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917B1 - 다초점 단면의 위상플레이트 - Google Patents

다초점 단면의 위상플레이트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917B1
KR0133917B1 KR1019880014728A KR880014728A KR0133917B1 KR 0133917 B1 KR0133917 B1 KR 0133917B1 KR 1019880014728 A KR1019880014728 A KR 1019880014728A KR 880014728 A KR880014728 A KR 880014728A KR 0133917 B1 KR0133917 B1 KR 0133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focal
lens
phase plate
phase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4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300A (ko
Inventor
엘.코헨 알렌
Original Assignee
엘.코헨 알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코헨 알렌 filed Critical 엘.코헨 알렌
Priority to KR1019880014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917B1/ko
Publication of KR900008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초점 단면의 위상플레이트
제1도는 각초점에서 동일한 광도를 나타내는 (즉 BO=B1) 대표적인 위상 플레이트 복초점렌즈(phase plate bifocal)의 부분단면도 및 초점도수( focal power) 대 광도(brightness)의 상응하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제2도는 각초점에서의 강도가 균일하지 않은 (즉 BO≠B1인) 또하나의 위상 플레이트 복초점렌즈의 부분단면도 및 초점도수 대 광도의 상응하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제3도는 무한대에서 단일초점을 나타내는 (즉 0.0디옵터인) 도수 0의 평면렌즈의 단면도 및 초점도수 대 광도의 상응하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제4도는 알.더블류.우드(R.W.Wood)에 의해 기재된 바와같이 수식된, 2개의 초점이 동일한 광도를 나타내는 도수 0의 평면렌즈의 단면도 및 초점도수 대 광도의 상응하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제5도는 단일초점 및 단일초점도수를 나타내는 블레이즈인 렌즈(blazed lens)의 부분단면도 및 초점도수 대 광도의 상응하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제6도는 알.더블류.우드에 의해 기재된 바와같이 수식된, 개2의 초점이 동일한 광도를 나타내는 제5도의 렌즈의 부분단면도 및 초점도수 대 광도의 상응하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제7도는 제2도의 렌즈의 환상대(annular zones)를 통과하는 광진폭벡터(light amplitude vectors)의 기하학적 표시도를 나타낸다.
제7b도는 대1과 대2사이에 b도의 위상전이(phase shift)를 도입시킬 경우 광도 B0 2및 B1 2가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나타내는 도이다.
제7c도는 2개의 각초점에서 상광도가 동일(특히 B0 2=B1 2=0.36)하도록 본 발명에 따라 변경시킨 제2도의 렌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8도 내지 제14도는 블레이즈된 계단모양의 3중 초점렌즈의 부분단면도 및 초점도수 대 광도의 상응하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제15도는 단을 이온반응성 에칭시켜 성형한 3중 초점렌즈의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제16도는 블레이즈된 단을 이온주입시켜 성형한 3중 초점렌즈의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제17도는 거울면상에 단을 도금시켜 성형한 복초점 거울의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눈에 2개의 선명한 상을 즉시 제공하는 동시시각(simultaneous vision)의 현상에 의존하는 다초점 광학렌즈 모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다수의 상 사이에 임의의 상대광도를 갖는 렌즈가 제조되도록 한다.
복초점 안경의 고안은 교대시각(alternating vision)의 원리를 이용한다. 즉, 눈의 초점도수가 상이한 2개의 인접렌즈를 번갈아 사용한다. 이 방법은 눈과 함께 운동하는 콘택트렌즈의 속성때문에 콘택트렌즈에 있어서는 성공적인 방법이 아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복초점 콘택트렌즈의 대부분은 눈에 2개의 선명한 상을 즉시 제공하는 동시시각의 현상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드 칼레(De Carle)에 의해 미합중국 특허 제3,037,425호에 기술된 바와같이, 눈동자보다 직경이 작고, 도수가 상이한 환상렌즈로 둘러싸인 중앙렌즈를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2개상의 상대광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경우에만 이러한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불행하게도, 현행 렌즈 디자인에 있어서는, 눈동자의 직경이 정상적으로 변동할 때 2개의 동심렌즈에 의해 제공되는 상대 상광도는 서로에 대하여 변동한다.
