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919B1 - 씨디엠에이(coma)이동통신시스템에서하이브리드핸드오프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씨디엠에이(coma)이동통신시스템에서하이브리드핸드오프제어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919B1
KR0135919B1 KR1019940034647A KR19940034647A KR0135919B1 KR 0135919 B1 KR0135919 B1 KR 0135919B1 KR 1019940034647 A KR1019940034647 A KR 1019940034647A KR 19940034647 A KR19940034647 A KR 19940034647A KR 0135919 B1 KR0135919 B1 KR 0135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off
base station
control device
mobile station
serving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4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476A (ko
Inventor
송평중
안병양
양순성
이경준
이헌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소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40034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919B1/ko
Publication of KR960027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919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CDMA 디지틀 시스팀에서 다중 CDMA 주파수로 동작하는 기지국간의 핸드오프를 소프트하게, 그리고 기존 시스팀의 어떤 장치적인 변경없이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CDMA 이동통신 시스팀에서 상이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중 CDMA 주파수로 운용하는 기지국간의 핸드 오프시, 타겟셀이 이동국이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를 해당 RF 장치의 고장 발생으로 제공하지 못하거나 타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 현재의 기술로 통화 단절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통화 단절을 가입자가 거의 느끼지 못하게 하고 기존 시스팀의 어떤 장치적이 변경없이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씨디엠에이(CDMA) 이동통신 시스팀에서 하이브리드 핸드오프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CMS 구성도.
제2도는 이동국의 핸드오프 탐지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
제3도는 제어 장치의 핸드오프 판단 처리 구성도.
제4도는 제어 장치의 핸드오프 유형 결정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
제5도는 서빙셀내에서 공통 주파수로의 절체 흐름도.
제6도는 서빙셀과 타겟셀간의 소프트 핸드오프 제어 절차도.
본 발명은 CDMA 디지틀 시스팀에서 다중 CDMA 주파수로 동작하는 기지국간의 핸드오프를 소프트하게, 그리고 기존 시스팀의 어떤 장치적인 변경없이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이브리드(hybrid) 핸드오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CDMA 디지틀 셀룰라 시스팀에서 주파수 할당은 주파수 재사용율이 이론적으로는 100%에 근사하므로(실제로는 60%수준) 모든 셀에 동일한 주파수를 배치할 수 있게 되어있다.
이러한 CDMA의 장점으로 가입자 용량은 증대되며, 앞으로 이동 단말의 지속적인 가격 하락으로 유선 가입자수가 이동 가입자수로 점차 대체될 전망에 따라 그 수요는 매우 클 것이다.
대용량의 이동 가입자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CDMA시스팀(CMS:CDMA Mobile System)의 기지국은 다중 주파수 (최대 9 CDMA frequencies)를 사용할 수 있고, 기지국간에는 공통 주파수가 1개 이상 반드시 존재하도록 주파수 배치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기지국은 CDMA 주파수당 별도의 RF장치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동국이 진입하는 셀(타겟 셀)의 기지국에서 특정 주파수에 대한 RF 장치의 고장 발생이나 특정 주파수가 타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 셀간에 상이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프를 할 수 밖에 없다.
이 방법은 현재의 기술로 매우 난이하다.
그 이유는 타겟셀을 결정하여야 하기 때문이고 이 과정은 이동국과 기지국간 초기 동기 획득 과정을 각 인접셀마다 새로이 수행하는 절차가 추가되어야 하기 때문이며, 그 소요시간(최대 15초)은 매우 길어 정상적인 통화를 유지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현재 디지틀 이동 통신 시스팀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간 핸드 오프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는 여러 방법이 있다.
첫째는 범유럽 디지틀 이동통신 규격인 GSM에서와 같이 통신 품질이 열화된 시점에서 인접 기지국에서 해당 이동국의 전력세기를 측정 비교하여, 가장 강한 전력을 타겟 기지국(혹은 셀)으로 결정한 후 이동국으로 하여금 타겟 기지국의 해당 주파수로 절체시키는 하드 핸드오프 방안과 둘째로, 각 셀 계층 기지국이 파일롯 베이컨(Pilot Beacon)을 위한 별도의 CDMA 주파수를 사용하는 방안이 있다.
