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515Y1 - 유량조절용 콘트롤밸브 - Google Patents

유량조절용 콘트롤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515Y1
KR0133515Y1 KR2019950004923U KR19950004923U KR0133515Y1 KR 0133515 Y1 KR0133515 Y1 KR 0133515Y1 KR 2019950004923 U KR2019950004923 U KR 2019950004923U KR 19950004923 U KR19950004923 U KR 19950004923U KR 0133515 Y1 KR0133515 Y1 KR 01335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diaphragm
plate
control valv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49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1967U (ko
Inventor
유형근
Original Assignee
권태웅
엘지하니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웅, 엘지하니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태웅
Priority to KR20199500049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515Y1/ko
Publication of KR9600319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19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5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5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F16K7/14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arranged to be deformed against a flat seat
    • F16K7/17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arranged to be deformed against a flat seat the diaphragm being actuated by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36Diaphragm cut-of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 F16K31/126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one side of the diaphragm being spring loa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압식 엑튜에이터(Actuator) 구동으로 관로(管路)상의 유량을 조절하는 콘트롤밸브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미세한 유량의 조절에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상,하부케이스(1a)(1b)에 설치된 다이아프램(2)에 스템(4)을 고정하여 다이아프램의 변형에 따라 스템이 승,하강하면서 바디의 유로를 개폐시키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스템(4)의 상부에 환형의 걸림턱(6a)을 갖는 플레이트(6)를 고정하고 상기 상부케이스(1a)와 플레이트(6) 사이에는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복수개의 스프링(8)을 설치하여 각 스프링(8)의 하단면이 걸림턱(6a)에 걸려 지지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유량조절용 콘트롤밸브
제1도는 종래의 콘트롤밸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써,
(a)는 스템이 하사점에 위치된 상태도.
(b)는 스템이 상사점에 위치된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콘트롤밸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써,
(a)는 스템이 하사점에 위치된 상태도.
(b)는 스템이 상사점에 위치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 상부케이스 1b : 하부케이스
2 : 다이아프램 4 : 스템
6 : 플레이트 6a : 걸림턱
8 : 스프링
본 고안은 공압식 액튜에이터(Actuator) 구동으로 관로(管路)상의 유량을 조절하는 콘트롤밸브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미세한 유량의 조절에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첨부도면 제1도는 종래의 콘트롤밸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써, 엑튜에이터의 구동원인 공기가 케이스의 하부에서 유입되는 리버스(Reverse) 타입을 일 실시예로 나타낸 것이다.
분할 형성된 상,하부 케이스(1a)(1b)와, 상기 상,하부케이스의 내부를 구획하는 고무재질의 다이아프램(2)과, 상기 다이아프램에 끼워짐과 동시에 하방으로 노출되어 하부케이스(1b)에 형성된 구멍(3)을 통해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상승하면서 바디의 유로(도시는 생략함)를 개방하는 스템(4)과, 상기 다이아프램의 상측으로 위치되게 스템의 상단에 너트(5)로 고정되는 원판형상의 플레이트(6)와, 상기 플레이트와 상부케이스(1a) 사이에 위치되어 다이아프램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복수개(통상 4개)의 스프링(7)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부케이스(1a)(1b)의 내부에 공기압이 작용되지 않으면 제2도의 (a)와 같이 상부케이스(1a)와 플레이트(6)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스프링(7)에 의해 스템(4)이 하사점에 위치되므로 스템의 하단에 고정된 밸브(도시는 생략함)가 바디의 유로를 폐쇄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바디의 유로를 개방시키기 위해 하부케이스(1b)에 형성된 구멍(3)을 통해 공기를 유입시키면 유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다이아프램(2)이 제2도의 (b)와 같이 상측으로 변형되면서 스템(4)을 상승시키게 되므로 상부케이스(1a)와 플레이트(6)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스프링(7)이 압축됨과 동시에 바디의 유로가 개방된다.
그후, 케이스의 내부에 공기의 공급을 중단하면 공기압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7)이 초기 상태로 복원하면서 스템(4)을 제2도의 (a)와 같이 하강시키게 되므로 바디의 유로가 폐쇄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스템이 항상 중심선과 일치된 상태로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상,하부케이스에 설치된 다이아프램에 스템을 고정하여 다이아프램의 변형에 따라 스템이 승,하강하면서 바디의 유로를 개폐시키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스템의 상부에 환형의 걸림턱을 갖는 플레이트를 고정하고 상기 상부케이스와 플레이트사이에는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복수개의 스프링을 설치하여 스프링의 하단면이 걸림턱에 걸려 지지되도록 하여서 된 유량조절용 콘트롤밸브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3도 및 제4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3도는 본 고안의 콘트롤밸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써, 본 고안의 구성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스템(4)의 상부에 고정되는 플레이트(6)에 지름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환형의 걸림턱(6a)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부케이스(1a)와 상기 플레이트(6) 사이에는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복수개의 스프링(8)이 설치되어 상기 각 스프링(8)의 하단면이 걸림턱(6a)에 걸려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하부케이스(1a)(1b)의 내부에 공기압이 작용되지 않으면 제4도의 (a)와 같이 상부케이스(1a)와 플레이트(6)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8)의 탄성력에 의해 스템(4)이 하사점에 위치되므로 스템의 하단에 고정된 밸브(도시는 생략함)가 바디의 유로를 폐쇄하게 된다.
그러나 하부케이스(1b)에 형성된 구멍(3)을 통해 압축공기가 유입되면 상,하부케이스의 내부를 구획하고 있던 다이아프램(2)이 제2도의 (b)와 같이 상측으로 변형하면서 스템(4)을 상승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스(1a)와 플레이트(6) 사이에 설치되어 있던 복수개의 스프링(8)이 압축됨과 동시에 바디의 유로가 개방되므로 액체 또는 기체가 유로를 통해 이송된다.
상기 유로의 개방량의 구멍(3)을 통해 케이스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조절 가능하다.
상기한 동작시 상부케이스(1a)와 플레이트(6)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8)의 중심이 스템(4)의 중심과 일치되어 있어 다이아프램(2)이 균일하게 압축되므로 스템(4)이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케이스의 내부로 공급되던 공기의 공급을 중단하면 케이스내부의 공기압이 해제되므로 공기압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8)이 초기 상태로 복원하면서 스템(4)을 제2도의 (a)와 같이 하강시키게 되므로 바디의 유로가 폐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기압에 의해 다이아프램(2)이 승,하강할 때 스템(4)에 고정되어 함께 승,하강하는 플레이트(6)의 상부면에는 환형의 걸림턱(6a)이 형성되어 있어 스프링(8)의 위치가 가변되지 않으므로 다이아프램(2)이 균일하게 압축, 팽창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플레이트의 상면에 스템의 중심축과 일치되도록 직경이 각기 다른 복수개의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어 공기압에 의해 다이아프램이 압축, 팽창될 때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되므로 유로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1)

