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006Y1 - 침대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침대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006Y1
KR0134006Y1 KR2019940022064U KR19940022064U KR0134006Y1 KR 0134006 Y1 KR0134006 Y1 KR 0134006Y1 KR 2019940022064 U KR2019940022064 U KR 2019940022064U KR 19940022064 U KR19940022064 U KR 19940022064U KR 0134006 Y1 KR0134006 Y1 KR 01340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tress
frame
headboard
hole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20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939U (ko
Inventor
안유수
Original Assignee
이재구
주식회사에이스침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구, 주식회사에이스침대 filed Critical 이재구
Priority to KR20199400220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006Y1/ko
Publication of KR9600069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9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0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0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54Fittings for bedsteads or the like
    • F16B12/56Brackets for bedsteads; Coupling joints consisting of bolts or the like; Latch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2Head or foot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8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for joining separate bedst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수면시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주고 구조적으로 내구성을 겸비하는 이중매트리스와, 머리판을 보유하는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매트리스와 머리판을 체결하는 규격이 변하더라도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며, 높이와 폭조절이 용이하고 소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 매트리스에 고정됨과 동시에 지면에 직립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수직장공을 보유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수직장공에 대응하여 체결부재로서 결합되는 제2수직장공을 보유하고, 정규폭 수평장공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형성되는 중간폭 및 대폭 수평장공을 보유하여, 체결부재로서 머리판에 고정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침대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침대용 브라켓
제1도는 본 고안에 관게되는 브라켓을 채용하여 이루어지는 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관계되는 브라켓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관계되는 브라켓의 요부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매트릭스 3 : 브라켓
5 : 머리판 7,9,11 : 체결부재
31 : 제1프레임 33 : 제2프레임
35 : 제1수직장공 37 : 제2수직장공
39 : 돌출부 41 : 정규폭 수평장공
43 : 중간폭 수평장공 45 : 대폭 수평장공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침대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 매트리스 시스템을 갖는 침대의 하부 매트리스와 머리판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마련된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침대는 매트리스와 머리판을 서로 지지해주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머리판을 벽과 같은 고정물에 기대어 지지하고 매트리스를 밀착시켜, 이들을 서로 고정구나 못 등의 영구고정수단으로 결착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결착 방법에 의하면 고가의 매트리스나 머리판에 흠집이 생겨 제품의 고급화를 저하시키게 되고, 침대의 이동시 불편함이 뒤따리르게 되는 문제점을 수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91-8424호(1991.10.18)에는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침대받침틀 고정구가 기술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는 머리판에 설치되는 고정판과 매트리스에 고정되는 받침대를 구비하되, 이들을 서로 볼트와 너트로서 체결시키게 되는 바, 이는 상기 볼트간의 규격이 일정하게 한정되는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지금까지의 침대는 볼트간의 간격이 대략 30mm의 베이스 단위로 규격화되어 있다. 따라서, 모든 침대의 고정구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지는 바, 이는 획일적인 제품의 생산을 초래하게 된다.
이런 까닭에 제품의 규격이 변하게 되면, 기존 제작되어 있던 고정구를 모두 폐기 처분해야만 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 종래 기술에 의하면 규격화된 고정구에 의해 침대가 모두 동일한 높이로 한정되어 지게 된다.
[고안의 요약]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매트리스와 머리핀을 제결하는 볼트의 규격이 변하더라도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침대용 브라켓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매트리스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특히, 수면시 인체의 균형을 잡아주어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주고, 구조적으로 내구성을 보유하는 이중 매트리스 시스템의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하부 매트리스에 고정됨과 동시에 지면에 직립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수직장공을 보유하는 제1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 제1수직장공과 동상으로 형성되어 그와 함께 체결부재로서 결합되는 제2수직장공과, 정규폭 수평장공을 중심으로 중간폭 및 대폭수평장공을 보유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정규폭, 중간폭 및 대폭 수평장공의 중심선 사이의 간격은 모두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체결부재를 개재하여 머리판에 고정되어져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계되는 이중 매트리스용 침대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면에서의 설명 부호 1은 매트리스를 지칭하고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이중 매트리스 시스템을 채용하여 이루어지는 바, 이러한 이중 매트리스 시스템은 수면시 인체의 굴곡을 고루 받쳐주어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주고, 구조적인 내구성을 겸비하는 것으로서 잘 알려져 있다.
여기서, 상기한 매트리스(1)는 상부 매트리스와 하부 매트리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 매트리스(1)의 길이 방향 양측의 모서리에는 본 고안에 관련된 브라켓(3)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브라켓(3)은 다시 체결부재로서 머리판(5)에 고정되어 지는 바, 상기 브라켓(3)에 형성된 구멍에 체결부재를 끼워 이를 상기 머리판(5)에 균일한 폭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이와 같은 브라켓(3)의 구조를 제2도 및 제3도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전술한 브라켓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제1도에 도시된 브라켓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브라켓(3)은 하부 매트리스(1)에 못이나 크립 등을 이용하여 영구 고정되는 제1프레임(31)과, 머리판(3)에 체결부재(7)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제2프레임(3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31,33)은 서로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어 진다.
즉, 상기한 제1프레임(31)은 지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수직장공(35)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2프레임(33)은 상기 제1수직장공(35)과 동상으로 대응 형성되는 제2수직장공(37)을 보유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수직장공(37)은 길이가 작을 뿐 상기 제1수직장공(35)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제1 및 제2수직장공(25,27)은 서로 겹쳐진 채로 체결부재(9,11)로서 일체로 체결되어 진다.
상기한 제2수직장공(37)은 수직장공(35)보다 짧게 형성되어 지는 바, 이는 상기 제2프레임(33)을 제1수직장공(35)의 길이 방향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제1프레임(31)은 비이드 상으로 타발 형성되는 돌출부(39)를 보유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돌출부(39)에는 매트리스(1)의 하측 선단이 일치되어 지는 바, 이는 매트리스(1)와의 결합시 그 기준선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매트리스(1)와 머리판(5)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생기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종래 문제시 되었던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체결부재의 조립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프레임(33)은 정규폭 수평장공(41)을 중심으로 대칭형성되는 중간폭 수평장공(43)과 대폭 수평장공(4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바, 각 수평장공 사이의 중심선간의 길이(L)는 제3도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한 정규폭, 중간폭 및 대폭 수평장공(41,43,45)의 크기는 1L L2 L3로 순차적으로 증가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제2프레임(33)에 의하면 체결부재(7)가 결합되는 머리판(5)의 체결부 사이의 폭이 L로 되는 것 뿐아니라, L 보다 크거나 작은 것을 모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첨고적으로, 상기 체결부재(7)가 결합되는 머리판(5)과 매트리스(1) 및 브라켓(3)은 각각 별도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이들을 서로 조립할 때 하나의 규격이 달라지게 되면, 그에 해당되는 타 부분을 모두 페기해야만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고안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침대용브라켓은 머리판에 체결부재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제2프레임의 수평장공을 서로 다른 크기로 대칭되도록 연속 형성하여, 범용성을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은 제1 및 제2프레임에 수직장공을 마련하여 이를 체결부재로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높이와 폭 조절이 용이한 장점을 갖게 된다.
또, 본 고안은 머리판과 매트리스 사이에 임의의 공간을 형성하여 소음발생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고 있으며, 조립 작업이 편리하게 된다.