하지만, 전자는 모든 인접 기지국이 이동국의 전력 세기를 모드 측정하여야 하므로 자원 낭비가 심한데다, CDMA 시스팀에서는 채택할 수 없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이다.
후자는 파일롯 베이콘 추가 설치를 위해 RF 주파수 한개 시스팀을 별도로 운용하여야 하므로 그 추가부담금이 크다.
따라서, CDMA 시스팀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간 핸드오프를 위한 적정대안이 국내외적으로 없는 실정이다.
상기 종래 기술에 대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CDMA 디지틀 시스팀에서 다중 CDMA 주파수로 동작하는 기지국간에 서로 다른 주파수로 핸드오프를 수행시켜야 하는 상황에서, 가입자에게 통화 두절을 거의 못 느끼게 하면서, 기존 시스팀의 어떤 장치적인 변경없이 그리고 경제적 추가 부담없이 핸드 오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CDMA 이동통신 시스팀에서 상이 주파수간 핸드오프를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핸드오프 제어방법은, CDMA 이동통신시스팀에서 서빙 셀의 기지국 장치와 CDMA 주파수로 통신접속을 하는 이동국이 기지국 제어장치에 의해서 상기한 주파수가 없고 공통 CDMA 주파수가 존재하는 타겟 셀의 기지국 장치와 통신 접속이 되므로 핸드오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국이 프레임 오류율과 전력세기를 측정하여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전력 측정 보고 메세지를 이용하여 기지국 제어장치에 보고하는 이동국의 핸드오프 탐지과정과, 보고된 프레임 오류율 및 전력세기와 핸드오프 판단을 위한 다른 입력 파라미터들을 입력받은 기지국 제어장치가 그 입력 파라미터의 종합 임계치 또는 어느 하나의 해당 임계치라도 초과할 경우 이동국의 핸드오프 상황으로 판정하는 핸드오프 상황 판정 과정과, 판정 결과 핸드오프 상황일 경우, 기지국 제어장치에서 상기 입력 파라미터값을 임계치와 비교한 결과나 그 비교 후 상기 타겟 셀과의 공통 CDMA 주파수 존재유무를 따라 하이브리드 핸드오프, 하드 핸드오프 및 소프트 핸드오프중 어느 하나의 핸드오프 유형을 결정하는 핸드오프 유형 결정과정과, 그리고 임계치 비교 후 공통 주파수가 존재하는 하이브리드 핸드오프 유형으로 결정될 경우, 이동국이 서빙 셀 내부의 공통 주파수채널로 접속하는 하드 핸드오프를 수행한 후, 소프트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핸드오프 과정으로 이루어져, 기존 시스팀의 장치적인 변경없이 쉽게 하이브리드 핸드오프 방식으로 수행함으로써, 이동통신환경에서 일어나는 모든 핸드오프를 수용할 수 있게 되어 가입자가 거의 통화단절을 느끼지 못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CMS에서 두 셀간의 핸드오프시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동작 절차도를 나타낸다.
이동국(10)이 현재 서비스를 받고 있는 기지국(서빙 셀의 기지국(11))에서 사용중인 CDMA 주파수가 진입하는 셀에 없으나 공통 CDMA 주파수가 존재하는 경우로서 이 경우의 핸드오프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처리한다.
하이브리드 방식은 이동국(10)이 서빙셀의 기지국 장치(11)내에서 인접셀의 기지국 장치(12)와 공통인 주파수로 절체한 후 인동국(10a)와 이동국(10b)이 기지국 장치(12)로의 타겟셀 진입과정(Cell-Add)과 기지국 장치(11)과의 서빙셀 탈피(Cell Drop)과정을 거치는 소프트 핸드오프로써 이루어진다.
