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681Y1 - 메모리카드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메모리카드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681Y1
KR0133681Y1 KR2019950011937U KR19950011937U KR0133681Y1 KR 0133681 Y1 KR0133681 Y1 KR 0133681Y1 KR 2019950011937 U KR2019950011937 U KR 2019950011937U KR 19950011937 U KR19950011937 U KR 19950011937U KR 0133681 Y1 KR0133681 Y1 KR 01336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ard
connection
connector
connection terminal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1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8375U (ko
Inventor
문종학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11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681Y1/ko
Publication of KR9600383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83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6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6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에서 표준으로 정한 메모리카드를 사용하는 컴퓨터 또는 노데크플레이어(No Deck Player)등의 메모리카드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메모리카드의 취출 및 삽입동작이 부드럽게 하여 상품적 가치를 높이고, 메모리카드를 노데크플레이어에 장시간 삽입 및 취출 했을 때 메모리카드와 노데크플레이어가 단락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메모리카드를 본체에 연결할 때 핀을 구멍에 삽입시켜 연결하지 않고, 메모리카드에설치된 컨넥터에 탄성과 전도성을 가진 제2접속단자를 설치하고 자성을 가진 접속판에 제1접속단자를 설치하여 제2접속단자와 제2접속단자가 접촉 연결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메모리카드 접속장치
제1도는 종래의 노데크플레이어에서 사용하는 메모리카드 접속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메모리카드 접속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일부절제 자시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노데크플레이어 13 : 삽입구멍
12 : 메모리카드 14 : 제1접속단자
17 : 접속구멍 18 : 푸시로드
19 : 록커아암 30 : 접속판
31 : 컨넥터 32 : 컨넥터핀
33 : 제2접속단자
본 고안은 카드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에서 표준으로 정한 메모리카드를 사용하는 컴퓨터 또는 노데크플레이어(No Deck Player)등의 메모리카드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PCMCIA는 1989년에 창설하여 54mm×85.6mm 크기의 카드에 두께가 3.3mm, 5.0mm, 10.5mm 세가지 형의 카드를 표준으로 정하였다. 3.3mm타입에는 S램카드와 플레시메모리카드가 있으며, 5.0mm 타입에는 모뎀카드, LAN카드, 플레시메모리카드 있으며, 10.5mm 타입에는 HDD카드와 무선통신장치카드가 있다.
이러한 PCMCIA카드를 사용하는 장비에는 퍼스널 컴퓨터, 노데크플레이어 등이 있다. 퍼스널 컴퓨터 특히 노트북(Note Book)에서는 메모리카드 등을 접속시켜 간단하고 편리하게 그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어 많이 이용될 전망이다. 그리고, 휴대하여 사용하는 미니카세트 대용으로 개발된 노데크플레이어는 기록매체를 로딩하는 데크가 없고 단지 PCMCIA 카드를 접속하여 기록매체로 사용하기 때문에 견고한 소형제품으로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컴팩트디스크 수준의 좋은 음질을 재생할 수 있어 향후 많이 이용될 전망이다.
제1도는 종래의 노데크플레이어에서 사용하는 메모리카드 접속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노데크플레이어(1)에는 메모리카드(2)가 삽입되는 삽입구멍(3)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삽입구멍(3)의 내측에는 내부 회로와 연결된 핀(4)들이 2줄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화살표(5)는 메모리카드(2)를 노데크플레이어(1)의 삽입구멍(3)에 삽입하는 방향을 표시하며, 메모리카드(2) 삽입방향 전면(6)에는 상기핀(4)이 삽입되는 접속구멍(7)이 마련되어 있다. 각 접속구멍(7)의 내부에는 판스프링(8)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판스프링(8)은 메모리카드(2)의 내부에 설치된 메모리와 연결되어 있다.
노데크플레이어(1)에는 삽입구멍(3)에 삽입된 메모리카드(2)를 취출하는 취출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이 취출수단은 외부에서 내부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푸시로드(9)의 일측에는 사람의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노브가 설치되어 있다. 푸시로드(9)의 타측에는 록커아암(10)이 힌지 연결되어 있다. 록커아암(10)의 중심부는 록커아암(10)이 회전가능하게 본체에 고정되며, 록카아암(10)의 타측은 삽입구멍(3)에 삽입된 메모리카드(2)를 취출할 수 있도록 구부러져 있다.
