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082Y1 - 비상구 표시용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비상구 표시용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082Y1
KR0134082Y1 KR2019960022425U KR19960022425U KR0134082Y1 KR 0134082 Y1 KR0134082 Y1 KR 0134082Y1 KR 2019960022425 U KR2019960022425 U KR 2019960022425U KR 19960022425 U KR19960022425 U KR 19960022425U KR 0134082 Y1 KR0134082 Y1 KR 01340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luminescent
paint
plate
emergency
emergency ex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24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9409U (ko
Inventor
윤중수
Original Assignee
윤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중수 filed Critical 윤중수
Priority to KR20199600224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082Y1/ko
Publication of KR9800094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4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0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0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43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connected to a receptacle of public utility, e.g. a waste receptac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or orientation or public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고안은 건물의 복도에 부착하여 비상시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구 표시용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성수지 플레이트 상면에 소정의 비상문 표시부를 인쇄하되, 상기 인쇄잉크에 의해 가리워지는 면을 제외한 비인쇄면 저부에 축광도료층을 제한적으로 도포하여 주어 인쇄여백부를 통해 축광도료가 표출되도록 구성함으로서 불필요한 도료의 손실을 방지하고, 나아가 투명한 플레이트 두께에 의해 축광면의 입체감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비상구 표시용 플레이트를 개시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비상구 표시용 플레이트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도심의 빌딩등과 같이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건축물에는 화재 또는 기타의 비상사태 돌발시 입주자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비상통로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같은 비상통로는 야간에도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여러 가지의 안전표지판의 설치가 의무화 되어 있다.
이러한 안전표지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장방형의 합성수지 플레이트 위에 축광도료를 이용하여 안내표시를 한 비상구 표시용 플레이트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같은 비상구 표시용 플레이트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장방형의 플레이트(10) 위에, 전체면에 걸쳐 축광도료층(11)을 균일하게 도포하고, 그 위에 투명한 보호막(12)을 코팅하여 일체화한 다음, 이들 표면에 다시 소정의 비상문 표시부(13)를 인쇄하여 비상구 표시용 플레이트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었다.
다시말해, 상기 플레이트(10) 위에 도포되는 축광도료층(11)은, 인쇄부를 통해 외부로 표출되는 직접적인 축광부위 뿐만아니라 인쇄면에 의해 가리워지는 면에 이르기까지 전체면에 걸쳐 균일한 두께로 도포됨에 따라 상당한 면적에 도포된 고가의 축광도료가 불필요하게 허비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그러나 알루미나 타입의 안료로서 시트 또는 잉크형태로 상기 플레이트(10)위에 도포되는 축광도료는, 1kg당 40만원 이상을 홋가하는 고가의 재료이며 또한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임을 감안하여 볼때 이들 사용량 증가는 곧 제조비 상승의 직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었다.
뿐만아니라, 이와같이 도포된 축광도료층(11) 위에 소정의 비상문 표시부(13)를 인쇄하는 경우, 평면적인 식별효과 이외에 어떠한 입체적 장식효과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었다.