Claims (2)

  1. 침대의 머리판(5)에 고정되는 제2프레임(33)은, 머리판의 고정위치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크기의 정규폭 수평장공(41)과 중간폭 수평장공(43)과 대폭 수평장공(45)을 보유하고 있으며, 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제2수직장공(37)이 뚫려지는 프레임이며, 침대의 매트리스가 고정되는 제1프레임(31)은 상기한 제2수직장공(37)과 동일한 방향으로 뚫려진 제1수직장공(35)을 갖고 있는 프레임이며, 상기한 제1 및 제2수직장공들은 체결부재(9)(11)로 결합되며, 상기한 수평장공들 사이의 중심선 간격(L)은 동일한 거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제1프레임(31)은 매트리스(1)의 선단이 위치되는 기준선으로 돌출부(39)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브라켓.
KR2019940022064U 1994-08-30 1994-08-30 침대용 브라켓 KR01340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2064U KR0134006Y1 (ko) 1994-08-30 1994-08-30 침대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2064U KR0134006Y1 (ko) 1994-08-30 1994-08-30 침대용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939U KR960006939U (ko) 1996-03-13
KR0134006Y1 true KR0134006Y1 (ko) 1999-02-18

Family

ID=19391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2064U KR0134006Y1 (ko) 1994-08-30 1994-08-30 침대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0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288B1 (ko) * 2001-05-10 2003-12-31 오병훈 침대용 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288B1 (ko) * 2001-05-10 2003-12-31 오병훈 침대용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939U (ko) 199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5428B2 (en) Chair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047579B2 (en) Mattress retainer bracket
US4676687A (en) Universal bedside rail clamp
US6951037B2 (en) Universal adjustable bed
CA2297086A1 (en) Bearing element for upholstery support for a seat or bed system
US4856127A (en) Expandable headboard for beds
US4224704A (en) Adjustable and foldable bed frame
KR0134006Y1 (ko) 침대용 브라켓
US3644948A (en) Adapter unit for interconnecting bedframes and head and footboards
USD379283S (en) Mattress retention bracket for adjustable beds
US3497881A (en) Auxiliary leg and bracket assembly for bedframes
US5592709A (e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attitude of a mattress
US3688321A (en) Bed extender
US6883192B1 (en) Bed skirt fastener assembly
US3971587A (en) U-shaped furniture frame
FR2732202B1 (fr) Ensemble de literie a sommiers superposes rabattables pourvu de moyens d'appui au sol
US6134728A (en) Mattress support and method
US6269498B1 (en) Bed support mechanism
JP3545971B2 (ja) ベッド用収納家具
CA2201555C (en) Variable-position headboard for beds, easy chair and the like
EP1219210A3 (de) In ein Liegemöbel einsetzbarer Lattenrost
CN2486040Y (zh) 带活动枕头的组合床
JPH018194Y2 (ko)
EP0569871B1 (en) A bedstead
WO2003005860A1 (en) Slat be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2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