메모리카드(2)를 노데크플레이어(1)의 삽입구멍(3)에 삽입하면 메모리카드(2)는 삽입구멍(3)의 내측으로 전진하여 삽입구멍(3)의 내측에 마련된 핀(4)에 접속된다. 삽입구멍(3)의 내측에 마련된 핀(4)이 메모리카드(2)에 마련된 접속구멍(3)에 삽입될 때는 핀(4)은 접속구멍(7) 내부에 설치된 판스프링(8)을 접속구멍의 벽쪽으로 밀면서 삽입되기 때문에 판스프링(8)이 그 반대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핀(4)과 판스프링(7)이 단락될 위험은 없다.
그러나 핀(4)이 메모리카드(2)에 마련된 접속구멍(3)에 삽입될 때는 각 핀(4)과 각 접속구멍(7)의 내부에 설치된 판스프링(8) 사이에 마찰력이 각가 발생하여 삽입 및 취출 동작이 부드럽지 못하며, 메모리카드가 적절하게 삽입되었는지 명확하게 알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노데크플레이어는 여러종류의 노래가 저장된 메모리 카드를 자주 취출 및 삽입하면서 이용하기 때문에 메모리카드(3)를 삽입구멍(3)에 장시간에 걸쳐서 여러번 삽입 및 취출하면 판스프링(8)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핀(4)과 판스프링(8) 사이가 단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메모리카드의 취출 및 삽입동작이 부드럽게 하여 상품적 가치를 높이고, 메모리카드를 노데크플레이어에 장시간 삽입 및 취출 했을 때 메모리카드와 노데크프레레이어가 단락되는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메모리카드 접속장치는;
몸체에 형성된 삽입구멍에 삽입된 메모리카드를 내부에서 외부로 밀어 취출시키는 취출수단을 구비한 메모리카드 접속장치에 있어서,
자성을 가지고 상기 삽입구멍 내측에 설치된 접속판과,
상기 접속판에 설치되어 내부회로와 연결된 다수개의 제1접속단자와,
상기 메모리카드에 설치되어 상기 접속판과 접촉결합하는 컨넥터와,
상기 컨넥터에 설치되며 메모리카드의 메모리와 연결된 제2접속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속판 및 상기 컨넥터중 적어도 하나가 자성을 가져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접속단자 및 제2접속단자 중 적어도 하나가 탄성과 전도성을 가진 고무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카드를 본체에 연결할 때 핀을 구멍에 삽입시켜 연결하지 않고, 제2접속단자를 제1접속단자에 접촉시켜 연결하였다. 따라서, 메모리카드의 추출 및 삽입동작이 부드러워 상품적 가치가 높아진다. 그리고, 메모리카드를 노데크플레이어에 장시간 삽입 및 취출 했을 때 메모리카드와 노데크플레이어가 단락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메모리카드 접속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일부절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노데크플레이어(11)에는 메모리카드(12)가 삽입되는 삽입구멍(13)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삽입구멍(13)의 내측에는 자성을 가진 접속판(3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속판(30)에는 내부 회로와 연결된 제2접속단자(14)들이 2줄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화살표(15)는 메모리카드(12)를 노데크플레이어(11)의 삽입구멍(13)에 삽입하는 방향을 표시한다. 메모리카드(12) 삽입방향 전면(16)에는 접속구멍(17)이 상기 제1접속단자(14)와 대응하여 두 줄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노데크플레어어(11)에는 삽입구멍(13)에 삽입된 메모리카드(12)를 취출하는 취출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이 취출수단은 외부에서 내부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푸시로드(18)의 일측에는 사람의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노브(35)가 설치되어 있다. 푸시로드(18)의 타측에는 록커아암(19)이 힌지 연결되어 있다. 록커아암(19)의 중심부는 회전가능하게 본체에 고정되며, 록커아암(19)의 타측은 삽입구멍(13)에 삽입된 메모리카드(12)를 취출할 수 있도록 구부러져 있다.
