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012Y1 - 생수통의 자화처리 캡구조 - Google Patents

생수통의 자화처리 캡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012Y1
KR0134012Y1 KR2019960016947U KR19960016947U KR0134012Y1 KR 0134012 Y1 KR0134012 Y1 KR 0134012Y1 KR 2019960016947 U KR2019960016947 U KR 2019960016947U KR 19960016947 U KR19960016947 U KR 19960016947U KR 0134012 Y1 KR0134012 Y1 KR 01340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d water
fastening
fastened
cap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69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2869U (ko
Inventor
이용대
Original Assignee
이용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대 filed Critical 이용대
Priority to KR20199600169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012Y1/ko
Publication of KR9800028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28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0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0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C02F1/48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located on the outer wall of the treatment device, i.e. not in contact with the liquid to be treated, e.g. detach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 생수통의 주입구에 체결하여 생수통의 개폐캡으로서는 물론 배출되는 생수를 강력한 자력으로서 자화처리하여 생수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생수통의 자화처리 캡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는 지지체(11)의 하부에 구비되면서 주입구(11)의 내경에 삽입체결되고 내부에 스프링(122)과 하부에 수로를 제공하는 체결구(121)를 가지는 원통형 밸브몸체(120)와, 상기 밸브몸체(120)의 체결구(121)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되면서 N극자석(141)과 S극자석(142)이 합성수지 재질의 외피(143)에 감싸인채로 상호 대향되게 이중으로 구비되는 자화처리부재(140)와, 상기 지지체(110)의 플랜지(111)에 그 상부가 돌출된채로 스프링(122)에 의해 탄력설치되고 하부에 수로를 개폐하는 차단판(151)을 가지는 십자형의 누름작동구(150)와, 상기 지지체(110)의 하부 외연에 구비되고 공회전작동이 가능한 조임캡(160)과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이의 조임력에 의해 주입구(11) 외연을 감싸는식으로 체결되는 원통형의 체결관(130)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생수통의 자화처리 캡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생수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상세히 보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설치구성을 보인 단면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도로서 작동전의 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작동도로서 작동되는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생수통 11 : 주입구
100 : 캡 110 : 지지체
111 : 플랜지 120 : 밸브몸체
121 : 체결구 122 : 스프링
130 : 체결관 131 : 절개홈
140 : 자화처리부재 141.142 : 자석
143 : 외피 150 : 누름작동구
151 : 차단판 160 : 조임캡
본 고안은 생수통의 자화처리 캡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생수통의 주입구에 체결하여 생수통의 개폐캡으로서는 물론 배출되는 생수를 강력한 자력으로서 자화처리하여 생수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업소는 물론 각가정으로 판매되는 생수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생수통에 담아 이의 생수통을 소비처로 공급하는 것이고, 또한 상기 생수통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생수를 보다 용이하게 마시기 위하여 별도의 생수기에 생수통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생수기는 여러종류가 있겠으나, 그 대표적인 구성을 일예를 들어 살펴보면, 이는 첨부된 도면의 제1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대략 함체형상으로 구비되는 생수기 본체(1)의 상단에는 생수통(10)을 설치할 수 있는 설치대(2)가 갖추어져 있고, 또한 본체(1) 중심부에는 온수 및 냉수가 배출되는 배출구(3)(4)가 나란히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생수통(10)은 일회용으로서 내부의 생수를 다 마시게 되면 새로운 생수통(10)으로 교체하여 사용되는 것이며, 이의 생수통(10)은 공급처에서 공급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생수통(10)을 생수기(1)에 설치시에는 생수통(10)의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거꾸로 설치하여야 하는 것이었고, 이에 따라 생수통(10)을 설치시 누수가 발생되어 짐은 물론이고, 이의 체결작업이 까다롭고 힘이드는 등 그 사용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즉, 생수통(10)은 공급처에서 주입구를 별도의 비닐캡등으로 완전히 밀폐시켜 공급되는 것이고, 이를 생수기(1)에 설치 시에는 주입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주입구를 설치대(2)에 거꾸로 설치하여야 함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필연적으로 발생되어 지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생수통을 