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531B1 - 승용차량의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승용차량의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531B1
KR0134531B1 KR1019950018959A KR19950018959A KR0134531B1 KR 0134531 B1 KR0134531 B1 KR 0134531B1 KR 1019950018959 A KR1019950018959 A KR 1019950018959A KR 19950018959 A KR19950018959 A KR 19950018959A KR 0134531 B1 KR0134531 B1 KR 0134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pare tire
tire
fixing device
vertical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8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130A (ko
Inventor
이승환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18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531B1/ko
Publication of KR970001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5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6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 B62D43/1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and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02Handling devices, mainly for heavy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승용차량의 스페어 타이어를 별도의 공구없이도 신속하게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페어 타이어 수납부의 바닥면에 힌지결합되어 스페어 타이어의 하중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변위를 발생하는 레버와, 상기한 수납부의 측면에 복수개의 연결레버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하단부가 상기한 레버의 외측단과 연결되어 레버의 상하 변위를 수평변위로 바꾸어 줌으로서 타이어 측면을 가압하는 수직링크와, 상기한 스페어 타이어 하중에 따른 레버의 회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레버를 회동시켜 타이어 가압상태를 해지하기 위하여 상기한 레버와 당김줄을 통하여 연결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승용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승용차량의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부분 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에 의해 타이어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평면도.
제4도는 종래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수납부6 : 가압수단
8 : 변위발생부10 : 마찰부
14 : 레버16 : 롤러
18 : 수직링크20 : 연결링크
22 : 슬롯24 : 패드
26 : 손잡이
본 발명은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신속히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중 타이어가 펑크나는 경우 교환할 수 있는 스페어 타이어를 장착할 수 있는 수단을 강구하고 있다.
이러한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또 각 자동차 메이커에 따라 구조가 다르다.
그런데 이들 고정장치의 구조는 다를지라도 공통적으로 볼트와 너트의 나사결합에 의한 고정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승용차량의 경우 이러한 스페어 타이어는 트렁크 저면에 마련되는 공간에 위치되어 볼트와 너트로 고정된다.
제4도는 종래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로서, 트렁크 바닥면(100)보다 낮게 형성되는 수납부(102)에 앵커 볼트나 너트가 용접등으로 고정된 고정수단(104)이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는 고정수단(104)의 너트나 볼트를 풀고 조이는데 스패너와 같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스페어 타이어(T)를 고정하는 너트나 볼트가 트렁크의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존재하게 되므로 작업자는 허리를 굽혀 이들 볼트나 너트를 풀거나 조여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속한 교체작업이 가능하며 교체작업이 용이한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스페어 타이어 수납부 바닥면에 힌지결합되어 스페어 타이어의 하중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변위를 발생하는 레버와, 상기한 수납부의 측면에 복수개의 연결레버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하단부가 상기한 레버의 외측단과 연결되어 레버의 상하 변위를 수평변위로 바꾸어 줌으로서 타이어 측면을 가압하는 마찰부를 포함하는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스페어 타이어 하중에 따른 레버의 회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레버를 회동시켜 타이어 가압상태를 해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한 레버와 당김줄을 통하여 외측으로 연결되는 손잡이를 제공한다.
상기한 레버와 수직링크의 연결은 수직링크 하단부에 슬롯을 제공하고, 이 슬롯에 레버 선단의 롤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하여 상하변위에 의해 수평변위가 동시에 발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한 수직링크에는 타이어와 접촉하여 슬립이 발생하지 않도록 패드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측단면도로서, 트렁크의 바닥면(2)보다 낮게 형성된 수납부(4)에는 스페어 타이어(T)를 측방에서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6)이 제공된다.
이 가압수단(6)은 수납부(4)의 저면에 마련되는 변위발생부(8)와, 이 변위발생부(8)의 회동운동으로 스페어 타이어(T) 측면과 밀착하는 마찰부(10)를 보유한다.
