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724Y1 - 오디오 변환회로 - Google Patents

오디오 변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724Y1
KR0133724Y1 KR2019940001751U KR19940001751U KR0133724Y1 KR 0133724 Y1 KR0133724 Y1 KR 0133724Y1 KR 2019940001751 U KR2019940001751 U KR 2019940001751U KR 19940001751 U KR19940001751 U KR 19940001751U KR 0133724 Y1 KR0133724 Y1 KR 01337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output
voltage
mhz
controlled oscil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17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4037U (ko
Inventor
김진복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017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724Y1/ko
Publication of KR9500240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40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7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7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Landscapes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오디오 중간 주파수를 소정의 하이 주파수로 변환하여 인접 주파수로 인한 혼신의 영향을 줄이는 오디오 변환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 고안은 헤드 엔드에서 제공되는 채널 주파수를 소정 레벨로 증폭시키는 고주파 증폭부와, 상기 고주파 증폭부의 출력 주파수와 발진 주파수를 혼합하여 양 신호의 차 주파수 성분을 출력하는 믹서와, 상기 믹서의 출력 주파수에서 소정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는 중간 주파수 필터와, 상기 중간 주파수 필터의 출력에서 데이터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검출부와, 입력되는 직류전압에 따라 변화되는 바렉터 다이오드의 용량 및 코일 값으로 발진 주파수를 가변시켜 상기 믹서로 출력하는 전압 제어발진기와, 기준 주파수와 상기 전압 제어발진기에서 피드백되는 비교 주파수의 위상차를 직류전압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로 출력하는 위상 동기 루프회로와, 유저가채널을 선국했을 때 상기 검출부로 부터 피드백 되는 자동 파인 튜닝 전압으로 에러를 검출하여 '+', '-' 방향으로 채널 주파수 값을 변화시켜 상기 위상 동기 루프회로로 출력하는 마이콤으로 구성되어, 오디오 중간 주파수를 소정의 하이주파수로 변환하여 인접 주파수에 서브 캐리어를 두지 않도록 함으로써 혼신의 영향을 줄이고, 또한, 오디오 서브 캐리어가 틀어지거나 발진 주파수가 틀어져도 AFT 해줌으로써 틀어짐을 보상하여 양호한 음질을 들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오디오 변환회로
제1도는 종래의 오디오 변환회로의 블록도.
제2도는 이 고안에 따른 오디오 변환회로의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주파 증폭부 30 : 믹서
40 : 중간 주파수 필터 50 : 검출부
60 : 전압 제어 발진기 70 : PLL회로
71 : 전치 증폭부 72 : 프리스케일러
73 : 레지스터 편이부 74 : 데이터 래치부
75 : 카운터부 76 : 발진기
77 : 비교부 78 : 로우 패스 필터
80 : 마이콤
이 고안은 오디오 변환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디오중간 주파수를 소정의 하이 주파수로 변환하여 인접 주파수로 인한 혼신의 영향을 줄이는 오디오 변환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이러한 종래의 오디오변환회로의 블록도로서, 방송국과 같은 헤드엔드에서 제공되는 입력 주파수는 고주파 증폭부(10)에서 수신하여 증폭하며, 그 이득은 자동 이득 제어(Auto Gain Control ; AGC) 전압에 의해 제어된 후 믹서(30)로 입력된다. 이때, 발진부(20)에서 발진하는 주파수는 0.5MHz로서 상기 고주파 증폭부(10)를 통해 믹서(30)로 입력되는 주파수가 어떤 서브캐리어이든지 관계없이 상기 발진부(20)에서 믹서(30)로 제공되는 발진 주파수(Fosc)는 0.5㎒가 된다.
따라서, 상기 고주파 증폭부(10) 를 통해 입력되는 주파수(FRF)가 5.5㎒라면 믹서(30) 에서중간 주파수 필터(40) 로 출력되는 주파수(FIF) 는 하기와 같이 3개의 주파수 캐리어가 출력되게 된다.
FIF= FRF± FOSC= 5.5㎒ ± 0.5㎒
= 5.0㎒, 5,5㎒, 6.0㎒
이것은 0.5㎒의 간격으로 인접하게 되며 이때, 중간 주파수 필터(40)의 필터 주파수가얼마냐에 따라서 한 개의 캐리어가 검출부(50)에서 복조되어 출력되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된 제1도는 0.5㎒로 발전하므로 입력되는 주파수를 중심으로 3개의 주파수 즉, 하측파대, 상측파대, 입력 주파수가 출력되고, 이 3개의 주파수는 서로 인접하므로 한 나라에 방송 방식이 2개 이상 전송시(예, 팔(PAL) DK 지역에 B/G 방송까지 수신) 상호 간섭 때문에 검출부에서 노이즈로 복조 되어진다. 이것은 유저의 귀에 험 (Hum) 과 버즈 (Buzz) 로 나타난다.