  1. 상,하부케이스(1a)(1b)에 설치된 다이아프램(2)에 스템(2)을 고정하여 다이아프램의 변형에 따라 스템이 승,하강하면서 바디의 유로를 개폐시키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스템(4)의 상부에 복수개의 동심원상의 걸림턱(6a)을 갖는 플레이트(6)를 고정하고 상기 상부케이스(1a)와 플레이트(6) 사이에는 직경이 각기 다른 복수개의 스프링(8)을 설치하여 각 스프링(8)의 하단면이 걸림턱(6a)에 걸려 지지되도록 하여서 된 유량조절용 콘트롤밸브.
KR2019950004923U 1995-03-20 1995-03-20 유량조절용 콘트롤밸브 KR01335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4923U KR0133515Y1 (ko) 1995-03-20 1995-03-20 유량조절용 콘트롤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4923U KR0133515Y1 (ko) 1995-03-20 1995-03-20 유량조절용 콘트롤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967U KR960031967U (ko) 1996-10-24
KR0133515Y1 true KR0133515Y1 (ko) 1999-03-30

Family

ID=19409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4923U KR0133515Y1 (ko) 1995-03-20 1995-03-20 유량조절용 콘트롤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51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169B1 (ko) * 2003-01-27 2005-11-16 대호소하텍(주) 공압조절기를 이용한 글로브밸브 개도율 제어장치
KR102014835B1 (ko) * 2018-03-14 2019-08-27 주식회사 대정밸브 밸브용 액츄에이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169B1 (ko) * 2003-01-27 2005-11-16 대호소하텍(주) 공압조절기를 이용한 글로브밸브 개도율 제어장치
KR102014835B1 (ko) * 2018-03-14 2019-08-27 주식회사 대정밸브 밸브용 액츄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967U (ko) 199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8014A (en) Pressure-reducing valve
US6708712B2 (en) Pressure regulator utilizing a disc spring
JP4690293B2 (ja) 流体制御バルブ
AU642936B2 (en) Diaphragm control valve
US5452741A (en) Pressure reducing valve
US5131425A (en) Gas pressure regulator with check valve
JPH0658454A (ja) ダイアフラム・サポートを備えたレギュレーター・バルブ
GB2103391A (en) Servo operated fluid flow taps and valves
US6273117B1 (en) Pressure regulator
US3705599A (en) Universally-mountable gas service regulator
US4301992A (en) Diaphragm valve
US20020179152A1 (en) Regulator with improved seat
KR101993689B1 (ko) 블로우 오프 밸브
CA2522853A1 (en) Fluid controller
KR0133515Y1 (ko) 유량조절용 콘트롤밸브
US6866061B2 (en) Back pressure valve with dynamic pressure control
US6758239B2 (en) Metal diaphragm structure for pressure regulators
US2973007A (en) Pressure regulator
KR101829864B1 (ko) 디스크 상부에 탄성체가 구비된 안전밸브
US6651695B2 (en) Diaphragm-operated pressure regulating valve
US3391900A (en) Diaphragm flow control device
US5727588A (en) Depressurizing connector
KR200216890Y1 (ko) 감압밸브
KR200290357Y1 (ko) 역압배출장치를 일체로 갖춘 감압밸브
JP2004078421A (ja) 減圧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1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