공통 CDMA 주파수로의 절체과정, 기지국 장치(12)와의 타겟셀 진입과정 및 서빙 셀과의 탈피 과정은 기지국 제어 장치(13)와의 신호제어로써 수행된다.
이에 대한 세부 설명은 후술한다.
제2도는 이동국의 핸드오프 탐지 흐름도이다.
이동국(10)에서 전력 세기 및 오류 프레임의 수를 측정하여(30)제어 장치에 보고한다.
이들 측정치는 주기적(31, PWR_PERIOD_ENABLE)으로 혹은 일정 임계치(32, PWR_THRESH_ENABLE)를 초과할 경우, 프레임 오류율(Ne/Nt)과 측정된 전력세기를 전력 측정 보고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어 장치에 보고한다(33).
제3도는 기지국 제어 장치(13)에서 핸드오프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 방법은 기존의 디지틀 이동 통신 시스팀과는 달리 핸드오프 판단을 전력세기만에 의하지 않고 관련 파라미터를 종합하여 판단하는 다중 기준치에 의한 의사 결정 방식을 따른다.
핸드오프 판단에 사용되는 입력 파라미터(41)로는 전력시기, 이동국과 기지국간의 왕복거리(RTD; 셀 반경) 및 프레임 오류율(Ne/Nt:FER) 및 순방향 전력이득 등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여, 이들을 종합 판정하거나(44) 혹은 택일(46)할 수 있도록 가중치 개념(44)과 파라미터값의 정규화 변환개념(43)을 채택하였다. 이들 파라미터중 한개라도 임계치를 초과하면(45) 핸드오프 상황으로 판단하며, 제3도의 출력 파라미터는 핸드오프 수행가부(47)로 판정한다.
즉, 전력 제어가 동작됨에도 불구하고 전력의 측정치가 최소임계치에 미달하거나 혹은 이동국과 기지국간의 거리가 서빙셀의 최대 반경을 초과하는 경우, 이동국이 타 셀로 이동되었다고 판정하여 나머지 파라미터 값에 관계없이 핸드오프를 수행하도록 판정한다.
그리고, 모든 파라미터가 임계치를 초과하지는 않으나 다음식의 결과치가 종합 임계치(T)보다 클 경우 핸드오프를 구동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n:파리미터 수
여기서, Wi는 핸드오프 파라미터의 측정치 Mi에 대한 가중치이고, Ni는 파라미터Pi에 대한 정규화 팩터(Normalized fctor)이며, Di는 핸드오프 파라미터의 기준값과 그 측정치(Mi)와의 차이값이다.
위식에서 특정 파라미터만을 고려할 경우 나머지 파라미터의 가중치는 '0'으로 주어진다.
이 알고리즘에 대한 적용사례로서, 핸드 오프 파라미터로 전력세기(piolot_strength), 이동국과 기지국간 왕복 거리(RTD) 그리고, 프레임 오류율(FER)을 고려하는 경우, 핸드오프 여부는 다음과 같이 판정할 수 있다.
-Di(pilot_strength)=(T_DROP-margin(P1))-30=31-30=1
-D2(RTD)=3.4usec-3.3usec=0.1
-D3(FER)=0.01-0.009=0.001
*RTD:셀반경 1Km→3.4usec
*FER(Eb/Nt):15.6db→0.01
-Ni(pilot_strength)=1
-N2(RTD)=10
-N3(FER)=1000
-Wi(pilot_strength)=0.6
-W2(RTD)=0.3
-W3(FER)=0.1
따라서 이 경우는 핸드 오프를 실행한다.
제4도는 기지국 제어 장치(13)가 전력 측정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여 핸드 오프 상황으로 판단한 후, 어느 유형의 핸드 오프를 수행하여야 하는지를 판단하는 절차도이다.
기지국 제어 장치(13)는 수신되는 메시지의 유형과 파라미터값에 따라 핸드 오프 유형을 결정한다.