또한, 헤드 엔드에서 변조되어 제공되는 주파수가 틀어진것(Shift)이 입력되면 틀어진 주파수가 그대로 복조되어 노이즈로 나타난다.
이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오디오 중간 주파수를 소정의 하이주파수로 변환하여 인접 주파수에 서브 캐리어를 두지 않도록 함으로써 혼신의 영향을 줄이고, 또한, 오디오 서브 캐리어가 틀어지거나 발진 주파수가 틀어져도 자동 파인 튜닝(Auto Fine Tunning ; 이하, AFT라 칭함.)을 해줌으로써 틀어짐을 보상하는 오디오 변환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에 따른 오디오 변환회로의 특징은, 헤드 엔드에서 제공되는 채널 주파수를 소정 레벨로 증폭시키는 고주파증폭부와, 상기 고주파증폭부의 출력 주파수와 발진 주파수를 혼합하여 양 신호의 차 주파수 성분을 출력하는 믹서와, 상기 믹서의 출력 주파수에서 소정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는 중간 주파수 필터와, 상기 중간 주파수 필터의 출력에서 데이터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검출부와, 입력되는 직류전압에 따라 변화되는 바렉터다이오드의 용량 및 코일 값으로 발진 주파수를 가변시켜 상기 믹서로 출력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와, 기준 주파수와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에서 피드백되는 비교 주파수의 위상차를 직류 전압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로 출력하는 위상 동기 루프 회로와, 유저가 채널을 선극했을 때 상기 검출부로부터 피드백되는 자동 파인 튜닝 전압으로 에러를 검출하여 '+' , '-' 방향으로 채널 주파수 값을 변화시켜 상기 위상 동기 루프 회로로 출력하는 마이콤으로 구성되는 점에 있다.
이하, 이 고안에 따른 오디오 변환회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이 고안에 따른 오디오 변환회로의 블록도이다.
제2도는 방송국과 같은 헤드 엔드에서 변조되어 제공되는 입력주파수를 수신하여 소정 레벨로 증폭시키고 그 이득은 AGC 전압에 의해 제어되는 고주파증폭부(10)와, 상기 고주파 증폭부(10)의 출력주파수(FRF) 와 전압 제어 발진기(60)에서 출력되는 발진주파수 (FOSC) 를 혼합하여 양 신호의 차 주파수 성분을 출력하는 믹서(30) 와, 상기 믹서(30) 의 출력 주파수(FIF) 에서 소정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는 중간 주파수 필터(40)와, 상기 중간 주파수 필터(40)의 출력 주파수에서 채널 데이터를 복조하여 출력하고 AFT데이타를 피드백시키는 검출부(50)와, 입력되는 직류전압(DC)에 따른 바렉터 다이오드 (Varector Diode)의 용량 변화 및 코일 값으로 발진 주파수를 가변시켜 상기 믹서(30)로 출력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60)와, 기준 주파수와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60)에서 제공되는 비교 주파수의 위상차를 DC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60)로 출력하는 위상 동기 루프 (Phase Lock Loop ; 이하, PLL 이라 칭함.) 회로(70)와, 유저가 채널을 선국했을 때 상기검출부(50)로부터 피드백되는 AFT 전압으로 에러를 검출하여 '+' , '-' 방향으로 채널 주파수 값을 변화시켜 상기 PLL 회로(70)로 출력하는 마이콤(8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PLL 회로(70)는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60)에서 피드백되는 비교 주파수를 증폭하는 전치 증폭부(71)와, 상기 전치 증폭부(71)의 출력을 1/M로 분주하는 프리스케일러(72)와, 상기 마이콤(80)의 출력을 편이시키는 레지스터 편이부(73)와, 상기 레지스터 편이부(73)의 출력 데이터를 소정 시간 래치시키는 데이터 래치부(74)와, 상기 데이터 래치부(74)의 출력에 따라 프리스케일러(72)의 출력을 소정 값으로 분주하는 카운터부(75)와, 상기 카운터부(75)에서 출력되는 비교 주파수와 발진기(76)에서 출력되는 기준 주파수(Fref)의 위상을 비교하고 그 위상차를 출력하는 비교부(77)와, 상기 비교부(77)의 출력을 직류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60)로 출력하는 로우 패스 필터(78)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이 고안은 방송국과 같은 헤드 엔드에서 변조되어 제공되는 입력 주파수가 고주파 증폭부(10)에서 수신되어믹서(30)가 원하는 게인으로 증폭되고, 그 이득은 AGC전압에 의해 제어되어 믹서(30)로 출력된다. 이때, 밴드는 4.3∼6.8㎒이다.
