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946B1 - 용접용 인버터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용접용 인버터 전원 공급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946B1
KR0134946B1 KR1019940000068A KR19940000068A KR0134946B1 KR 0134946 B1 KR0134946 B1 KR 0134946B1 KR 1019940000068 A KR1019940000068 A KR 1019940000068A KR 19940000068 A KR19940000068 A KR 19940000068A KR 0134946 B1 KR0134946 B1 KR 0134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power supply
winding
core
high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0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9187A (ko
Inventor
디. 블랭켄쉽 조지
Original Assignee
엘리스 에프. 스모릭
더 링컨 일렉트릭 컴패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리스 에프. 스모릭, 더 링컨 일렉트릭 컴패니 filed Critical 엘리스 에프. 스모릭
Publication of KR940019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9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9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0Means for preventing magnetic sat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0Other electric circuits therefor; Protective circuits; Remote controls
    • B23K9/1006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285Single converters with a plurality of output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Control (AREA)
  • Generation Of Surge Voltage And Current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소자와 가공 소자를 구비하는 용접부에 쵸크를 통하여 용접전류를 공급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 의 이차 권선에 제 1 전류 펄스를 생성하고 제 2 의 이차 권선에 제 2 전류 펄스를 생성하는 변압기 수단과 상기 쵸크를 통하여 상기 소자들 양단에 상기 전류 펄스를 통과시키기 위해 상기 이차 권선들을 접속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변압기 수단은 상기 제 1 펄스를 생성하는 동안 제 1 플러스 방향으로 자화되는 제 1 코어와 상기 제 1코어상에서 상기 제 1 의 이차 권선을 수용하는 수단을 갖는 제 1 변압기와, 상기 제 2 펄스를 생성하는 동안 제 2 플러스 방향으로 자화되는 제 2 코어와 상기 제 2 코어 상에서 상기 제 2 의 이차 권선을 수용하는 수단을 갖는 제 2 변압기와, 상기 제 1 코어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자화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방향과 반대의 플럭스 방향으로 상기 코어중 하나를 자화하는 코어 리셋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용접용 인버터 전원 공급 장치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배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변압기 수단C1,C2 : 코어
22,24 : 일차 권선42,44 : 이차 권선
200,202 : 보조 전류 부스트 권선220 : 리셋 회로
W : 용접 스테이션210,212 : 단방향성 소자
본 발명은 아크 용접 작업용 전원 공급 장치로 사용되는 형식의 고주파 인버터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극 소자와 공작물을 비롯한 용접 스테이션에 쵸크를 통해 전류를 공급하는 개선된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지향하고 있는 전원 공급 장치의 형식을 예시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빌크조(Bilczo)의 미국 특허 제4,897,522호를 참고로 인용한다. 이 선행 특허는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의 세부 사항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특허에 포함된 배경 정보를 반복하는 필요성이 없도록 해준다.
본 발명은 종국적으로는 정류 D.C. 전원 공급 장치가 스위칭되어 변압기 수단의 이차 권선에 교류극성 출력 펄스를 발생시키고, 이 출력 펄스는 정류되어 용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의 용접 스테이션(welding station)의 전극 소자와 공작물을 통과하게 되어 있는, DC 용접용 고주파 인버터에 특히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 인버터의 사용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적용 범위가 넓고, 용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의 용접 스테이션의 전극 소자와 공작물을 통과하는 전류를 발생하는 일련의 전류 펄스를 발생하는 형식의 다양한 고주파 인버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적용에 따르면, 스위칭 동작은 개별 또는 교호 동작하는 FET와 같은 2개의 스위치 수단에 의하여 수행되는데, 한쪽 스위치 수단은 변압기 수단의 코어를 자화시키는 작용을 하고, 다른쪽 스위치 수단은 변압기 수단의 이차 권선에 별도의 반대의 극성 전류 펄스를 생성시키는 데 적용된다. 상기 2개의 스위치 수단의 교호(交互) 스위칭 동작에 의해, 고주파 교류전류는 2개의 이차 권선에 자화(磁化) 결합된다. 펄스 형태의 이 고주파 전류는 고속 다이오드와 같은 정류 수단에 의해 인덕터 또는 쵸크와 같은 전기 필터링 수단을 경유하여 D.C. 용접기의 출력 단자에 인가된다.
본 발명이 특히 지향하고 있는 형식의 인버터용 출력 변압기 수단의 제 2 단에는 별도로 정류된 전류 펄스가 발생되는 2개의 이차 권선이 있다. 변압기 수단의 출력이 제 1 이차 권선에 의해 구동될 때, 전원 공급 장치내의 제 1 전극에서 발생되는 전류 펼스가 존재한다. 이때, 반대 극성의 전류 펄스가 전원 공급 장치의 변압기 수단의 출력 단자의 제 2 이차 권선에서 발생된다. 이 반대 극성의 전류 펄스는 고속 다이오드를 통해 용접 스테이션에 인가된다. 따라서, 적당한 극성의 고주파 전류 펄스는 용접 스테이션의 인덕터 또는 쵸크 쪽으로 향하고, 이 인덕터 또는 쵸크를 경유하여 D.C. 용접기의 출력 단자에 인가된다.
제 1 및 제 2 전류 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 스위치 수단은 선택된 펄스 시간 또는 펄스폭 및 반복 속도의 전기 트리거 또는 게이트 펄스에 의해 제어된다. 용접 스테이션의 출력 전류 또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려면, 트리거 펄스의 폭 또는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써 용접 스테이션 또는 용접 설비의 전극 및 공작물에 가해지는 출력 전류를 변화시킨다. 용접 작업에는 전류 또는 전압이 더 많이 요구되므로, 변압기 수단의 일차 권선을 구동하기 위한 펄스의 폭은 출력 전류의 소망하는 증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전류는 일반적으로 선택 주파수, 예컨대 200KHz에서 동작하는 전압 제어 펄스 폭 변조회로를 사용하여 인버터용 피드백 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변조기는 통상 전기 스위치 방식의 인버터 전원 공급 장치에 사용되고 있으며,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익숙한 표준 집적 회로 패키지 형태로 구득할 수 있다. 선택된 동작 주파수는 피드백 전류 신호에 대한 용접 스테이션의 응답 시간에 영향을 주고 또는 전압 감지 신호는 용접 스테이션의 성능에 영향을 주게 되어 용접 아크의 작은 변화에 응답한다. 실질적인 성능 향상을 이루려면, 약 10KHz 이상의 높은 주파수가 필요하다. 동작 주파수는 용접회로 및 아크의 가청도에 영향을 준다. 바람직하지 않은 잡음을 극소화하고 조작자의 가청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보통 약 20KHz 이상의 주파수가 선택된다.