본고안은 종래의 플레이트가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으로서, 표시부 인쇄층에 의해 가리워지는 부분을 제외한 인쇄무늬 여백부위에만 부분적으로 축광도료를 도포하여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고가의 재료를 절약할수 있도록 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고안의 다른 목적은, 투명한 플레이트 표면에 부분적으로 도포되는 축광도료층의 반대면에 비상문 표시용 인쇄층을 형성시켜 줌으로서, 인쇄무늬 여백면을 통해 표출되는 축광부분이 투명한 플레이트 두께부에 의해 더욱 향상된 입체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들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고안은,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장방형의 투명 플레이트 저부에 축광도료층을 도포하되, 도포면이 인쇄무늬에 의해 가리워지는 부분을 제외한 인쇄무늬 여백부위에 제한적으로 도포되도록 구성하고, 여기에 백색도료막을 코팅하여 축광도료 여백면을 가리워 준 다음, 그 상면에 축광도료 인쇄부만이 선택적으로 표출되도록 소정의 비상문 표시부를 인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비상구 표시용 플레이트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비상구 표시판을 종방향으로 절개한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고안의 비상구 표시용 플레이트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비상구 표시판을 종방향으로 절개 도시한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레이트 11 : 축광도료층
11a : 축광도료 도포부 11b : 축광도료 비도포부
13 : 비상문 표시부 13a : 인쇄무늬부
13b : 인쇄무늬 여백부 14 : 백색도료층
이하 본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도 3은 본고안의 비상구 표시용 플레이트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3의 비상구 표시판을 종방향으로 절개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본고안의 비상구 표시용 플레이트는, 전술한 바와같이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장방형의 투명 플레이트(10)와, 투명 플레이트(10) 저부에 제한된 크기로 도포되어 축광도료 도포부위(11a)와 축광도료 비도포부위(11b)로 구분되는 축광도료층(11), 및 축광도료 비도포부위(11b)를 포함한 상기 축광도료층(11)의 전체 표면에 코팅되어 축광도료 도포부위(11a)와 비도포부위(11b)의 경계표면을 가리우는 동시에 후술될 인쇄면의 선명도를 유지시키는 백색도료층(14), 그리고 축광도료 및 백색도료가 적층된 상기 투명 플레이트(10)의 반대면에 축광도료 도포부위(11a)만을 표출시킬수 있도록 인쇄되는 소정의 비상문 표시부(13)로 구성된다.
상기 장방형의 플레이트(10)는 투명한 아크릴소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투명한 아크릴소재는, 하부에 위치하는 축광도료층(11)이 첨부한 도 3과 같이 비상문 표시용 인쇄무늬의 여백부분(13b)을 통해 비추어 질때 플레이트(10) 두께에 해당하는 입체층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므로 시각적인 입체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밖에도 내구성과 더불어 우수한 투명도가 유지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소재를 제한할 이유는 없을 것이다.
이러한 플레이트(10) 상면에는 축광도료층(11)이 도포되는데, 이때 축광도료층(11)은 플레이트(10) 상에 인쇄될 인쇄무늬부(13a)의 형상을 고려하여 컷팅된 시이트나 인쇄무늬가 착색되지 아니하는 인쇄무늬 여백부분(13b)과 일치하게 도포되는 축광잉크의 형태등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축광도료층(11)의 표면에는 다시 비상구 식별도안의 형상으로 도포되는 축광도료 도포부위(11a)와 축광도료를 도포하지 아니한 여백부위(11b)를 포함한 전체 표면에 걸쳐 백색도료층(14)을 균일하게 코팅한다. 이같은 백색도료층(14)은, 축광도료 도포부위(11a)와 비도포부위(11b)의 경계표면을 가리우는 동시에 후술될 인쇄잉크를 보다 선명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축광도료 및 백색도료가 적층된 상기 투명 플레이트(10)의 반대면에 축광도료 도포부(11a)만이 선택적으로 표출된체 플레이트(10) 전체면이 가리워질 수 있도록 소정의 비상문 표시부(13)를 도포하여 준다. 