, 그 상부에 당접된 승강판은 필터의 내부공간 부위에 통공을 형성하고 중앙에 승강봉을 설착하여 승강되게 하되, 그 상부에 요입홈을 형성하여 배출관과 일치시킴과 함께 상부 뚜껑체 외부로 관통시켜 그 상단을 마개로 결합한 구성이다.

Description

필터 재생용 오일여과기
제1도는 본 고안 오일여과기의 오일여과시의 단면 설명도.
제2도는 본 고안 오일여과기의 필터 재생시 단면 설명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입관 2 : 배출관
3 : 뚜껑체 4 : 필터
5 : 하부본체 6, 6' : 극미세공
7 : 발포물 8, 8' : 보호스프링
9 : 받침판 10 : 승강판
11 : 퇴유관 12 : 스프링
13 : 필터내부공간 14, 14' : 통공
15 : 승강봉 16 : 요입홈
17 : 마개
본 고안은 자동차 오일여과기에 있어서, 그 여과기 내에서 필터를 재생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여과기의 교체로 버려지는 폐여과기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번거롭지 않고 경제적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한 필터재생용 오일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오일여과기는 자동차내를 순환하는 오일에 함유된 불순물을 여과하여 윤활작용등 오일의 역활을 이상 없이 수행되게 한 것이나, 자동차가 일정거리 이상을 운행하게 되면 오일내의 불순물 함유량이 늘고 그 여과기 역시 종이재료의 필터에 불순물이 꽉차게 되어 여과기능을 잃게 되므로 오일을 새 오일로 교체함과 동시에 그 오일여과기 역시 새것으로 교체하여야 되므로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매번 새것으로 교체하는데서 발생하는 경제적 부담과 함께 버려지는 폐여과기가 증가하면서 새로운 2차 공해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본 고안은 자동차용 오일여과기에 있어서,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저 오일의 교체시에 여과기를 교체하지 않고 그 내부에 있는 필터만을 다시 재생시켜 여과기능이 재생되게 한 여과기를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요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오일유입관(1)과 배출관(2)이 관착된 뚜껑체(3)와, 필터(4)가 내입된 하부본체(5)가 결합 형성된 오일여과기에 있어서, 필터(4)를 극미세공(6)(6')이 다수 형성된 내유성 탄력 발포물(7)로 된 파이프체로 형성하여, 그 내외면을 보호스프링(8)(8')으로 감싸게 하고, 그 저면은 받침판(9) 및 승강판(10)으로 받쳐지게 하되, 받침판(9)은 그 하부를 하부본체(5)의 저면에 설착한 퇴유관(11)을 중심으로 설착된 스프링(12)에 의해 탄설하고, 그 상부에 당접된 승강판(10)은 필터(4)의 내부공간(13) 부위에 통공(14)(14')을 형성하고 중앙에 승강봉(15)을 설착하여 승강하게하되, 그 상부에 요입홈(16)을 형성하여 배출관(2)과 일치시킴과 함께 상부 뚜껑체(3) 외부로 관통시켜 그 상단을 마개(17)로 결합한 구성이다.
미설명부호 18은 필터외부공간, 19는 체결넛트, 20은 개폐밸브, 21은 퇴유호스, 22, 22'는 체결공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오일여과기는 통상의 오일여과기와 마찬가지로 오일 순환관의 사이에 설치하여 이를 통과하는 오일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인데, 오일순환시 오일유입관(1)을 통하여 여과기 내부에 유입된 오일은 먼저 필터(4)의 외측공간(18)에 충만된 후 발포물(7)의 극미세공(6)(6')을 통하여 내부공간(13)으로 스미면서 그 불순물이 발포물(7)에 흡착되어 여과되는 것이다. 이렇게 여과되어 내부공간(13)으로 유입된 여과오일은 다시 상부측의 요입홈(16)과 배출관(2)을 거쳐 배출되어 계속적으로 순환되어 그 오일의 기능을 수행되게 한 것이다. 이렇게 계속하여 반복 순환되던 오일은 차량의 장기 운행으로 불순물이 필터(4)에 포화상태가 되게되면, 오일을 새로 교체함과 동시에 여과기 자체를 교체하던 종래의 것과는 달리, 오일교체시에 엔진을 얼마간 가동시켜서 오일을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시켜 오일의 점질을 약화시킨 후 하부의 퇴유관(11)을 그 개폐밸브(20)로 개구시키고 상부에 나삽된 마개(17)를 돌려빼어 그 승강봉(15)을 상하승강시키게 되면, 승강봉(15)에 의해 승강판(10) 역시 상하 승강되면서 그 상부에 보호 스프링(8)(8')으로 감싸져 있는 내유 및 탄력성 재질의 발포물(7)로 된 필터(4) 또한 상하 승강되어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게 되므로서 필터(4)내의 극미세공(6)(6')등에 흡착되어 있던 불순물이 점질이 약화된 오일에 의하여 세탁의 효과를 갖게 되므로 필터(4)로부터 분리되어 하부의 퇴유관(11)으로 퇴유되어 필터(4)는 세탁된 것과 같이 다시 깨끗한 새것으로 재생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필터(4)를 재생시킨 후에는 다시 승강봉(15)을 하강시켜 그 상단의 마개(17)를 뚜껑체(3)에 결합시키게 되면 상부가 그 마개(17)에 의해 밀폐되고 승강판(10)의 통공(14)(14') 역시 받침판(9)에 의해 밀폐되면서 필터(4)의 내외공간이 차단된 채 고정되므로서 전기한 최초의 오일여과시와 마찬가지로 새로운 오일이 공급되면서 필터(4)의 내외공간의 통과로 오일이 여과 정화되면서 새로운 여과기능은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오일의 교체시에 오일여과기를 교체하지 않고도 그 여과기내에서 필터를 세탁재생되게 하여 매번 여과기를 교체하여야 되는 번거로움이 없음은 물론 이로 부터 발생하는 경제적인 효과와 함께 버려지는 폐여과기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므로서 새로운 공해의 발생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오일유입관(1)과 배출관(2)이 관착된 뚜껑체(3)와, 필터(4)가 내입된 하부본체(5)가 결합 형성된 오일여과기에 있어서, 필터(4)를 극미세공(6)(6')이 다수 형성된 내유성 탄력발포물(7)로 된 파이프체로 형성하여, 그 내외면을 보호스프링(8)(8')으로 감싸게 하고, 그 저면은 받침판(9) 및 승강판(10)으로 받쳐지게 하되, 받침판(9)은 그 하부를 하부본체(5)의 저면에 설착한 퇴유관(11)을 중심으로 설착된 스프링(12)에 의해 탄설하고, 그 상부에 당접된 승강판(10)은 필터(4)의 내부공간(13) 부위에 통공(14)(14')을 형성하고 중앙에 승강봉(15)을 설착하여 승강하게하되, 그 상부에 요입홈(16)을 형성하여 배출관(2)과 일치시킴과 함께 상부 뚜껑체(3) 외부로 관통시켜 그 상단을 마개(17)로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재생용 오일여과기.
KR2019950006819U 1995-04-04 1995-04-04 필터 재생용 오일여과기 KR01359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6819U KR0135920Y1 (ko) 1995-04-04 1995-04-04 필터 재생용 오일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6819U KR0135920Y1 (ko) 1995-04-04 1995-04-04 필터 재생용 오일여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057U KR960035057U (ko) 1996-11-21
KR0135920Y1 true KR0135920Y1 (ko) 1999-03-20