빌크조(Bilczo)의 제4,897,522호의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특히 지향하고 있는 고주파 인버터는 인버터의 동작 전류 범위를 확장하도록 추가의 전압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력 변압기의 출력부에 부스터 권선을 포함시킴으로써 수정된 것이다. 전력 변압기의 입력부 또는 일차 권선은, 한쪽 방향의 펄스가 다른쪽 방향의 펄스와 상이한 시구간을 갖는 견고하게 결합된 변압기 구조의 코어를 포화시키기 쉽다. 변압기를 통하여 상이한 전류가 흐름으로 인해, 큰 D.C. 전류를 코어에 흐르게 하는 D.C.성분이 생기게 된다. 이 전류 흐름은 큰 암페어-턴을 유발시키고 변압기 코어 포화용 D.C.자속을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알려져 있는 구조에 비해 매우 유리한 면도 있지만 빌크조(Bilczo)의 새로운 구조에서는 변압기의 페라이트 코어 재료를 적절히 이용하고 권선을 감는 데 있어서의 복잡성에 관한 문제점이 여전히 상존하였다. 또한,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는 낮은 용접 전류에서는 다소 불안정하며, 용접 작업의 기동(起動)에 관련한 몇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당면하였던 불리한 점들은, 전술한 형식의 고주파 인버터형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제 1 이차 권선내에서 제 1 전류 펄스를 발생시키고 제 2 이차 권선 내에서 제 2 전류 펄스를 발생시키는 변압기 수단과, 용접기를 구성하는 쵸크와 소자를 경유하여 반대 극성의 2가지 펄스를 통과시키기 위한 이차 권선 접속 수단을 포함하는 고주파 인버터형 전원 공급 장치의 개선에 관한 본 발명에 의하여 극복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의한 개선점은 상기 변압기 수단을, 제 1 펄스의 발생시에 제 1 자속 방향으로 자화되는 제 1 코어와 이 제 1 코어상에 전원 공급 장치의 제 1 이차 권선을 수용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제 1 변압기와, 제 2 펄스 발생시 제 2 자속 방향으로 자화되는 제 2 코어와 이 제 2 코어 상에 제 2 이차 권선을 수용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제 2 변압기로 나누어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2개의 변압기를 사용하는 개선점은 제 1코어가 제 1 자속 방향으로 자화될 때 제 2 자속 방향에 대한 반대로 되는 자속 방향으로 제 2 코어를 자화하는 코어 리셋 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더 개선된다. 마찬가지로, 이 코어 리셋 수단은 제 2 코어가 제 2 자속 방향으로 자화될 때 제 1자속 방향과는 반대로 되는 자속 방향으로 제 1 코어를 자화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전원 공급 장치의 변압기 수단의 별도의 코어를 구비함으로써 2개의 별도의 구별되는 일차 권선들이 별도의 코어에 감기게 된다. 이 권선들은 제 1 코어상의 제 1 리셋 권선과 제 2 코어상의 제 2 리셋 권선의 2개의 리셋 권선 형식의 리셋 수단에 의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호 결합되지 않도록 분리되어 있다. 이 리셋 권선은 직렬 회로로 접속되므로 제 1 코어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는 리셋 펄스로서 제 2 코어에 인가되게 되며, 그 반대도 또한 같다. 하나의 코어에서 그 다음의 코어로 흐르는 유도 전류의 극성은 고주파 인버터형 전원 공급 장치의 변압기 수단을 형성하는 별도의 2개의 일차 권선 중 하나에 의해 기본 펄스를 인가하기에 앞서 코어를 자화하거나 리셋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의 반대 극성의 펄스는 리셋 권선이 있는 별도의 코어와 관련된 이차 권선 내에서 반대 극성의 펄스를 유도함으로써 인버터에 의해 다른 변압기의 일차 권선에 전류 펄스의 차회 인가에 앞서 한쪽 코어를 리셋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의 특징에 따르면, 인버터형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단은 전류 제어 수단 내의 이차 권선 중 하나와 직렬로 접속되는 보조 전류 부스트 권선을 포함하는데, 상기 전류 제어 수단은 상기 보조 권선을 전극 및 공작물과 같은 용접 스테이션 소자 중의 하나의 소자에 접속하며, 전원 공급 장치의 제 1펄스와 동일 방향의 극성의 단방향성 소자 및 이 단방향성 소자와 직렬 연결된 전류 제한 소자를 포함하는 전류 제어 회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3의 특징에 따르면, 고주파 인버터의 출력단 내의 보조 권선과 관련된 에너지 저장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낮은 용접 전류에서 발생되는 고전압이 보조 권선에 의해 구동되는 배경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에너지가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최소 전류가 아크의 양단에 유지된다. 에너지 저장 수단은 변압기 수단의 주전력 출력 단자와 용접 스테이션 또는 용접 설비간의 쵸크보다 실질적으로 높은 인덕턴스를 갖는 인덕터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용접 쵸크는 비교적 낮은 인덕턴스를 가지므로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의 신속한 응답이 가능하다. 출력 변압기 수단의 보조 권선부의 인덕턴스는 높으므로, 용접 회로를 통해 최소 전류가 발생된다. 이 배경 전류는 높거나 또는 낮은 전류 요건에 신속히 변경시킬 필요가 없다. 이러한 방식으로, 신속한 응답 시간에는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회로 내에 작은 쵸크 또는 인덕턴스가 제공되는 한편, 전원 공급 장치 자체는 보조 권선부에 큰 쵸크를 포함하여 용접 작업을 위한 최소의 배경 전류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제 4의 특징에 따르면, 출력 회로 내의 고주파 기동 발생기에 의해 구동되는 변압기와 이차 권선으로서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쵸크의 사용을 포함한다. 용접기 소자와 직렬 연결된 커패시터와, 이차 권선 및 단방향성 회로 사이의 전류 제한 인덕터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단방향성 회로는 변압기의 기동 동작 동안에 단방향성 회로의 전류를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 결과적으로, 사이클의 개시 또는 사이클 동안의 어느 경우에나 아크의 기동을 위해 채용된 고주파수, 전압 펄스는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회로에 집중되며, 전원 공급 장치의 전류 감지의 정확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용접에 사용되며 2개의 교류 주파수 일차 권선을 구비하는 고주파 인버터형 전원 공급 장치용 출력 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출력 회로는 출력 변압기 수단의 포화를 방지하고, 용접 아크를 안정화시키며, 전원 공급 장치에 역효과를 주지 않으면서 아크의 고주파수 기동을 가능하게 하고, 개방회로 전압 상태 중에 전원 공급 장치를 안정화시켜준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용접용 고주파 인버터형 전원 공급 장치를 형성하는 출력 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출력 회로는 동작 비용이 저렴하고, 상태의 변화에 빠르게 응답하며, 특히 용접 사이클시 사전 프로그래밍된 복합 동작에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용접용 고주파 인버터형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출력 회로는 종래 변압기 등의 어떤 특성을 개선하여 용접기에 인버터의 출력을 공급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을 이에 한정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고주파 인버터(10)는 삼상(三相) 입력 단자(12)와 삼상 브리지 정류기 및 필터 회로망(14)을 구비하며, 도시된 별도의 2개 조(組)의 출력 단자(16a,16b 및 18a,18b)에 의해 D.C.출력을 발생한다. 물론, 정류기의 출력 단자는 단일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로 구성된다. 2개 조의 출력 단자는 제 1 변압기(A)의 제 1 일차 권선(22)과 제 2 변압기(B)의 제 2 일차 권선(24)에 의해 변압기 수단(20)의 형태로 출력단에 공급되는 전력을 보여주기 위해 표시되어 있다. 이 변압기들은 입력 전류 흐름을 A와 B로 식별되는 반대 방향으로 유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권선은 코어(C1)를 자화하는 데 사용되고, 다른 권선은 코어(C2)를 자화하는 데 사용된다. 특정 고주파 인버터에 있어서, 반대방향의 전류는 출력 변압기의 일차 권선으로 작용하는 단일 권선을 통과한다. 2개의 조의 스위칭 소자(S1,S2 및 S3,S4)는 변압기 수단(20)의 코어(C1)를 자화시킨 다음 코어(C2)를 자화하는 데 이용된다.