더욱 최근의 복초점 렌즈모형은 본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4,120,391호, 제4,338,005호 및 제4,340,283호에 기술된 대 플레이트 디자인(zone Plate disign)을 이용한다. 이들 디자인은 2개의 상이한 초점도수가 회절효과에 의하여 나타나도록 한다. 그러나, 이들 렌즈 디자인이 눈동자보다 직경이 더 작은 다수의 동심환을 사용하기 때문에, 눈동자가 열리고 닫힐 때 소수의 환만이 관계되며, 2개상의 상대광도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이들 렌즈가 입구 눈동자 크기와는 관계없는 상이한 초점 사이에서 일정한 비율의 상대 상광도를 유지할지라도, 동상수가 반드시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우리는 예를 들면 제1도에서 미합중국 특허 제4,340,283호에 따라 디자인된 블레이즈된(blased) 대플레이트 복초점렌즈를 볼 수 있으며, 여기에서 대반경r(k)는 식
Figure kpo00001
(여기에서 λ는 디자인 파장이며, d는 디자인 초점이다)으로 표시된다. 이 경우 2개의 상광도는 동일(즉 1:1비율)하다. 왜냐하면 홀수대 초점도수 Fo가 1/d와 같도록 홀수대 블레이즈를 2분의 1파장과 같은 깊이까지 직선적으로 변동하도록 선택하는 반면, 짝수대는 짝수대 도수 Fe가 0와 같도록 블레이즈를 전혀 보유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1/d=Fo-Fe라고 기재되어 있는 본인의 미합중국 특허와 일치한다. 그러나, 제2도, 즉 제1도의 렌즈보다 더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렌즈인 1/4파장만의 블레이즈 깊이를 갖는 블레이즈된 대플레이트를 고려한다면, 상광도는 이 렌즈를 눈 복초점렌즈로서 사용하는 것을 제한한 경우 동일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반복단(repetitive step)이 단면에 혼입되고 1/2파장 정도의 광로길이를 가지며, 다음식에 따라 공간을 둔 다수의 동심환상대를 갖는 다초점 단면의 프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r(k)는 대반경이고,
k는 대이다.
다초점도수 광학장치는 회절력을 생성시킬 수 있도록 공간을 둔 다수의 환상동심대를 갖는 몸체장치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위상전이장치는 적어도 약간의 환상대중에 혼입되며, 위상전이장치는 그것이 혼입되는 전체대를 필수적으로 가로질러 광로길이에 거의 일정한 전이를 야기시키는 단기능특성(step function nature)이 있다.
본 발명의 한 태양은 광학 회절성 재료를 함유하는 몸체 장치를 사용한다. 위상 전이장치는 삽입된 오염물질과 함께 몸체장치를 포함하여 목적하는 위상전이 또는 몸체장치에 굴착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위상전이 장치는 모든 교대용대를 점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몸체장치의 각 초점에서 동등한 영상광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조정된 위상전이장치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위상 전이단은 상기 몸체 장치의 각 초점에서 동등한 영상광도를 갖는 3중 초점렌즈를 제작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 위상전이단을 조정하여 렌즈가 특정한 파장의 광을 선택적으로 모을 수 있도록 한다. 블레이즈 또는 단의 최대 깊이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조정한 위상 전이단을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광학장치를 콘택트렌즈, 안경렌즈, 안내삽입렌즈 또는 거울로서 사용한다.
다초점 단면의 위상 플레이트에 있어서는 반복단이 단면에 혼입되어 반복단면이 혼입되는 모든대를 필수적으로 가로질러 광로길이에 일정한 전이가 발생한다. 위상 플레이트는 가시광선 범위에서 다초점렌즈로서 작동하도록 디자인 한다. 본 발명의 이들 태양은 상기 위상 플레이트의 몸체장치를 콘택트렌즈 또는 카메라 렌즈로서 디자인 한다.
