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438Y1 - 폐전선 분쇄장치 - Google Patents

폐전선 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438Y1
KR0133438Y1 KR2019960001166U KR19960001166U KR0133438Y1 KR 0133438 Y1 KR0133438 Y1 KR 0133438Y1 KR 2019960001166 U KR2019960001166 U KR 2019960001166U KR 19960001166 U KR19960001166 U KR 19960001166U KR 0133438 Y1 KR0133438 Y1 KR 01334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isposed
cutting
sprocket
wast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1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6526U (ko
Inventor
김지선
Original Assignee
김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선 filed Critical 김지선
Priority to KR2019960001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438Y1/ko
Publication of KR9700165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65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4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4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2018/166Lubricating the knives of the cut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2018/168User safety devices or measures in shredders

Abstract

본 고안은 폐전선을 절단하기 위한 폐전선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투입구(12)의 내부에 배설되어 폐전선을 가이드하는 상부,하부롤러(14,16)와, 폐전선의 직경에 따라서 상기 상부,하부롤러(14,16)의 틈새를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조절수단(20)과, 상기 가이드조절수단(20)에 의해 가이드된 전선을 일정하게 절단하는 절단수단(40)과, 상기 절단수단(40)의 동작중에 절단된 전선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42)로 구성되어 직경이 다른 폐전선이라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폐전선 분쇄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배설되는 개략적인 배치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측면도.
제4도는 가이드조절수단을 상세히 도시한 정면도.
제5도는 가이드조절수단을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
제6도의 a는 가이드조절수단의 핸들을 작동시켰을 때의 측면도.
제6도의 b는 힌지수단의 확대도.
제7도의 a는 가이드조절수단을 도시한 평면도.
제7도의 b는 힌지수단과 기어의 연결도.
제8도는 절단수단을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상부롤러 16 : 하부롤러
20 : 가이드조절수단 40 : 절단수단
43 : 절단부재 49 : 회전커터
50 : 제1기어 52 : 제2기어
62 : 제1스프로켓 64 : 더블스프로켓
66 : 제2스프로켓 70,72 : 체인
86 : 힌지수단 94 : 연결부재
본 고안은 절단수단의 회전으로 폐전선을 절단하기 위한 폐전선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폐전선 분쇄장치는, 폐전선을 가이드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갖고 서로 대향되게 배설되어 있는 상부,하부롤러와, 상기 상부,하부롤러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조절수단과, 상기 가이드조절수단에 의해 가이드된 전선을 일정하게 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상기 절단수단의 동작중에 절단된 전선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전선을 파쇄하여 순 동분을 얻는 장치에서, 피복이 제거된 전선과 피복을 크게 절단하는 분쇄장치(2)이다. 제2도와 제3도에 도시된 모양과 같이, 본 고안의 하부에 지지프레임(10)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폐전선이 투입되는 투입구(12)와, 상기 투입구(12)의 내부에 배설되어 폐전선이 삽입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상,하부롤러(14,16)로 구성되는 가이드조절수단(20)과, 가이드조절수단(20)에 의해 가이드된 전선을 일정하게 절단하는 절단수단(40)과, 절단수단(40)의 동작 중에 절단된 전선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42)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조절수단(20)은 투입구(12) 안측으로 상부롤러(14)와 하부롤러(16)가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형성되고 그 외부에는 각 롤러(14,16)를 구동하는 기어(50,52)와 스프로켓(62,66)이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프레임(10)의 상부 일측에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양의 제2모터(81)가 설치되고 그 모터(81)의 회전축에 제1스프로켓(62)이 형성되고 하부롤러(16) 외부 일측에 제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양으로 복수개의 더블스프로켓(64)이 형성되며 지지대(82)를 힌지 고정시키는 연결부재(94)의 일측에 그 연결부재(94)를 축으로 제1기어(50)와 제2스프로켓(66)이 설치되고 각 스프로켓(62,66)은 체인(70,72)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제1스프로켓(62)과 복수개의 더블스프로켓(64)의 외측 스프로켓이 체인(70)과 연결되고 복수개의 더블스프로켓(64)의 안측 스프로켓은 제2스프로켓(66)과 체인(72)으로 연결된다. 상부롤러(14) 외측에 제1기어(50)와 치합되어 제2기어(52)가 형성되고, 지지대(82)는 상부롤러(14)를 포함하여 제6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양으로 구성된다. 즉 절단수단(40)을 내장하는 박스(200)에 연계하여 투입구(12)가 형성되고 투입구(12) 외부 양측의 어느 일 지점에 돌출편(21)이 돌출 형성되어 제6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힌지수단(86)을 상기 돌출편(201)에 결착시킨다. 상기 힌지수단(86)은 다수개의 나사구멍(88)이 형성되어 있는 힌지부재(90)와, 상기 힌지부재(90)에 형성된 내주면(901)과, 상기 내주면(901)과 지지대(82)의 요홈부(821)에 형성된 관통구멍(822)에 끼워져 있는 연결부재(94)와, 상기 연결부재(94)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기 내주면(901) 내부에 그리스를 주입하기 위한 기름구멍(902)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어(50)의 내부에는 베어링(92)을 매개로 연결부재(94)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94)는 지지대(82)와 힌지부재(90)를 힌지 회동시키는 축 부분과 제1기어와 제2스프로켓이 회동 고정되는 축 부분으로 구분된다. 