스위칭 소자(S1∼S4)는 FET로 도시되어 있다. 소자(S1,S2)가 작동하면, 전류는 제 1 일차 권선(22)를 통해 A방향으로 흐른다. 유사한 방식으로, 스위칭 소자(S3,S4)가 닫히면, 즉 작동하면, 전류는 제 2 이차 권선(24)을 통해 B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코어(C1,C2)는 상기 2개 조의 스위칭의 교호 작동에 의해 교호로 자화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별도의 부분(42,44)으로 분할 도시되어 있는 이차 권선(40)으로 구성된 인버터(10)의 출력단, 즉 이차 권선에 유도 전압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부분들은 동일 방향으로 분극화되므로, 그 부분들은 개별 권선이나 단일 권선의 부분들일 수 있다. 권선(42)은 변압기(A)의 이차 권선이다. 마찬가지로, 권선(44)은 변압기(B)의 이차 권선이다. 권선(40) 중앙부의 탭은 공통 접합부(50)이다. 서로 이격되어 있는 권선 단부(52,54)는 앞에서 빌크조(Bilczo)의 미국 특허 제4,897,522호에 기재된 발명에 포함되는 인버터의 출력단을 구성한다. 정류 다이오드(60,62)는 공통 접합부, 즉 탭(50)과 공통 출력 단자(50) 사이에 D.C.출력을 유도하여 단자(52,54)로부터 전류를 입력 받는다. 탭(50)과 단자(56) 사이의 전류는 용접 스테이션(W)을 통해 흐르는데, 이 용접 스테이션(W)은 전극 소자(70)와 공작물 소자(72)로 구성된다. 접합부, 즉 탭(50)과 단자(56)사이의 전류 펄스는 후술하는 표준 쵸크(80)를 통해 필터링되어 용접 스테이션(W)양단에 인가된다.
2개 조의 스위칭 소자(S1∼S4)의 작동을 동기화하기 위하여, 펄스폭 변조방식으로 제어되고, 20KHz의 주파수로 동작하는 연속 클록(102)이 있는 표준트리거 또는 게이트 회로(100)가 제공된다. 회로(100)는 각각 스위칭 소자(S1∼S4)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조정되는 출력 단자(1∼4)를 비롯한 출력단자, 즉 게이트(1∼6)를 포함한다. 제 1 동작 단계중에, 출력 단자(1,2)의 게이트 신호 또는 트리거 펄스는 스위치(S3,S2)가 일치되도록 작동시켜서 제 1 변압기의 권선(22)을 통해 A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한다. 그 후, 출력 단자(1,2) 상에서 작동하는 게이트 신호는 제거되고, 게이트 신호가 출력 단자(3,4) 상에서 발생된다. 이들 신호 또는 트리거 펄스는 스위치(S3,S4)를 작동시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변압기의 권선(24)을 통해 B방향으로 자화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출력 단자(1,2)의 펄스와 그리고 이어서 출력단자(3,4)의 펄스는 20KHz의 펄스속도로 발생한다. 펄스의 폭을 변화시킴으로써 용접 스테이션의 출력 전류를 제어한다. 정전류 용접 모드에 있어서, 이와 같은 동작은 일반 적으로 션트(shunt, 120)와 같은 검출기에 의해 출력 회로의 전류를 감지함으로써 수행된다. 감지된 전류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라인(122) 상의 전압에 따라 펄스 폭을 변경함으로써 회로(100)를 제어한다. 전류가 감소함에 따라, 라인(122) 상의 전압이 감소되고, FET(S1∼S4)의 트리거 펄스 폭은 표준 펄스폭 변조 개념에 따라 증가한다.
고주파 인버터(10)에는 보조 전류 부스트 이차 권선(200,202)이 포함된다. 이 권선은 이차 권선부(42,44)와 직렬로 접속된다. 실제로는, 각 권선은 최대 출력 전압을 약 110볼트로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권선수를 갖는다. 보조 권선은 각각 전류 제한 인덕터(204,206)를 포함하고 있는 전류 제어 회로와 직렬로 접속된다. 물론, 전류를 제한하기 위해 저항이 사용될 수 있지만, 쵸크(204,206)는 더 적은 열을 발생하므로 저항보다 더 효과적이다. 단방향성 소자(210,212)는 다이오드(60,62)와 협동하여 보조 전류 권선(200,202)의 출력 전류를 정류한다. 단방향성 소자(210,212)는 각각 SCR(S5,S6)로 도시되어 있다.