제어장치(13)에 전력 세기 측정 메시지가 수신되고 이 메시지내의 파라미터인 전력 세기가 서빙 셀에서 탈피하기 위한 임계치(T-DROP) 미만일 경우(또는 프레임 오류율이 프레임 오류율 임계치(T-FER)를 초과할 경우)(50) 기지국 장치(11)에 인접셀과의 공통 주파수가 있으면 하이브리드 핸드오프(51)로 판단되고, 공통 주파수가 없으면 주파수간 직접 핸드오프로 처리한다(52).
또한, 제어장치(13)에 파일롯 전력 세기 측정 메시지(PSMM:pilot_strength Measurment)가 수신되고 이 메시지 내의 파라미터인 전력 세기가 타겟 셀로 진입하기 위한 임계치(T_ADD)를 초과하는 경우(53)는 소프트 핸드오프로 결정한다(54).
제5도는 제2도 내지 제4도에서 언급한 이동국(10)핸드오프 탐지, 제어장치(13)의 핸드 오프 판단 및 제어 장치(13)의 핸드 오프 유형 결정 절차를 모두 이용하여 각 장치간의 하이브리드 핸드오프가 수행되는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하이브리드 핸드오프는 이동국(10)의 핸드오프 탐지와 네트워크(11 내지 13)의 핸드 오프 처리로 수행되는 MAHO(Moile Assited Handoff)방식에 기준한다.
이동국(10)은 서빙셀의 기지국(11)으로 부터 서빙채널(혹은 주파수)(11a)를 할당받아 착신 가입자와 통신중에 있다.
통신중에 프레임 오류율이 특정 임계치 이상으로 커질 경우(혹은 주기적으로) 이동국(10)은 자신이 측정한 트래픽 프레임의 오류율 및 평균 전력치를 서빙셀로 보고하며(80) 서빙 채널(11a)은 제어 장치(13)로 이를 중계한다.
제어장치(13)는 제3도의 다중치에 의한 의사결정 모형을 이용하여 핸드오프 실행 여부를 판정한다(81).
핸드오프가 필요할 경우 제4도의 방법으로 핸드오프 유형을 정한다.
핸드오프 유형이 상이 주파수간 핸드오프인 경우, 제어장치(13)는 서빙셀 기지국(11)의 채널 관리기(11c)로 핸드오프 채널을 요구한다(82).
채널 관리기(11c)는 타겟 채널(11b)을 초기화하고 각각 응답신호(83a, 82a)를 받는다.
초기화된 타겟채널(11b)과 기지국 제어장치(13)간에 설정된 신규링크의 시간 동기가(84, 84a)를 통해 이루어진다.
제어장치(13)는 서빙채널(11a)을 통해 이동국(10)으로 핸드 오프를 지시하여 공통 주파수로 절체할 것을 명령한다(85).
그리고, 서빙 셀의 기지국(11)은 타겟 채널(11b)을 통해 기지국 제어장치(13)에게 이동국(10)과 동기가 획득되었음을 보고(86) 한후, 그에 대한 응답(86a)을 받는다.
이후 타겟채널(11b)을 통해 제어 장치(13)로 핸드오프 완료를 보고한다(87).
이 보고를 받은 제어장치(13)는 기존에 사용하던 서빙채널(11a)r과의 접속 자원을 복구하도록 요구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받는다(88, 88a, 88b).
이로써 하이브리드 핸드오프의 1단계(주파수간 하드 핸드오프)가 완료된다.
제6도는 제5도에서와 같은 1단계 절차가 수행된 후 2단계로 연속 수행되는 서빙셀과 타겟 셀간의 소프트 핸드오프 절차이다.
타겟 셀의 기지국(12)으로 부터 수신되는 파일롯의 세기가 타겟셀로 진입하기 위해 필요한 일정 임계치(T_ADD)를 초과하면 이동국(10)은 제어장치(13)로 전력측정보고를 행한다(90).