그리고, 상기 믹서(30)는 중간 주파수 필터(40)가 10.7㎒만 통과시키기 위해서 고주파증폭부(10)에서 입력되는 주파수(FRF)와 전압 제어 발진기(60)에서 입력되는 발진 주파수(FOSC)를 믹서한다. 따라서, 믹서(30)의 출력단에는 FOSC- FRF, FOSC+ FRF, FOSC, FIF등의 주파수가나타난다.
이때, 상기 믹서(30)는 10.7㎒일 때 증폭두(Av)를 가장 키우므로 기타 밴드에서 나타나는 게인을 다운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중간 주파수 필터(40)는 상기믹서(30)의 출력중 10.7㎒ 정보만 통과시킨다. 이때, 오디오 편이 주파수에 따라 필터의 밴드폭을 결정하여야한다.(예, ±50㎒이 경우 110㎒ 필터)
이때, 상기 중간 주파수 필터(40)의 출력단에 연결된 검출부(50)에는 AFT 기능을 주어 고주파 증폭부(10), 믹서(30) 및 중간 주파수 필터(40)등에 의해 틀어지는 요소를 다이 마이콤(80)으로 피드백하고 발진 주파수(FOSC)를 변화시켜 록킹시켜주므로 신호 및 기기에서 틀어지는 문제까지 잡아갈 수 있다.
이는 상기마이콤(80)의 제어에 의해 분주된 일정 값을 록킹 범위내에서 AFT시켜 최고의 음질 포인트를 검파할 수있게 한다.
그리고, 전압 제어 발진기(60)에서는 PLL 회로(70)의 로우 패스필터(78)에서 출력되는 Vr전압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바렉터다이오드의 용량 및 코일 값으로 발진 주파수(FOSC)를 결정하여 상기믹서(30)로 출력한다.
이때, 발진 주파수(FOSC) 범위는 오디오 서브 캐리어가 존재하는 밴드(4.5∼6.5㎒)로 발전되어야하므로 바렉터 다이오드와 코일 선정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또, 4.5∼6.5㎒의 밴드지만 -3dB(주파수 마진)를 고려하여 4.3∼6.8㎒ 주파수 밴드 정도로 잡아줘야 한다.
이때, 상기 PLL 회로(70)에서 출력되는 Vr전압은 주파수별(4.5, 5.0, 5.5, 6.0, 6.5㎒)로 전압폭을 넓히므로 주파수 변화를 작게 가져갈 수 있다.
즉, 발진 주파수(FOSC)는 FRF+ FIF로서,
FOSC(로우) = 4.3㎒ + 10.7㎒ = 15.0㎒(로우)
FOSC(하이) = 6.8㎒ + 10.7㎒ = 17.5㎒(하이)가 된다
따라서, 15.0∼17.5㎒까지 PLL 회로(70)의 출력전압(Vr) 에 따라 발진 주파수(FOSC)가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상기 PLL 회로(70)는 주파수 신서사이즈 방식이다.
즉, 상기 전압 제어발진기(60)의 출력은 PLL 회로(70)의 전치증폭부(71)에서 전치 증폭되고 프리스케일러(72)에서 1/N로 가변분주(Programmable Divide),된 후 카운터부(75)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마이콤(80)에서는 유저가 원하는 채널을 선국했을 때 채널 데이터를 레지스터 편이부(73)로 출력하여 선택된 채널을 튜닝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검출부(50)에서 피드백되는 AFT의 전압으로 에러를 검출하여 '+', '-' 방향으로 채널 데이터 값을 변화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레지스터 편이부(73)의 출력을 데이터 래치부(74)에서 소정 시간 래치시킨 후 카운터부(75)로 출력한다.
상기 카운터부(75)는 상기 데이터 래치부(74)의 출력에 따라 상기 프리스케일러(72)의 출력을 다시 1/N로 가변 분주하여 비교부(77)로 출력한다.
상기 비교부(77)에서는 상기 카운터부(75)의 비교 주파수와 발진기(76)에서 출력되는 기준 주파수(Fref) (4㎒)의 위상을 비교하고 위상차인 에러 전압을 로우 패스 필터(78)로 출력한다. 이때, 에러 전압의 양으로 Vr전압을 발진하여, Vr전압은 방송방식(NT, PAL B/G, DK…)에 따라 로우 패스필터(78)에서 슬라이스(예, 4.5㎒ = 5V, 5.0㎒ = 6V …)되어진다.