다초점렌즈에 있어서, 여러개의 초점사이에 입사광을 분배하려고 한다. 이 때 광도가 거의 동일한 각초점에서 여러 상광도를 강하게 한다는 것은 중요하다. 본 발명은 회절렌즈 디자인을 이용하는 다초점렌즈에서 대의 반경은 식
Figure kpo00003
에 거의 따른다는 사실을 이용한다. 즉, 환상대(annular zones)는 반(1/2)-파장의 정수의 위상전이(phase shifts)를 도입할 수 있도록 떨어져 있다. 이들 경우에 우리는 전체 렌즈에 대하여 반복적 무늬를 형성하는 소수의 대만을 관찰함으로서 렌즈를 완전히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도 및 제2도에서 처음 2개의 대(즉, 대1 및 2)만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단일 초점렌즈를 위상 플레이트 분석함으로서 시작하려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동심의 반-파동대로 분리된 도수0의 평면렌즈로 시작합시다. 반-파동단을 홀수대로 절단함으로서, 제4도의 복초점렌즈를 생성시키는 정확히 반파장에 의해 이들 홀수대를 통과하는 광을 위상전이시킨다. 이것은 알.더블류.우드(R.W.Wood)(Physical Optics, Macmillan Co., N.Y. 1914, 37 내지 40페이지, 217 및 218페이지)에 의해 최초로 제안되었다. 알.더블류.우드는 이전의 레일레이(Rayleigh) 대 플레이트를 밝게하기 위하여 이 방법을 사용하였고 단지 반파장 위상전이를 고려하였다.
우리는 평면단 절단물과 맞선 각이진 절단물로 취해진 블레이즈(blaze)를 1파장 깊이로 절단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배열된 +1.0 디옵터의 단일초점렌즈를 갖는 단일초점 위상 플레이트를 제5도를 인용함으로서 계속 분석한다. 또한, 알.더블류.우드의 방법에 의하여, 우리는 이들 홀수대를 통과하는 광을 위상전이시키기 위하여 각 홀수대로부터 반-파동단을 절단(제5도의 점선부위)할 수 있다. 그결과, 제6도의 복초점 상플레이트가 생성된다. 그러나, 반파장 외의 위상전이단을 고려하면 반-파동 대 플레이트에 어떠한 가치나 적용을 가질것이라는 것이 명백하지 않은 반면, 이 분석에 의하여 이들 위상전이단을 고려함으로서 수득한 약간의 독특한 예상밖의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0.0 디옵터에서의 상광도가 +1.0 디옵터에서의 상광도보다 큰 제2도의 렌즈로 먼저 돌아간다. 0.0 디옵터에서 대를 통과하는 광의 위상변화는 블레이징에 의해서만 일어난다. 1.0 디옵터에서 대를 통과하는 광의 위상변화는 블레이징에 의해 야기된 위상전이 외에도 반파장에 의해 전이된다. 첫째, 0.0 디옵터에서의 초점 및 대1이 4분의 1파장의 블레이즈 깊이를 갖는다는 사실을 고려할 경우, 이 대를 통과하는 광에 대한 진폭 백터Z1(0)은 90。되돌아간다. (-1/4파장). 대2가 블레이즈를 가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 대를 통과하는 광에 대한 진폭벡터 π2(0)은 전혀 전이 되지 않는다. 끝으로, 2개의 생성되는 진폭 벡터 사이의 위상각(phase angle)a(0)은 135。이며, 0.0 디옵터 초점에서 상광도 BO 0를 생성시킨다. 1.0 디옵터 초점에서 대1을 통과하는 광에 대한 진폭벡터Z1(1)는 90。 앞서 회전하는 한편, 대2를 통과하는 광에 대한 Z2(1)는 180。만큼 앞서 회전한다. 2개의 생성된 진폭 벡터간의 위상각 a(1)은 45。이며, 1.0 디옵터 초점에서 상광도 B1 2를 생성시킨다. 이 모든 것은 제7a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상광도는 생성되는 진폭벡터 Z1 및 Z2의 벡터합으로 계산된다. 우리가 2개의 대를 고려하고 있으므로, 각대를 통과하는 작은 미분진폭벡터의 총호길이에 값1/2을 할당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와같이, 0.0 디옵터 초점에서 대1을 통과하는 광에 관하여 생성되는 광진폭 벡터Z1(0)에 대하여
Figure kpo00004
로 표시된다. 이와 유사하게, Z2(0)=1/2이며, 벡터Z1(0) 및 Z2(0) 사이의 위상각 a(0)의 경우 a(0)=125。이다. 생성되는 광도는 B0 2=0.77이다. 동일한 논거에 의하여, 1.0 디옵터 초점에서
Figure kpo00005
,Z2(1)=1/π이고, a(1)=45。이고, B1 2=0.10이다.