SCR은 보조 전류 권선(200,202)을 선택적으로 구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보조 이차 권선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권선들의 전류 특성은 표준 특성 곡선에 부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압기 수단(20)은 2개의 개별 변압기(A,B)로 분할된다. 제 1 변압기(A)는 A방향의 전류, 일차 권선(22) 및 이차 권선(44)과 관련된다. 제 2 변압기(B)는 B방향의 전류에 의해 구동되며, 일차 권선(24)과 이차 권선(54)을 포함한다. 상기 2개의 개별 변압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의 이차 권선에서 상호 접속된다. 코어(C1,C2)는 상이한 코어이며, 유도적으로 결합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원래 동일 코어 상에 견고하게 결합된 변압기에서 처럼 포화를 방지한다. 과거에는, A방향의 전류와 B방향의 전류간의 펄스 타이밍이 정확하지 않고 동등하지도 않을 경우, 견고하게 결합된 변압기 구조는 전압-초(volt-second) 에너지가 형성하였을 것이다. 단일 코어가 사용되는 경우에 이 에너지는 A, B방향에 있어서 동등하지 않으므로, 포화가 야기된다. 이는 동일 코어 상에 배치된 일차 권선들은 낮은 임피던스 권선이라는 사실에 기인한다. 따라서, A방향의 전류와 B방향의 전류간의 불균형에 의해 야기되는 작은 D.C. 전압 성분은 일차 권선을 통해 큰 D.C.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이 고전류는 매우 높은 암페터-턴 생성물을 초래하며, 실질적인 변압기내에 D.C. 자속이 도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변압기 코어를 포화시킨 자속은 비효율성을 초래한다. 과거에 시도되었던 전류 모드 제어방법 및 정확한 변압기 작동을 사용하더라도, 변압기 수단(20)의 제 2 출력 회로에서 반대 극성의 전류 펄스를 발생시키는 데 사용되는 코어의 포화와 관련한 곤란성이 경험되었다. 이러한 곤란성은 본 발명에 의해 극복되게 되었다. 따라서, 페라이트 코어 재료의 양호한 이용으로 코어 포화의 적극적인 예방이 달성되게 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코어(C1,C2)와, 전술한 바와 같이 병렬 접속된 인덕터(222)와 저항(224) 및 직렬 접속된 별도의 리셋 권선(232,234)을 갖는 리셋 회로(220)가 사용된다. 이들 별도의 권선은 코어(C1,C2)에 각각 부가되고, 이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덕터(222)와 저항(224)의 병렬 회로를 통해 접속된다. 전류가 방향 A로 표시된 변압기(A)를 통해 흐르는 경우, 전압은 리셋 권선(232)에 유도된다. 이 전압에 의해 인덕터(222)와 저항(224)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리셋 전류는 변압기(B)에 자속을 발생하는 리셋 권선(234)을 통해 흐르는데, 일차 스위치(S3,S4)가 도통(導通)될 때 유도되는 전류와 반대 방향으로 변압기(B) 내의 자속이 일차 권선(24)을 통해 전류(B)를 흐르게 한다. 이 회로(220)의 동작에 의해 코어(C2)의 자속이 리셋된다. 변압기(A) 또는 변압기(B)의 어느 하나의 코어가 포화되는 경우 또는 다른 동작 조건이 리셋 회로(220)의 전압으로 하여금 반대되는(대향하는) 리셋 권선(232,234) 중의 한쪽 권선의 유도 전압과 달라지게 하는 기타 특정의 경우, 인덕터(222)와 저항(224)은 전류를 제한한다. 실제로 12볼트의 리셋 권선이 이용되는 회로(220)의 인덕터(222)는 약 0.030mH이고 저항(224)은 2Ω이다. 이 리셋 회로(220)는 포화를 적극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변압기 비용을 낮추고 권선의 복잡성을 감소시키는 데 있어서 페라이트 이용을 용이하게 한다. 리셋 회로(220)는 코어(C1,C2) 중 하나의 코어가 이 코어의 일차 권선으로부터 전류를 받고 있을 때 다른 하나의 코어를 리셋시킨다. 2단 인버터의 출력 권선의 수정· 변경은 실용상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입증 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권선(200,202)을 포함하는 부스트 회로의 통합된 출력 단자에는 공통접합부(252)와 용접 스테이션(W) 사이에 큰 인덕터(250)가 제공된다. 쵸크 또는 인덕터(250)는 15mH정도의 인덕턴스가 비교적 큰 철심 쵸크이다. 이 큰 인덕턴스에 의해 용접 작업의 배경 전류가 유연하게 조정된다. 따라서, 전원 공급 장치 또는 인버터(10)는 공작물(72)로 흐르는 용접 전류의 고속 변조를 가능하게 하는 한편, 부스트 권선(200,202)으로부터의 에너지에 의해 발생되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최소 배경 전류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권선들은 큰 인덕터(250)에 저장되는 에너지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현저한 장점인 고속 운전을 위한 주용접 회로의 인덕턴스는 극히 작다. 주용접 회로의 인덕턴스가 낮으면, 용접 회로가 저전류 또는 저전압에서 비연속적 도통 상태로 변동되는 경향이 증가하는 결점이 있다. 용접 스테이션을 통과하는 전류의 신속한 응답 및 필수적인 순간 이동이라는 잇점을 얻으려면, 일차 전원 공급 장치 다이오드(60,62)를 통해 공급되는 바와 같이 변압기 수단(20)의 제 2 부분에는 낮은 인덕턴스가 요구된다. 인덕터(250)는 주로 약 25암페어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35암페어의 최소 배경 전류를 유지한다. 용접 작업에 있어서 비연속적인 도통에 따른 문제점은 펄스 아크 또는 단락 회로 용접 공정의 배경 시간 동안에서와 같이 조정 중인 아크 플라즈마가 저전류 상태일 때 특히 지배적이다. 인덕터(250)의 유도성 리액턴스가 크면, 전류는 주용접 회로가 용접 작업에 대해 전류를 도통시키지 않을 경우에도 유지되게 된다. 리액터(80,250)는 실제로 인덕터(250)를 포함한 회로로부터의 배경전류가 25볼트 고정 부하에서 약 35암페어를 유지하는 크기이다. 부하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배경 전류를 감소한다. 마찬가지로, 부하 전압이 감소함에 따라 배경전류는 증가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일차 스위치(S1,S4)를 변조하게 되면, 전류 레벨이 제어된다. 그러나, 다이오드(60,62)의 주용접 회로의 전류와 인덕터 또는 쵸크(250)를 통과하는 배경 전류간의 전류 분할은, 관련되는 리액터 임피던스 값의 선택을 제외하고는 부하 전압에 좌우되며, 제어 불능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방향성 소자(210,212)가 바람직하지만, 이 소자들은 요구에 따라 배경 전류를 비연속화하기 위하여 부스트 권선(200,202)에 의해 제공되는 전류의 제어된 비활성화를 가능하게 하는 SCR로 존재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터(10)의 출력 회로는 용접 스테이션(W)의 전극 소자(70)와 공작물 소자(72)간의 아크를 기동하기 위한 목적의 고주파수 및 고 전압 발생기(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발생기(300)의 출력 단자는 인버터(10)의 출력 쵸크인 이차 권선(80)에 고주파수 펄스로 전류 흐름을 발생시키는 일차 권선(304)을 갖는 변압기(302)를 포함한다. 따라서, 변압기(302)는 인버터에 비교적 작은 출력 인덕턴스를 생성할 뿐 만 아니라 출력 회로에 고 주파수 및 고 전압 기동 펄스를 유도하는 이중의 역할을 한다. 고전류에서, 이차 권선(80)은 출력 회로에 약 15μH의 인덕턴스를 유도한다. 출력 용접 전류를 안정화하기 위하여 적어도 소량의 인덕턴스가 요구된다. 어떤 종류의 전류도 흐르지 않는 경우에, 발생기(300) 및 변압기(302)에 의해 고전압 및 고주파수 펄스가 용접 회로에 유도될 수 있다. 이 고 전압 및 고 주파수 펄스는 TIG 용접 펄스처럼 스파크갭 방전에 의해 생성되어 용접 작업을 기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브랜치(330)내의 커패시터(332) 및 다이오드(334)는 바이패스 경로의 고전압 및 고주파 기동 펄스동안 유도되는 전류를 도통하여 인버터 회로가 기동 펄스에 의해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한다. 기동시에, 감지된 양 전류는 권선(80)의 도트로부터 아크를 통하고 커패시터(332)와 다이오드(334)를 통하여 다시 권선(80)으로 흐르게 된다. 또한, 소정 전류는 브랜치(340)의 저항(342,344)을 통해 흐른다. 일반적으로, 이 기동 전류가 다이오드(360)을 통해 흐를 수 있지만, 다이오드가 큰 전력의 다이오드이고 고 주파수 및 고 전압 기동 펄스에 의해 손상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는 않다. 다이오드(360)와 권선(80)사이에 인덕터(370)가 구비되어 출력 전력 다이오드로부터 고주파수 및 고 전압 전류 펄스가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도 있다. 실제로, 인덕터(370)는 매우 작으며, 다이오드(60)로부터 권선 즉 쵸크(80)로 연장되는 도선 주변에 배치되는 작은 페라이트 링으로 구성된다.