그리고, 슬라이스된 전압에 따라 전압 제어 발진기(60)에서는 바렉터 다이오드의 용량성을 이용하여 발진 주파수(FOSC)를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압 제어발진기(60)의 출력은 믹서(30)로 출력됨과 동시에 전치 증폭부(71)로 피드백되어서 기준 주파수와 위상 비교되어 에러분을 보상해준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에 따른 오디오 변환회로에 의하면, 오디오 중간 주파수를 소정의 하이주파수로 변환하여 인접 주파수에 서브 캐리어를 두지 않도록 함으로써 혼신의 영향을줄이고, 또한, 오디오 서브 캐리어가 틀어지거나 발진 주파수가 틀어져도 AFT 해줌으로써 틀어짐을 보상하여 양호한 음질을 들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헤드 앤드에서 제공되는 채널 주파수를 소정 레벨로 증폭시키는 고주파증폭부와, 상기 고주파 증폭부의 출력 주파수와 발진 주파수를 혼합하여 양 신호의 차 주파수 성분을 출력하는 믹서와, 상기믹서의출력 주파수에서 소정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는 중간 주파수 필터와, 상기 중간 주파수 필터의 출력에서 데이터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검출부와, 입력되는 직류전압에 따라 변화되는 바렉터다이오드 용량 및 코일 값으로 발전 주파수를 가변시켜 상기 믹서로 출력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와, 기준 주파수와 상기 전압 제어발진기에서 피드백되는 비교 주파수의 위상차를 직류 전압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로 출력하는 위상 동기 루프회로와, 유저가채널을 선곡했을 때 상기 검출부로부터 피드백되는 자동 파인 튜닝 전압으로 에러를 검출하여 '+' , '-' 방향으로 채널 주파수 값을 변화시켜 상기 위상 동기루프회로로 출력하는 마이콤으로 구성되는 오디오 변환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증폭부의 밴드는, 4.3∼6.8㎒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변환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주파수 필터는, 10.7㎒의 정보만을 통과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변환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는, 상기위상 동기 루프회로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압 값에 따라 15.0㎒(4.3㎒+10.7㎒)에서 17.5㎒(6.8㎒+10.7㎒)까지 발진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변환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동기 루프회로는,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에서 피드백되는 비교 주파수를 증폭하는 전치 증폭부와, 상기 전치 증폭부의 출력을 소정 값으로 가변 분주하는 프리스케일러와, 상기 마이콤의 출력을 편이시키는 레지스터 편이부와, 상기 레지스터 편이부의 출력 데이터를 소정 시간 래치시키는 데이터 래치부와, 상기 데이터 래치부의 출력에 따라 프리스케일러의 출력을 소정 값으로 가변 분주하는 카운터부와, 상기 카운터부에서 출력되는 비교 주파수와 발진기에서 출력되는 기준 주파수의 위상을 비교하고 그 위상차를 출력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의 출력을 직류전압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로 출력하는 로우 패스 필터로 구성되는 오디오 변환회로.
KR2019940001751U 1994-01-31 1994-01-31 오디오 변환회로 KR01337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1751U KR0133724Y1 (ko) 1994-01-31 1994-01-31 오디오 변환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1751U KR0133724Y1 (ko) 1994-01-31 1994-01-31 오디오 변환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037U KR950024037U (ko) 1995-08-23
KR0133724Y1 true KR0133724Y1 (ko) 1999-03-30

Family

ID=19376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1751U KR0133724Y1 (ko) 1994-01-31 1994-01-31 오디오 변환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7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037U (ko) 1995-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4236A (en) Tuner circuit
US6725463B1 (en) Dual mode tuner for co-existing digital and analog television signals
EP0618676B1 (en) Tunable device
KR920002046B1 (ko) 수신장치
US5600680A (en) High frequency receiving apparatus
US7787835B2 (en) Radio receiver and radio transmitter
JP2729028B2 (ja) Fm搬送波の復調方法および復調回路
JPH11355810A (ja) 計測用受信器
US20010027092A1 (en) Phase locked loop system
EP0645882B1 (en) Demodulation of FM carrier
EP0221189B1 (en) Electronically tunable fm receiver
US20070146550A1 (en) Receiving circuit, receiving apparatus, and receiving method
US3939424A (en) Radio receiver with a phase locked loop for a demodulator
CA2020387C (en) Station selecting apparatus
CA2118810C (en) Radio having a combined pll and afc loop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6396550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ecision tuning, and method and device for matching vestigial sideband signal in television
KR0133724Y1 (ko) 오디오 변환회로
EP0519562B1 (en) Phase-locked loop receiver
KR960000141B1 (ko) 업컨버젼을 이용한 라디오파 수신회로
JP3529644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のチューナ回路
US5175881A (en) Fm signal detection apparatus with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connected to phase detector input terminal
JP2003198365A (ja) 発振回路、pll回路及びこれらを用いた受信機
JPH08289221A (ja) デジタルアナログ共用チューナ
KR0162437B1 (ko) 디지탈 위성방송 수신기의 주파수 자동 미세 조정장치 및 방법
JPH0946184A (ja) 自動選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