하나의 단을 짝수의 대로 절단함으로써, 우리는 단의 깊이에 의존하는 양에 의해 짝수의 대를 통과하는 광을 위상전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반파장과 꼭 동일하지는 않은 임시의 위상전이의 효과를 이용한다. 제7b도는 b。의 추가의 위상전이에 의해 분리된 각초점에 대하여 대1 및 대2 각각으로부터 광을 나타내는 광진폭벡터 Z1 및 Z2를 나타낸다. 1.0 디옵터 초점에서 생성되는 광도 B0 2가 또한 나타난다. 제7b도에서, 우리는 우리가 위상각 b를 (단, 깊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중가시킬 때 보다 희미한상 B1은 더욱 밝아지는 반면, 보다 밝은 상 B0은 보다 희미해짐을 알 수 있다. 확실히, 상광도가 동일한, 정밀한 위상전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특정한 경우에 0.157파장의 위상전이는 일을 성취하며, 제7도는 이러한 생성된 렌즈를 나타낸다. 이 렌즈에 있어서 마면(facets)의 최대 깊이가 0.407파장일뿐임을 또한 주의하여야 한다. 전형적으로, 회절렌즈는 0.5파장 또는 그 이상의 위상전이를 필요로 한다. 대부분의 제조방법(즉, 이온 주입법)은 이들 방법이 성취할 수 있는 최대 위상전이에 제한되므로, 필요한 최대 위상전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물론, 이것은 위상전이단을 사용한 특정한 예일뿐이며, 일반적으로 우리는 0.157 파장외의 위상전이단을 선택할 수 있다고 언급되어야 한다.
본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4,338,005호에 기술된 바와같이, 0.0 디옵터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초점을 이용하는 렌즈에 본 발명을 적용시킬 것을 고려하는 것은 또한 흥미있는 일이다. 제8도는 이러한 형태의 렌즈중 한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특정 렌즈는 상이한 광도의 초점의 갖는 3중 초점렌즈의 한 예이다. 이러한 특정한 경우에 0.212파장의 위상전이단을 사용함으로써 우리는 제9도의 동일 광도의 3중 초점 렌즈를 제조할 수 있다.
3중 초점렌즈에 관하여, 우리는 제3도에 도시된 도수0의 평면렌즈를 동일한 광도의 초점을 갖는 퇴보한 3중 초점렌즈로서 재고한다. 참고로, 이 경우에 초점중 2개의 초점은 광도0을 나타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본 발명의 원리를 또한 적용시킬 수 있다. 제10도는 생성되는 3중 초점렌즈를 나타낸다. 단을 에칭시키는 것이 대부분의 제조방법(즉, 이온반응성 에칭법)에서 블레이즈를 절단하는 것보다 한층 더 용이하므로, 이 3중 초점렌즈의 중요한 이점은 보다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하는 단 디자인이라는 점이다. 알. 더블류.우드의 복초점렌즈가 단순한 단 디자인임에 반하여, 이 3중초점렌즈는 이러한 단순한 디자인의 최조 3중 초점렌즈이다. X-파장의 위상전이가 만족스러운 렌즈를 제조할 경우에는 언제든지, 우리는 또한, (1.0-X)-파장의 위상전이를 사용하여 우수한 렌즈를 수득할 수 있다는 것이 전술한 분석으로부터 명백해야 한다.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한 3중 초점렌즈보다 우수한 3중 초점렌즈를 나타낸다.