다시말해, 상기 비상문 표시부(13)가 투명한 플레이트(10)를 중심으로 축광도료층(11)과 각기 마주보도록 상반된 면에 형성되는 것이므로, 인쇄무늬 여백부(13b)를 통해 표출되는 축광부분이 투명한 플레이트 두께부에 의해 입체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본 바와같이,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장방형의 투명 플레이트 저부에 축광도료층을 도포하되, 도포면이 인쇄무늬에 의해 가리워지는 부분을 제외한 인쇄여백 부위에 제한적으로 도포되도록 구성하고, 여기에 백색도료막을 코팅하여 축광도료 여백면을 가리워준 다음, 그 반대면에 축광도료 인쇄부 만이 표출되도록 소정의 비상문 표시부를 인쇄하여서 되는 본고안의 비상구 표시용 플레이트는, 표시부 인쇄층에 의해 가리워지는 부분을 제외한 인쇄무늬 여백부위에만 부분적으로 축광도료를 도포하여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고가의 재료를 절약할수 있도록 함은 물론, 투명한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축광도료층과 비상문 표시용 인쇄층을 각기 상반된 면에 마주보도록 형성시켜 줌으로 인해 인쇄무늬 여백면을 통해 표출되는 축광부분이 투명한 플레이트 두께부에 의해 더욱 향상된 입체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등 여러 가지의 잇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고안은 건물의 복도에 부착하여 비상시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구 표시용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성수지 플레이트 상면에 소정의 비상문 표시부를 인쇄하되, 상기 인쇄잉크에 의해 가리워지는 인쇄표면을 제외한 비인쇄면 저부에 축광도료층을 도포하여 주어 인쇄무늬 여백부위를 통해 축광도료가 표출되도록 구성함으로서 불필요한 도료의 손실을 방지하고 나아가 축광면의 입체감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비상구 표시용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Claims (2)

  1.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장방형의 투명 플레이트 저부에 축광도료층을 도포하되, 도포면이 인쇄무늬에 의해 가리워지는 부분을 제외한 인쇄무늬 여백부위에 제한적으로 도포되도록 구성하고, 여기에 백색도료막을 코팅하여 축광도료 여백면을 가리워준 다음, 그 상면에 축광도료 도포부만이 표출되도록 소정의 비상문 표시부를 인쇄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표시용 플레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문 표시용 인쇄층이, 투명한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축광도료층과 각기 마주보도록 상반된 면에 형성되어, 인쇄무늬 여백면을 통해 표출되는 축광부분이 투명한 플레이트 두께부에 의해 입체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표시용 플레이트.
KR2019960022425U 1996-07-27 1996-07-27 비상구 표시용 플레이트 KR01340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425U KR0134082Y1 (ko) 1996-07-27 1996-07-27 비상구 표시용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425U KR0134082Y1 (ko) 1996-07-27 1996-07-27 비상구 표시용 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409U KR980009409U (ko) 1998-04-30
KR0134082Y1 true KR0134082Y1 (ko) 1999-10-01

Family

ID=19462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2425U KR0134082Y1 (ko) 1996-07-27 1996-07-27 비상구 표시용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08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409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T858399E (pt) Impressao parcial de um substrato
JPS637391B2 (ko)
MXPA00005626A (es) Hoja de prevencion y falsificacion.
FI118066B (fi) Opastemerkintä, erityisesti paloturvamerkintä lattiassa tai seinässä
BR9612545A (pt) Filme de marcação translúcido ativado por calor processo para formar um gráfico colorido em um substrato e compósito com imagem formada
KR0134082Y1 (ko) 비상구 표시용 플레이트
GB2110864A (en) Phosphorescent escape route indicator
US3452464A (en) Reflective sheet
KR100303132B1 (ko) 조각 문자형 광고기구
CN2163727Y (zh) 天花胶贴膜
JP2000043224A (ja) 化粧材
KR100996685B1 (ko) 광고용 조명패널, 이를 위한 무늬지 시트, 및 이 무늬지 시트의 제조방법
CN207986451U (zh) 一种电梯钢结构井道外壁以及观光电梯井道
KR200406498Y1 (ko) 야광인쇄물
KR100593797B1 (ko) 광고용 멀티디스플레이시트
JPH10247065A (ja) 標識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890000070B1 (ko) 거울벽지 및 그 합지방법
JPS5845120Y2 (ja) 装飾材
KR920001693Y1 (ko) 안내판의 법랑 안내문
JPH0485483U (ko)
JPH0225680Y2 (ko)
JPH09302904A (ja) 蓄光性蛍光材を埋設した床タイル(ビニール床シート)
KR200407421Y1 (ko) 광고용 멀티디스플레이시트
CN2188094Y (zh) 夜光镭射玻璃
KR100339308B1 (ko) 건축용 내열성 칼라무늬 화장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