제어장치(13)는 제4도의 절차에 따라 핸드오프 유형이 소프트 핸드오프임을 결정하고(91), 타겟셀의 기지국(12)으로 핸드 오프 채널을 요구하고 할당받는다(92, 92a).
그리고 나서, 제어장치(13)는 서빙셀의 기지국(11)으로 핸드오프가 진행중임을 통보하고(93, 93a) 타겟셀의 기지국(12)과 제어장치(13)간에 새로 설정된 링크에 대해서 시간 동기를 조율한다(94,94a). 제어장치(13)는 서빙셀의 기지국(11)을 통해 이동국(10)으로 핸드오프를 지시(95)하여 타겟셀과의 통신을 명령한다.
이후 타겟셀의 기지국(12)은 제어장치(13)로 이동국과 동기획득이 이루어졌음을 보고한다(96, 96a).
이동국(10)은 진입셀과의 통신 접속이 완료(핸드오프 완료)되었음을 타겟셀의 기지국(12)을 통해 제어장치(13)로 보고한다(97).
이로써 이동국(10)은 서빙셀과 타겟셀 모두와 통신을 하게 된다(98).
이와 같이 통신중에는 전력세기가 일정 시간 경과 후에도 임계치 이하로 계속 감소한다(99).
이때 이동국(10)은 레이크 수신기를 이용하여 두 셀로 부터 오는 신호를 동시에 처리하는 다이버시트 결합(Diversity Combining)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두 셀의 경계지역에서 양호한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서빙셀의 기지국(11)으로 부터 수신되는 파일롯 채널의 전력 세기가 서빙 셀로 부터 탈피하기 위해 필요한 임계치(T_DROP)에 미달하면, 이동국(10)은 제어장치(13)로 전력 측정 보고를 행한다(100).
이 전력측정보고를 받은 제어장치(13)는 이동국(10)으로 하여금 서빙셀의 기지국(11)과의 통신을 중단하고 타겟셀의 기지국(12)과만 통신할 것을 지시하고 이동국(10)으로부터 핸드오프 완료보고를 응답받는다(101, 102).
제어장치(13)는 사용하던 서빙셀의 기지국(11)과의 접속자원을 복구하도록 요구하고 이로부터 응답을 받는다(103, 103a).
이로써 이동국(10)은 타겟셀로 완전히 진입하게 되며(104)하이브리드 핸드오프의 2단계(서빙셀과 타겟셀간의 소프트 핸드오프)가 완료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동작하는 본 발명은 다중 CDMA 주파수로 운용하는 기지국간의 핸드 오프시, 타겟셀이 이동국이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를 해당 RF 장치의 고장 발생으로 제공하지 못하거나 타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 현재의 기술로 통화 단절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통화 단절을 가입자가 거의 느끼지 못하게 하고 기존 시스팀의 어떤 장치적인 변경없이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CDMA 이동통신시스팀에서 서빙 셀의 기지국 장치(11)와 CDMA 주파수로 통신접속을 하는 이동국(10)이 기지국 제어장치(13)에 의해서 상기한 주파수가 없고 공통 CDMA 주파수가 존재하는 타겟 셀의 기지국 장치(12)와 통신 접속이 되도록 핸드오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10)이 프레임 오류율과 전력세기를 측정하여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전력 측정 보고 메세지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 제어장치(13)에 보고하는 이동국의 핸드오프 탐지과정과;
    상기 보고된 프레임 오류율 및 전력세기와 핸드오프 판단을 위한 다른 입력 파라미터들을 입력받은 기지국 제어장치(13)가 그 입력 파라미터의 종합 임계치 또는 어느 하나의 해당 임계치라도 초과할 경우 이동국의 핸드오프 상황으로 판정하는 핸드오프 상황 판정 과정과;
    상기 판정 결과 핸드오프 상황일 경우, 기지국 제어장치(13)에서 상기 입력 파라미터값을 임계치와 비교한 결과나 그 비교 후 상기 타겟 셀과의 공통 CDMA 주파수 존재유무를 따라 하이브리드 핸드오프, 하드 핸드오프 및 소프트 핸드오프중 어느 하나의 핸드오프 유형을 결정하는 핸드오프 유형 결정과정과; 그리고
    상기 임계치 비교 후 공통 주파수가 존재하는 하이브리브 핸드오프 유형으로 결정될 경우, 상기 이동국이 서빙 셀 내부의 공통 주파수채널로 접속하는 하드 핸드오프를 수행한 후, 소프트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핸드오프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시스팀에서 하이브리드 핸드오프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파라미터는