이때까지, 우리는 단색광만을 고려해왔다. 제10도 및 제11도의 렌즈가 특정파자의 광, 예를 들면 황색광용으로 고안되었을 경우에 회절렌즈의 고유색 수차는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적색(R), 황색(Y) 및 청색(B)광에 대한 광도분포를 나타낼 수 있다.
초점에서의 색수차 외에도 우리는 또한 광도의 색수차를 알 수 있다. 그러나, 광도에서의 색수차는 우수한 렌즈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정반대이다. 이로 인하여 우리는 광도에서의 색수차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제12도의 렌즈와 같은 복합렌즈를 고안하게 되었다.
회절도수를 이용하는 렌즈에서 고유한 광도의 색수차가 주어질 때, 우리는 또한 우리가 선택하는 특정한 파장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렌즈를 고안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3도의 렌즈를 보면 우리는 0.0 디옵터 초점에서 청색광을 지지하고, +1.0 디옵터 및 -1.0 디옵터 초점에서 적색광을 지지하는 3중 초점렌즈를 가지고 있다. 우리는 이제 0.0 디옵터에서 초점을 제거하기 위해 0.5파장의 위상전이단을 사용할 수 있으며, 청색광을 약하게 하는 반면 적색광을 알맞게 모으는 제14도에 도시된 복초점렌즈를 가지게 되었다. 이것은 물론 가능한 한 많은 청색광을 절약할 필요가 있는 무수정 체증환자 및 기타환자에게 유리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비추어, 회절성 다초점렌즈의 상이한 초점에서 상광도의 비율을 조정하려는 것이 본 발명의 첫째 목적이다.
본 발명의 또하나의 목적은 고유광도가 동일하지 않은 이들 회절성 다초점렌즈의 상이한 초점에서의 광도를 동일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하나의 목적은 회절성 다초점렌즈를 제작하는 데 필요한 최대 위상전이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하나의 목적 및 이점은 블레이즈를 하나의 단으로 대체시켜 회절성 다초점렌즈의 제작을 단순화 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 및 이점은 광도의 색수차를 조종하여 다른 파장에 비해 하나의 파장에 대하여 알맞은 렌즈를 제작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의 목적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다음 기재내용으로부터 더욱 충분히 명백해질 것이다.
제15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태양에 있어서, 우리는 예로서 담체렌즈 또는 몸체(CL)의 전면(全面)(I)을 반경이 r1내지 r6인 6개의 동심환상대(conentric annular zones)으로부터 나누어 3중 초점위상 플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어떤 실제 렌즈에 있어서도 대의 수는 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으며 6개의 대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례로서 선택했을 뿐이다.담체렌즈 또는 몸체는 물론 구면 또는 구면-원기둥의 표면(I) 및 (B)를 갖는 광학렌즈 또는 기타 어떠한 적절한 렌즈의 디자인을 결정하는 통상적인 원리에 따라 제조한다. 담체렌즈의 구면, 구면-원기둥면 도는 비구면의 도수(P)는 표준렌즈 공식에 따라 담체렌즈의 전면 및 후면(I) 및 (B)의 곡률, 중심두께(CT) 및 굴절률(n)에 달려있다. 이들 매개변수는 이 3중 초점위상 플레이트 및 이용가능한 재료를 예정대로 사용함으로써 차례로 측정한다. 예를 들면, 후면(B)은 3중 초점위상 플레이트가 안경렌즈로서 사용될 경우 축광학적 수차(aberrations)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성형할 수 있다. 안경, 콘택트렌즈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를 포함하여, 유리, 플라스틱 또는 기타 광학재료와 같은 표준광학재료는 본 태양 및 모든 후속 태양의 렌즈를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렌즈형태에 있어서, 교대용 환상대는 거의 0.319(n-1)(여기에서 n은 담체렌즈의 굴절률이다)파장의 광의 깊이로 균일하게 에칭된다. 이로 인하여 물론 인접 환상대 사이에서 0.319 파장의 광의 위상전이가 일어날 수 있다. 환상대의 공간은 물론 r(k)에 대한 대(zone) 플레이트 공식에 의해 부여된다. 특히, 환상대 사이의 경계를 정하는 반경 r(k)는
Figure kpo00006
(여기에서 k는 1,2,3....이고, 는 고려중인 광의 파장과 동일하며, F는 초점도수를 나타낸다)에 의해 측정한다. 이 경우 나타나는 3중 초점렌즈는 P-F 디옵터, P디옵터 및 P+F 디옵터에서 동일한 상광도(image brightnesses)의 3개의 초점도수를 나타낼 수 있다.