연결부재(94)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환상요홈부(941)에는 멈춤링(96)이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94)의 중간쯤에 형성되어 제1기어(50)의 이동을 방지하는 단턱부(942)와, 상기 지지대(82)에 결착되도록 상기 연결부재(94)의 일단부에는 나사부(9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82)와 힌지수단(86)은 제6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양으로 연결부재(94)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120)은 지지대(82)에 결착된 지지플레이트(122)위에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실시예로 가이드조절수단(20) 작동은 제2모터(81)에 동력이 인가되면 모터(81)에 형성된 제1스프로켓(62)이 회전하여 하부롤러(16) 외측에 형성된 더블스프로켓(64)을 회전시켜 하부롤러(16)를 회전시키고 더블스프로켓(64)이 회전하면 제6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양 즉 지지대(82)와 힌지수단(86)을 결합시키는 연결부재(94)의 일단에 형성된 제1기어(50)와 일체로 형성된 제2스프로켓(66)을 회전시킨다. 또한 제1기어(50)는 제2스프로켓(66)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스프로켓(66)이 회전하면 제1기어(50) 역시 같이 회전한다. 제1기어(50)는 제2기어(52)와 치합되어 있고 제2기어(52)는 상부롤러(14)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기어(50)가 회전하면 상부롤러(14)가 회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롤러(14)와 하부롤러(16)는 일정한 간격(인입된 폐전선을 압박할 수 있을 정도)을 유지하고 회전하므로 롤러(14,16)에 인입된 폐전선은 강제 이송되는 것이다. 또한 롤러(14,16)에 인입되는 폐전선의 굵기가 상이할 때는 상부롤러(14)를 핸들(120) 작동에 의해 이동시켜 롤러(14,16)의 간격을 넓히도록 한다. 즉 상부롤러(14)는 지지대(82)와 결합되어 있고 지지대(82)는 돌출편(201)에 결착된 힌지수단(86)의 연결부재(94)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며 제1기어(50)는 연결부재(94)를 축으로 고정회동되고 제2기어(52)는 제1기어(50)에 치합되어 있으므로, 즉 제1기어(50)가 갖는 축과 지지대(82)가 갖는 축은 같으므로 지지대(82)가 크게 이동하지 않는 한 제1기어(50)와 제2기어(52)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아 동력이 단절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부롤러(14)와 하부롤러(16)의 간격을 넓히기 위해 상부롤러(14)를 위로 이동시키더라도 동력은 계속 전달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지대(82)를 박스(200)에 별도의 고정장치를 하지 않더래도 상부롤러(14)의 하중에 의하여 인이되는 폐전선은 압박되어 강제 이송된다.
제3, 5, 6, 8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양의 절단수단(40)은 복수개 이상으로 회전축(106)에 형성되고 절단수단(40)의 절단부재(43)는 외경에 키이(39)가 돌출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축(106)에 형성되며, 절단부재(43)는 회전축(106)의 외경에 형성된 키이(39)의 방해에 의해 회전축(106)에서 공회전 하지않고 회전축(106)에 고정되고, 절단부재(43)를 고정시킨 키이(39)의 위치에서 다음 절단부재(43)를 고정시킬때는 일정 각도 회전 이동하여 처음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되고, 절단부재(43)에는 제8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양의 회전커터(49)가 형성되며, 절단부재(43)에는 회전커터(49)와, 절단부재(43)를 결착하기 위한 체결수단(41)이 배설되어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배설되어 도시되지 않은 체결수단으로 결착되어 있는 고정커터(47)로 구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00은 벨트이고, 102,104는 제1,2풀리이고, 106은 회전축이고, 108,110,112,114는 베어링이고, 126은 절단된 폐전선이 배출되는 출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폐전선 분쇄장치에 대한 작용, 효과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폐전선을 투입구(12)에 투입한 후, 동력이 폐전선 분쇄장치에 인가되면, 제1모터(80)와 제2모터(81)가 회전하게 된다.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양의 제1모터(80) 회전으로 제1풀리(102)가 회전하게 되고, 제1풀리(102)가 회전하므로써 벨트(100)를 매개로 제2풀리(104)가 회전하게 된다. 제2풀리(104)가 회전하므로써 제2풀리(104)와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106)이 회전하게 되며, 회전축(106)이 회전하므로써 회전축(106)과 체결수단(41)에 의해서 체결되어 있는 절단부재(43)가 회전하게 된다. 제2모터(81)가 회전하므로써, 제2모터(81)에 연결되어 있는 제1스프로켓(62)이 회전되어, 제1스프로켓(62)에 연계된 체인(70)을 매개로 더블스프로켓(64)이 회전하므로서 체인(72)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스프로켓(66)이 회전된다. 제2스프로켓(66)이 회전하므로써, 제2스프로켓(66)과 연결되어 있는 제1기어(50)가 그 내부에 배설된 베어링(92)을 매개로 회전한다. 또한 제1기어(50)가 회전하므로써 제1기어(50)와 치합되어 있는 제2기어(52)가 회전하게 되고, 제2기어(52)가 회전하므로써 제2기어(52)와 연결되어 있는 상부롤러(14)가 회전하게 된다. 제1모터(80)가 회전하므로써, 절단부재(43)에 배설되어 회전하는 회전커터(49)가 상부롤러(14)와 하부롤러(16)에 가이드되어 고정커터(48) 위에 놓여진 폐전선을 절단한다.
직경이 큰 폐전선이 투입될 경우에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20)을 정면 방향으로 당기면 지지대(82)가 제6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양의 힌지부재(90) 내주면(901)에 배설된 연결부재(94)를 축으로 회동하여 상부롤러(14)가 이동하게 되고 상부롤러(14)와 하부롤러(16) 사이가 넓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절단된 폐전선은 출구(126)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폐전선 분쇄장치는 고정커터와 회전커터로 구성된 절단수단과 상,하부롤러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조절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직경이 다른 폐전선이라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6)