누수없이 안전하고도 손쉽게 생수기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생수통의 자화처리 캡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생수통내의 생수를 강력한 자력으로서 자화처리하여 생수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생수통용 자화처리 캡구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생수통의 주입구에 설치되는 별도의 전용캡을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즉, 상기 자화처리캡은 생수통의 주입구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면서도 이의 내부에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주입구를 완전히 밀폐하였다가 생수기에 거꾸로 설치하게되면 생수통 자체의 중량에 의해 개폐수단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캡의 내부에는 자석의 강력한 자력에 의해 생수를 자화처리하도록 하는 자화처리수단을 구비함으로서 배출되는 생수를 자화처리하여 보다 나은 생수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계속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제2도 이하에는 본 고안의 자화처리 캡구조를 상세히 나타내고 있고, 이의 도면에서 부호 100은 본 고안에 따른 자화처리캡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
이의 자화처리캡(100)은 생수통(10)의 주입구(11)에 착탈식으로 구비되어 생수통(10)의 주입구(11)를 개폐토록 하는 것으로서, 지지체(110)에 고정되면서 주입구(11)의 내경에 체결되어 수로를 개폐토록 하는 밸브몸체(120)와, 주입구(11)의 외경에 체결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체결관(130)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몸체(120)의 하부에는 배출되는 생수를 자화처리하도록 하는 자화처리부재(140)가 체결구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몸체(120)는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지지체(110)의 저면에 그 상단이 고정설치되는 것이고, 이의 하부에는 수로를 가지는 사각형상의 체결구(121)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물안내 수로를 제공하는 내부에는 스프링(122)이 탄력설치되어 있으며, 이의 스프링(122)은 지지체(110)에 체결되어 있는 누름작동구(15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누름작동구(150)는 지지체(110) 중심의 상향 돌출되는 플랜지(118)에 체결된채로 스프링(122)에 의해 탄력설치되어 승강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이의 하부에는 수로를 개폐토록 하는 차단판(151)을 가지면서 +으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입구(11)의 외경에 체결되는 체결관(130)은 지지체(110)의 하부 외연에 구비되어 있고, 이는 공회전작동이 가능한 조임캡(160)과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상기 조임캡(160)의 조임력에 의해 주입구(11) 외연을 감싸는식으로 밀폐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관(130)은 원통형으로 구비되면서도 상부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절개홈(131)이 소정간격만큼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몸체(120)에 체결되는 자화처리부재(140)는 외형이 삼각 파이프형으로 구비되어 밸브몸체(120)의 체결구(121)에 억지끼움식으로 구비된다.
이의 자화처리부재(140)는 N극자석(141)과 S극자석(142)이 합성수지 재질의 외피(143)에 감싸인채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N,S극 자석(141)(142)은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면서도 이중으로 구비되어 강력한 자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사이의 내경에는 강력한 자력이 형성되어 통과되는 물을 자화처리하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자화처리부재(140)는 본 실시예에서 삼각파이프형으로 구성된 것이나, 이러한 것은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 것이고, 이를 사각형, 또는 그 이상의 다작형 파이프형으로 구성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자화처리캡(100)은 판매되는 생수통(10)의 주입구(11)에 체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즉, 공급처에서 생수통(10)의 주입구(11)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공급하게 되면, 사용자는 상기 생수통(10)의 주입구(11)를 개방하여 본 고안의 자화처리캡(100)을 장착하게 된다.
즉, 첨부도면의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 자화처리캡(100)의 밸브몸체(820)에 자화처리부재(140)를 체결한 상태에서 이의 밸브몸체(120)를 생수통(10)의 주입구(11) 내경에 삽입체결하게 되면, 체결관(130)이 주입구(11)의 외연을 감싼채로 체결되어 지는 것이고, 계속해서 조임캡(160)을 조여주게 되면, 이와 나사식으로 체결된 체결관(130)이 절개홈(131)에 의해 그 둘레가 조여들면서 생수통(10)의 주입구(11)에 밀착 고정되어져 자화처리캡(100)이 생수통(10)에 체결완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는 밸브몸체(120)내의 스프링(122)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작동구(150)가 상향으로 작용하게 되어 차단판(151)이 지지체(110)의 수로를 차단하게 됨으로서 생수통(10)의 주입구(11)를 완전히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생수통(10)을 사용하기 위하여 생수기(1)에 체결할 경우에는 통상에서와 같이 생수통(10)의 주입구(11)를 하향으로 위치시켜 이의 주입구(11)를 생수기(1)의 설치대(2)에 체결하는 것으로, 첨부도면의 제5도 및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생수통(10)이 생수기(1)에 설치되면, 생수통(10)의 자체중량에 의해 누름작동구(150)가 누름작동되어 자화처리캡(100)을 개폐하게 된다.