본 태양 및 모든 후속 태양의 새롭고 중요한 특징은 렌즈의 표면에 에칭된 단(step)의 특정한 깊이에 의해 측정되는 상광도의 비율이다. 이 경우의 깊이는 (b/360) *λ/(n-1)(여기에서 b는 위상변화도이다)로 나타난다. 이경우에 b는 114.84。이고, 상기한 바와같이 다음 방정식으로부터 결정한다 :
Z1 2(0)+Z2 2(0)-2*Z1(0)*Z2(0)*COS [a(0)+b]=Z12+Z22(1)-2*Z1(1)*Z2(1)*COS[a(1)+b].
물론 상이한 값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나타날 것이다.
이온주입법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또하나의 태양은 제16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대는 담체렌즈(CL)의 표면에 주입된 이온에 의해 성형시킴으로써 담체렌즈의 굴절률은 n으로부터 n1으로 변화시킨다. 주입의 깊이는 방정식 (b/360*)λ/(n-n1)로 표시한다. 이 경우 블레이즈(blazes)는 0.5/(n-1) 파장 깊이이며, 단 (steps)는 0.319/(n-1)파장의 깊이이고, 이때 n은 담체렌즈(CL)의 굴절률이다. 담체렌즈는 전면(I), 후면(B) 및 초점도수 P를 갖도록 고안되었다. 환상대의 반경r(k)는 디자인 파장λ를 갖는식
Figure kpo00007
에 의해 측정한다. 이 렌즈의 3중 초점도수는 , P, P+F/2 및 P+F이다.
증발도금법(evaporation plating technique)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또하나의 태양은 제17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대는 담체렌즈(CL)의 표면에 추가의 재료D를 도금시켜 성형시킴으로써 담체렌즈를 통과하는 광을 증가시킨다. 이 경우 우리는 렌즈(CL)가 거울(M)에 결합된 복합렌즈-거울계를 볼 수 있으며, 도금의 두께는 (b/720)*λ/(n1-1)(여기에서 n1은 도금 재료의 굴절률이다)으로 표시된다.
물론, 전술한 기재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관한 것일뿐이며,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언급된 본 발명의 의미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식 또는 변경을 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7)

  1. 반복단(repetitive step)이 단면중에 혼입되고 1/2파장내외의 광로길이를 나타내며, 다음식에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는 다수의 환상동심대를 갖는 다초점단면의 위상 플레이트 :
    Figure kpo00008
    상기식에서, r(k)는 대반경이고, K는 대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광학 굴절성 재료를 함유하는 몸체장치를 포함하는 광학장치의 일부인 다초점 단면의 위상 플레이트.
  3. 제2항에 있어서, 위상전이 장치가 적어도 약간의 환상대중에 제공되고, 위상전이장치가 그것이 혼입되는 전체대를 필수적으로 가로질러 광로길이에 거의 일정한 전이를 야기시키는 단기성특성(step function nature)을 갖는 다초점단면의 위상 플레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위상전이장치가 몸체장치중 도려낸 부분인 다초점단면의 위상플레이트.
  5. 제3항에 있어서, 위상전이장치가 모든 교대용대(alternate zone)를 점유하는 다초점 단면의 위상 플레이트.
  6. 제3항에 있어서, 위상전이장치를 조정하여 몸체장치의 각 초점에서 동일한 상광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한 다초점 단면의 위상 플레이트.
  7. 제3항에 있어서, 위상전이가 조정되어 몸체장치의 각 초점에서 동일한 상광도를 갖는 3중 초점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한 다초점 단면의 위상 플레이트.