상기 접속구멍(17)이 형성된 전면(16)에는 컨넥터(31)가 설치되며, 이 컨넥터(31)에는 컨넥터핀(3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컨넥터핀(32)의 일단은 컨넥터(31)에 고정되어 제2접속단자(33)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메모리카드(12)의 전면에 형성된 접속구멍(17)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2접속단자(33)는 탄성을 가진 전도성 고무로서, 제1접속단자(14)와 대응하여 두 줄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으며, 컨넥터(31)에서 돌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메모리카드 접속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메모리카드(12)의 접속구멍(17)에 컨넥터(31)를 접속시킨다. 그리고 메모리카드(12)를 노데크플레이어(11)의 삽입구멍멍(13)에 삽입한다. 삽입되는 메모리카드(12)는 삽입구멍멍(13)의 안내를 받아 전진하여 접속판(30)에 접촉된다. 이때 접속판(30)이 자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접속판(30)은 메모리카드(12)에 설치된 컨넥터(31)와 접촉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접속판(30)과 컨넥터(31)가 접촉하고 있을 때 접속판(30)에 설치된 제1접속단자(14)와 컨넥터(31)에 설치된 제2접속단자(33)는 접촉되며, 제2접속단자(33)의 재질이 전기가 통하고 탄성이 있는 고무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단락의 염려는 없다.
삽입된 메모리카드(12)를 취출하기 위하여 노브(35)를 누르면 푸시로드(18)는 화살포 a방향으로 움직여 록커아암(19)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록커아암(19)은 메모리카드(12)에 설치된 컨넥터(31)를 밀어 메모리카드(12)가 취출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접속판이 자성을 가져 컨넥터와 접속된다고 기술하였으나, 접속판고 컨넥터 중 적어도 하나가 자성을 가져 자력에

Claims (1)

  1. 메모리카드가 삽입되는 삽입구멍과,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된 메모리카드를 내부에서 외부로 밀어 취출시키는 취출수단을 구비한 메모리카드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멍 내특에 설치된 접속판과, 상기 접속판에 설치되어 내부회로와 연결된 다수개의 제1접속단자와, 상기 메모리카드에 설치되어 상기 접속판과 접촉하는 컨넥터와, 상기 컨넥터에 설치되며 메모리카드의 메모리와 연결된 제2접속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접속판 및 상기 컨넥터 중 적어도 하나가 자성을 가져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제1접속단자 및 제2접속단자 중 적어도 하나가 자력, 탄성, 전도성을 가진 고무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카드 접속장치.
KR2019950011937U 1995-05-30 1995-05-30 메모리카드 접속장치 KR01336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1937U KR0133681Y1 (ko) 1995-05-30 1995-05-30 메모리카드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1937U KR0133681Y1 (ko) 1995-05-30 1995-05-30 메모리카드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375U KR960038375U (ko) 1996-12-18
KR0133681Y1 true KR0133681Y1 (ko) 1999-01-15

Family

ID=19414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1937U KR0133681Y1 (ko) 1995-05-30 1995-05-30 메모리카드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68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467B1 (ko) * 1999-01-23 2002-08-22 안준철 문자데이터 재생 기능을 갖는 오디오플레이어
KR100359801B1 (ko) * 1999-09-11 2002-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엠피3 휴대폰
KR100360901B1 (ko) * 1999-12-18 2002-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착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375U (ko) 1996-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5478A (en) Memory card tray for portable computer
US6527590B2 (en) Card connector having overstroke for card mounting position
US6761572B1 (en) Mini memory card connector
US20080102680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background of the invention
US6835100B1 (en) Multi-in-one connector structure
US6764327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end position switch
US6761320B1 (en) Connector structure for multi-storage media
JP2002100440A (ja) カードコネクタおよび弾性コンタクト片
EP1508874B1 (en) Memory card connector
US7377814B2 (en) Card connector
CN100370655C (zh) 存储卡用连接器
US6839431B2 (en) Card connector
US20070155210A1 (en) Memory card connector with card eject mechanism
US5860828A (en) PCMCIA card connector that minimizes bent contact pins
US6447313B1 (en) IC card connector
US5427534A (en) Connector with side-swipe contacts
KR0133681Y1 (ko) 메모리카드 접속장치
US7497727B2 (en) Card connector
JP2986061B2 (ja) Icカードとソケットとの間の電極接続構造
KR0133714Y1 (ko) 저장제어카드 접속장치
KR0133713Y1 (ko) 저장제어카드 접속장치
US6071134A (en) Card connector ejector mechanism with retractable push button
JP4527887B2 (ja) カードコネクタの誤挿入防止装置
JP2002110291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US6942513B2 (en) Card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