즉, 상기 누름작동구(150)가 스프링(122)을 압축하면서 작동됨으로서 차단판(151)이 지지체(110)의 수로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생수통(10)내의 생수는 배출되어 지는 것이고, 이때 밸브몸체(120)에 설치되는 자화처리부재(140)를 거치는 동안 강력한 자력에 의해 자화처리된 생수로서 다시한번 정수되어 밸브몸체(120) 및 지지체(110)의 수로를 통과하여 통상에서와 같은 생수기(1)내로 유입되어 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생수통(10)을 생수기(1)에 꺼꾸로 설치하여 사용함에 있어 상기 생수통(10)의 주입구에 간단한 방법으로 착탈이 가능한 별도의 자화처리캡(100)을 구비함으로서 생수통(10)을 생수기(1)에 설치시 누수없이 안전하고도 손쉽게 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생수통(10)과는 별도의 물품으로 구입하여 사용자가 사용시에만 생수통(10)에 체결하여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등 그 사용성이 향상되어 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특히 본 고안은 자화처리부재(140)를 구비하여 자석의 강력한 자력에 의해 생수를 자화처리함으로서 보다 질좋은 자화수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생수기(1)에 주입구(11)를 꺼꾸로 체결하여 사용되는 생수통(10)에 있어서, 상기 생수통(10)의 주입구(11)에 착탈식으로 구비되는 자화처리캡(100)은 지지체(11)의 하부에 구비되면서 주입구(11)의 내경에 삽입체결되고 내부에 스프링(122)과 하부에 수로를 제공하는 체결구(121)를 가지는 원통형 밸브몸체(120)와, 상기 밸브몸체(120)의 체결구(121)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되면서 N극자석(141)과 S극자석(142)이 합성수지 재질의 외피(143)에 감싸인채로 상호 대향되게 이중으로 구비되는 자화처리부재(140)와, 상기 지지체(110)의 플랜지(111)에 그 상부가 돌출된채로 스프링(122)에 의해 탄력설치되고 하부에 수로를 개폐하는 차단판(151)을 가지는 십자형의 누름작동구(150)와, 상기 지지체(110)의 하부 외연에 구비되고 공회전작동이 가능한 조임캡(160)과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이의 조임력에 의해 주입구(11) 외연을 감싸는식으로 체결되는 원통형의 체결관(1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용 자화처리캡구조.
KR2019960016947U 1996-06-21 1996-06-21 생수통의 자화처리 캡구조 KR01340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6947U KR0134012Y1 (ko) 1996-06-21 1996-06-21 생수통의 자화처리 캡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6947U KR0134012Y1 (ko) 1996-06-21 1996-06-21 생수통의 자화처리 캡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869U KR980002869U (ko) 1998-03-30
KR0134012Y1 true KR0134012Y1 (ko) 1999-02-01

Family

ID=19459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6947U KR0134012Y1 (ko) 1996-06-21 1996-06-21 생수통의 자화처리 캡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01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288Y1 (ko) * 2011-09-02 2013-11-05 김혜실 자화 여과기
KR102445435B1 (ko) * 2021-12-23 2022-09-21 안진우 휴대용 자화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288Y1 (ko) * 2011-09-02 2013-11-05 김혜실 자화 여과기
KR102445435B1 (ko) * 2021-12-23 2022-09-21 안진우 휴대용 자화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869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206379T1 (de) Kunststoffschraubverschluss
CA2303340A1 (en) Closure system for containers
CA2263822A1 (en) Drinking receptacle covers
MXPA01004907A (es) Cierres distribuidores.
GB2378942A (en) Linerless closure with pressure seal holding feature
AU2001289693A1 (en) Energising ring for a closure membrane
KR0134012Y1 (ko) 생수통의 자화처리 캡구조
ATE342203T1 (de) Drehklemmverschluss
MX9702491A (es) Cierre para botellas o similares.
MXPA02011296A (es) Inserto para cierre.
ES2184554A1 (es) Distribuidor para liquidos.
SE9303594D0 (sv) Avloppsbrunn
DE69902601D1 (de) Verschlussvorrichtung für Getränkedose, insbesondere für kohlensäurehaltige Getränke
ES1015040U (es) Cierre perfeccionado para botellas.
KR100406831B1 (ko)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발효식품 용기용 가스배출장치
GB0120726D0 (en) Valve assembly for containers
KR960009012Y1 (ko) 자석체가 내장된 물통
KR200201671Y1 (ko) 포장용기 뚜껑
KR910008637Y1 (ko) 패킹부재를 갖는 화장품 용기
JPH0410456Y2 (ko)
JPH049490Y2 (ko)
KR200227429Y1 (ko)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발효식품 용기용 가스배출장치
SU1659307A1 (ru) Затвор дл бутылок
KR200265554Y1 (ko) 식수용 물통의 뚜껑
CN2158949Y (zh) 防漏胶杯龙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