  8. 제3항에 있어서, 위상전이가 조정되어 렌즈로 하여금 특정한 파장의 광을 선택적으로 모을 수 있도록 한 다초점 단면의 위상 플레이트.
  9. 제3항에 있어서, 위상전이가 조정되어 블레이즈 또는 단의 최대 깊이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다초점 단면의 위상 플레이트.
  10. 제3항에 있어서, 광학장치가 콘택트렌즈로서 디자인된 다초점단면의 위상 플레이트.
  11. 제3항에 있어서, 광학장치가 안정렌즈로서 디자인된 다초점단면의 위상 플레이트.
  12. 제3항에 있어서, 광학장치가 안내(itraocular) 삽입렌즈로서 디자인된 다초점 단면의 위상 플레이트.
  13. 제3항에 있어서, 광학장치가 거울로서 디자인된 다초점단면의 위상 플레이트.
  14. 제3항에 있어서, 위상전이장치가 삽입된 오염물과 함께 몸체장치를 포함하여 목적하는 위상전이를 일으키는 다초점 단면의 위상 플레이트.
  15. 제1항에 있어서, 가시광 범위에서 다초점렌즈로서 작동하도록 디자인된 다초점 단면의 위상 플레이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위상 플레이트의 몸체장치가 콘택트렌즈로서 디자인된 다초점단면의 위상 플레이트.
  17. 제15항에 있어서, 위상 플레이트의 몸체장치가 카메라렌즈로서 디자인된 다초점 단면의 위상 플레이트.
KR1019880014728A 1988-11-10 1988-11-10 다초점 단면의 위상플레이트 KR0133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4728A KR0133917B1 (ko) 1988-11-10 1988-11-10 다초점 단면의 위상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4728A KR0133917B1 (ko) 1988-11-10 1988-11-10 다초점 단면의 위상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300A KR900008300A (ko) 1990-06-03
KR0133917B1 true KR0133917B1 (ko) 1998-04-20

Family

ID=19279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4728A KR0133917B1 (ko) 1988-11-10 1988-11-10 다초점 단면의 위상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9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3868B2 (en) 2020-06-01 2024-04-23 Ast Products, Inc. Double-sided aspheric diffractive multifocal lens, manufacture, and uses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3868B2 (en) 2020-06-01 2024-04-23 Ast Products, Inc. Double-sided aspheric diffractive multifocal lens, manufacture, and us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300A (ko) 199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7000A (en) Multifocals using phase shifting
EP0393639B1 (en) Small aperture multifocal
US4210391A (en) Multifocal zone plate
US5260727A (en) Wide depth of focus intraocular and contact lenses
CA2378730C (en) Multifocal lens exhibiting diffractive and refractive powers
FI79619C (fi) Intraokulaer lins.
US5344447A (en) Diffractive trifocal intra-ocular lens design
CA2110844C (en) Pupil-tuned multifocal ophthalmic lens
KR0124540B1 (ko) 다중 촛점식 복굴절 렌즈 시스템
KR0141607B1 (ko) 회절성 다초점 광학부재
AU2012258064C1 (en) Lens with an extended focal range
CA2110847C (en) Multifocal ophthalmic lens pair
KR0133919B1 (ko) 회절성 다초점 광학성분
US6325510B1 (en) Progressive multifocal lens construction for eyeglasses
US20110082541A1 (en) Optical method and system for extended depth of focus
US20140211313A1 (en) Lens having an extended range of focu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IE922242A1 (en) Segmented multifocal contact lens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899296B2 (ja) 多焦点位相板の製造方法
KR0133917B1 (ko) 다초점 단면의 위상플레이트
CN1021990C (zh) 采用相移阶梯的多焦镜片
IE68759B1 (en) Multifocals using phase shifting steps
CN208999588U (zh) 一种用于成像的位相编码菲涅尔透镜
KR20230042299A (ko) 다초점 렌즈
AU2004202353B2 (en) Multifocal Lens Exhibiting Diffractive and Refractive Powers
Fry Sources suitable for use in illuminating visual acuity cha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