기동 펄스를 생성하는 동안 순환 전류는 커패시터(332)와 다이오드(334)를 구비하는 제 1 브랜치(330)와, 저항(342,344)을 구비하는 제 2 브랜치(340)를 포함하는 평행 제어 회로(320)에 흐른다. 라인(346)은 두 평행 브랜치를 그 중간 단에서 접속하여 저항(342)을 통해 커패시터(332)를 충전시키고 저항(344)을 통해 이 커패시터를 방전시킨다. 라인(350)에 의해 쵸크(120)의 반대쪽에는 저항이 접속된다. 쵸크(120)를 통한 흐름을 방지하기 위하여, 라인(350)은 션트를 바이패스한다. 커패시터(332)는 션트의 출력측에 접속된다. 용접기의 출력부의 낮은 부하상태에서, 저항(342)은 전체 용접 전류의 대부분인 전류를 도통할 수 있다.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저항(342)을 통한 전류는 션트(120)를 통하여 흐르지 않는다. 용접 작업에 있어서 커패시터(332)를 통해 출력 케이블에 흐르는 기동 펄스전류와 잡음 전류를 측정하는 것이 요구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커패시터(332)는 션트(120)의 반대쪽에 접속된다. 인버터부가 연결됨에 따라 커패시터(332)에 의해 도통되는 전류가 존재한다. 이 전류는 측정 회로에 제공되고, 인버터 동작과 동기화되며, 션트 신호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D.C. 전류 응답 집적 회로에 의해 구별될 수 있는 A.C. 신호이다. 결과적으로, 커패시터(332)를 통한 소량의 전류라도 션트(120)를 통하여 귀환시에 제거된다.
커패시터(332)와 다이오드(334)에 접속된 저항(342,344)은 고전압 및 저전류 부하 조건에서 인버터를 안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저항(342,344)의 직렬 접속에 의해 인버터(10)의 최소 부하로 될 최대 저항이 제공된다. 따라서, 브랜치(340)는 인버터의 제어 루프를 안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저항(342,344)은 약 45Ω의 저항값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전원 공급 장치(10)의 동작 범위가 0.1mΩ 내지 45Ω으로 감소한다. 이는 저항에의해 최소 부하가 없는 범위보다 실질적으로 작다. 또한, 커패시터(332)는 저항(342,344)의 접속부 및 변압기(302)의 입력부에 존재하는 평균 전압에 의해 정해지는 전압으로 충전된다. 인덕터(250)는 비교적 큰 값을 가지므로, 커패시터(332)는 부스트 전압의 평균치로 충전된다. 그러나, 커패시터(332)는 주용접 정류기(60,62)의 출력에 기초한 피크 전압으로 신속히 충전된다. 주용접 회로에서 유도되는 커패시터(332)의 충전 전류를 제한하기 위하여 저항(342)이 구비된다. 아크가 발생하면 커패시터(332)는 다이오드(334)와 저항(344)을 통해 방전될 수 있다. 방전 전류는 쵸크(80)의 인덕턴스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다이오드(334)는 고주파수 기동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구비되지만, 커패시터(332)의 방전 전류를 조절하도록 정격화되어야 한다.
부가 기능으로써, 커패시터(332)와 저항(342)은 필터를 형성하여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 동안에 전압 파형으로부터의 고주파수 기생 조파를 제거한다. 용접 케이블이 고유도성이므로, 권선(80)은 인덕터임, 주변압기(A,B)와 쵸크(80)의 입력단 사이의 주케이블에 기생 인덕턴스가 존재한다. 따라서, 전류가 신속히 충전되는 조건에서 인덕터의 전압 분배에 기인하여 용접 회로에 유도되는 실질적인 전압순환이 존재할 수 있다. 저항(342)과 커패시터(332)는 필터를 형성하여 전압을 완화하고 과잉 역 전압으로부터 다이오드(60,62,334)를 보호한다. 추가적으로, 제어 회로에 유도되는 잡음의 양은 이 필터링 개념에 의해 감소된다.
인버터 상의 FET 스위치가 비도통 상태에 있는 경우에 전류를 프리휠링 하기 위하여 다이오드(360,362)가 이용된다. 여기서, 두 출력 다이오드(60,62)는 역방향 바이어스된다. 다이오드(360)는 주용접 전류를 프리휠링하고 다이오드(362)는 인덕터, 즉 쵸크(250)를 통하여 배경 전류를 프리휠링한다. 다이오드(360,362)가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변압기가 리셋 회로(220)를 통해 느슨하게 결합되더라도, 출력 전류는 변압기 코어를 통해 프리휠링될 수 있고, 변압기의 역방향 전압에 의해 변압기 코어는 리셋될 것이다. 프리휠링 에너지는 도시되지 않은 클램프 다이오드를 통해 일차 필터 커패시터에 인가된다. 변압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일한 경우는 변압기 코어가 일차 전류에 의해 자화된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실제로 포화되는 때이다. 이는 큰 문제점이 아니며, 이 문제점은 큰 변압기 재료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프리휠링 다이오드는 전원 공급 장치의 전력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비된다. 에너지 손실은 전류가 변압기에 의해 역프리휠링되어 클램프 부재를 통해 전원 공급 장치의 일차쪽에 다시 인가되는 경우보다 전류가 다이오드를 통해 프리휠링되는 경우에 감소된다. 실제로, 다이오드(360)는 채용되며, 다이오드(362)는 채용되지 않는다. 더 높은 레벨의 배경전류에서, 다이오드(36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에 포함될 것이다. 다이오드(360,362)가 상기 회로에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전류는 변압기를 통해 역 프리휠링되고 출력 전류는 매우 빠르게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초고속 동작에 있어서 프리휠링 다이오드가 채용되지 않는다.