상기한 변위발생부(8)는 수납부(4)의 바닥면에 마련되는 돌출물(12)와, 이 돌출물(12)에 힌지결합되는 레버(14)와, 이 레버(14)의 선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16)를 갖는다.
상기한 레버(14)는 힌지점을 중심으로 도면에서 보아 좌측은 스페어 타이어(T)가 수납부(4)에 위치하기 시작할 때 하중을 받아 수납부(4)로 내려가고, 도면에서 보아 힌지점 우측은 좌측부분과 반대로 상승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한 상기한 레버(14)는 타이어가 수납부(4)에 완전히 안치되기 전에 그 하중이 레버(14)의 좌측부분으로 전달되어 이 레버를 회동시켜 우측부분을 도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회동하는 레버의 우측부분에 설치된 롤러(16)는 마찰부(10)의 수직링크(18)와 연결되어 이 수직링크(18)를 상방향으로 밀어 올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수직링크(18)는 수납부(4)의 측면에 힌지결합되고 수직링크(18)의 상승에 따라 이 수직링크(18)를 타이어 축으로 이동되게 해주는 연결 링크(20)들과 힌지결합되므로서 실질적으로는 수납부의 측면에 매달려 있는 상태로 된다.
상기한 수직링크(18)는 레버(14)와 연결되기 위한 슬롯(22)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 슬롯(22)에 상기한 롤러(16)가 슬라이딩 가능한 수평부와 이 수평부에서 슬라이딩 한 후 롤러가 위치할 수 있는 록킹부를 갖는다.
상기한 슬롯(22)은 제2도의 확대부분을 통하여 이해될 수 있듯이 슬롯이 우측부분이 수평부에 해당하고, 좌측부분에 록킹부에 해당한다.
상기한 수직링크(18)에는 타이어와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에 패드(24)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패드(24)는 타이어와 접촉하여 논슬립 작용을 하는 재질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6은 수직링크(18)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레버(14)를 당기기 위한 손잡이로서 당김줄에 의해 레버와 연결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는, 수납부(4)에 스페어 타이어(T)를 안치시키게 되면 레버(14)의 좌측부분에 타이어의 하중이 전달되면서 이 레버(14)의 우측을 도면에서 보아 반기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스페어 타이어(T)가 완전히 수납부(4)에 안치될때까지 계속되는데, 이때 상기한 레버(14)의 우측부분에 설치된 롤러(16)가 원주방향으로 회동하지만 실질적으로 상하방향의 변위를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변위는 롤러(16)가 끼워진 수직링크(18)로 전달되면서 이 수직링크(18)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스페어 타이어(T)의 하중이 레버(14)로 전달되기 시작하면서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롤러(16)는 수직링크(18)에 형성된 슬롯(22)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면서 상방향으로 조금씩 이동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슬롯(22)을 보유하는 수직링크(18)는 롤러(16)의 수직방향 변위량 보다 더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수직링크(18)는 연결 링크들(20)에 의해 수납부(4)의 측면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좌우측으로 유동되지 않고 상향 이동과 함께 타이어축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수납부(4)에 안치되는 스페어 타이어(T)의 측면으로 수직링크(18)가 이동하게 되는데, 타이어가 완전히 안치되기 바로 직전에 수직링크(18)에 패드(24)가 타이어 측면과 접촉된다.
이와 같이 접촉되는 상태에서 스페어 타이어가 완전히 안치되면 수직링크(18)의 이동이 조금 더 진행되므로, 타이어와 접촉하는 패드(24)는 탄성적으로 약간 압축되면서 스페어 타이어의 측면을 강하게 누르게 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스페어 타이어는 수납부내에 완전히 고정되는데,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수단(6)이 수납부(4)의 일측에 위치하고 타이어는 수납부의 측면과 접촉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는 타이어를 수납부에 안치시키는 것만으로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된 스페어 타이어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손잡이(26)를 상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그 당김력이 당김줄을 통하여 레버(14)로 전달되면서 이 레버(14)의 우측을 도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레버(14)의 우측 부분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을 하면 수직링크(18)가 하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므로 이와 결합된 연결 링크(20)에 의해 패드(24)는 타이어의 측면으로 부터 떨어지면서 가압하던 힘이 소실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스페어 타이어를 들어 나타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는, 타이어를 안전시키는 것만으로 타이어를 고정시키고, 손잡이를 당기는 것만으로 고정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신속하며,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이 용이한 잇점이 있다.