    셀 반경, 순방향 전력 이득의 파라미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시스팀에서 하이브리드 핸드오프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 오류율이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전력 세기가 서빙 셀에서 탈피하기 위한 임계치(T-DROP) 미만이고, 공통주파수가 존재할 경우 하이브리드 핸드오프 유형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시스팀에서 하이브리드 핸드오프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핸드오프 과정에서 하드 핸드오프는
    서빙 셀의 기지국(11)과 통신중인 이동국(10)의 프레임 오류율이 특정 임계치 이상으로 커질 경우 이동국 자신이 측정한 프레임 오류율 및 전력치를 서빙 채널의 중계를 통해 기지국 제어장치(13)에 보고하는 제1단계와;
    이 보고를 받은 제어장치(13)는 상기 핸드오프 판정과정 및 핸드오프 유형 결정과정을 수행하여 상이 주파수간 핸드오프 유형일 경우 서빙 셀 기지국(11)의 채널 관리기에 핸드오프 채널을 요구하여 그 채널을 할당받고, 그 채널관리기가 타겟 채널을 초기화한 후 그에 대한 응답 신호를 받는 제2단계와;
    상기 초기화된 타겟 채널과 상기 제어장치(13)간에 설정된 신규링크의 시간동기를 하는 제3단계와;
    상기 동기 후, 제어장치(13)가 서빙 채널을 통해 이동국(10)에게 공통 주파수로의 절체를 지시하는 제4단계와;
    서빙 셀의 기지국(11)이 이동국(10)과 동기가 획득되었음을 제어장치(13)에 보고한 후, 그 응답을 받는 제5단계와;
    이동국(10)의 타겟 채널을 통해 제어장치(13)에게 핸드오프가 완료됨을 보고하는 제6단계와; 및
    이 보고를 받은 제어장치(13)는 기존에 사용하던 서빙 채널과의 접속자원의 복구를 요구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받는 제7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시스팀에서 하이브리드 핸드오프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핸드오프 과정에서 소프트 핸드오프는
    서빙 셀의 공통주파수 채널과 접속중인 이동국(10)이 타겟 셀의 기지국(12)으로 부터 수신되는 전력 세기가 타겟 셀로 진입하기 위해 필요한 임계치(T-ADD)를 초과하면 상기 제어장치(13)로 전력측정보고를 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전력측정보고를 받은 제어장치(13)가 소프트 핸드오프 유형으로 결정하고 타겟 셀의 기지국(12)으로 핸드오프채널을 요구하고 할당받는 제2단계와;
    상기 제어장치(13)가 서빙 셀의 기지국(11)으로 핸드오프가 진행중임을 통보하고 타겟 셀의 기지국(12)과 새로 설정된 링크에 대하여 시간 동기를 조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어장치(13)가 서빙 셀의 기지국(11)을 통해 이동국(10)으로 핸드오프를 지시하여 타겟 셀과의 통신을 명령하는 제4단계와;
    타겟 셀의 기지국(12)은 상기 제어장치(13)에게 이동국과 동기획득이 이루어졌음을 보고하는 제5단계와;
    이동국(10)이 진입하는 타겟 셀과의 핸드오프가 완료되었음을 타겟셀의 기지국(12)을 통해 제어장치(13)에 보고한 후 서빙 셀 및 타겟 셀과 동시에 통신을 하는 제6단계와;
    서빙 셀의 기지국(11)으로 부터 수신되는 전력 세기가 서빙 셀로 부터 탈피하기 위해 필요한 임계치(T-DROP)에 미달하면 이동국(10)이 제어장치(13)에게 전력측정보고를 하는 제7단계와;
    이 전력 측정보고를 받은 제어장치(13)는 이동국(10)에게 서빙셀의 기지국(11)과의 통신은 중단하고 타겟 셀의 기지국(12)과만 통신할 것을 지시하고 그에 대한 이동국(10)으로부터의 핸드오프 완료보고를 응답 받는 제8단계와;
    그 응답을 받은 제어장치(13)는 사용하던 서빙 셀의 기지국(11)과의 접속자원의 복구를 요구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받아 타겟 셀과 통신을 하는 제9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통신 시스팀에서 하이브리드 핸드오프 제어방법.