Claims (28)

  1. 전극 소자(70)와 공작물(72)을 포함하고 있는 용접 스테이션에 쵸크(80)를 통하여 용접 전류를 공급하며, 제 1 이차 권선(42)에서 제 1 전류 펄스를 발생시키고 제 2 이차 권선(44)에서 제 2 전류 펄스를 발생시키는 변압기 수단(A,B)과, 상기 쵸크(80)를 통하여 상기 소자를 경유하여 상기 전류 펄스를 통과시키기 위해 상기 이차 권선을 접속하는 수단(60,62)을 포함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수단은 상기 제 1 전류 펄스의 발생시 제 1자속 방향으로 자화되는 제 1 코어(C1)와 이 제 1코어(C1)상에 상기 제 1 이차 권선(42)을 수용하는 수단을 갖는 제 1 변압기(A)와, 상기 제 2 전류 펄스의 발생시 제 2 자속 방향으로 자화되는 제 2 코어(C2)와 이 제 2 코어(C2) 상에서 상기 제 2 이차 권선(44)을 수용하는 수단을 갖는 제 2 변압기(B)와, 상기 제 1 코어(C1)가 상기 제 1 자속 방향으로 자화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자속 방향과 반대의 자속 방향으로 상기 제 2 코어(C2)를 자화하는 코어 리셋 수단(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리셋 수단(220)은 상기 제 2 코어(C2)가 상기 제 2 자속 방향으로 자화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자속 방향과 반대의 자속 방향으로 상기 제 1코어(C1)를 자화하는 수단(222,224,232)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리셋 수단(220)은 상기 제 1 코어(C1)상의 제 1 리셋 권선(232)과, 상기 제 2 코어(C2) 상에서 상기 제 1 리셋 권선(232)과 직렬 연결된 제 2 리셋 권선(234)을 구비하는 리셋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 회로(220)은 상기 리셋 권선을 통해 전류를 제한하는 수단(222,2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리셋 수단(220)은 상기 제 1코어(C1) 상의 제 1리셋 권선(232)과, 상기 제 2 코어(C2) 상에서 상기 제 1 리셋 권선(232)과 직렬 연결된 제 2 리셋(234)을 구비하는 리셋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 회로(220)는 상기 리셋 권선을 통해 전류를 제한하는 수단(222,2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이차 권선(42)과 직렬 접속된 제 1 보조 전류 부스트 권선(200)과, 이 제 1 보조 전류 부스트 권선(200)을 상기 용접 스테이션 소자(70,72) 중 하나와 접속하며 상기 제 1 전류 펄스와 동일 방향의 극성을 갖는 단방향성 소자(210)와 이 단방향성 소자(210)와 직렬 연결된 전류 제한 소자(204)를 구비하는 제 1 전류 제어 회로 수단(204,2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한 소자(204)는 인덕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 전류 부스트 권선(200)의 상기 제 1 전류 제어 회로 수단(204,210)과 직렬 연결된 배경 인덕터(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차 권선(44)과 직렬 접속된 제 2 보조 전류 부스트 권선(202)과, 상기 제 1 전류 제어 회로(204,210)와 상기 배경 인덕터(250) 사이의 위치(252)에서 상기 용접 스테이션 소자 중 하나에 상기 제 2 보조 전류 부스트 권선(202)을 접속하는 제 2 전류 제어 회로 수단(206,2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이차 권선(42)과 직렬 접속된 제 1 보조 전류 부스트 권선(200)과, 상기 제 1 보조 전류 부스트 권선(200)을 상기 용접 스테이션 소자(70,72)중 하나에 접속하며, 상기 제 1 전류 펄스와 동일 방향의 극성을 갖는 단방향성 소자(210)와 이 단방향성 소자(210)와 직렬 연결된 전류 제한 소자(204)를 구비하는 제 1 전류 제어 회로 수단(204,2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 전류 부스트 권선(200)의 상기 제 1 전류 제어 회로(204,210)와 직렬 연결된 배경 인덕터(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차 권선(44)과 직렬 접속된 제 2 보조 전류 부스트 권선(202)과, 상기 제 1 전류 제어 회로 수단(204,210)과 상기 배경 인덕터(250) 사이의 위치(252)에서 상기 용접 스테이션 소자(70,72)중 하나와 상기 제 2 보조 전류 부스트 권선(202)을 접속하는 제 2 전류 제어 회로 수단(206,2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이차 권선(44)과 직렬 접속된 제 2 보조 전류 부스트 권선(202)과, 이 제 2 보조 전류 부스트 권선(202)을 상기 용접 스테이션 소자(70,72)중 하나에 접속하며, 상기 제 1 전류 제어 회로(204,210)의 상기 단방향성 소자(210)와 동일방향의 극성을 갖는 단방향성 소자(212)와 직렬 연결된 전류 제한 소자(206)를 구비하는 제 2 전류 제어 회로 수단(206,2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조 전류 부스트 권선(202)의 상기 제 2 전류 제어 회로(206,212)와 직렬 연결된 배경 인덕터(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어(C1) 상의 제 1 보조 권선(200)과, 상기 제 2 코어(C2) 상의 제 2 보조 권선(202)과, 상기 보조 권선들을 공통 접합부(252)에 접속하는 수단과,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동작시 소정의 방향으로 상기 용접 스테이션 소자들간(70,72)의 최소 용접 전류의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용접 스테이션(70,72)소자 중 하나와 상기 공통 접합부(252) 사이에 접속된 에너지 저장수단(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수단(250)은 인덕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250)는 적어도 약 25암페어의 용접 전류를 유지하는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
  19. 전극 소자(70)와 공작물(72)을 포함하고 있는 용접 스테이션에 쵸크(80)를 통하여 용접 전류를 공급하며, 제 1 코어(C1)상에 있는 제 1 이차 권선(42)에서 제 1 전류 펄스를 발생시키고 제 2 코어(C2)상에 있는 제 2 이차 권선(44)에서 제 2 전류 펄스를 발생시키는 변압기 수단(A,B)과, 상기 쵸크(80)를 통하여 상기 소자들을 경유하여 상기 전류 펄스를 통과시키기 위해 상기 이차 권선들을 접속하는 수단(60,62)을 포함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어(C1) 상의 제 1 보조 권선(200)과, 상기 제 2 코어(C2) 상의 제 2 보조 권선(202)과, 상기 보조 권선(200,202)들을 공통 접합부(252)에 접속하는 수단(210,204,212,206)과,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시 소정의 방향으로 상기 용접 스테이션 소자(70,72)들간의 최소 용접 전류의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용접 스테이션 소자(70,72)중 하나와 상기 공통 접합부(252) 사이에 접속된 에너지 저장수단(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수단(250)은 인덕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250)는 적어도 약 25암페어의 용접 전류를 유지하는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
  22. 전극 소자(70)와 공작물(72)을 포함하고 있는 용접 스테이션에 쵸크(80)를 통하여 용접 전류를 공급하며, 제 1 코어(C1)상에 있는 제 1 이차 권선(42)에서 제 1 전류 펄스를 발생시키고 제 2 이차 권선(44)에 제 2 전류 펄스를 발생시키는 변압기 수단(A,B)과 상기 쵸크(80)를 통하여 상기 소자들을 경유하여 상기 전류 펄스를 통과시키기 위해 상기 이차 권선들을 접속하는 수단(60,62)을 포함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어(C1,C2)중 하나의 보조 권선(200,202)과, 상기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시 소정의 방향으로 상기 용접 스테이션 소자(70,72)들 사이에 최소 용접 전류의 흐름을 유지하도록 상기 용접 스테이션 소자(70,72)들 중 하나와 상기 보조 권선(200,202) 사이에 접속된 에너지 저장 수단(250)에 상기 보조 권선(200,202)을 접속하는 수단(210,204,212,20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수단(250)은 인덕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250)는 적어도 약 25암페어의 용접 전류를 유지하는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