Family

ID=19410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6819U KR0135920Y1 (ko) 1995-04-04 1995-04-04 필터 재생용 오일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9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057U (ko) 199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8763A (en) Spin-on oil filter with replaceable element
US3344925A (en) Plastic liner for oil filter
AU569459B2 (en) Repelling- action filter unit and assembly
US2929506A (en) Combined full-flow and part-flow oil filters
US5094747A (en) Removal of polynuclear aromatic compounds from motor vehicle fuel
US20050092179A1 (en) Coalescing type filter apparatus and method
KR870000158B1 (ko) 액체 여과기
WO1985000534A1 (en) Hygroscopic breather cap
WO1998050128A1 (en) Two-stage oil bypass filter device
KR0135920Y1 (ko) 필터 재생용 오일여과기
EP0526932B1 (en) Disposable oil filter
US3118837A (en) Filter
US5510023A (en) Oil recycling apparatus with a recirculating filtration line
US2529398A (en) Water purifying and conditioning
US2342948A (en) Oil filter
US3405807A (en) Filter cartridge sealing means
US2381627A (en) Filter
US2137054A (en) Crankcase breather and oil filler pipe assembly
US3346120A (en) Oil cleaner
US2902163A (en) Filter structure
US1758412A (en) Liquid filter
US2983336A (en) Engine oil filtering arrangement and means
US2335532A (en) Oil filter or refiner
CN2860585Y (zh) 油品净化用过滤器
CN219002088U (zh) 一种油液提炼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