  1. 폐전선을 가이드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갖고 서로 대향되게 배설되어 있는 상부,하부롤러(14,16)와, 상기 상부,하부롤러(14,16)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조절수단(20)과, 상기 가이드조절수단(20)에 의해 가이드된 전선을 일정하게 절단하는 절단수단(40)과, 상기 절단수단(40)의 동작중에 절단된 전선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4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분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조절수단(20)에는 상부롤러(14) 외측에 배설되어 있는 제2기어(52)와, 제2기어(52)와 치합되어 제2기어를 회전시키는 제1기어(50)와, 제1기어(50)의 외측에 배설되어 있는 제2스프로켓(66)과, 하부롤러(16)외측에 배설되어 복수개의 스프로켓이 형성되어 있는 더블스프로켓(64)과, 체인(70)을 매개로 더블스프로켓(64)과 연결되어 있는 제1스프로켓(62)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분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50)의 내주면(901)에는 베어링(92)을 매개로 연결되며 단턱부(942)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94)와, 상기 연결부재(94)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환상요홈부(941)와, 상기 환상요홈부(941)에 배설되어 있는 멈춤링(96)과, 상기 지지대(82)에 결착되도록 상기 연결부재(94)의 일단부에 나사부(94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분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40)에는 회전축(106)에 일정각도 회전되어 키이(39)에 의해서 결착 고정되어 있는 절단부재(43)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배설되어 있는 고정커터(47)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분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절단부재(43)에 배설되어 있는 회전커터(49)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분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86)은 다수개의 나사구멍(903)이 형성되어 있는 힌지부재(90)와, 상기 힌지부재(90)에 형성된 내주면(901)과, 상기 힌지부재(90)가 회전하도록 지지대(82)의 요홈부(821)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822) 및 힌지부재(90)의 내주면(901)에 끼워져 있는 연결부재(94)와, 상기 내주면(901)에 배설되어 있는 연결부재(94)가 회전할 때 상기 내주면(901)에 발생하는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그리스가 주입되도록 관통되어 있는 기름구멍(902)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분쇄장치.
KR2019960001166U 1996-01-29 1996-01-29 폐전선 분쇄장치 KR01334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1166U KR0133438Y1 (ko) 1996-01-29 1996-01-29 폐전선 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1166U KR0133438Y1 (ko) 1996-01-29 1996-01-29 폐전선 분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526U KR970016526U (ko) 1997-05-23
KR0133438Y1 true KR0133438Y1 (ko) 1999-01-15