  25. 전극 소자(70)와 공작물(72)을 포함하고 있는 용접 스테이션에 쵸크(80)를 통하여 용접 전류를 공급하며, 제 1 이차 권선(42)에 제 1 전류 펄스를 발생시키고 제 2 이차 권선(44)에 제 2 전류 펄스를 발생시키는 변압기 수단(A,B)고, 상기 쵸크(80)를 통하여 상기 소자들을 경유하여 상기 전류 펄스를 통과시키기 위해 상기 이차 권선들을 접속하는 수단(60,62)을 포함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고주파 기동 변압기(302)의 이차 권선인 상기 쵸크(80)와, 상기 용접 스테이션 소자(70,72)와 직렬 연결된 커패시터(332)를 구비한 단방향성 회로(330)와, 상기 기동 변압기(302)의 동작시 상기 단방향성 회로(330)의 전류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차 권선(42,44)들과 상기 단방향성 회로(330) 사이에 접속된 전류 제한 인덕터 수단(3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성 회로(330)는 상기 용접 스테이션 소자(70,72)와 동일 방향으로 극성을 갖는 다이오드(334)와 직렬 연결된 커패시터(3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성 회로(330)와 병렬 연결된 저항성 회로(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스테이션 소자(70,72)들 양단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수단(120)과, 상기 전류 감지 수단(120)과 상기 용접 스테이션 사이에 상기 단방향성 회로(330)를 배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
KR1019940000068A 1993-01-04 1994-01-04 용접용 인버터 전원 공급 장치 KR01349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000,132 US5349157A (en) 1993-01-04 1993-01-04 Inverter power supply for welding
US08/000,132 1993-0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187A KR940019187A (ko) 1994-08-19
KR0134946B1 true KR0134946B1 (ko) 1998-04-23

Family

ID=21690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0068A KR0134946B1 (ko) 1993-01-04 1994-01-04 용접용 인버터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349157A (ko)
EP (1) EP0605879A1 (ko)
JP (1) JP2597951B2 (ko)
KR (1) KR0134946B1 (ko)
AU (1) AU655130B2 (ko)
CA (1) CA2110832C (ko)
NO (1) NO934636D0 (ko)
TW (1) TW24930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043B1 (ko) 2019-03-28 2019-09-30 강현주 의료용 케이블 자동 제조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8462A (en) * 1995-08-02 1998-05-05 Miyachi Technos Corpor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inverter resistance welding
BR9612782A (pt) * 1995-08-11 2000-04-18 Lincoln Electric Co Método de soldar tubo
US5981906A (en) * 1995-08-11 1999-11-09 Lincoln Global, Inc. Method of welding the ends of pipe together using dual welding wires
US5753888A (en) * 1995-12-29 1998-05-19 Esab Group, Inc. Stabilization and firing circuit for a power source of a cutting or welding system and method of stabilizing and firing same
CN1104989C (zh) * 1996-10-10 2003-04-09 林肯电气公司 焊接管子的方法
JP3300240B2 (ja) * 1996-12-18 2002-07-08 株式会社三社電機製作所 直流アークスタート回路
US5903448A (en) * 1997-08-20 1999-05-11 Lucent Technologies Inc. Four quadrant flyback converter, method of operation thereof and power plant employing the same
US6087626A (en) 1998-02-17 2000-07-11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elding
ITPD980086A1 (it) * 1998-04-10 1999-10-10 Selco Srl Generatore per saldatrici ad arco in topologia forward con clamp atti vo
US6002104A (en) * 1998-04-17 1999-12-14 Lincoln Global, Inc. Electric arc welder and controller therefor
FI110898B (fi) * 1998-10-26 2003-04-15 Abb Industry Oy Vaihtosuuntaaja
US6207929B1 (en) 1999-06-21 2001-03-27 Lincoln Global, Inc. Tandem electrode welder and method of welding with two electrodes
US6111216A (en) * 1999-01-19 2000-08-29 Lincoln Global, Inc. High current welding power supply
US6291798B1 (en) 1999-09-27 2001-09-18 Lincoln Global, Inc. Electric ARC welder with a plurality of power supplies
US6268587B1 (en) * 2000-02-22 2001-07-31 Lincoln Global, Inc. Current feedback device for electric arc welder
US6370047B2 (en) * 2000-03-10 2002-04-09 Power-One, Inc. Dual input range power supply using two series or parallel connected converter sections with automatic power balancing
US6794976B2 (en) * 2002-12-24 2004-09-21 Illinois Tool Works Inc. HF transformer assembly having a higher leakage inductance boost winding
US20070267393A1 (en) * 2003-07-11 2007-11-22 Lincoln Global, Inc. Power source for high current welding
US6998573B2 (en) * 2003-07-11 2006-02-14 Lincoln Global, Inc. Transformer module for a welder
US7573000B2 (en) * 2003-07-11 2009-08-11 Lincoln Global, Inc. Power source for plasma device
US6995337B2 (en) * 2003-07-11 2006-02-07 Lincoln Global, Inc. Power source with saturable reactor
US7274000B2 (en) * 2003-07-11 2007-09-25 Lincoln Global, Inc. Power source for high current welding
DE102004033994B4 (de) * 2003-07-16 2017-07-27 Denso Corporation Gleichstrom-Gleichstrom-Wandler
US9956639B2 (en) 2005-02-07 2018-05-01 Lincoln Global, Inc Modular power source for electric ARC welding and output chopper
US8785816B2 (en) 2004-07-13 2014-07-22 Lincoln Global, Inc. Three stage power source for electric arc welding
US8581147B2 (en) 2005-03-24 2013-11-12 Lincoln Global, Inc. Three stage power source for electric ARC welding
US8269141B2 (en) 2004-07-13 2012-09-18 Lincoln Global, Inc. Power source for electric arc welding
US9855620B2 (en) 2005-02-07 2018-01-02 Lincoln Global, Inc. Welding system and method of welding
US9647555B2 (en) 2005-04-08 2017-05-09 Lincoln Global, Inc. Chopper output stage for arc welder power source