Claims (2)

  1. 스페어타이어 수납부 바닥면에 힌지결합되어 스페어타이어의 하중에 의해 상하 방향 변위로 응답되는 레버와, 상기 수납부 측면에 연결레버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하단부는 상기 레버의 외측단과 연결되어 수납부에 안착되는 타이어의 측면을 가압하는 수직링크와, 상기 수직링크를 레버에 연동관계를 연결시키기 위해 레버의 선단에 설치된 롤러와, 상기 레버의 가동 위치를 따라 롤러의 슬라이드 운동을 안내하여 그 변위를 수직링크에 전달하기 위해 수직링크에 상기 롤러를 안내하는 형태로 마련된 단차 진계단상의 슬롯과, 상기 스페어타이어 하중에 따른 레버의 회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레버를 회동시켜 타이어 가압상태를 해지 시키기 위하여 상기 레버와 당김줄을 통하여 연결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승용차량의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링크의 타이어 접촉면에 슬립 방지 패드를 부착 시킨 승용차량의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KR1019950018959A 1995-06-30 1995-06-30 승용차량의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KR0134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8959A KR0134531B1 (ko) 1995-06-30 1995-06-30 승용차량의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8959A KR0134531B1 (ko) 1995-06-30 1995-06-30 승용차량의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130A KR970001130A (ko) 1997-01-21
KR0134531B1 true KR0134531B1 (ko) 1998-04-23

Family

ID=19419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8959A KR0134531B1 (ko) 1995-06-30 1995-06-30 승용차량의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53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130A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8333B2 (ja) タイヤ取外し機用ビード外し装置
US2808860A (en) Power actuated wheel supporting and clamping apparatus
US3032095A (en) Tire demounting apparatus
US4785865A (en) Mechanical device for releasing tire beads from wheel rims
US2333880A (en) Tire tool
US20030066613A1 (en) Tire changing and bead breaker apparatus
KR0134531B1 (ko) 승용차량의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EP1447312A1 (en) Manoeuvring device for non-driven vehicles
US3771580A (en) Earth mover tire bead breaker
KR101401425B1 (ko) 차량 정비용 액셀러레이터 조작장치
US2547976A (en) Tire mounting and demounting machine of the type having relative travel between a tire and a tire tool
US2545157A (en) Tire demounting machine with circumferentially distributed thrust members
US3511296A (en) Tire changer having friction lock
KR19980042597A (ko) 프레스브레이크의 상형장착장치
IT9020107A1 (it) Rettificatrice, in particolare rettificatrice di finitura, per la finitura di dischi per freni di autoveicoli
US5777224A (en) Rotatable drive spindle for quick mounting, and machine comprising such a spindle
US4486937A (en) Tool for removing automobile parking brake cable
CN111907497B (zh) 一种集成制动装置及具有其的铁路货车
US3006404A (en) Power actuated adjustable cam bead wedge tool
CN117817618A (zh) 楔形件驱动器及该楔形件驱动器的方法
US4738017A (en) Method for removing automobile parking brake cable from a lever
US7124615B1 (en) Tool for straightening the frame surrounding a vehicle windshield, window or door opening
KR102048781B1 (ko) 잠금 기능을 갖는 자전거 브레이크 장치
KR0183581B1 (ko) 브레이크 드럼의 탈거지그
CN105500198A (zh) 后轿半轴密封盖用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