KR1019940034647A 1994-12-16 1994-12-16 씨디엠에이(coma)이동통신시스템에서하이브리드핸드오프제어방법 KR0135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647A KR0135919B1 (ko) 1994-12-16 1994-12-16 씨디엠에이(coma)이동통신시스템에서하이브리드핸드오프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647A KR0135919B1 (ko) 1994-12-16 1994-12-16 씨디엠에이(coma)이동통신시스템에서하이브리드핸드오프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476A KR960027476A (ko) 1996-07-22
KR0135919B1 true KR0135919B1 (ko) 1998-06-01

Family

ID=19401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4647A KR0135919B1 (ko) 1994-12-16 1994-12-16 씨디엠에이(coma)이동통신시스템에서하이브리드핸드오프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9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694B1 (ko) * 1998-03-30 2004-09-08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간 핸드오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011A (ko) * 1998-06-25 2000-01-15 윤종용 셀룰러 시스템에서 공통 주파수를 이용한 하드 핸드오프 방법
KR100557127B1 (ko) * 1998-09-15 2006-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셀룰러 시스템의 전력 관리 및 호 제어 방법
KR100313918B1 (ko) * 1998-12-10 2001-12-12 서평원 인접기지국간핸드오프파라미터처리방법
KR100794164B1 (ko) * 2006-09-27 2008-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파수간 핸드오버 방법 및 그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694B1 (ko) * 1998-03-30 2004-09-08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간 핸드오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476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8377B1 (en)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311509B1 (ko) 주파수간핸드오프제어방법
JP4297568B2 (ja) 無線通信制御装置および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
US633798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handoff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560982B1 (ko) 통신 시스템 사이에서 이동국에 의한 하드 핸드오프를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
EP1145586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threshold adjustment for handoffs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s
CA2262926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able intersystem handoff in a cdma system
JP3871707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ーのための電力制御方法及び構成体
CN100362903C (zh) 一种用于宽带码分多址系统的异系统硬切换方法
US20130331104A1 (en) Base station apparatus, user equipment, and method use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601111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inter-layer handoff in a hierarchical cellular system
US88381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neighboring cell information
EP0966173B1 (en) Handover determin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H08505028A (ja) セルラ通信網内の低容量移動支援ハンドオフ
US5970407A (en) Compensation for mobile assisted handoff measurement inaccuracies
CN108366389B (zh) Lte网络中基于有效带宽和信号质量的自适应切换方法
CN110636567B (zh) 一种切换评估、报告方法、装置及基站
JPH10501392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ー方法
JP2000511032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ー
Saeed Handover in a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A Review Phase
CN110839258B (zh) 条件切换方法及装置
CN115002845B (zh) 小区切换的方法和装置
KR100571785B1 (ko) 이동통신망에서 핸드오버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0135919B1 (ko) 씨디엠에이(coma)이동통신시스템에서하이브리드핸드오프제어방법
KR10165545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네트워크 운영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