US8525077B2 (en) * 2006-05-09 2013-09-03 Lincoln Global, Inc. Touch screen waveform design apparatus for welders
US8242410B2 (en) 2006-07-14 2012-08-14 Lincoln Global, Inc. Welding methods and systems
US20080011727A1 (en) * 2006-07-14 2008-01-17 Lincoln Global, Inc. Dual fillet welding methods and systems
US9095929B2 (en) 2006-07-14 2015-08-04 Lincoln Global, Inc. Dual fillet welding methods and systems
US10010961B2 (en) * 2006-07-17 2018-07-03 Lincoln Global, Inc. Multiple arc welding system controls and methods
US8963045B2 (en) * 2006-09-19 2015-02-24 Lincoln Global, Inc. Non-linear adaptiv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welding
US8946596B2 (en) 2006-10-05 2015-02-03 Lincoln Global, Inc. Multiple welding using a single power source
KR100688608B1 (ko) * 2006-10-24 2007-03-02 주식회사 포스콤 고전압 트랜스
JP2010124638A (ja) * 2008-11-21 2010-06-03 Sanken Electric Co Ltd 電源装置
AT512064B1 (de) * 2011-10-31 2015-11-15 Fronius Int Gmbh Hochstromtransformator, transformatorelement, kontaktplatte und sekundärwickl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hochstromtransformators
US9393636B2 (en) * 2012-11-13 2016-07-19 Lincoln Global, Inc.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tate the starting and stopping of arc welding processes
DE102015226430A1 (de) * 2015-12-22 2017-06-22 Siemens Aktiengesellschaft Getaktete Stromversorgung mit Kleinspannungsausgang
US11033977B2 (en) * 2017-04-21 2021-06-15 Illinois Tool Works Inc. Welding type power supply with output rectifier and phase shift double forward converter
US11673201B2 (en) * 2019-08-08 2023-06-13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elding type power using double forward convert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7973A (en) * 1955-03-16 1957-01-15 Air Redu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 arc welding
US3231751A (en) * 1961-02-27 1966-01-25 Gulton Ind Inc Booster regulator
US3356928A (en) * 1965-02-15 1967-12-05 Int Rectifier Corp Regulated rectifier for welding power supplies
JPS57109571A (en) * 1980-12-27 1982-07-08 Sansha Electric Mfg Co Ltd Dc welding device
US4459459A (en) * 1981-04-01 1984-07-10 Airco, Inc. Power supply for electric arc welding
US4503316A (en) * 1981-08-13 1985-03-05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DC Welding power supply system
ATA386782A (de) * 1982-10-21 1984-05-15 Fronius Schweissmasch Geregeltes schaltnetzgeraet zum gleich- und/oder wechselstromlichtbogenschweissen
US4481565A (en) * 1982-07-08 1984-11-06 Rca Corporation Core reset for single-ended dc-to-dc converter
JPS59206161A (ja) * 1983-05-06 1984-11-21 Shinko Electric Co Ltd ア−ク溶接電源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S60106362A (ja) * 1983-11-15 1985-06-11 Yokogawa Hokushin Electric Corp Dc/dcコンバ−タ
JPS62163568A (ja) * 1986-01-14 1987-07-20 Kikusui Denshi Kogyo Kk フォワード型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US4897522A (en) * 1989-02-06 1990-01-30 The Lincoln Electric Company Output control circuit for inverter
US4897773A (en) * 1989-05-03 1990-01-30 The Lincoln Electric Company Inverter output circuit
DE4006201C1 (ko) * 1990-02-28 1991-05-02 Rehm Schweisstechnik Gmbh & Co., 7321 Wangen, De
JP2607997B2 (ja) * 1991-10-18 1997-05-07 株式会社三社電機製作所 アーク溶接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043B1 (ko) 2019-03-28 2019-09-30 강현주 의료용 케이블 자동 제조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34636L (ko) 1994-07-05
JP2597951B2 (ja) 1997-04-09
AU655130B2 (en) 1994-12-01
CA2110832A1 (en) 1994-07-05
JPH06234072A (ja) 1994-08-23
US5349157A (en) 1994-09-20
AU5230993A (en) 1994-07-14
EP0605879A1 (en) 1994-07-13
CA2110832C (en) 1997-11-18
TW249307B (ko) 1995-06-11
NO934636D0 (no) 1993-12-15
KR940019187A (ko) 199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4946B1 (ko) 용접용 인버터 전원 공급 장치
JP2602778B2 (ja) 高周波電源
US4897522A (en) Output control circuit for inverter
US4876433A (en) Inverter controlled-type power source for arc welding
CA1169930A (en) Switch mode converters
US5923152A (en)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with soft switched boost converter
CA1208305A (en) Welding apparatus
JPH0586147B2 (ko)
KR920010494B1 (ko) 전기아크용접에 사용되는 인버터 전원
US4737974A (en) Inverter type switching power supply with transformer and short circuit arrangement therefor
US3925715A (en) Regulated DC to DC converter
JPH10146068A (ja) 直流アークスタート補助回路
US6504738B2 (en) Freewheeling current conduction in welding power supply
US4538219A (en) Multiwinding inductor and associated apparatus
JP2522242B2 (ja) 交直両用ア−ク溶接電源
JPH0756125Y2 (ja) アーク溶接用電源装置
RU1826334C (ru) Выпрямитель для дуговой сварки
KR930001225B1 (ko) 교류아아크용접기용 전원장치
RU3408U1 (ru) Источник питания для сварки
JPS6076278A (ja) ア−ク溶接機
RU209521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одуговой сварки
SU346773A1 (ru) Тиристорны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с широтно- импульсной модуляцией
SU171024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электродуговой сварки
JPH0731155A (ja) インバータ装置
JPS58204766A (ja) 固定周波数リセツト制御方式dc−dcコンバ−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