Family

ID=19449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1166U KR0133438Y1 (ko) 1996-01-29 1996-01-29 폐전선 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43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862B1 (ko) * 2009-09-08 2012-06-26 변길수 폐전선 동분리기 및 분리방법
KR20160076648A (ko) 2014-12-23 2016-07-01 박기태 폐전선 절단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862B1 (ko) * 2009-09-08 2012-06-26 변길수 폐전선 동분리기 및 분리방법
KR20160076648A (ko) 2014-12-23 2016-07-01 박기태 폐전선 절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526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28489B1 (de) Riemenspannvorrichtung für Starter-Generator-Anwendung
US6722596B1 (en) Multiple wheel feed wheel assembly for a wood chipper
KR0133438Y1 (ko) 폐전선 분쇄장치
US5249494A (en) Cutting machine for slice-cutting, strip-cutting or dice-cutting
KR860002673A (ko) 가변 변속장치
US4422486A (en) Trimming machine
US4679541A (en) Belt-configured saw for cutting slots into stone
ITBO970624A1 (it) Apparecchiatura per l'alimentazione di un estrusore a coclea con materiale plastico sminuzzato.
FR2386245A1 (fr)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x faucheuses-conditionneuses de recoltes
DE2820691A1 (de) Pelletisierpresse
KR890000612B1 (ko) 벨트 콘넥터 기구
JP3997541B2 (ja) ペットボトル用圧潰装置
KR100287812B1 (ko) 전선껍질탈피장치
KR101261220B1 (ko) 기어구동형 폐기물 고형화 성형기
US4813135A (en) Roller nose bar
ATE108344T1 (de) Zerkleinerungsvorrichtung.
CN210753159U (zh) 一种木材破碎机进料装置
US6012662A (en) Waste disposal apparatus cutter guides
JP5564284B2 (ja) 破砕装置
CA1225356A (en) Roller device for roller conveyors
US2292688A (en) Chain sprocket accessory
KR200206504Y1 (ko) 수목가지용 파쇄기
KR960000720Y1 (ko) 고기절단기의 춉커터날 구동장치
KR950024908A (ko) 자동차용 유리창 필름 분리장치
KR102405710B1 (ko) 밤 탈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910000119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19990712

Effective date: 1999102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19990712

Effective date: 19991020

O07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